맨위로가기

집행 기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집행 기능은 인지적 유연성, 계획, 문제 해결, 반응 억제, 작업 기억 등과 관련된 일련의 정신 과정으로, 1940년대부터 연구가 시작되었다. 전두엽, 특히 전전두엽피질이 집행 기능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배외측전전두피질, 전대상피질, 안와전두피질 등 특정 뇌 영역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집행 기능은 발달 과정에서 늦게 성숙하며, 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 성인기에 걸쳐 점진적으로 발달한다. 억제 조절, 작업 기억, 주의 감독 체계, 자기 조절 모델 등 다양한 모델을 통해 설명되며, 행동 체크리스트, 신경심리검사 등을 통해 평가한다. 전전두피질 뉴런의 맥락 민감성, 감각영역 내 주의 편향, 전전두피질과 감각영역의 연결성, 이중언어 사용 등과 관련이 있으며, 파킨슨병, 불안 장애,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등 다양한 질병 및 장애와 연관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탐닉 - 인지 행동 치료
    인지 행동 치료(CBT)는 생각과 행동 변화를 통해 정신 건강 문제를 치료하는 심리 치료법으로, 다양한 정신적, 신체적 문제에 적용되며, 최근에는 마음챙김을 강조하는 제3세대 CBT가 주목받지만, 효과에 대한 논쟁과 비판도 존재한다.
  • 탐닉 - 암페타민
    암페타민은 페네틸아민 계열의 각성제로, 기면증이나 ADHD 치료에 사용되기도 했으나 중독성 문제로 현재는 규제 물질로 지정되었으며, 수행 능력 향상 효과로 스포츠 도핑 금지 약물로도 지정되었다.
  • 신경심리학 - 마음
    마음은 의식, 사고, 지각, 감정, 동기, 행동, 기억, 학습 등을 포괄하는 심리적 현상과 능력의 총체이며,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인간 삶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 신경심리학 - 식사장애
    식사장애는 체중, 체형, 음식 섭취에 대한 과도한 집착과 비정상적인 식사 행동을 보이는 정신 질환으로, 신경성 식욕부진증, 신경성 폭식증, 폭식 장애 등 다양한 유형이 있으며, 유전적, 심리적,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고 심각한 합병증과 높은 사망률을 유발할 수 있어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
  • 자아 - 마음
    마음은 의식, 사고, 지각, 감정, 동기, 행동, 기억, 학습 등을 포괄하는 심리적 현상과 능력의 총체이며,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인간 삶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 자아 - 명상
    명상은 다양한 문화와 종교에서 수행되는 심신 수련 방법으로, 정신을 집중하고 내면을 성찰하며, 스트레스 감소, 불안 완화, 집중력 향상 등의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집행 기능
개요
정의행동을 제어하는 데 필요한 인지 과정
다른 용어적응 행동
자기 통제
주요 기능
핵심 집행 기능반응 억제 (자기 통제, 충동적 행동 억제)
간섭 제어 (선택적 주의, 인지 억제)
작동 기억
인지 유연성 (창의적 사고, 다양한 관점, 빠른 상황 적응)
기타 집행 기능언어 추론
문제 해결
계획
순서화
주의 지속
간섭 저항
피드백 활용
다중 작업
새로운 상황 대처 능력
신경학적 기반
주요 뇌 영역전전두엽 피질
전두엽 피질의 여러 하위 영역이 인지 제어의 각기 다른 측면에 관여한다.
전방대상피질 (anterior cingulate cortex): 올바른 의사결정, 갈등 해결, 피질 억제.
내측전전두엽피질 (medial prefrontal cortex): 감독적 주의 기능, 행동 유연성.
배외측전전두엽피질 (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 감각 입력과 계획된 운동 반응 매칭.
복내측전전두엽피질 (ventromedial prefrontal cortex): 사회적 인지, 공감 조절.
안와전두피질 (orbitofrontal cortex): 사회적 의사결정, 경험에 대한 가치 평가.
기타 관련 뇌 영역선조체
미상핵
시상하핵
집행 기능 장애 영향
사회적 행동사회적 행동, 의사 결정, 변화하는 상황에 대한 적응적 반응에 부정적인 영향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부적절한 반응을 억제하고, 무관한 자극에 대한 반응 억제 능력 감소
집행 기능 개선
개선 가능성전 생애에 걸쳐 개선 가능하며, 노인 및 유아도 포함됨.
개선 방법신체 건강 개선
스트레스 감소
충분한 수면
집행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부정적 영향스트레스
슬픔
외로움
수면 부족
신체 건강 악화
집행 기능 (집행기능)
정의목표 지향적 행동을 계획하고 제어하며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인지 과정의 모음
기능계획하기
조직하기
우선 순위 정하기
시간 관리
의사 결정
갈등 해결
자기 통제
주의 전환
행동 모니터링
핵심 구성 요소작동 기억
인지 유연성
억제 제어
중요성일상생활의 성공적인 기능에 필수적
학습, 작업 수행, 사회적 상호 작용에 필수적
발달유아기부터 청소년기까지 발달
전두엽 발달과 관련
측정신경심리학적 검사를 통해 측정
예: 위스콘신 카드 분류 검사, 트레일 메이킹 검사, 스트룹 검사
관련 문제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전두엽 손상, 치매 등 다양한 신경 발달 장애 및 신경 퇴행성 질환과 관련됨
핵심 집행 기능 상세 설명
작동 기억정보를 일시적으로 유지하고 조작하는 능력
인지 유연성사고 방식이나 행동을 빠르게 전환하는 능력
억제 제어충동적인 반응을 억제하고 불필요한 정보를 걸러내는 능력
집행 기능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유전적 요인유전적 요인이 집행 기능 발달에 영향을 미침
환경적 요인조기 양육 환경
교육 수준
영양 상태
스트레스
집행 기능 향상 방법
인지 훈련특정 인지 능력을 향상시키는 훈련
운동규칙적인 운동이 집행 기능 향상에 도움
건강한 생활 습관충분한 수면
균형 잡힌 식단
스트레스 관리
집행 기능 장애
주요 증상계획 및 조직 문제
시간 관리 어려움
충동적 행동
집중력 부족
의사 결정 어려움
감정 조절 어려움
관련 질환ADHD
자폐 스펙트럼 장애
전두엽 손상
치매
파킨슨병
다발성 경화증
집행 기능과 관련된 뇌 영역
전전두엽 피질집행 기능의 주요 영역
대상 피질오류 감지 및 갈등 해결에 관여
기저핵행동 선택 및 운동 제어에 관여
소뇌운동 학습 및 타이밍에 관여
집행 기능 연구
주요 연구 방법신경심리학적 검사
뇌 영상 기법 (fMRI, EEG)
동물 연구

2. 역사적 관점

집행 기능과 그 신경계통 기반에 관한 연구는 최근 급격히 증가했지만, 그 기반 이론은 이전부터 존재했다. 1940년대, 영국 심리학자 도널드 브로드벤트는 자동 과정과 피통제 과정을 구분하고, 선택적 주의 개념을 소개했다.[154] 1977년, 리처드 쉬프린은 이 구분을 더 명확히 하였다.[154] 1975년, 미국 심리학자 마이클 포스너는 '인지 조절(cognitive control)'이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했다.[155]

1980년대에는 마이클 포스너, 호아킨 퍼스터, 팀 셸리스, 트레머 로빈스, 로버트 나이트, 도널드 스터스 등의 연구자들이 오늘날 집행 기능 연구 기반의 대부분을 닦았다. 포스너는 주의 계통에 별도의 집행 지류가 있다고 제안했고,[156] 셸리스는 주의력이 '지도 계통(supervisory system)'의 조절을 받는다고 주장했다.[157] 이 시기에 통제 계통이 전전두엽피질에 있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심리학자 앨런 배들레이는 작업 기억 모델의 일부로 '중추 집행(central executive)' 요소를 제안했다.[158]

3. 신경해부학

역사적으로, 집행 기능은 전두엽(frontal lobe) 전전두엽 영역(prefrontal region)이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143][144] 이것이 사실인지는 지금도 여전히 논쟁 중이다.[139][9][10][11] 전전두엽 병변에 관한 논문들은 집행 기능 이상을 원인으로 지목하며, 역으로 전전두엽 병변이 원인이 되어 집행 기능 이상이 발생한다고 보고 있다. 한 리뷰는 민감도에 대한 징후는 발견하였지만, 전두엽 기능의 집행 기능 측정에 대한 특이도의 징후는 발견하지 못하였다. 이는 전두엽과 그 이외 영역 모두 온전한 집행 기능에 필요하다는 것을 말한다. 전두엽은 집행 기능 전체에 기본적으로 간여하지만, 유일하게 간여하는 두뇌 영역은 아니라는 것이다.[139][11]

신경영상(neuroimaging)과 뇌손상(brain lesion) 연구들은 전전두피질(prefrontal cortex)과 관련 부분의 특정 영역이 집행 기능과 가장 연관이 크다는 것을 밝혔다.[139][11]


  • 배외측전전두피질(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 DLPFC)은 인지와 행동의 각 측면들을 종합하는 등 정보의 선상 처리(on-line processing)에 간여한다.[145][12] 그로 인해, 이 영역은 구어유창성(verbal fluency) 및 디자인유창성(design fluency), 유지 및 인지적 유연성(set shifting) 능력, 기획(planning), 반응 억제(response inhibition), 작업 기억, 조직 기술(organisational skills), 추론(reasoning), 문제해결(problem-solving), 추상적 사고(abstract thinking) 등에 간여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139][146][11][14]


