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역기능가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역기능가정이란 자녀 양육, 화목, 지역 사회와의 관계 등 가정의 일반적인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는 부모의 알코올 의존증, 학대, 공의존, 부부 갈등, 사회 구조적 문제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가족 구성원의 고립, 부모 간의 대립, 양극단적 가족, 다분열 가족, 무한 경쟁 등 가족 내 역동의 특징을 보인다. 역기능 가정에서 자란 아이들은 정서적, 행동적, 사회적, 인지적 문제 등 다양한 어려움을 겪으며, 성인이 되어서도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대처와 극복을 위해 개인적 노력, 가족 차원의 노력, 사회적 지원이 필요하며, 대중 문화에서도 역기능 가정을 다룬 다양한 작품들이 제작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동 학대 - 부모화
    부모화는 부모가 자녀에게 발달적으로 부적절한 역할이나 책임을 부여하는 현상으로, 도구적, 정서적, 배우자화 등의 형태로 나타나 부정적 영향과 긍정적 결과를 모두 초래할 수 있다.
  • 아동 학대 - 흔들린 아이 증후군
    흔들린 아이 증후군(SBS)은 심한 흔들림으로 5세 미만 영유아의 두개골 또는 뇌 내용물이 손상되는 아동 학대의 한 형태이며, 학대성 뇌 손상(AHT)이라는 포괄적인 용어로도 사용되지만, 진단과 관련된 과학적 근거에 대한 논쟁과 법적, 윤리적 쟁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 인간 사회 - 학교 폭력
    학교 폭력은 학생이 다른 학생을 괴롭히는 행위로, 신체적, 심리적, 성적 폭력과 사이버 폭력을 포함하며, 가정, 사회, 학교 환경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고 피해 학생과 가해 학생 모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다각적인 예방 및 개입 전략이 필요하다.
  • 인간 사회 - 집단 따돌림
    집단 따돌림은 특정 집단에서 구성원들이 다른 구성원에게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심리적, 언어적, 신체적 폭력이나 따돌림을 가하는 행위로, 사이버불링을 포함하여 다양한 사회적 맥락에서 발생하며 피해자에게 심각한 피해를 초래하므로 사회적 관심과 논의가 필요한 문제이다.
  • 양육 - 자녀 보호
    자녀 보호는 자녀가 유해 콘텐츠에 노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온라인 활동 제한, 웹사이트 차단, 사용 시간 제한 등을 포함하는 기술과 정책을 의미하며, 소프트웨어, 운영 체제, 관련 법규 등을 통해 구현된다.
  • 양육 - 관심병
    관심병은 외로움과 낮은 자존감에서 비롯되어 타인의 관심과 인정을 받으려는 심리로 나타나며, 부모의 거부나 소셜 미디어 사용이 유발 요인이 될 수 있고, 자기애성 인격 장애의 증상일 수도 있으며, 행동 관리를 위해 전술적 무시가 사용되기도 한다.
역기능가정
개요
정의가정 구성원 간의 갈등, 오작동 또는 학대가 정상적이고 지속적인 특징인 가정
특징부정적인 상호작용, 불안정, 감정적 고통
원인
부모의 문제약물 남용
정신 질환
미해결된 외상
가족 역기능의사 소통 부족
경계 흐림
역할 역전
사회경제적 요인빈곤
실업
사회적 고립
영향
아동낮은 자존감
불안 및 우울증
행동 문제
학업 부진
대인 관계 어려움
물질 남용
성인친밀감 문제
신뢰 문제
경계 설정 어려움
만성적인 죄책감 또는 수치심
역기능적인 관계 패턴 반복
가족 역할
영웅가족의 자존심을 높이기 위해 완벽을 추구하는 사람
희생양가족 문제의 책임을 지는 사람
길 잃은 아이관심을 피하고 문제를 일으키지 않으려고 노력하는 사람
마스코트유머와 산만함을 통해 긴장을 완화하려고 하는 사람
조력자다른 사람을 "돕는" 데 몰두하여 자신의 욕구를 무시하는 사람
뇌관가족의 감정적인 혼란을 유발하는 사람
특징적인 행동 양상
책임 전가가족 내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 누군가를 비난하는 행동
비난 게임다른 사람에게 책임을 전가함으로써 책임을 회피하는 것
걸어다니는 달걀 껍질가족 구성원이 다른 사람을 화나게 할까 봐 끊임없이 걱정하며 조심하는 상태
대처 및 치유
자가 관리건강한 생활 습관 유지
취미 및 관심사 참여
휴식 및 재충전 시간 확보
전문가의 도움치료
상담
지원 그룹
관계 개선건강한 경계 설정 및 의사 소통 기술 개발
추가 정보
관련 주제역기능
가정 폭력
정신 건강

2. 개념과 역사적 맥락

역기능가정, 즉 기능 부전 가족은 "자녀 양육", "화목", "지역 사회와의 관계" 등 일반적으로 가정이 갖춰야 할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가정을 의미한다. 이러한 기능 부전 가족에서 가장 큰 피해자는 스스로 벗어날 수 없는 어린이이며, 이들은 주변 환경에 적응하기 어렵거나 다양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1]

역기능가정에는 부모가 별거나 이혼 직전에 있다는 생각이 흔하지만, 실제로는 부모의 결점이 서로를 보완하기 때문에 결혼 유대가 매우 강한 경우도 있다. 그러나 전근, 실업, 불완전고용/비정규직, 신체 질환, 정신 질환, 자연 재해 등의 스트레스 요인들은 기존의 갈등을 악화시켜 어린이에게 더 심각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1]

과거에는 가정 문제에 대한 어떠한 간섭도 결혼의 신성성을 침해하고 이혼율을 높인다는 인식 때문에, 역기능가정이라는 개념은 사회적으로 수용되지 못했다. 역사적으로 역기능가정의 어린이들은 부모(주로 아버지)에게 복종하고 여러 상황을 혼자서 대처하도록 길러졌다.[1]

2. 1. 한국 사회와 기능 부전 가족

한국 사회는 전통적으로 가족주의 문화가 강하게 자리 잡고 있었으며, 이는 가족 구성원 간의 유대감을 강화하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지만, 가부장제, 남아선호사상, 체면 문화 등과 결합하여 가족 내 불평등과 갈등을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또한, 급격한 경제 성장 과정에서 가족 해체 현상이 나타나고, IMF 외환 위기 이후에는 전근, 실업, 불완전고용/비정규직 등의 사회 문제가 심화되면서 기능 부전 가족 문제가 더욱 심각해졌다. 이러한 사회적 스트레스 요인들은 기존에 존재하던 가족 내 갈등을 악화시켜 어린이에게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1]