뇌의 측면도, 배외측 전전두엽 피질과 안와전두엽 피질을 보여줌

  • 전대상피질(anterior cingulate cortex, ACC)은 감정 욕구 추동(emotional drives), 경험(experience), 통합(integration)에 간여한다.[145][12] 관여하는 인지 기능으로는 부적절한 반응의 억제, 의사결정, 행동에의 동기 부여이다. 이 영역에 병변이 발생하면 무감정(apathy), 의지상실(abulia), 무동무언증(akinetic mutism) 등의 추동 상태(drive state)가 낮아지며, 또한 음식 등 기본 욕구에 대한 추동 상태가 낮아지기도 하며, 사회활동이나 취업활동, 성행위에 대한 관심이 저하된다.[145][147][12][15]
  • 안와전두피질(orbitofrontal cortex, OFC)은 충동 조절(impulse control), 태세 유지(maintenance of set), 진행 중인 행동에의 감시, 사회적으로 적절한 행동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145][12] 또한 감각 자극(sensory stimuli)에 근거한 보상 가치(value of reward) 설명 및 주관적 감정 경험에 대한 평가에도 간여한다.[148][16] 병변이 발생하면 탈억제(disinhibition), 충동성(impulsivity), 공격성 분출(aggressive outbursts), 난교(sexual promiscuity), 반사회적 행동(antisocial behavior)을 보인다.[139][11]


게다가 알바레스(Julie A. Alvarez)와 에모리(Eugene Emory)는 리뷰에서 다음과 같이 언급하였다. "전두엽은 여러 피질 지역(cortical site), 하부피질 영역(subcortical site), 뇌간영역(brain stem site)에 연결되어 있다. 억제, 사고 유연성, 문제 해결, 계획, 충동 조절, 개념 형성(concept formation), 추상적 사고, 창조성 등 고도의 인지 기능의 기반은 훨씬 단순한 저수준의 인지 및 행동 형태에서 유래한다. 따라서 집행 기능의 개념은 광범위하여, 산재해 있는 다양한 중추신경계(central nervous system) 일부분 등의 해부학적 구조들도 집행 기능 간여 부분에 포함되어야 한다."[139][11]

소뇌(cerebellum) 역시 특정 집행 기능을 조정하는 것으로 보인다.[149][150][17] 복측피개영역과 흑질도 마찬가지이다.[18][19] 인간의 경우, 고차원 인지 및 실행 기능을 담당하는 전두엽 신피질 영역과 후대상피질(활성화를 통해 의식과 고차원 인지 처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영역)에서 칸나비노이드 수용체 1(CB1)의 함량이 높게 나타난다.[20]

3. 1. 배외측전전두피질 (DLPFC)

3. 2. 전대상피질 (ACC)

3. 3. 안와전두피질 (OFC)

3. 4. 소뇌 및 기타 영역

4. 역할 가정

심리학자 도널드 노먼(Donald Arthur Norman)과 팀 셸리스(Tim Shallice)는 행동의 루틴 활성화가 최적으로 수행하지 못하는 다섯 가지 상황 유형을 제시하였다.[151][21]

# 기획 혹은 의사 결정 상황

# 오류 수정 혹은 분쟁 조정 상황

# 반응이 훈련되지 않거나 새로운 행동 연쇄(sequences of actions)가 발생한 상황

# 위험하거나 기법상 난도가 높은 상황

# 강력한 습관 반응(habitual response)을 극복해야 하거나 유혹에 저항해야 하는 상황

이러한 상황에서 집행 계통(executive system)은 학습된 도식(schema)이나 설정된 행동과 같은 자동화 심리적 과정(automatic psychological process) 영역 밖에 있는 새로운 상황을 대처하는 데에 깊게 간여한다고 본다.

'우성반응(prepotent response)'은 긍정적 혹은 부정적인 즉각적 강화(reinforcement)가 발생하는 반응, 혹은 이전 반응과 관련이 있는 반응을 말한다.[152][22] 외부 환경의 자극에 의해 자동적으로 유도될 수도 있는 우성반응을 압도해야 하는 상황에서 집행 기능이 자극받기도 한다. 예를 들어, 초콜렛 케익과 같은 보상 자극(rewarding stimulus)이 될 가능성이 있는 자극이 주어질 때, 한입 베어 무는 등의 자동 반응(automatic response)을 보인다. 그러나 다이어트 중에는 먹지 않겠다고 결심한 상황 등 내적 계획과 이러한 행동이 대립될 때, 집행 기능은 이러한 자동 반응을 억제한다.

우성반응의 억제는 적응적인 행동으로 보기도 하지만, 문화적인 기대가 옳고 그름의 느낌을 압도하거나, 집행 억제(executive inhibition)가 창조 충동(creative impulse)을 압도할 때, 개인과 문화의 발전에 있어서 문제가 발생한다.[153][23]

5. 발달

집행 기능은 성숙도에 가장 마지막에 도달하는 정신 기능(mental functions) 중 하나이다. 전전두엽피질의 성숙이 늦어지기 때문인데, 전전두엽피질은 21~30세 사이까지 수초(myelin)가 완전히 없다. 집행 기능은 새로운 기술(skill)이나 전략, 의식형태(form of awareness)가 발생할 때 분출하듯 급격히 발달한다. 이러한 분출은 대뇌 전두 부분의 성숙 사건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159] 주의 조절(attentional control)은 영아기에 발생하고 유년기 초기에 급격히 발달하는 것으로 보인다. 인지적 유연성, 목표 설정(goal setting), 정보 처리(information processing)는 보통 7–9세 사이에 급격히 발달하고 12세까지 성숙한다. 집행 조절(executive control)는 보통 아동에서 청소년으로 접어들기 시작하는 전환기 직후에 발생한다.[160] 집행 기능이 나타나는 단계들의 연쇄가 단일한 것인지, 아니면 각각의 환경이나 생애 초기 경험마다 각각 다른 연쇄들속에서 집행 기능을 발달시키는지는 불명확하다.[142]

더 보기: 신체 운동의 신경생물학적 효과#인지 통제 및 기억

대뇌 실행 기능은 가장 늦게 성숙에 도달하는 정신 기능 중 하나이다. 이는 전전두엽 피질의 성숙이 지연되기 때문이며, 전전두엽 피질은 30대 초반까지 완전히 수초화되지 않는다. 실행 기능의 발달은 새로운 기술, 전략 및 인식 형태가 나타날 때 급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급증은 뇌의 전두엽 영역에서 성숙 사건을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된다.[28] 주의 통제는 유아기에 나타나고 초기 아동기에 빠르게 발달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인지적 유연성, 목표 설정 및 정보 처리 는 일반적으로 7~9세에 걸쳐 빠르게 발달하고 12세까지 성숙합니다. 실행 통제는 일반적으로 청소년기 초반의 전환기에 이어 나타납니다.[29] 실행 기능이 나타나는 단일 단계 순서가 있는지, 또는 다른 환경과 초기 삶의 경험이 사람들이 다른 순서로 실행 기능을 개발하게 할 수 있는지 아직 명확하지 않습니다.[3]

==== 유아기 (7-12개월) ====

억제 조절과 작업 기억문제 해결과 같은 복잡한 집행 기능 발달의 기본 요소로 작용한다.[161][30] 7-12개월 영아에게서 억제 조절과 작업 기억의 초기 징후가 나타난다.[142][160][3][29]

==== 미취학 아동기 (3-5세) ====

억제 제어와 작업 기억은 문제 해결과 같은 더 복잡한 실행 기능의 발달을 가능하게 하는 기본적인 실행 기능으로 작용한다.[30] 억제 제어와 작업 기억은 가장 먼저 나타나는 실행 기능 중 하나이며, 초기 징후는 생후 7~12개월 영아에게서 관찰된다.[3][29] 유아기(만 3세~5세)에는 억제와 작업 기억 과제 수행 능력이 급증한다.[3][31] 또한 이 시기에 인지적 유연성, 목표 지향적 행동 및 계획 능력이 발달하기 시작한다.[3] 그러나 유아기 아동의 실행 기능은 완전히 성숙하지 않아 이러한 능력과 관련된 실수를 계속 저지르는데, 이는 종종 능력이 부족해서라기보다는 특정 상황에서 특정 전략을 언제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기 때문이다.[32]

==== 사춘기 이전 시기 (8-12세) ====

사춘기 이전 시기 아동은 집행 기능의 성장 폭발을 계속 보인다. 이는 이러한 발달이 반드시 선형으로 발생하는 것은 아니며, 또한 특정 기능들이 예비적으로 성숙하는 것도 아님을 시사한다.[142][160] 사춘기 이전 시기 동안, 아동은 구어적 작업 기억,[164] 목표지향 행동(12세 즈음에 폭발적 성장 가능),[165] 반응 억제와 선택적 주의,[166] 전략 기획과 조직 기술의 증가를 주로 보인다.[160][167][168] 또한 8~10세 사이에는 특히 인지적 유연성이 성인 수준에 도달한다.[167][168] 그러나 아동기 발달의 패턴과 유사하게, 억제 조절의 발달이 한창 진행 중이기에 다양한 맥락이나 상황에서 이러한 집행 기능들을 신뢰하여 적용하지 않기 때문에, 사춘기 이전에 나타나는 집행 기능은 한계가 있다.[159]

==== 청소년기 ====

억제 조절 등 많은 집행 기능들이 아동기와 사춘기 이전 아동기에 발달하기 시작한다.[169][170] 그러나 청소년기에 이르면 다른 두뇌 계통들이 통합되기 시작한다. 이때에는 억제 조절과 같은 집행 기능들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향상시킨다.[169][170][38][39] 억제 조절이 아동기에 발달하고 이후에도 향상되듯이, 기획과 목표지향 행동 역시 청소년기동안 진행 중인 성장과 함께 시간 경과가 지체되는 것을 보여준다.[162][142][31][3] 마찬가지로, 주의 조절과 같은 기능들은 15세에 이르러 폭발적으로 발달하며,[142][3] 작업 기억과 더불어,[169][38] 이 단계에서 계속 발달한다.

==== 성인기 ====

성인기에는 전전두피질 내 뉴런의 수초 형성(myelination)이 계속된다.[142] 20–29세에 이르면, 집행 기능 기술들은 정점에 이르게 되어 가장 도전적인 정신적 과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후에는 이러한 기술들이 쇠퇴하기 시작한다. 작업 기억과 공간폭(spatial span)이 가장 두드러지게 쇠퇴한다. 그러나 인지적 유연성의 저하는 가장 늦게 발생하여, 정상적인 경우 70세 정도에 이르러도 쇠퇴하지 않는다.[142] 노년에 이르면 집행 기능들이 저하되면서 노년기 기능 쇠퇴를 보여주는 가장 좋은 예측 변수가 된다.[40]

5. 1. 유아기 (7-12개월)

억제 조절과 작업 기억문제 해결과 같은 복잡한 집행 기능 발달의 기본 요소로 작용한다.[161][30] 7-12개월 영아에게서 억제 조절과 작업 기억의 초기 징후가 나타난다.[142][160][3][29]

5. 2. 미취학 아동기 (3-5세)

억제 제어와 작업 기억은 문제 해결과 같은 더 복잡한 실행 기능의 발달을 가능하게 하는 기본적인 실행 기능으로 작용한다.[30] 억제 제어와 작업 기억은 가장 먼저 나타나는 실행 기능 중 하나이며, 초기 징후는 생후 7~12개월 영아에게서 관찰된다.[3][29] 유아기(만 3세~5세)에는 억제와 작업 기억 과제 수행 능력이 급증한다.[3][31] 또한 이 시기에 인지적 유연성, 목표 지향적 행동 및 계획 능력이 발달하기 시작한다.[3] 그러나 유아기 아동의 실행 기능은 완전히 성숙하지 않아 이러한 능력과 관련된 실수를 계속 저지르는데, 이는 종종 능력이 부족해서라기보다는 특정 상황에서 특정 전략을 언제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기 때문이다.[32]

5. 3. 사춘기 이전 시기 (8-12세)

사춘기 이전 시기 아동은 집행 기능의 성장 폭발을 계속 보인다. 이는 이러한 발달이 반드시 선형으로 발생하는 것은 아니며, 또한 특정 기능들이 예비적으로 성숙하는 것도 아님을 시사한다.[142][160] 사춘기 이전 시기 동안, 아동은 구어적 작업 기억,[164] 목표지향 행동(12세 즈음에 폭발적 성장 가능),[165] 반응 억제와 선택적 주의,[166] 전략 기획과 조직 기술의 증가를 주로 보인다.[160][167][168] 또한 8~10세 사이에는 특히 인지적 유연성이 성인 수준에 도달한다.[167][168] 그러나 아동기 발달의 패턴과 유사하게, 억제 조절의 발달이 한창 진행 중이기에 다양한 맥락이나 상황에서 이러한 집행 기능들을 신뢰하여 적용하지 않기 때문에, 사춘기 이전에 나타나는 집행 기능은 한계가 있다.[159]

5. 4. 청소년기

억제 조절 등 많은 집행 기능들이 아동기와 사춘기 이전 아동기에 발달하기 시작한다.[169][170] 그러나 청소년기에 이르면 다른 두뇌 계통들이 통합되기 시작한다. 이때에는 억제 조절과 같은 집행 기능들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향상시킨다.[169][170][38][39] 억제 조절이 아동기에 발달하고 이후에도 향상되듯이, 기획과 목표지향 행동 역시 청소년기동안 진행 중인 성장과 함께 시간 경과가 지체되는 것을 보여준다.[162][142][31][3] 마찬가지로, 주의 조절과 같은 기능들은 15세에 이르러 폭발적으로 발달하며,[142][3] 작업 기억과 더불어,[169][38] 이 단계에서 계속 발달한다.

5. 5. 성인기

성인기에는 전전두피질 내 뉴런의 수초 형성(myelination)이 계속된다.[142] 20–29세에 이르면, 집행 기능 기술들은 정점에 이르게 되어 가장 도전적인 정신적 과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후에는 이러한 기술들이 쇠퇴하기 시작한다. 작업 기억과 공간폭(spatial span)이 가장 두드러지게 쇠퇴한다. 그러나 인지적 유연성의 저하는 가장 늦게 발생하여, 정상적인 경우 70세 정도에 이르러도 쇠퇴하지 않는다.[142] 노년에 이르면 집행 기능들이 저하되면서 노년기 기능 쇠퇴를 보여주는 가장 좋은 예측 변수가 된다.[40]

6. 모델

6. 1. 탑다운 억제 조절 모델

많은 전문가들은 반응 조절,[171] 기억 영역,[172] 선택적 주의,[173] 마음이론,[174][175] 감정 조절[176]은 물론 공감 등 사회적 감정[177]에서 억제 기제(inhibitory mechanisms)의 역할에 긍정한다. 최근 한 리뷰에서는 억제 기능이 활발한 것은 심리 조절과 인지 조절에 있어 효과가 있다고 밝혔다.[178]

6. 2. 작업 기억 모델 (배들레이)

영향력 있는 모델 중 하나는 배들레이(Baddeley)의 작업 기억의 다중 요소 모델(multicomponent model)로서, 세 개의 하위계통(subsystem)을 조절하는 하나의 중추 집행 계통(central executive system)으로 이뤄졌다. 첫째, 구어 정보(verbal information)를 유지하는 음운 고리(phonological loop)이다. 둘째, 시각 정보(visual information)와 공간 정보(spatial information)를 유지하는 시공간 메모장(visuospatial sketchpad)이다. 셋째, 단기 기억장기 기억을 통합하여, 시각적 공간적 연쇄 삽화(sequenced episode)에서의 다양한 영역으로부터 발생한 제한된 정보를 파악하고 조종하는, 최신 개발된 임시 완충기(episodic buffer)이다.[158][179]

연구자들은 아동의 기억이나 억제에 있어서 '생체자기제어 강화 완화(biofeedback-enhanced relaxation)'를 수행하는 것이 상당히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180] 생체자기제어(biofeedback) 혹은 바이오피드백이란, 집행 기능 기술을 향상시키고 조절하기 위하여 자신의 신체를 통제하고 조절하는 것을 배울 수 있는 심신도구(mind-body tool)이다. 과정(process)을 측정하기 위하여, 연구자들은 심박수(heart rate)나 호흡률(respiratory rate)을 사용한다.[181] 생체자기제어 완화(biofeedback-relaxation)에는 음악치료, 미술, 기타 마음챙김(mindfulness) 활동이 있다.[181]

집행 기능 기술은 아동의 학업에서 성과를 거두거나 사회적 감정적 발달을 이루기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The Efficacy of Different Interventions to Foster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Skills: A Series of Meta-Analyses”라는 연구에 의하면, 집행 기능 기술을 훈련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연구자들은 발견하였다.[180] 한 메타분석 연구(meta-analytic study)에서, 연구자들은 아동의 집행 기능 기술 발달을 촉진하는 여러 개입(intervention) 방식들의 중요한 효율성을 찾기 위하여, 이전 연구들의 효과를 조합하는 것에 주목하였다. 개입 방식들로는 컴퓨터화 훈련(computerized training) 및 비컴퓨터화 훈련(non-computerized training), 신체 운동, 미술, 마음챙김 훈련 등이 있다.[180] 그러나 연구자들은 미술활동이나 신체활동이 집행 기능 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에 대하여서는 결론을 내리지 못하였다.[180]

6. 3. 주의 감독 체계 (SAS)

주의 감독 체계(supervisory attentional system, SAS)는 집행 기능의 개념 모델 중 하나이다.[182][183][53][54] 이 모델에서 경쟁 스케줄링(contention scheduling)은 잘 설계된 도식(schema)들이 일상의 반복적인 상황에 자동적으로 반응하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집행 기능은 새로운 상황에 직면했을 때 사용되는 과정을 말한다. 새로운 상황에서 주의 조절은 새로운 도식들을 발동하고, 이러한 도식들을 시행하며, 도식들의 정확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6. 4. 자기 조절 모델 (바클레이)

러셀 바클레이(Russell Barkley)는 자기 조절(self-regulation)에 기반한 집행 기능 모델을 제안하였다. 이 모델은 행동 억제(behavioral inhibition) 연구에서 유래되었으며, 집행 기능이 네 가지 주요 능력으로 구성된다고 본다.[184]

첫째, 작업 기억은 간섭 정보(interfering information)에 저항하게 한다.[184] 둘째, 목표지향 행동 달성을 위해 감정 반응을 관리한다.[184] 셋째, 자기지향 발언을 내면화하여 규칙 지배 행동(rule-governed behavior)을 통제하고 지속시킨다.[184] 넷째, 정보를 분석하고 통합하여 목적 달성을 위한 새로운 행동 반응(behavioral response)을 생성한다.[184] 이러한 자기 조절 등의 집행 기능들을 혼합하고, 이전의 지식 및 경험에 접근하여 새로운 목적(goal) 달성을 위하여 개인의 행동 반응을 바꾸거나 목표(objective)를 수정하는 것은 고도의 기술이다.[184]