과거에는 기능 부전 가족 문제가 주로 저소득층의 문제로 인식되었으나, 최근에는 중산층, 상위 계층에서도 기능 부전 가족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가정 문제에 대한 사회적 개입을 꺼리는 분위기와 '결혼의 신성성'을 중시하는 인식으로 인해 기능 부전 가족 문제는 제대로 다루어지지 못했다. 이로 인해 기능 부전 가족의 어린이들은 부모에게 복종하며 어려운 상황을 스스로 감당해야 했다.[1]

기능 부전 가족은 "자녀 양육", "화목", "지역 사회와의 관계" 등 일반적으로 가정이 수행해야 할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가정을 의미한다. 이러한 기능 부전 가족에서 가장 큰 피해자는 스스로 벗어날 수 없는 어린이이며, 이들은 주변 환경에 적응하기 어렵거나 다양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1]

2. 2. 역기능 가정에 대한 인식 변화

과거 한국 사회에서는 가부장적 권위주의 문화가 강하여 가정 내 문제, 특히 가정폭력이나 아동 학대 등이 제대로 드러나지 않고 은폐되거나 묵인되는 경우가 많았다.[1] 심리치료사, 사회복지사, 교사 등 전문가들조차 역기능가정 문제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것을 꺼렸는데, 이는 가정 문제에 대한 간섭이 결혼의 신성함을 해치고 이혼을 부추긴다는 인식 때문이었다.[1] 이러한 사회 분위기 속에서 역기능가정의 아이들은 부모, 특히 아버지에게 복종하며 어려운 상황을 혼자 감당해야 했다.[1]

그러나 최근 여성 인권이 신장되고 사회적 인식이 변화하면서, 역기능가정 문제는 더 이상 외면할 수 없는 사회 문제로 떠올랐다. 가정폭력, 아동 학대 등 과거에는 드러나지 않았던 문제들이 공론화되면서, 역기능가정에 대한 사회적 경각심이 높아지고 있다.

3. 주요 원인

기능 부전 가족, 즉 역기능가정은 자녀 양육, 화목, 지역 사회와의 관계 등 가정의 기본적인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 이러한 역기능가정에서 가장 큰 피해자는 스스로 벗어날 수 없는 어린이들이다.

역기능가정이 되는 주요 원인으로는 가족 구성원의 알코올 의존증, 학대(아동에 대한 폭언이나 위압적인 태도 포함), 공의존 등이 있다.[1] 또한, 이러한 역기능적인 가정의 부모나 조부모 역시 역기능가정에서 성장했을 가능성이 있다.

역기능 가정은 개인적, 관계적, 사회 구조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항목 참조)

3. 1. 개인적 요인

가족 구성원의 알코올 의존증, 약물 중독, 도박 중독, 부모의 자살, 사망, 불륜, 양친의 이혼, 부모의 재혼, 정신 질환, 성격 장애 등 개인적인 문제들은 가족 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알코올 의존증은 한국 사회에서 심각한 문제로, 가정폭력, 아동 학대(정신적인 아동 학대, 육체적인 아동 학대, 성적인 아동 학대) 및 경제적 어려움 등 다양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1] 부모로부터 버려지는 행위(방임)도 역기능 가정의 원인이 된다.[1]

3. 2. 관계적 요인

알코올 의존증, 도박 중독, 약물 중독, 부모의 자살, 사망, 불륜, 양친의 이혼, 재혼, 부모로부터 버려지는 행위(방임), 정신적인 아동 학대, 육체적인 아동 학대, 성적인 아동 학대(아동 성학대), 형제자매 간의 처우 격차, 가정 불화, 가정 폭력, 다중 채무 등은 가족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적 요인이다.[1] 이러한 요인들은 부부 갈등, 부모-자녀 갈등, 형제자매 간의 갈등 등 다양한 가족 구성원 간의 관계 문제로 나타날 수 있다. 특히 부부 갈등은 이혼, 별거, 가정폭력 등으로 이어져 자녀에게 심각한 정서적, 심리적 상처를 남길 수 있다.

3. 3. 사회 구조적 요인

실업, 빈곤, 주거 불안정, 사회적 고립 등 사회 구조적 문제들이 가족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IMF 외환 위기 이후 한국 사회의 양극화 심화, 비정규직 증가, 고용 불안정 등이 가족 해체와 기능 부전 가족 문제를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민자 가족, 다문화 가족, 한부모 가족 등 다양한 가족 형태에 대한 사회적 편견차별이 가족 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4. 가족 내 역동

연합(Coalitions)은 매우 엄격한 경계를 가진 가족 내 하위체계(subsystems)이고, 가정의 역기능을 보여주는 신호로 간주한다.[9] 기능 부전 가족은 "자녀 양육", "화목", "지역 사회와의 관계" 등 일반적으로 가정에 존재해야 하는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가정의 문제를 가리킨다.

이러한 가족 내에서는 다음과 같은 역동이 나타날 수 있다.


  • 가족 구성원의 고립: 아이나 부모 중 한 명이 나머지 가족들로부터 고립된다.
  • 부모 간 대립: 어른들 사이에 잦은 싸움이 발생하여 아이들로부터 법적으로 격리된다.
  • 양극단적 가족: 부모 한 명과 한 명 이상 아이가 대치 상황에 놓인다.
  • 부모 대 자식: 세대 간 갈등, 세대 차이 혹은 문화 충격으로 인한 역기능이 발생한다.
  • 다분열 가족(The balkanized family): 발칸 반도의 3자 전쟁에서 따온 용어로, 가족 내 동맹 관계가 쉼없이 변한다.
  • 무한 경쟁: 선택지가 제한되어 있으면 양극단적이 되지만, 가족 구성원끼리 서로 심하게 다투게 된다.


이러한 기능 부전 가족에서 가장 큰 피해자는 스스로 생활 능력이 없어 그 가정에서 벗어날 수 없는 어린이이다. 어린이는 주변에 적응하기 어렵거나 다양한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기능 부전 가정에서 자란 사람은 그 가정 내에서의 경험 때문에 일정한 경향, 행동 패턴이 나타난다.