바클레이의 모델에 따르면, 인간 두뇌의 집행 계통은 목적과 미래를 지향하는 행동의 교차시간적 조직(cross-temporal organization of behavior)을 가능하게 하고, 매일의 목표지향 과업을 위한 행동과 전략들을 조직화한다.[185] 핵심적으로, 집행 계통은 구체적인 목표나 보다 일반적인 미래를 지향하는 행동이나 문제해결 방식을 유지하기 위하여 자신의 행동을 절제(self-regulate)하게 한다.[185] 따라서 집행 기능이 결여되면, 목적 달성이나 미래 예측 및 대비에 필요한 장기간의 절제 능력에 심각한 문제를 가져다 준다.[185]

아동에게 자기 조절 전략을 가르치는 것은 억제 조절과 인지적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다.[186] 이러한 개입 방식에는 집행 기능 관련 기술과 행동 계획 방식을 교육하는 것이 포함된다.[186] 집행 기능 기술은 두뇌가 기획하고 상황에 반응하는 방식을 말하며,[186][187] 새로운 자기 조절 전략을 반복하여 연습함으로써 향상시킬 수 있다.[186] 마음챙김은 아동의 자기절제에 효과적인 개입방식으로, 생체자기조절 향상 완화도 포함된다.[186]

6. 5. 문제 해결 모델

집행 기능의 또 다른 모델은 문제 해결 체계이다. 여기에서 집행 기능들은 문제 묘사, 문제 해결 전략의 선택 및 배치, 단기 기억 상에서의 전략 유지 및 규칙에 의한 수행, 오류 탐지 및 오류 수정을 통한 결과 평가라는 네 단계에서 각각 기능하는 하위기능들로 구성된 하나의 거대구조로 간주된다.[188][58]

6. 6. 레작의 개념 모델

가장 유명한 집행 기능 개념 모델 중 하나는 레작(Muriel Deutsch Lezak)의 모델이다.[189][59] 이 체계는 자유의지(volition), 기획(planning), 목적 지향 행동(purposive action), 효과적 수행(effective performance)이라는 네 영역을 전체적인 집행 기능 욕구를 달성하기 위하여 동시에 기능하는 것이라고 전제한다. 이 모델은 임상가들과 연구자들 사이에서 특정 집행 기능 요소들을 규명하고 평가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정평이 나있지만, 뚜렷한 이론적 기반이 없고 타당화(validation) 시도도 비교적 적은 것이 흠이다.[190][60]

6. 7. 밀러와 코헨의 모델

2001년, 얼 밀러(Earl Miller)와 조나단 코헨(Jonathan Cohen)은 "전전두피질 기능의 통합 이론(An integrative theory of prefrontal cortex function)"이라는 논문을 발표하였다. 이들은 인지 조절이 전전두피질의 주요 기능이며, 외부 환경의 과업 관련 요소 혹은 목적 관련 요소들이 간여하는 감각 뉴런 혹은 운동 뉴런의 이득(gain, 전기 신호의 증폭 비율) 증가를 통해 인지 조절을 수행한다고 주장하였다.[191][61]

밀러와 코헨은 전전두피질이 목적과 목적 달성 수단을 나타내는 활동 패턴을 능동적으로 유지하는 기능을 담당하며, 뇌의 대부분 영역에 편향 신호(bias signal)를 제공하여 시각, 감각, 반응 실행, 기억 검색, 감정 평가 등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편향 신호는 과업 수행에 필요한 입력, 내적 상태, 출력 간의 적절한 계획(mapping)을 수립하는 경로를 따라 뉴런 활동의 흐름을 유도한다.[191][61]

이들은 시각 주의(visual attention) 이론을 바탕으로, 다양한 표상들 사이에 경쟁이 발생하고 선택적 시각 주의(selective visual attention)가 특정 표상을 위한 경쟁을 편향시키는 기능을 한다고 설명하였다.[192][62] 예를 들어, 붉은 코트를 입은 친구를 기다리는 사람은 붉은 물체를 찾기 위해 선택적으로 주의를 집중하고, 뇌는 빨간색에 반응하는 뉴런의 이득을 증가시켜 행동을 유도한다.

밀러와 코헨은 이러한 선택적 주의 기제가 인지 조절의 한 사례일 뿐이며, 전전두피질은 입력(감각) 뉴런, 출력(반응) 뉴런, 기억 및 감정에 관여하는 집합체 등을 통제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인지 조절은 전전두피질과 감각 피질, 운동 피질, 변연계와의 상호 연결성을 통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들은 '인지 조절'이 선택적 주의, 오류 검사, 의사 결정, 기억 억제, 반응 억제 등 다양한 심리적 구성개념의 중요한 요소라고 본다.[191][61]

6. 8. 미야케와 프리드먼의 모델

미야케(Akira Miyake)와 프리드먼(Naomi P. Friedman)의 모델에서는 집행 기능에 갱신(updating), 억제(inhibition), 전이(shifting) 세 측면이 있다고 본다.[193] 이들 이론 체계의 기반은 집행 기능의 개인차가 통일성(unity) (즉 일반 집행 기능 기술들)과 각 요소 별 다양성(diversity) (예 : 변화특정) 모두를 반영한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다. 즉 갱신, 억제, 변화 측면들은 연관되어 있지만, 각각은 별개의 독립체로 남아 있다. 갱신은 개인의 작업 기억 내에서 내용을 계속 감시하고 신속하게 추가 혹은 삭제하는 것이며, 억제란 주어진 상황에서 우세한 반응을 파기하는 능력이다. 전이란 각각의 다른 과업이나 정신 상태 사이에서 전환(switch)할 수 있는 인지적 유연성을 말한다.[63]

또한 이들은 집행 기능에 관한 최근 연구는 이러한 기술들에 관한 4개의 일반적인 결론을 제시하였다고 주장한다. 첫째, 집행 기능의 통일성(unity)과 다양성(diversity) 측면이다.[194][195][64][65] 둘째, 최근 연구에서는 쌍둥이 연구를 통해, 집행 기능 기술 대부분은 유전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196][66] 셋째, 명확한 집행 기능 측정을 통해, ADHD와 같은 임상적 행동(clinical behavior) 혹은 조절 행동(regulatory behavior)과 정상 행동을 구분할 수 있다는 것이다.[197][198][199][67][68][69] 넷째, 장기 연구를 통해 집행 기능은 발달과정에서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라는 것이다.[200][201][70][71]

6. 9. 배니쉬의 통제 단계 모델

배니쉬(Marie T. Banich)의 통제 단계(cascade of control) 모델은 2009년부터 다른 모델들을 통합하여, 목적 달성을 위한 주의 세트(attentional set)를 유지하는데 간여하는 두뇌 영역들의 연쇄 단계(sequential cascade)에 대하여 다룬다. 이 모델은 배외측전전두피질 후부와 중부, 배측전대상피질(dorsal anterior cingulate cortex, dACC) 후부와 전부가 간여한다고 가정한다.[202]

배니쉬는 스트루프 과제(Stroop task) 반응을 인지 과업으로 선택하였다. 스트루프 과제는 글자와 그 글자에 칠해진 색깔이 일치하지 않을 때, 글자의 뜻이 아닌 글자색을 맞추는 테스트이다. 예를 들어 '초록'이라는 글자가 빨간색으로 칠해져 있다면, '초록'이 아닌 '빨간'이라고 답해야 한다.[202]

배니쉬 모델의 각 단계는 다음과 같다.

  • 1단계: 배외측전전두피질 후부(posterior 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는 목적 달성을 위해 적절한 주의 세트나 두뇌 규칙을 만든다. 스트루프 과제에서 이 영역은 색깔 감지에 관여하는 두뇌 영역을 활성화하고, 단어 뜻에는 관여하지 않는다. 또한 단어의 의미가 색깔보다 더 두드러진다는 사실과 같은 편향이나 무관한 정보는 상쇄시킨다.[202]

  • 2단계: 배외측전전두피질 중부(mid-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는 목적을 수행하는 표상(representation)을 선택한다. 즉, 과제 관련 정보를 다른 정보원으로부터 분리한다. 스트루프 과제에서는 단어뜻이 아닌 색깔에 주목하는 것이다.[202]

  • 3단계: 배측전대상피질 후부(posterior dorsal anterior cingulate cortex)는 반응 선택(response selection)을 담당한다. 스트루프 과제에서 글자뜻인 '초록색'을 말할지, 글자색인 '빨간색'을 말할지를 결정하는 곳이다.[202]

  • 4단계: 배측전대상피질 전부(anterior dorsal anterior cingulate cortex)는 반응 평가(response evaluation)에 간여하여, 반응의 정오를 판단한다. 이 영역의 활동은 오류 가능성이 높을 때 증가한다.[202]


위의 뇌영역 활동 정도는 이전 단계에 간여하는 영역의 효율(efficiency)에 따라 좌우된다. 예를 들어 배외측전전두피질이 반응에 많은 통제를 가하면, 전대상피질 활동 정도는 떨어진다.[142]