스티븐 파머는 기능 부전 가정의 징후로 거부, 모순, 가족에 대한 무공감, 가족 간 경계선 결여, 부모 자식 역할 전도, 사회로부터의 고립, 모호한 메시지, 극단적인 논쟁 및 대립을 제시했다.[39] 댄 노하스는 기능 부전의 요인으로 조건부 애정, 비존중, 발언 억압, 감정 강요, 조롱, 과도한 훈육, 내면의 부정, 사회에 대한 기능 부전 또는 사회로부터의 고립 등 건전하지 못한 부모의 8가지 징후를 제시했다.[40] 또한 기능 부전 가정을 야기하는 부모의 패턴으로 질식(자녀의 아이덴티티 침해), 이용, 학대, 혼란, 완전주의, 컬트 신앙, 박탈(자녀가 원하는 것을 빼앗음), 정신적 유치함(학대를 배제하지 않음)을 설명했다.[41]

요즘에는 수전 포워드의 저서 "독이 되는 부모"를 어원으로 하여, 이러한 부모를 "독 부모"라고 부르는 경우도 많다.

4. 1. 가족 구성원의 고립

역기능 가정에서는 특정 가족 구성원이 소외되거나 고립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고립은 정서적 지지 부족, 외로움, 우울증 등 다양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특히 어린이의 경우, 스스로 생활할 능력이 없어 가정에서 벗어날 수 없기 때문에 정서 발달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1]

4. 2. 부모 간 대립

부모 간의 잦은 갈등과 대립은 가족 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부모 간의 갈등은 자녀에게 불안감, 스트레스, 정서적 불안정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가정폭력으로 이어질 수 있다.[1] 이러한 기능 부전 가족에서 가장 큰 피해자는 스스로 생활 능력이 없어 그 가정에서 벗어날 수 없는 어린이이다.[1] 이들은 주변 환경에 적응하기 어렵거나 다양한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1]

4. 3. 양극단적 가족

연합은 경계가 더 엄격한 가족 내의 하위 시스템이며 가족 기능 장애의 징후로 여겨진다.[9] 양극단적 가족은 분쟁의 각 측면에 부모와 한 명 이상의 자녀가 있는 가족을 의미한다.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형태가 포함된다.

  • 부모 대 부모 (기혼, 이혼 또는 별거 여부에 관계없이 성인 간의 잦은 싸움은 아이들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서 진행된다.)
  • 부모 대 자녀 (세대 간 갈등, 세대 차이 또는 문화 충격 기능 장애)
  • 발칸화(Balkanization)된 가족 (발칸 반도에서 동맹이 앞뒤로 바뀌는 삼자 전쟁의 이름을 따서 명명됨)
  • 자유 경쟁 (가족이 "자유 경쟁" 스타일로 싸우지만 가능한 선택의 범위가 제한될 때 양극화될 수 있음)

4. 4. 다분열 가족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다분열 가족'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이 없으므로, '다분열 가족'(가족 구성원 간의 관계가 불안정하고 동맹 관계가 수시로 변화하는 현상)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제공된 소스는 기능 부전 가족의 일반적인 특성과 어린이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만 언급하고 있습니다.

4. 5. 무한 경쟁

역기능 가정에서 자란 아이들은 다음 6가지 역할 중 하나 이상을 맡거나 부여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5][10]

역할설명
골든 차일드 (영웅, 슈퍼키드)역기능적 가정 환경에서 벗어나기 위해, 가족 밖에서 고 성취자 또는 과잉 달성자가 되는 아이. 스스로를 정의하고, 부모의 호감을 사거나, 가족 구성원의 비판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작용한다. (예: 학업 또는 운동)
문제아, 반항아, 진실을 말하는 사람가족의 역기능과 관련된 가장 많은 문제를 일으키거나, 기존의 가족 역기능에 대응하여 "문제 행동"을 보이는 아이. 다른 구성원에게 집중되는 관심을 돌리려는 시도로 나타나기도 한다. 희생양은 부당하게 "문제아" 역할을 부여받거나, 다른 가족 구성원의 역기능에 대해 부당하게 비난받는 경우를 말하며, 종종 가족의 유일하게 정서적으로 안정된 구성원임에도 불구하고 희생양 역할을 부여받는다.
돌보미가족의 정서적 안녕에 책임을 지는 사람. 종종 부모 역할을 맡으며, "착한 아이"/"슈퍼키드"의 가족 내 대응자이다.
잃어버린 아이, 수동적인 아이눈에 띄지 않고, 내성적이며, 조용한 아이. 이들의 요구는 대개 무시되거나 숨겨진다.
마스코트, 가족 광대점점 더 역기능적으로 변해가는 가족 시스템에서 관심을 돌리기 위해 코미디를 사용한다.
배후 조종자다른 가족 구성원의 결점을 이용하여 원하는 것을 얻는 기회주의자. 종종 어른들의 비위를 맞추는 대상이다.



기능 부전 가족은 "자녀 양육", "화목", "지역 사회와의 관계" 등 일반적으로 가정에 존재해야 하는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가정의 문제를 가리킨다.

이 기능 부전 가족에서 가장 피해자가 되는 것은 스스로 생활 능력이 없어 그 가정에서 벗어날 수 없는 어린이이다. 어린이는 주변에 적응하기 어렵거나 다양한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5. 특징

역기능 가정은 가족 구성원들이 가정 내에서 겪는 경험으로 인해 공통적인 특징과 행동 패턴을 보이는 가정을 말한다. 이러한 특징과 행동 패턴은 조장(enabling)이나 영구화(perpetuation)를 통해 역기능적 행동을 강화시킨다.[2] 기능 부전 가족은 자녀 양육, 화목, 지역 사회와의 관계 등 일반적인 가정이 수행해야 할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문제를 안고 있다.

기능 부전 가족에서 가장 큰 피해자는 어린이이다. 어린이는 스스로 생활 능력이 없어 가정을 벗어나기 어렵기 때문에 주변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거나 다양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기능 부전 가족이 되는 요인으로는 가족 구성원의 알코올 의존증, 학대(아동에 대한 폭언이나 위압적인 태도 포함), 공의존 등이 있으며, 부모나 조부모가 기능 부전 가족에서 성장했을 가능성도 있다.

기능 부전 가정에서 자란 사람은 가정 내 경험으로 인해 특정한 경향과 행동 패턴을 보인다. 댄 노하스는 건전하지 못한 부모의 8가지 징후를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40]

징후설명
조건부 애정특정 조건을 만족해야만 애정을 줌
비존중자녀를 존중하지 않음
발언 억압자녀의 의견을 억압함
감정 강요자녀에게 특정 감정을 강요함
조롱자녀를 조롱하고 비웃음
과도한 훈육지나치게 엄격한 훈육을 함
내면의 부정자녀의 내면을 부정하고 억압함
사회 부적응 또는 고립사회에 적응하지 못하거나 고립됨



또한, 댄 노하스는 기능 부전 가정을 야기하는 8가지 부모의 패턴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41]

부모의 패턴설명
질식자녀의 정체성을 침해함
이용자녀를 자신의 목적을 위해 이용함
학대자녀에게 신체적, 정서적, 성적 학대를 가함
혼란자녀에게 혼란을 야기함
완전주의자녀에게 완벽함을 강요함
컬트 신앙자녀에게 특정 신앙을 강요함
박탈자녀가 원하는 것을 빼앗음
정신적 유치함학대를 방관함



최근에는 수전 포워드의 저서 "독이 되는 부모"를 어원으로 하여 이러한 부모를 "독 부모"라고 부르기도 한다.