인지 유형(cognitive style)의 개인차를 이용한 최근 연구는 배니쉬 모델을 뒷받침한다. 한 연구에서, 공간 정보나 글자 의미 정보에 편향을 보이는 참가자들에게 청각적 스트루프 과제를 실시했다. 그 결과 공간 정보 편향성이 강한 참가자들은 글자 의미 정보에 집중하기 어려워했고, 전대상피질의 전기생물학적 활동(electrophysiological activity)이 증가했다. 구어 정보(verbal information)에 편향성을 강하게 보인 참여자들 역시 공간 정보에 집중할 때 비슷한 활동 패턴을 보였다.[203]

7. 평가

집행 기능 평가는 여러 정보원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시간과 환경을 가로지르는 경향이나 패턴을 찾기 위해 정보를 종합하는 것이다. 표준화된 신경심리검사 외에도, 행동 체크리스트, 관찰, 인터뷰, 연구 샘플 등 기타 측정도구도 사용해야 한다. 이들로부터 집행 기능 활용에 관한 결론이 도출된다.[204]

발달 과정을 거쳐 나타나는 집행 기능들을 측정하는 도구들은 수행 기반 혹은 자기보고 등 여러 종류가 있으며, 많은 임상 인구들을 위한 진단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 행동적 집행 기능 장애 증후군 평가(BADS)[75]
  • 행동 집행 기능 평가 척도(BRIEF)[76]
  • 러셀 바클리 집행 기능 결손 척도(BDEFS)[77]
  • 행동 조절 장애 척도(BDS)[78]
  • 포괄적 집행 기능 목록(CEFI)[79]
  • CogScreen[80]
  • 지속적 수행 과제(CPT)[81]
  • 조절 구두 단어 연상 검사(COWAT)[82]
  • d2 주의력 검사[83]
  • 델리스-캡런 집행 기능 시스템(D-KEFS)[84]
  • 숫자 기억 검사[85]
  • 러프 도형 유창성 검사[86]
  • 홀스테드 범주 검사[87]
  • 헤일링과 브릭스턴 검사[209][210]
  • 아이오와 도박 과제[90]
  • 잔사리 집행 기능 평가(JEF)[91]
  • 캡런 베이 크레스트 신경인지 평가(KBNA)[92]
  • 코프먼 단축 신경심리 평가[93]
  • 속도 청각 연속 덧셈 검사(PASAT)[94]
  • 소아 주의력 결핍 장애 진단 선별 검사(PADDS)[95]
  • 레이-오스터리히 복잡한 도형 검사[96]
  • 스트룹 검사[97]
  • 주의 변수 검사(T.O.V.A.)[98]
  • 런던탑 검사[99]
  • 선 연결 검사(TMT) 또는 트레일 A & B[100]
  • 위스콘신 카드 분류 검사(WCST)[101]
  • 기호-숫자 양식 검사[102]

8. 실험적 증거

집행 기능은 정의하기 매우 어려운데, 심리학자 폴 W. 버지스(Paul W. Burgess)가 말한 "과정-행동 대응성(process-behaviour correspondence)"의 부재 때문이다.[212] 즉, 집행 기능 또는 집행 기능 장애 자체와 연결될 수 있는 단일 행동이 없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읽기 장애 환자들이 무엇을 할 수 없는지는 매우 명확하지만, 집행 기능 장애 환자들이 정확히 무엇을 할 수 없는지는 그렇게 명확하지 않다.

이는 주로 집행 기능 시스템 자체의 특성 때문이다. 이 시스템은 주로 인지 자원의 역동적이고 "실시간"적인 조정에 관여하며, 따라서 그 효과는 다른 인지 과정을 측정하여서만 관찰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실제 상황 외부에서는 항상 완전히 작용하지는 않는다. 신경학자 안토니오 다마시오(Antonio Damasio)가 보고한 바와 같이, 일상생활에서 심각한 집행 기능 문제를 가진 환자도 여전히 종이와 연필을 사용하거나 실험실 기반의 집행 기능 검사를 통과할 수 있다.[213]

집행 기능 시스템에 대한 이론은 주로 전전두엽 손상 환자에 대한 관찰을 통해 주도되었다. 이 환자들은 일상적인 과제에 대해 체계적이지 않은 행동과 전략을 보였지만(현재 집행 기능 장애 증후군(dysexecutive syndrome)으로 알려진 행동 그룹) 기억, 학습, 언어, 추론과 같은 보다 기본적인 인지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임상적 또는 실험실 기반 검사를 사용했을 때는 정상적으로 수행하는 것처럼 보였다. 이러한 특이한 행동을 설명하기 위해 다른 인지 자원을 조정하는 상위 시스템이 있어야 한다는 가설이 세워졌다.[214]

집행 기능에 관여하는 신경 구조에 대한 실험적 증거의 상당 부분은 스트룹 과제 또는 위스콘신 카드 분류 과제(Wisconsin Card Sorting Task)(WCST)와 같은 실험실 과제에서 나온다. 예를 들어, 스트룹 과제에서 피험자들은 잉크 색깔과 단어 의미가 종종 충돌하는 경우(예: 녹색 잉크로 쓰인 "빨강"이라는 단어) 색깔 단어가 인쇄된 색깔을 지정하라는 요청을 받는다. 상대적으로 과도하게 학습되고 자동화된 행동(단어 읽기)을 억제하고 덜 연습된 과제인 잉크 색깔 지정을 우선시해야 하기 때문에 이 과제를 수행하려면 집행 기능이 필요하다. 최근 기능적 신경 영상 연구에 따르면, PFC의 두 부분인 전대상 피질(anterior cingulate cortex)(ACC)과 배측외측 전전두엽 피질(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DLPFC)이 이 과제를 수행하는 데 특히 중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8. 1. 전전두피질 뉴런의 맥락민감성

전전두피질 뉴런의 맥락민감성에 대한 증거는 마카크원숭이와 같은 영장류 대상 단세포 전기생리학 연구에서 확인할 수 있다.[215][216] 두뇌 후부 세포들과 달리, 전전두피질 뉴런들은 하나의 자극과 하나의 맥락의 결합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예를 들어, 초록색 단서에 눈과 머리를 왼쪽으로 빨리 움직여야 한다는 조건에서, 전전두피질 세포들은 초록색 단서에 반응하지만, 다른 실험 맥락에서는 초록색 단서에 반응하지 않는다.[106][107] 이는 집행 기능의 최적 배치가 언제나 맥락의존적이기 때문에 중요하다.

밀러와 코헨은 횡단보도 보행자를 예시로 들었다. 미국에서는 차가 우측 통행하기에, 보행자는 횡단보도를 건널 때 항상 좌측을 살펴본다. 그러나 미국인들이 차가 좌측통행하는 영국에서 길을 건널 경우, 우측을 살펴봐야 한다. 이 경우 미국인은 길을 건널 때 좌측을 살펴봐야 한다는 자동 반응을 억제해야 하고, 집행 기능은 영국에서는 우측을 살펴봐야 한다고 만들게 된다.

신경학적으로 이러한 행동 레퍼토리는 자극(길)을 맥락(미국 혹은 영국)과 결합하여 행동(좌측 살피기 혹은 우측 살피기)에 지시적 단서를 제공할 수 있는 신경 계통이 필요하다. 전전두피질 뉴런들이 이러한 것을 보여준다는 것이 최근 입증되었다. 또한 원숭이 대상 단세포 전기생리학 연구에서는 운동 반응의 통제에 있어서 복외측전전두피질(전전두볼록체 하부)이 이러한 기능에 간여한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8. 2. 감각영역 내 주의편향

인간 대상 전기생리학 및 기능적 신경영상 연구는 주의편향(attentional biasing)의 기반에 있는 뉴런 기제(neural mechanism)에 대해 설명해 왔다. 연구는 대개 시각피질(visual cortex) 혹은 청각피질(auditory cortex)에서의 편향에 관한 영역(site)에서의 활성화를 찾아왔다. 초기 연구에서는 사건 관련 전위(event-related potential)를 사용, 좌우 시각피질은 각각 반대쪽을 주시할 때 시각피질에 기록되는 전기적 두뇌 반응이 활성화된다는 것이 밝혀졌다.[217][108]

FMRI(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나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등 혈류를 기반으로 하는 신경영상 기법이 발생하면서, 시각피질의 색깔 반응 영역, 동작 반응 영역, 안면 반응 영역 등 감각영역에서의 뉴런 활동성은 대상자가 자극의 측면을 주시하도록 지시받을 때 고양되는데, 이는 감각신피질(sensory neocortex)의 이득(gain)을 시사한다. 예를 들어, 한 연구에서 류(Liu) 등은[218][109] 좌우로 움직이는 붉은 혹은 초록색 점들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참가자들에게 보여준다. 자극에 앞서, 대상자가 점의 색 혹은 방향에 반응하라고 지시하였다. 모든 자극 배열에서 색과 동작이 주어졌지만, 색에 집중하라는 지시에는 색깔 민감 영역(V4)에서의 FMRI 활동성이 높아지고, 방향에 집중하라는 지시에는 동작 민감 영역(V5)이 증가되었다. 일부 연구를 통해, 관찰을 통해 전두피질(frontal cortex)은 예상 자극 시작 전에 활성화되는 것을 발견, 자극 전 편향신호(biasing signal)에 대하여 입증하였다.[219][110]

8. 3. 전전두피질과 감각영역의 연결성

집행 기능의 편향 모델에 대한 연구는 늘어가는 반면, 전전두피질과 감각영역의 연결성에 관한 직접적 증거는 희박하다.[220][111] 유일한 직접 증거는 전두피질 영역 손상 연구에서 왔으며, 상응하는 효과는 병변 영역과는 거리가 먼 감각뉴런 반응에서 관찰된다.[221][222][112][113] 그러나 집행 기능이 필요한 상황에만 이 효과가 특정하는 것인지에 관한 연구는 드물다.

FMRI 반응에서의 연관성 등, 거리가 먼 뇌영역 간 연결성 측정 방식은, 전전두피질과 감각영역이 작업 기억 등 여러 처리 과정동안 소통한다는 간접 증거를 도출하였다.[223][114] 그러나 집행 기능 시행 동안 전전두피질과 그 이외 영역 간에 정보가 흐르는 방식을 규명하는 것에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관한 초기 연구로서, 시공간 추론(visuospatial reasoning)에서의 정보 처리 흐름에 관한 한 fMRI 연구는 후두피질(occipital cortex) 및 두정피질(parietal cortex)의 감각 관련 활성화와 전전두피질 후부(posterior PFC) 및 전부(anterior PFC) 활성화 간의 원인적 연관성을 입증하였다. 연관성은 활성화의 시간 순서로부터 추론되었다.[224][115] 이런 접근법은 전전두피질과 이외 영역에서의 집행 기능 간의 처리 분배(distribution of processing)에 관하여 설명할 수 있다.

8. 4. 이중언어와 집행 기능

이중언어 사용이 억제 조절이나 과업 전환(task switching) 등의 집행 기능에 이익을 가져다 준다는 연구 결과가 늘고 있다.[225][226][227] 두 언어를 구사하는 것은 주의력을 조절하고 올바른 언어를 선택하여 말하는 것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발달 과정을 거쳐 이중언어를 사용하는 영아,[228] 아동,[226] 노인은[229] 집행 기능에 있어 이점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장년층에게는 이러한 이점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225]

구어 언어 하나와 수어 하나를 구사하는 이중장식 이중언어 구사자(Bimodal bilinguals)는 이러한 이점이 없다.[230] 이는 수어나 구어 중 한 언어를 구사하기 위하여 다른 한 언어를 적극적으로 억제할 필요는 없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중언어 구사자들은 갈등 처리(conflict processing) 대처에도 이점이 있는데, 이는 특정 반응에 대한 여러 표상(representation)이 존재할 때 발생한다. 예를 들어, 한 언어 내 한 단어와 다른 언어로 번역된 단어를 모두 알고 있는 경우가 해당된다.[231] 특히, 측면전전두피질(lateral prefrontal cortex)은 갈등 처리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있으나, 의심의 여지도 남아있다. 한 메타 분석 리뷰에서는 이중언어 사용이 성인의 집행 기능을 향상시키지는 않는다고 결론내렸다.[232]

9. 관련 질병 및 장애

파킨슨병 환자의 집행 기능 관련 연구에서는 편도체, 해마, 기저핵 등의 하부피질영역이 이러한 처리 과정에서 중요하다고 말한다. 전전두피질의 도파민 조절은 도파민약제의 효능을 담당하고, 여키스-도슨 커브를 발생시킨다.[233] 이 커브는 거꾸로 된 U자형으로, 과도한 각성 혹은 스트레스로 인한 카테콜아민 방출 증가로 인하여 집행 기능이 줄어들며, 각성이 부족하여도 집행 기능이 감소된다는 것을 보여준다.[234] COMT(카테콜-O-메틸트랜스퍼라제)의 활동다형성 저하는 건강한 사람의 집행 기능 과업 수행 실적에서 약간의 증가를 보이는 것과 관련있다.[235] 불안 장애, 주요 우울 장애, 양극성 장애,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조현병, 자폐증 등 다양한 정신질환으로 인하여 집행 기능이 저해되기도 한다.[236] 피니어스 게이지 사례에서처럼 전전두피질 손상은 집행 기능의 결함을 가져오기도 한다. 전전두피질 손상은 동기부여, 사회적 기능 등 다른 기능 영역에서도 결함을 보인다.[237]

10. 향후

전전두피질에서의 집행 기능 과정에 관한 중요한 입증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널리 인용되는 한 리뷰는[238][129] 집행 기능에 간여하는 전전두피질의 중간 부분의 역할을 강조한다. 예를 들어, 이곳에서는 오류를 탐지하고, 자극 대립(stimulus conflict)이 발생하는 상황을 규명하며, 불확실한 상황이나 원하는 수행 결과를 얻을 가능성이 떨어질 것이라 예측되는 상황에서 결정을 내리기도 한다. 이 리뷰는 다른 많은 리뷰들처럼[239][130] 전전두피질 중부(medial PFC)와 전전두피질 측부(lateral PFC)를 강조하고, 이를 통해 중전두피질 후부(posterior medial frontal cortex)가 집행 기능 증가가 필요하다는 신호를 보내고, 배외측전전두피질(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 영역에 이 신호를 보내어서 통제(control)를 수행하게 한다고 본다. 그러나 이 리뷰가 맞는지에 개한 강력한 증거는 없으며, 한 논문은 전전두피질 측부 손상 환자들은 ERN(배내측 영역 감시/오류피드백 신호로 추정됨)의 신호가 감소한다고 보고하였다.[240][131] 이는 통제의 흐름 장향은 역방향일 수 있다는 걸 보여준다. 다른 이론은[241][132] 전두피질(frontal cortex)의 수직축을 따라 형성되는 상호작용을 강조하며, 전전두피질 전부(anterior PFC), 배외측전전두피질(dorsolateral PFC), 전운동피질 간의 상호작용 단계는 과거 맥락, 현재 맥락, 최근 감각운동연합(sensorimotor association) 각각에 따라 행동을 유도한다고 주장한다.

신경영상(neuroimaging) 기법이 발달하면서, 집행 기능의 유전적 원인을 발견하기 위한 잠재적 내표현형(endophenotype)으로서 영상 기법을 사용하려는 목적 하에, 집행 기능과의 유전적 연관성 연구가 가능해졌다.[242][133]

집행 기능을 향상시키고 일상 활동과 환경에 이러한 기술들을 일반화하게 하는 개입(intervention)을 발달시키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243][134]