5. 1. 거의 대다수가 보이는 특징

역기능 가정의 가족 구성원들은 가정 내 경험으로 인해 공통적인 특징과 행동 패턴을 보인다. 이는 방조 또는 지속을 통해 역기능적 행동을 강화하는 경향이 있다. 가족 구성원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2]

역기능 가정에서 대부분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특정 가족 구성원에 대한 공감, 이해, 민감성 부족: 실질적이거나 인식된 특별한 요구가 있는 한 명 이상의 구성원에 대해서는 극단적인 공감이나 달래기를 표현하지만, 특정 가족 구성원에게는 공감, 이해, 민감성이 부족하다. 즉, 한 가족 구성원은 지속적으로 과분한 대우를 받는 반면, 다른 구성원은 소외된다.
  • 부정: 학대적인 행동을 인정하지 않으려 하고, 상황이 정상적이거나 심지어 유익하다고 믿을 수 있다. 이는 "눈 가리고 아웅"이라고도 불린다.
  • 부적절하거나 부재하는 경계: 타인으로부터 부적절한 대우를 스스로 용인하고, 허용 가능한 행동과 허용 불가능한 행동을 표현하지 못하며, 신체적, 정서적 또는 성적 학대를 용인한다. 예를 들어 타인이 싫어하는 다른 사람의 신체 접촉, 정당한 이유 없이 중요한 약속을 어기기, 다른 사람이 표현한 경계를 고의적으로 침해하는 경우가 있다.
  • 갈등의 극단: 가족 구성원 간의 과도한 싸움이나 평화로운 논쟁이 부족하다.
  • 불평등하거나 불공정한 대우: 출생 순서, 성별 (또는 성 정체성), 나이, 성적 지향, 가족 역할 (어머니 등), 능력, 인종, 카스트 등에 기인하여 발생한다. 다른 사람을 희생시키면서 한 구성원을 자주 달래거나, 불균형적이고 일관성이 없는 규칙 시행을 포함할 수 있다.


스티븐 파머에 따르면, 기능 부전 가정은 가정 내에 몇 가지 징후가 나타난다.[39]

징후설명
거부가족 내에 문제가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거나 회피하는 경향
모순가족 구성원 간의 말이 일치하지 않는 현상
가족에 대한 무공감가족 구성원에 대한 공감과 이해가 부족한 현상
가족 간의 경계선 결여가족 구성원 간의 경계가 모호하거나 침해되는 현상 (예: 사생활 침해, 과도한 간섭)
부모 자식 역할 전도부모와 자식의 역할이 뒤바뀌는 현상
사회로부터의 고립가족이 사회로부터 고립되는 현상
모호한 메시지가족 구성원 간의 의사소통이 불분명하고 모호한 현상
극단적인 논쟁・대립가족 구성원 간의 갈등이 잦고, 해결되지 않은 채 지속되는 현상


5. 2. 경우에 따라 다른 특징


  • 통제 행동: 가족 구성원 중 한 명이 다른 구성원들을 통제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예를 들어 과도하게 간섭하거나, 의사 결정을 강요하는 경우가 있다.[2]
  • 비정상적인 성적 행동: 가족 내에서 간통, 난혼, 근친상간 등의 비정상적인 성적 행동이 발생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2]
  • 함께 보내는 시간 부족: 가족 구성원들이 함께 보내는 시간이 부족하고, 특히 유희 활동이나 사교적인 일에 있어서 함께하는 경우가 드물다. 서로에게 무관심한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2]
  • 의절: 가족 구성원 간의 관계가 단절되거나 소원해지는 현상이다. 가족 구성원들이 의절하였거나, 한쪽 혹은 양쪽이 다른 사람들 앞에서 가족의 모습을 보이길 꺼려하는 경우가 있다.[2]

6. 특별 사례

새로운 문화에 적응하는 어려움, 핵가족과 확대 가족 구성원 간의 관계 긴장, 반항기에 있는 자녀, 그리고 이념적 신념 체계의 차이 등으로 인해 가족이 역기능적이 될 수 있다.[1]


  • '''새로운 문화에 적응하는 어려움''': 주로 이민자 가족이 겪는 문제이다. 언어 장벽, 문화 차이, 사회적 고립 등으로 인해 가족 구성원 간의 소통이 단절되고 갈등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부모 세대와 자녀 세대 간의 문화적 차이는 세대 갈등으로 이어져 가족 전체의 역기능을 초래할 수 있다.
  • '''핵가족과 확대 가족 구성원 간의 관계 긴장''': 현대 사회에서는 핵가족 형태가 보편화되면서 확대 가족과의 교류가 줄어들고, 이로 인해 갈등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명절이나 가족 행사 때 발생하는 의견 충돌, 세대 차이로 인한 소통의 어려움, 가족 간의 역할 기대 차이 등이 가족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반항기에 있는 자녀''': 사춘기 자녀는 정체성 혼란, 호르몬 변화, 학업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부모에게 반항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반항은 가족 내 갈등을 유발하고, 심한 경우 가출이나 비행으로 이어질 수 있다. 부모의 적절한 대처와 지지가 없다면 자녀의 반항은 가족 전체의 역기능을 심화시킬 수 있다.
  • '''이념적 신념 체계의 차이''': 가족 구성원 간의 종교, 정치적 신념 차이는 갈등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특히 한국 사회는 정치적 양극화가 심화되면서 가족 내에서도 정치적 견해 차이로 인한 갈등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갈등은 가족 구성원 간의 대화를 단절시키고, 심한 경우 가족 관계를 파탄에 이르게 할 수 있다.

7. 론드리 리스트 (성인아이)

알코올 의존증 환자 가족의 성인아이 프로그램의 핵심 자료인 론드리 리스트(Laundry List)는 알코올 의존증 가족이나 역기능 가족에서 성장한 성인아이의 특성 14가지를 보여준다.