참조

[1] 서적 Molecular Neuropharmacology: A Foundation for Clinical Neuroscience McGraw-Hill Medical
[2] 학술지 Assessment of executive functions: review of instruments and identification of critical issues 2008-03-00
[3] 학술지 The Nature and Organization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Executive Functions: Four General Conclusions 2012-01-31
[4] 학술지 The Stroop effect at 80: The competition between stimulus control and cognitive control
[5] 학술지 Executive functions https://www.ncbi.nlm[...]
[6] 서적 Molecular Neuropharmacology: A Foundation for Clinical Neuroscience McGraw-Hill Medical
[7] 서적 Molecular Neuropharmacology: A Foundation for Clinical Neuroscience McGraw-Hill Medical
[8] 학술지 Cognitive control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2007-11-13
[9] 학술지 Executive functions and the frontal lobes: A conceptual view
[10] 학술지 Fifty Years of Prefrontal Cortex Research: Impact on Assessment https://www.research[...]
[11] 학술지 Executive function and the frontal lobes: A meta-analytic review
[12] 서적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Oxford University Press
[13] 학술지 Lateral prefrontal theta oscillations causally drive a computational mechanism underlying conflict expectation and adaptation
[14] 학술지 Differential effects of insular and ventromedial prefrontal cortex lesions on risky decision making
[15] 학술지 The anterior cingulate cortex: the evolution of an interface between emotion and cognition
[16] 학술지 The orbitofrontal cortex and beyond: From affect to decision-making
[17] 학술지 From movement to thought: executive function, embodied cognition, and the cerebellum
[18] 학술지 The role of the cerebellum in cognition: beyond coordination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19] 학술지 Functional neuroanatomical review of the ventral tegmental area https://www.scienced[...] 2019-05-01
[20] 학술지 [18F]MK-9470, a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tracer for in vivo human PET brain imaging of the cannabinoid-1 receptor 2007-06-05
[21] 서적 Cognitive neuroscience: a reader Blackwell 1980
[22] 서적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 Clinical Workbook Guilford Press 2006
[23] 서적 The DYSfunctionality of Executive Function Surviving Education Guides
[24] 학술지 Controlled and automatic human information processing: II: Perceptual learning, automatic attending, and a general theory 1977-03-00
[25] 서적 Information processing and cognition: the Loyola symposium L. Erlbaum Associates
[26] 학술지 The attention system of the human brain
[27] 서적 From neuropsychology to mental structure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서적 Executive functions and the frontal lobes: a lifespan perspective Taylor & Francis
[29] 학술지 Assessment and development of executive functioning (EF) in childhood
[30] 학술지 Using path analysis to understand executive function organization in preschool children https://digitalcommo[...]
[31] 학술지 Executive functions after age 5: Changes and correlates
[32] 학술지 Using developmental, cognitive, and neuroscience approaches to understand executive functions in preschool children https://digitalcommo[...]
[33] 학술지 Executive functions in children aged 6 to 13: A dimensional and developmental study;
[34] 학술지 Development of executive functions through late childhood and adolescence in an Australian sample
[35] 학술지 Examining the development of attention and executive functions in children with a novel paradigm
[36] 논문 Normative data from the CANTAB I: Development of executive function over the lifespan
[37] 논문 Assessment of neuropsychological function through use of the Cambridge Neuropsychological Testing Automated Battery: Performance in 4- to 12-year-old children
[38] 논문 Maturation of cognitive processes from late childhood to adulthood
[39] 논문 Development of the inhibitory component of the executive function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40] 논문 Predicting Functional Dependence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Differential Contributions of Memory and Executive Functions https://doi.org/10.1[...] 2019
[41] 논문 Cortical and subcortical contributions to Stop signal response inhibition: role of the subthalamic nucleus 2006-03-01
[42] 논문 Suppressing unwanted memories by executive control 2001-03-01
[43] 논문 Does negative priming reflect inhibitory mechanisms? A review and integration of conflicting views 2001-05-01
[44] 논문 What's domain-specific about theory of mind?
[45] 논문 The role of the right temporoparietal junction in social interaction: how low-level computational processes contribute to meta-cognition 2007-12-01
[46] 논문 The cognitive control of emotion 2005-05-01
[47] 논문 The power of simulation: imagining one's own and other's behavior 2006-03-01
[48] 논문 The neural basis of inhibition in cognitive control 2007-06-01
[49] 서적 Working memory Clarendon Press
[50] 서적 Principles of frontal lobe function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51] 논문 The Efficacy of Different Interventions to Foster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Skills: A Series of Meta-Analyses 2019
[52] 논문 Unwind: A Musical Biofeedback for Relaxation assistance. 2018
[53] 서적 Consciousness and self-regulation: advances in research https://archive.org/[...] Plenum Press 1986
[54] 논문 The domain of supervisory processes and temporal organisation of behaviour
[55] 논문 Behavioral inhibition, sustained attention, and executive functions: Constructing a unifying theory of ADHD
[56] 서적 Executive Functions - What They Are, How They Work, and Why They Evolved https://books.google[...] Guilford Press
[57] 논문 Executive Functions 2013
[58] 논문 Early development of executive function: A problem-solving framework
[59] 서적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60] 서적 Executive functions and the frontal lobes: A lifespan perspective https://archive.org/[...] Taylor & Francis
[61] 논문 An integrative theory of prefrontal cortex function
[62] 논문 Neural mechanisms of selective visual attention
[63] 논문 The unity and diversity of executive functions and their contributions to complex 'frontal lobe' tasks: A latent variable analysis
[64] 논문 Executive function in daily life: Age-related influences of executive processes o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https://cdr.lib.unc.[...]
[65] 논문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o understand executive control in preschool children: I. Latent structure https://digitalcommo[...]
[66] 논문 Individual differences in executive functions are almost entirely genetic in origin
[67] 논문 Greater attention problems during childhood predict poorer executive functioning in late adolescence
[68] 논문 Developmental trajectories in toddlers' self restraint predict individual differences in executive functions 14 years later: A behavioral genetic analysis
[69] 논문 Behavioral disinhibition: Liability for externalizing spectrum disorders and its genetic and environmental relation to response inhibition across adolescence
[70] 논문 'Willpower' over the lifespan: Decomposing self-regulation
[71] 논문 A gradient of childhood self-control predicts health, wealth, and public safety
[72] 논문 Executive function: The search for an integrated account http://psych.colorad[...]
[73] 논문 An electrophysiological correlate of conflict processing in an auditory spatial Stroop task: The effect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navigational style
[74] 논문 Questionnaire-based assessment of executive functioning: Psychometrics
[75] 논문 Assessment of executive functions in school-aged children: A narrative review
[76] 논문 Assessment of executive functions in school-aged children: A narrative review
[77] 웹사이트 Barkley Deficits in Executive Functioning Scale http://www.guilford.[...]
[78] 논문 Reliabilities, norms, and factor structure of the Behavioral Dyscontrol Scale
[79] 서적 Handbook of Executive Functioning Springer
[80] 논문 The Application of a Computerized Cognitive Screening Tool in Naval Aviators https://academic.oup[...]
[81] 논문 Advances and Challenges in the Assessment of Executive Functions in Under 36 Months: a Scoping Review
[82] 논문 FAS and CFL Forms of Verbal Fluency Differ in Difficulty: A Meta-analytic Study
[83] 논문 Convergent validity, academic correlates and age- and SES-based normative data for the d2 Test of attention in children. https://pubmed.ncbi.[...]
[84] 논문 Assessing Executive Function in Adolescence: A Scoping Review of Existing Measures and Their Psychometric Robustness
[85] 논문 Assessing Executive Function in Adolescence: A Scoping Review of Existing Measures and Their Psychometric Robustness
[86] 논문 Longitudinal Study of Performance on the Ruff Figural Fluency Test in Persons Aged 35 Years or Older
[87] 논문 Significance of the Diagnosis of Executive Functions in Patients with Relapsing-Remitting Multiple Sclerosis
[88] 서적 The Hayling and Brixton Tests. Test manual. Thames Valley Test Company
[89] 논문 Assessing inhibitory control in early-stage Alzheimer's and Parkinson's disease using the Hayling Sentence Completion Test
[90] 논문 Decision-making and cognitive abilities: A review of associations between Iowa Gambling Task performance, executive functions, and intelligence https://www.scienced[...]
[91] 논문 Ecological Assessment of Executive Functions: A New Virtual Reality Paradigm
[92] 논문 The Toronto Cognitive Assessment (TorCA): normative data and validation to detect amnestic mild cognitive impairment
[93] 논문 Cognitive deficits including executive functioning in relation to clinical parameters in paediatric MS patients
[94] 논문 The paced auditory serial addition test for working memory assessment: Psychometric properties
[95] 논문 Diagnostic Utility of the Pediatric Attention Disorders Diagnostic Screener https://journals.sag[...]
[96] 논문 Assessing Executive Function in Adolescence: A Scoping Review of Existing Measures and Their Psychometric Robustness
[97] 논문 The most frequently used tests for assessing executive functions in aging.
[98] 논문 Applicability of the Test of Variables of Attention – T.O.V.A in Brazilian adults
[99] 논문 Assessing Executive Function in Adolescence: A Scoping Review of Existing Measures and Their Psychometric Robustness
[100] 논문 The most frequently used tests for assessing executive functions in aging.
[101] 논문 The most frequently used tests for assessing executive functions in aging.
[102] 논문 Validity of the Symbol Digit Modalities Test as a cognition performance outcome measure for multiple sclerosis
[103] 서적 Methodology of frontal and executive function Psychology Press
[104] 논문 Preserved access and processing of social knowledge in a patient with acquired sociopathy due to ventromedial frontal damage
[105] 논문 The role of the prefrontal cortex in dynamic filtering
[106] 저널 A code for behavioral inhibition on the basis of color, but not motion, in ventrolateral prefrontal cortex of macaque monkey 2001-07-01
[107] 저널 Prefrontal neurons coding suppression of specific saccades 2004-08-01
[108] 저널 Event-related brain potentials in the study of visual selective attention 1998-02-01
[109] 저널 Cortical mechanisms of feature-based attentional control 2003-12-01
[110] 저널 Increased activity in human visual cortex during directed attention in the absence of visual stimulation 1999-04-01
[111] 저널 Searching for "the top" in top-down control 2005-11-01
[112] 저널 Prefrontal modulation of visual processing in humans 2000-04-01
[113] 저널 Functional interactions between inferotemporal and prefrontal cortex in a cognitive task 1985-03-01
[114] 저널 Functional connectivity during working memory maintenance 2004-12-01
[115] 저널 The network architecture of cortical processing in visuo-spatial reasoning 2012-05-01
[116] 저널 The Advantages of Bilingualism Debate 2019-01-01
[117] 저널 Bilingual experience and executive functioning in young children
[118] 서적 Bilingualism in development: Language, literacy, and cogn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9] 저널 Cognitive control factors in speech at 11 months
[120] 저널 Bilingualism, aging, and cognitive control: Evidence from the Simon task
[121] 저널 The source of enhanced cognitive control in bilinguals http://nrs.harvard.e[...]
[122] 저널 Bilingualism aids conflict resolution: Evidence from the ANT task