# 인정을 구하는 사람이 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정체성을 잃었다.

# 분노한 사람과 사적 비판으로 겁먹었다.

# 알코올 의존증이 되거나 알코올 의존증 환자와 결혼하거나 두 가지 다 해당한다. 혹은 기괴한 유기욕구를 달성하기 위하여 일중독자와 같은 강박성격 소유자를 찾아 나선다.

# 피해자 관점에서 삶을 살며, 사랑과 우정 관계에서 바로 그 약함에 이끌린다.

# 책임감을 과도하게 짊어지고, 자신보다는 다른 사람들에게 더 관심 갖는다. 이는 자기 결점을 너무 가깝게 보지 않도록 조장한다.

# 타인에게 굴복하는 대신에 자신을 옹호할 때 죄책감을 갖는다.

# 신나는 일에 중독되었다.

# 사랑과 연민을 혼동하고 연민하고 구조해 줄 수 있는 사람을 사랑한다.

# 트라우마적인 유년기부터 감정을 숨겨왔으며 너무 아파서 감정을 느끼거나 표현할 능력을 잃어버렸다. (부정)

# 스스로를 가혹하게 판단하고 자존감이 매우 낮다.

# 의존성 성격으로서 버려지는 것이 두려우며 고통스러운 유기 감정을 경험하지 않기 위해 관계에 의존한다. 유기 감정은 정서적으로 같이 있어주지 못한 아픈 사람과의 생활에서 얻은 것이다. (유기공포)

# 알코올 의존증은 가족 질병이며 준 알코올 의존증 환자가 되었다. 또한 음주를 계속하지 않아도 알코올 의존증 성격을 띠게 된다.

# 준 알코올 의존증은 행위자라기보다 반응자이다.

론드리 리스트는 집단 치료에서 개인이 혼자가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는 유용한 도구이다. 부모가 알코올 중독자인 여성 자녀는 우울증 발병 위험이 증가하고, 남성 자녀는 물질 사용 장애를 겪을 위험이 현저히 높다.

8. 양육 방식

기능 부전 가족의 부모는 건강하지 못한 양육 방식을 보인다. 이러한 양육 방식은 자녀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가족 전체의 역기능을 초래할 수 있다.

댄 노하스(Dan Neuharth)는 기능 부전 가정의 부모에게서 나타나는 8가지 징후를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40]

징후설명
조건부 애정특정한 조건을 충족해야만 자녀에게 사랑을 주는 것
비존중자녀의 인격과 권리를 존중하지 않는 것
발언 억압자녀가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지 못하게 억압하는 것
감정 강요특정한 감정만을 표현하도록 강요하는 것
조롱자녀를 조롱하거나 비난하는 것
과도한 훈육지나치게 엄격하거나 가혹한 훈육을 하는 것
내면의 부정자녀의 내면세계를 인정하지 않고 무시하는 것
사회에 대한 기능 부전, 또는 사회로부터의 고립사회적으로 고립되거나 부적응적인 행동을 보이는 것



스티븐 파머(Steven Farmer)는 기능 부전 가정 내에 다음과 같은 징후들이 나타난다고 보았다.[39]


  • 가족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에서 거부, 모순, 무공감이 나타난다.
  • 가족 간의 경계선이 결여되어 있다.
  • 부모 자식 역할이 전도되어 나타난다.
  • 사회로부터 고립되어 있다.
  • 모호한 메시지를 사용한다.
  • 극단적인 논쟁이나 대립이 자주 발생한다.


이 외에도, 기능 부전 가족의 부모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일 수 있다.

  • 자녀 과소평가: "넌 아무것도 제대로 하는 일이 없어!"와 같이 자녀의 능력을 과소평가한다.
  • 수치심 유발: "부끄러운 줄 알아!"라며 자녀에게 수치심을 느끼게 한다.
  • 비꼬는 말투: 말하는 내용과 상관없이 비꼬는 투로 이야기한다.
  • 위선적인 태도: "내가 말한 대로 해, 내가 하는 대로 하지 말고."와 같이 말과 행동이 일치하지 않는다.
  • 작은 실수나 사고 용납 안 함: 자녀의 작은 실수나 사고를 용서하지 않고 크게 문제 삼는다.
  • 판단 및 악마화: "넌 악마야!"와 같이 자녀를 함부로 판단하고 악마화한다.
  • 극단적인 비판: 건강한 관계에서는 80-90%의 칭찬과 10-20%의 건설적인 비판이 필요하지만, 이를 지키지 않고 비판이 거의 없거나 과도하게 많다.
  • 이중 가치 체계 적용: 상황이나 자녀에 따라 다른 가치 기준을 적용하여 혼란을 야기한다.
  • 부모의 존재감 부재: 과도한 업무, 알코올 혹은 약물 남용, 도박, 기타 중독으로 인해 부모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다.
  • 약속 불이행: 자녀와의 약속을 자주 어겨 신뢰를 잃는다.
  • 자녀의 물건을 다른 자녀에게 주는 행동: 자녀의 소유물을 존중하지 않고 다른 자녀에게 줘버려 갈등을 유발한다.
  • 잘못된 훈육 방식: 감정이나 가족 내 역학 관계에 따라 일관성 없이 훈육한다.
  • 책임 회피: 다른 자녀나 선생님의 말을 듣지 않고, 자녀의 잘못된 행동을 감싸거나 전혀 보호하지 않는다.
  • 자녀 문제에 대한 편협한 시각: 자녀의 문제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한 가지 측면에만 집착하여 올바른 해결책을 찾지 못한다.
  • 형제자매 간 불공평한 권위 부여: 나이나 성숙도 차이에 따라 형제자매 간 과도한 권위를 부여하거나, 전혀 권위를 주지 않아 갈등을 조장한다.
  • 부적절한 활동 강요 또는 금지: 나이에 맞지 않는 활동을 강요하거나, 반대로 적절한 활동을 금지한다.
  • 다 안다는 식의 태도: 자녀를 책망할 때 자녀의 입장을 고려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판단한다.
  • 인색한 태도: 은퇴 자금 마련이나 중요한 일을 핑계로 자녀에게 필요한 것을 제공하지 않는다.
  • 자녀 탓: 잘못된 양육이나 환경이 원인임에도 불구하고, 자녀의 타고난 기질 탓을 한다.

8. 1. 건강하지 못한 신호


  • 비현실적 기대: 자녀에게 과도한 기대를 하거나, 자녀의 능력과 발달 수준에 맞지 않는 요구를 하는 경우[5]
  • 조롱: 자녀를 조롱하거나 비난하는 경우[6]
  • 조건적 사랑: 특정한 조건(예: 성적, 행동)을 충족시켜야만 사랑을 주는 경우[6]
  • 존중 부족: 자녀의 인격과 권리를 존중하지 않고, 함부로 대하는 경우[6]
  • 감정 억압: 자녀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것을 억압하고, 특정한 감정만을 강요하는 경우[6]
  • 사회적 고립: 가족이 사회적으로 고립되어 있고, 자녀의 사회성 발달을 저해하는 경우[6]
  • 과잉보호 또는 무관심: 자녀를 지나치게 보호하거나, 반대로 자녀에게 무관심하고 방치하는 경우
  • 위선: 부모가 말과 행동이 다르고, 자녀에게 이중적인 가치관을 심어주는 경우
  • 잘못된 훈육: 감정적이고 비일관적인 훈육을 하거나, 체벌과 학대를 사용하는 경우
  • 희생양 삼기: 특정 자녀를 희생양으로 삼아 다른 가족 구성원의 잘못을 전가하는 경우
  • 터널 시야: 자녀의 문제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특정 측면에만 집착하는 경우
  • 성 편견: 한 성별의 자녀는 공평하게, 다른 성별의 자녀는 불공평하게 대하는 경우
  • 다 안다는 태도: 자녀를 책망할 때 아이의 입장을 고려하려 하지 않는 경우
  • 스크루지: 아이에게 인색하거나, 아이의 욕구를 충족시켜주지 않는 경우

8. 2. 역기능적 양육 방식


  • '''자기애적 양육''': 자녀를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도구로 이용하는 양육 방식이다. 이러한 부모는 두려움과 조건부 사랑으로 자녀를 지배한다.[41]
  • '''학대''': 신체적, 정서적, 성적 학대를 가하는 양육 방식이다.[41]
  • '''완벽주의''': 자녀에게 완벽함을 강요하고, 실패를 용납하지 않는 양육 방식이다. 질서, 명성, 권력, 완벽한 외모에 집착한다.[41]
  • '''교조적 양육''': 엄격하고 융통성 없는 규칙을 강요하고, 자녀의 자율성을 억압하는 양육 방식이다. 자녀는 합리적인 선에서 반대하거나, 권위에 질문하거나, 자신의 가치관을 발전시키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41]
  • '''불공평한 양육''': 자녀 간에 차별을 두고, 특정 자녀에게만 편애하는 양육 방식이다.[41]
  • '''방임''': 자녀에게 필요한 관심, 지원, 감독을 제공하지 않고 방치하는 양육 방식이다.[41]
  • '''헬리콥터 부모''': 자녀의 삶에 지나치게 간섭하고, 모든 것을 통제하려는 양육 방식이다.[41]
  • '''이미지 관리''': 가족의 문제를 외부에 숨기고, 긍정적인 이미지만을 보여주려는 양육 방식이다. 가정에서 일어나는 싸움, 학대, 피해를 공개하지 않도록 자녀에게 경고하거나 심한 처벌을 가한다.[41]
  • '''역할 전도''': 자녀에게 부모의 역할을 강요하고, 정서적, 경제적 책임을 전가하는 양육 방식이다.[41]

9. 아이에게 끼치는 영향

역기능 가정의 아이는 성장하면서, 혹은 그 당시에도 여러 특징을 보인다. 우선, 아이는 잘 놀지 못하거나 어린이다운 모습이 부족하고, 조숙하거나 반대로 미숙하거나, 혹은 두 가지가 혼합된 모습을 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행동은 올바르지만 자기 자신을 돌보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2]

또한, 우울, 불안, 자살 충동과 같은 심각한 정신 건강 문제나 약물, 담배, 알코올 중독에 빠지기 쉽다. 특히 부모나 친구가 이러한 문제를 겪고 있다면 더욱 취약하다. 타인을 괴롭히거나 희롱하는 가해자가 되기도 하고, 반대로 피해자가 되기도 하며, 상황에 따라 두 가지 역할을 모두 맡기도 한다.[2]

가족 상황의 엄격함에 따라 자기 부정이나 억제를 하거나, 특정 가족 구성원에게 애증 섞인 감정을 가지기도 한다. 심한 경우 성폭력 가해자나 소아성애자가 될 수도 있다. 성격장애나 수줍음으로 인해 또래와 건강한 관계를 맺기 어려워하며, 또래 집단으로부터 배척당하기도 한다.[2]

혼자 TV를 보거나 비디오 게임, 인터넷, 음악 감상 등 대면 관계가 거의 없는 활동에 지나치게 많은 시간을 보내는 경향이 있다. 분노, 불안, 우울, 고립감, 사랑받지 못한다는 감정을 느끼며, 정서적 학대로 인해 언어 장애를 겪거나 타인을 불신하고 편집증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2]

비행 청소년이 되어 학교를 중퇴하거나 범죄에 빠지기도 하고, 폭력 조직의 일원이 되기도 한다. 학교에서는 공부를 열심히 하지 않거나, 학습 활동이 저조해지는 경우가 많다. 감정 표현에 어려움을 겪어 자존감이 낮거나 부정적인 자아상을 가지기도 한다.[2]

부모의 권위에 반항하거나, 반대로 또래의 압력에도 부모의 가치관을 유지하려 하거나, 혹은 어느 쪽도 만족시키지 못하는 중간 영역을 택하려 한다. 유년기의 결핍을 보상받기 위해 자기중심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하며, 부모가 없으면 자제력을 잃고 강박적인 소비를 하거나 일을 미루는 습관을 보이기도 한다.[2]

어린 나이에 학대 가능성이 있는 배우자나 파트너를 찾거나 집에서 도망치고, 십대 임신을 하거나 사생아의 부모가 되기도 한다. 가족의 경제적 상황과 관계없이 가난하거나 노숙자가 될 수도 있으며, 배우자, 파트너, 자녀, 친구 없이 은둔 생활을 하거나, 자기 파괴적이거나 자해적인 행동을 할 수도 있다.[2]

집에서 받지 못한 인정을 받기 위해 사이비 종교에 빠지거나, 이전과는 다른 철학적, 종교적 신념을 갖게 되기도 한다. 어린 성인이 되어서는 특정 가족 구성원과 완전히 떨어져 지내거나, 친척과 더 많은 시간을 보내기도 한다. 그리고 다른 관계, 특히 자녀와의 관계에서 역기능적인 행동들을 반복하는 경향을 보인다.[2]

이러한 특징들은 역기능 가정의 환경이 아이들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매우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 특히, 이혼이나 별거와 달리 역기능적인 온전한 가정에 대한 기록은 부족하여, 아이의 친구, 친척, 교사들은 이러한 상황을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게다가 아이는 가족의 역기능에 대해 억울하게 책임을 져야 하고, 부모가 이별하는 것보다 더 큰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2]