[123] 저널 Is bilingualism associated with enhanced executive functioning in adults? A meta-analytic review http://eprints.white[...] 2018-04-01
[124] 저널 The Neural Circuitry of Executive Functions in Healthy Subjects and Parkinson's Disease 2017-02-16
[125] 저널 The Neuropsychopharmacology of Fronto-Executive Function: Monoaminergic Modulation 2009-01-01
[126] 저널 Effects of the catechol-O-methyltransferase Val158Met polymorphism on executive function: a meta-analysis of the Wisconsin Card Sort Test in schizophrenia and healthy controls 2007-02-27
[127] 저널 A Review of Executive Function Deficits and Pharmacological Management in Children and Adolescents 2017-02-16
[128] 저널 Insights into Human Behavior from Lesions to the Prefrontal Cortex
[129] 저널 The role of the medial frontal cortex in cognitive control https://research.vu.[...] 2004-10-01
[130] 저널 Conflict monitoring and cognitive control http://content.apa.o[...] 2001-07-01
[131] 저널 Prefrontal-cingulate interactions in action monitoring 2000-05-01
[132] 저널 The architecture of cognitive control in the human prefrontal cortex 2003-11-01
[133] 저널 Imaging the genetics of executive function https://lirias.kuleu[...]
[134] 저널 Conclusions about interventions, programs, and approaches for improving executive functions that appear justified and those that, despite much hype, do not 2016-04-01
[135] 서적 Molecular Neuropharmacology: A Foundation for Clinical Neuroscience McGraw-Hill Medical
[136] 저널 Assessment of executive functions: review of instruments and identification of critical issues 2008-03-01
[137] 저널 The Stroop effect at 80: The competition between stimulus control and cognitive control
[138] 저널 Executive functions https://www.ncbi.nlm[...]
[139] 저널 Executive function and the frontal lobes: A meta-analytic review
[140] 서적 Molecular Neuropharmacology: A Foundation for Clinical Neuroscience McGraw-Hill Medical
[141] 서적 Molecular Neuropharmacology: A Foundation for Clinical Neuroscience McGraw-Hill Medical
[142] 저널 Cognitive control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2007-11-13
[143] 저널 Executive functions and the frontal lobes: A conceptual view
[144] 저널 Fifty Years of Prefrontal Cortex Research: Impact on Assessment
[145] 서적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46] 저널 Differential effects of insular and ventromedial prefrontal cortex lesions on risky decision making
[147] 저널 The anterior cingulate cortex: the evolution of an interface between emotion and cognition
[148] 저널 The orbitofrontal cortex and beyond: From affect to decision-making
[149] 저널 From movement to thought: executive function, embodied cognition, and the cerebellum
[150] 저널 The role of the cerebellum in cognition: beyond coordination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151] 서적 Cognitive neuroscience: a reader Blackwell 1980
[152] 서적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 Clinical Workbook Guilford Press 2006
[153] 서적 The DYSfunctionality of Executive Function Surviving Education Guides
[154] 저널 Controlled and automatic human information processing: II: Perceptual learning, automatic attending, and a general theory 2007-03-01
[155] 서적 Information processing and cognition: the Loyola symposium L. Erlbaum Associates
[156] 저널 The attention system of the human brain
[157] 서적 From neuropsychology to mental structure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8] 서적 Working memory Clarendon Press
[159] 서적 Executive functions and the frontal lobes: a lifespan perspective Taylor & Francis
[160] 저널 Assessment and development of executive functioning (EF) in childhood
[161] 저널 Using path analysis to understand executive function organization in preschool children https://digitalcommo[...]
[162] 저널 Executive functions after age 5: Changes and correlates
[163] 저널 Using developmental, cognitive, and neuroscience approaches to understand executive functions in preschool children https://digitalcommo[...]
[164] 저널 Executive functions in children aged 6 to 13: A dimensional and developmental study; https://archive.org/[...]
[165] 저널 Development of executive functions through late childhood and adolescence in an Australian sample https://archive.org/[...]
[166] 저널 Examining the development of attention and executive functions in children with a novel paradigm
[167] 저널 Normative data from the CANTAB I: Development of executive function over the lifespan
[168] 저널 Assessment of neuropsychological function through use of the Cambridge Neuropsychological Testing Automated Battery: Performance in 4- to 12-year-old children https://archive.org/[...]
[169] 저널 Maturation of cognitive processes from late childhood to adulthood
[170] 저널 Development of the inhibitory component of the executive function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171] 저널 Cortical and subcortical contributions to Stop signal response inhibition: role of the subthalamic nucleus https://archive.org/[...] 2006-03-01
[172] 저널 Suppressing unwanted memories by executive control 2001-03-01
[173] 저널 Does negative priming reflect inhibitory mechanisms? A review and integration of conflicting views 2001-05-01
[174] 저널 What's domain-specific about theory of mind?
[175] 저널 The role of the right temporoparietal junction in social interaction: how low-level computational processes contribute to meta-cognition 2007-12-01
[176] 저널 The cognitive control of emotion 2005-05-01
[177] 저널 The power of simulation: imagining one's own and other's behavior 2006-03-01
[178] 저널 The neural basis of inhibition in cognitive control 2007-06-01
[179] 서적 Principles of frontal lobe function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80] 저널 The Efficacy of Different Interventions to Foster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Skills: A Series of Meta-Analyses 2019-01-01
[181] 저널 Unwind: A Musical Biofeedback for Relaxation assistance. 2018-01-01
[182] 서적 Consciousness and self-regulation: advances in research https://archive.org/[...] Plenum Press 1986-01-01
[183] 저널 The domain of supervisory processes and temporal organisation of behaviour
[184] 저널 Behavioral inhibition, sustained attention, and executive functions: Constructing a unifying theory of ADHD
[185] 서적 Executive Functions - What They Are, How They Work, and Why They Evolved https://books.google[...] Guilford Press
[186] 저널 The Efficacy of Different Interventions to Foster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Skills: A Series of Meta-Analyses 2019-01-01
[187] 저널 Executive Functions 2013-01-01
[188] 저널 Early development of executive function: A problem-solving framework
[189] 서적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90] 서적 Executive functions and the frontal lobes: A lifespan perspective https://archive.org/[...] Taylor & Francis
[191] 저널 An integrative theory of prefrontal cortex function
[192] 저널 Neural mechanisms of selective visual attention
[193] 저널 The unity and diversity of executive functions and their contributions to complex 'frontal lobe' tasks: A latent variable analysis
[194] 저널 Executive function in daily life: Age-related influences of executive processes o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https://cdr.lib.unc.[...]
[195] 저널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o understand executive control in preschool children: I. Latent structure https://digitalcommo[...]
[196] 저널 Individual differences in executive functions are almost entirely genetic in origin
[197] 저널 Greater attention problems during childhood predict poorer executive functioning in late adolescence
[198] 저널 Developmental trajectories in toddlers' self restraint predict individual differences in executive functions 14 years later: A behavioral genetic analysis
[199] 저널 Behavioral disinhibition: Liability for externalizing spectrum disorders and its genetic and environmental relation to response inhibition across adolescence
[200] 저널 'Willpower' over the lifespan: Decomposing self-regulation
[201] 저널 A gradient of childhood self-control predicts health, wealth, and public safety
[202] 저널 Executive function: The search for an integrated account http://psych.colorad[...]
[203] 저널 An electrophysiological correlate of conflict processing in an auditory spatial Stroop task: The effect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navigational style 2013-01-01
[204] 저널 Questionnaire-based assessment of executive functioning: Psychometrics 2016-01-01
[205] 웹인용 BRIEF-P (BRIEF Preschool Version) http://www4.parinc.c[...] 2021-09-25
[206] 웹인용 Barkley Deficits in Executive Functioning Scale http://www.guilford.[...]
[207] 저널 Reliabilities, norms, and factor structure of the Behavioral Dyscontrol Scale
[208] 웹인용 CogScreen http://www.cogscreen[...]
[209] 서적 The Hayling and Brixton Tests. Test manual. Thames Valley Test Company
[210] 저널 Assessing inhibitory control in early-stage Alzheimer's and Parkinson's disease using the Hayling Sentence Completion Test 2017-01-01
[211] 저널 Ecological Assessment of Executive Functions: A New Virtual Reality Paradigm https://doi.org/10.1[...]
[212] 서적 Methodology of frontal and executive function Psychology Press
[213] 저널 Preserved access and processing of social knowledge in a patient with acquired sociopathy due to ventromedial frontal damage
[214] 저널 The role of the prefrontal cortex in dynamic filtering https://link.springe[...]
[215] 저널 A code for behavioral inhibition on the basis of color, but not motion, in ventrolateral prefrontal cortex of macaque monkey 2001-07-01
[216] 저널 Prefrontal neurons coding suppression of specific saccades 2004-08-01
[217] 저널 Event-related brain potentials in the study of visual selective attention 1998-02-01
[218] 저널 Cortical mechanisms of feature-based attentional control 2003-12-01
[219] 저널 Increased activity in human visual cortex during directed attention in the absence of visual stimulation 1999-04-01
[220] 저널 Searching for "the top" in top-down control 2005-11-01
[221] 저널 Prefrontal modulation of visual processing in humans 2000-04-01
[222] 저널 Functional interactions between inferotemporal and prefrontal cortex in a cognitive task 1985-03-01
[223] 저널 Functional connectivity during working memory maintenance http://openurl.ingen[...] 2004-12-01
[224] 저널 The network architecture of cortical processing in visuo-spatial reasoning 2012-05-01
[225] 저널 The Advantages of Bilingualism Debate 2019-01-01
[226] 저널 Bilingual experience and executive functioning in young children
[227] 서적 Bilingualism in development: Language, literacy, and cognition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28] 저널 Cognitive control factors in speech at 11 months
[229] 저널 Bilingualism, aging, and cognitive control: Evidence from the Simon task https://archive.org/[...]
[230] 저널 The source of enhanced cognitive control in bilinguals http://nrs.harvard.e[...]
[231] 저널 Bilingualism aids conflict resolution: Evidence from the ANT task https://archive.org/[...]
[232] 저널 Is bilingualism associated with enhanced executive functioning in adults? A meta-analytic review http://eprints.white[...] 2018-04-01
[233] 저널 The Neural Circuitry of Executive Functions in Healthy Subjects and Parkinson's Disease 2017-02-16
[234] 저널 The Neuropsychopharmacology of Fronto-Executive Function: Monoaminergic Modulation 2009-01-01
[235] 저널 Effects of the catechol-O-methyltransferase Val158Met polymorphism on executive function: a meta-analysis of the Wisconsin Card Sort Test in schizophrenia and healthy controls 2007-02-27
[236] 저널 A Review of Executive Function Deficits and Pharmacological Management in Children and Adolescents 2017-02-16
[237] 저널 Insights into Human Behavior from Lesions to the Prefrontal Cortex
[238] 저널 The role of the medial frontal cortex in cognitive control https://research.vu.[...] 2004-10-01
[239] 저널 Conflict monitoring and cognitive control http://content.apa.o[...] 2001-07-01
[240] 저널 Prefrontal-cingulate interactions in action monitoring 2000-05-01
[241] 저널 The architecture of cognitive control in the human prefrontal cortex 2003-11-01
[242] 저널 Imaging the genetics of executive function
[243] 저널 Conclusions about interventions, programs, and approaches for improving executive functions that appear justified and those that, despite much hype, do not 2016-04-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