9. 1. 정서적 문제

역기능 가정에서 자란 아이들은 우울, 불안, 낮은 자존감, 분노, 외로움, 고립감, 정서적 불안정, 애착 문제 등 다양한 정서적 문제를 겪을 수 있다.[17] 이러한 문제는 성장하면서 더욱 심각해질 수 있으며, 특히 우울증은 한국 청소년들에게 심각한 문제로 자리 잡고 있어 자살 시도, 자해, 학교 부적응 등 여러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18]

역기능적인 환경은 아이들이 약물 중독이나 알코올 중독에 빠질 위험을 높이며, 특히 부모나 가까운 친구가 약물 사용 경험이 있다면 그 위험은 더욱 커진다.[19] 도박, 포르노 중독, 강박적 소비와 같은 행동 중독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20][21] 또한, 심리적 고통은 식욕 부진증이나 폭식 장애와 같은 섭식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22]

수줍음,[23] 성격 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등으로 인해 또래 집단 내에서 건강한 대인 관계를 맺고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24] 감정 표현의 어려움은 낮은 자존감과 부정적인 자아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28] 이는 정서적 및 신체적 학대와 관련된 일반적인 영향이다.

9. 2. 행동 문제

역기능 가정에서 자란 아이들은 심리적 고통으로 인해 다양한 행동 문제를 보일 수 있다. 이러한 행동 문제는 발달 단계에 적합하지 않거나 또래에 비해 미성숙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반대로 감정적으로 "너무 빨리 성장하는" 경우도 있다.[15]

역기능 가정의 아이들은 다음과 같은 행동 문제를 보일 수 있다.

  • 비행 및 범죄: 부모의 통제 부족, 긍정적 또래 영향력 부재로 인해 청소년 비행에 가담하거나, 갱 활동에 연루되는 등 범죄 행위를 저지를 수 있다.[29][30]
  • 학교 부적응: 학업 수행에 어려움을 겪거나, 학교를 중퇴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34]
  • 가출: 가정 내 갈등, 학대 등을 피해 집에서 도망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32]
  • 폭력: 괴롭힘을 통해 또래에게 공격적인 행동을 하거나, 반대로 괴롭힘의 피해자가 될 수 있다.[27]
  • 약물 남용: 약물에 중독되거나 알코올 중독에 빠질 위험이 높으며, 특히 부모나 또래가 약물 사용 경험이 있는 경우 더욱 그렇다.[19]
  • 성 문제: 소아성애에 대한 관심, 성범죄, 십대 임신, 사생아 출산 등 위험한 성적 행동을 보일 수 있다.[31][36]
  • 섭식 장애: 폭식 장애나 거식증과 같은 섭식 장애를 겪을 수 있다.[22]
  • 행동 중독: 도박, 포르노 중독, 강박적 소비 등과 같은 행동 중독의 형태로 발전할 위험이 증가한다.[20][21]
  • 사회적 부적응: 직접적인 대인관계가 부족한 활동에 과도한 시간을 보내는 등 사회적 부적응을 보일 수 있다.[26]
  • 기타: 수줍음이 많거나,[23] 또래 집단과의 관계 형성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24]


이러한 행동 문제는 낮은 자존감, 고립감, 감정 표현의 어려움 등과 관련되며, 정서적, 신체적 학대의 영향으로 나타날 수 있다.[28] 또한, 역기능 가정에서 학습된 행동은 다른 관계, 특히 자녀와의 관계에서 반복될 수 있다.[37]

9. 3. 사회성 문제

역기능 가정에서 자란 아이들은 또래와 건강한 관계를 맺기 어려워하며, 사회성이 부족한 모습을 보일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24]

  • 대인 관계 어려움: 수줍음[23], 성격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등으로 인해 또래 집단 내에서 건강한 대인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24]
  • 사회적 고립: 직접적인 사회적 상호 작용이 부족한 활동에 과도한 시간을 보내면서 사회적으로 부적응적인 모습을 보인다.[26] TV 시청, 비디오 게임, 인터넷, 음악 감상 등 혼자 하는 활동에 몰두하며 대인 관계를 회피하는 경향을 보인다.
  • 또래 집단에서의 소외: 정서적인 문제로 인해 또래 집단으로부터 배척, 배제당하기도 한다.
  • 공격적인 행동: 괴롭힘을 통해 또래에게 공격적인 행동을 하거나, 반대로 괴롭힘의 피해자가 되기도 한다.[27] 이러한 행동은 낮은 자존감, 고립감, 감정 표현의 어려움 등과 관련이 있다.[28]
  • 부모 권위에 대한 반항: 부모의 권위에 반항하거나 가족이 아닌 성인을 거부하는 행동을 보일 수 있다. 혹은 또래 압력에 굴복하지 않고 가족의 가치를 옹호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25]
  • 사회 부적응: 부모의 긍정적인 역할 모델 부재와 사회적 규범 부족은 청소년 비행, 범죄, 갱 활동 연루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29][30]
  • 학업 문제: 학업 수행에 어려움을 겪거나, 조직 기술 부족을 보이기도 한다.[34]
  • 타인에 대한 불신: 타인을 불신하거나 편집증적인 행동을 보이기도 하는데, 이는 아동기 외상으로 인한 정신 질환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35]


이러한 사회성 문제는 역기능 가정이라는 환경적 요인과 개인의 심리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다.

9. 4. 인지적 문제

역기능 가정의 아이들은 학습 부진, 주의력 결핍 및 집중력 저하, 인지 발달 지연 등을 겪을 수 있다.[34] 이러한 문제는 학교에서의 학습 활동 저조로 이어질 수 있으며, 습관적이거나 갑작스러운 학업 수행 문제를 보이기도 한다.[34]

9. 5. 기타 문제

역기능 가정에서 자란 아이들은 성장 과정에서 여러 문제점을 보일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어린 시절의 경험이 성인이 된 후에도 트라우마로 남아 삶의 다양한 영역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주요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문제 유형상세 내용
정신 건강 문제우울, 불안, 자살 충동과 같은 심각한 정신 건강 문제를 겪을 수 있다.[17] 약물, 담배, 알코올 중독에 빠지기 쉽고, 특히 부모나 친구가 중독된 경우 더욱 그렇다.[19]
행동 문제타인을 괴롭히거나 희롱하고, 혹은 그 피해자가 되기도 한다. 상황에 따라 두 가지 상반된 역할을 맡기도 한다.[2] 비행 청소년이 되어 학교를 중퇴하거나 범죄에 연루될 수 있다.[30]
대인 관계 문제성격장애나 수줍음으로 인해 또래와 건강한 관계를 맺기 어렵거나, 또래 집단으로부터 배척당할 수 있다.[24] 타인을 불신하거나 편집증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35]
정서적 문제분노, 불안, 우울, 고립감, 사랑받지 못한다는 감정을 느낀다.[2] 감정 표현에 어려움을 겪어 자존감이 낮거나 자아상이 부정적일 수 있다.[28]
신체적 문제정서적 학대로 인해 언어 장애가 나타날 수 있다.[2] 섭식 장애(식욕 부진, 폭식 장애)를 겪을 수도 있다.[22]
성 문제성폭력 가해자나 소아성애자가 될 수 있다.[31] 십대 임신이나 사생아의 부모가 되는 등 위험한 성적 행동을 보일 수 있다.[36]
사회 부적응혼자 TV 시청, 게임, 인터넷 등 대인 관계가 없는 활동에 과도한 시간을 쏟을 수 있다.[26] 가족이 부유하더라도 가난하거나 노숙자가 될 수 있다.[32]
자기 파괴적 행동자해 행동을 할 수 있다.[18] 집에서 받지 못한 인정을 받기 위해 사이비 종교에 빠지기도 한다.
학업 문제학교에서 학습 활동이 저조해지거나, 갑작스러운 학업 수행 문제를 보일 수 있다.[34]
미래의 관계 문제다른 관계, 특히 자녀와의 관계에서 역기능적인 행동을 반복할 수 있다.[37]



이러한 문제들은 역기능 가정의 환경이 아이들에게 지속적인 상처를 남기고,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방해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10. 대처 및 극복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를 제공해주시면 '대처 및 극복' 섹션 내용을 작성하겠습니다.)

11. 대중 문화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대중 매체에서 역기능 가정을 다룬 작품들을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작품들은 역기능 가정의 현실을 보여주고, 사회에 경각심을 불러일으키는 역할을 한다.

참조

[1] 서적 Forgiving Our Parents, Forgiving Ourselves: Healing Adult Children of Dysfunctional Families https://books.google[...] ReadHowYouWant.com 2019-10-20
[2] 서적 Handbook of Relational Diagnosis and Dysfunctional Family Patterns Wiley-Interscience 1996-01
[3] 서적 Advances in computational intelligence : 1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Processing and Management of Uncertainty in Knowledge-Based Systems, IPMU 2012, Catania, Italy, July 9-13, 2012. Proceedings. http://worldcat.org/[...] Springer 2012
[4] 서적 Advances in computational intelligence : 1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Processing and Management of Uncertainty in Knowledge-Based Systems, IPMU 2012, Catania, Italy, July 9-13, 2012. Proceedings. http://worldcat.org/[...] Springer 2012
[5] 서적 The Abusing Family https://archive.org/[...] Insight Books 1990-04
[6] 서적 If You Had Controlling Parents: How to Make Peace with Your Past and Take Your Place in the World Diane Publishing Company
[7] 웹사이트 Praise, encouragement and rewards https://raisingchild[...] Raising Children Network 2011-04-10
[8] 웹사이트 13 Signs of a Toxic Parent That Many People Don't Realize https://www.lifehack[...]
[9] 간행물 Theoretical Perspectives on Sibling Relationships
[10] 서적 Not My Kid: A Family's Guide to Kids and Drugs https://books.google[...] Arbor Books / Kids of North Jersey Nurses
[11] 문서 Polson and Newton, pp. 81–84
[12] 문서 Polson and Newton, pp. 84–85
[13] 문서 Polson and Newton, pp. 86–90
[14] 문서 Polson and Newton, pp. 85–86
[15] 문서 ''Forgiving Our Parents: For Adult Children from Dysfunctional Families'' by Dwight Lee Wolter c. 1995.
[16] 간행물 Children's Attachments https://www.paediatr[...] 2016
[17] 뉴스 Good parents 'buffer' their kids' minds https://www.smh.com.[...] 2012-06-13
[18] 간행물 The role of child sexual abuse in the etiology of suicide and non-suicidal self-injury https://onlinelibrar[...] 2010
[19] 간행물 Childhood Abuse, Neglect, and Household Dysfunction and the Risk of Illicit Drug Use: The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Study https://publications[...] 2003
[20] 간행물 Who becomes addicted and to what? psychosocial predictors of substance and behavioral addictive disorders https://www.scienced[...] 2020
[21] 간행물 Family conflict and adolescent compulsive buying behavior https://www.emerald.[...] 2019
[22] 간행물 Identifying Loss of Control Eating within Childhood Obesity: The Importance of Family Environment and Child Psychological Distress 2020
[23] 간행물 Illustrating the interface of family and peer relations through the study of child maltreatment https://onlinelibrar[...] 1994
[24] 웹사이트 Betrayal trauma, dissociative experiences and dysfunctional family dynamics: Flashbacks, self-harming behaviors and suicide attempts i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dissociative disorders https://www.research[...]
[25] 서적 Procrastination and Task Avoidance 1995
[26] 서적 Advances in Clinical Child Psychology 1981
[27] 웹사이트 Understanding the Behavioral and Emotional Consequences of Child Abuse https://publications[...] 2008
[28] 웹사이트 Child Abuse http://www.lbfdtrain[...] Long Beach Fire Department Training Center 2009-09-19
[29] 간행물 A Systematic Review of Multiple Family Factors Associated with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2022
[30] 간행물 Low-Income Families With Potential Adolescent Gang Involvement: A Structural Community Family Therapy Integration Model https://www.tandfonl[...] 2013
[31] 간행물 Cycle of child sexual abuse: Links between being a victim and becoming a perpetrator 2001-12
[32] 간행물 Early sexual experiences among pregnant and parenting adolescents https://pubmed.ncbi.[...] 1999
[33] 간행물 Risk Factors for Homelessness: Evidence From a Population-Based Study https://ps.psychiatr[...] 2015
[34] 간행물 Academic Difficulties Found Within Dysfunctional Family Relationships https://www.scienced[...] 1997
[35] 간행물 Childhood trauma, psychosis and schizophrenia: a literature review with theoretical and clinical implications https://onlinelibrar[...] 2005-10-12
[36] 논문 Development of Adolescent Problem Behavior https://link.springe[...] 1999
[37] 논문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trauma: The effects of abuse on the survivor's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and on the children themselves https://www.tandfonl[...] 2007
[38] 서적 アダルトチャイルド物語 星和書店 1996
[39] 서적 "Adult Children of Abusive Parents", pgs. 19-34 Ballantine Books 1989
[40] 서적 "If You Had Controlling Parents: How to Make Peace With Your Past and Take Your Place In the World", pgs. 4-5 Quill Books 2002
[41] 서적 "If You Had Controlling Parents: Making Peace With Your Past and Taking Your Place In the World", pgs. 14-15 Quill Books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