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부산광역시의 유형문화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는 부산광역시가 지정한 유형의 문화재를 의미한다. 동래부동헌, 다대포객사, 망미루, 독진대아문, 동래향교, 충렬사, 가덕도 등대 등 건축물과 범어사, 장안사, 운수사 등 사찰의 불교 문화재, 그리고 고문서, 회화, 공예품 등 다양한 유물을 포함한다. 100호까지 지정되어 있으며, 각 문화재는 부산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서 보존 및 활용되고 있다.

2. 지정 목록

부산광역시의 유형문화재는 역사, 예술, 학술적 가치가 뛰어난 건축물, 유물, 서적 등을 포함하며, 총 300호까지 지정되어 있다. 이 문서에서는 제101호부터 제200호까지의 지정 목록을 제공한다.

번호등록명소재지소유자
제108호해운정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海雲精舍木造阿弥陀如来坐像)해운대구해운정사
제109호해운정사 신중도(海雲精舍神衆図)해운대구해운정사
제110호관음사 금동관음보살좌상(觀音寺金銅觀音菩薩坐像)금정구관음사
제111호관음사 아미타여래회도(觀音寺阿弥陀如來會図)금정구관음사
제112호관음사 지장보살회도(觀音寺地蔵菩薩會図)금정구관음사
제113호관음사 신중도(觀音寺神衆図)금정구관음사
제114호관음사 석조여래좌상(觀音寺石造如來坐像)금정구관음사
제115호개심사 신중도(開心寺神衆図)부산진구개심사
제116호개심사 지장시왕도(開心寺地蔵十王図)부산진구개심사
제117호개심사 산신도(開心寺山神図)부산진구개심사
제118호개심사 독성도(開心寺独聖図)부산진구개심사
제119호개심사 칠성도(開心寺七星図)부산진구개심사
제120호개심사 현왕도(開心寺現王図)부산진구개심사
제121호관음사 감로도(觀音寺甘露図)금정구관음사
제122호관음사 영산회상도(觀音寺霊山會上図)금정구관음사
제123호관음사 천수관음보살도(觀音寺千手觀音菩薩図)금정구관음사
제124호관음사 치성광여래회도(觀音寺熾盛光如來會図)금정구관음사
제125호묘법연화경(妙法蓮華経) (권3~4)금정구
제126호묘법연화경(妙法蓮華経) (권5~7)금정구
제127호묘법연화경(妙法蓮華経) (권4~7)금정구
제128호금정중학교 소장 김해읍내전경도(金井中學校所蔵金海邑内全景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29호금정중학교 소장 부산진순영도(金井中學校所蔵釜山鎭巡營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30호금정중학교 소장 동래부사접왜사도(金井中學校所蔵東萊府使接倭使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31호금정중학교 소장 동래부순절도(金井中學校所蔵東萊府殉節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32호금정중학교 소장 태종대영도사경도(金井中學校所蔵太宗台影島四景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33호금정중학교 소장 동래부지도(金井中學校所蔵東萊府地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34호금정중학교 소장 왜관도(金井中學校所蔵倭館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35호금정중학교 소장 동래읍내도(金井中學校所蔵東萊邑内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36호금정중학교 소장 동래성분왜군노략도(金井中學校所蔵東萊城分倭軍攻略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37호금정중학교 소장 부산진분왜군노략도(金井中學校所蔵釜山鎭分倭軍攻略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38호금정중학교 소장 부산포해전도(金井中學校所蔵釜山浦海戦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39호금정중학교 소장 사명대사일본상봉도(金井中學校所蔵四溟大師日本相逢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40호금정중학교 소장 조일통교지도(金井中學校所蔵朝日通交地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41호금정중학교 소장 동래부사축성사례지도(金井中學校所蔵東萊府使築城謝礼地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42호금정중학교 소장 동래성전투도(金井中學校所蔵東萊城戰闘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43호금정중학교 소장 부산진성전투도(金井中學校所蔵釜山鎭城戰闘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44호금정중학교 소장 조선사절왕환도(金井中學校所蔵朝鮮使節往還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45호금정중학교 소장 동래사아총회지도(金井中學校所蔵東萊士雅総回之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46호금정중학교 소장 동래부사별장창별도(金井中學校所蔵東萊府使別将唱別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47호금정중학교 소장 동래별장사아총회지도(金井中學校所蔵東萊別将士雅総回之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48호금정중학교 소장 동래부사군사훈련도(金井中學校所蔵東萊府使軍事訓練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49호금정중학교 소장 동래향교반궁도(金井中學校所蔵東萊郷校泮宮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50호금정중학교 소장 동래부사영접도(金井中學校所蔵東萊府使迎接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51호금정중학교 소장 동래부사교인식거행렬도(金井中學校所蔵東萊府使交印式擧行行列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52호금정중학교 소장 동래독진대아문도(金井中學校所蔵東萊獨鎭大衙門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53호금정중학교 소장 동래장관청도(金井中學校所蔵東萊將官庁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54호금정중학교 소장 동래군관청도(金井中學校所蔵東萊軍官庁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55호금정중학교 소장 동래충렬사제향도(金井中學校所蔵東萊忠烈祠祭享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56호금정중학교 소장 동래성도(金井中學校所蔵東萊城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57호금정중학교 소장 동래남문진도(金井中學校所蔵東萊南門陣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58호금정중학교 소장 동래내영지도(金井中學校所蔵東萊内營之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59호금정중학교 소장 동래금강사입구도(金井中學校所蔵東萊金剛寺入口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60호금정중학교 소장 동래범어사전경도(金井中學校所蔵東萊梵魚寺全景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61호금정중학교 소장 동래화지산도(金井中學校所蔵東萊花池山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62호금정중학교 소장 동래백산도(金井中學校所蔵東萊白山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63호금정중학교 소장 동래금정산성전도(金井中學校所蔵東萊金井山城全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64호금정중학교 소장 동래마안산성도(金井中學校所蔵東萊馬鞍山城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65호금정중학교 소장 동래해운대도(金井中學校所蔵東萊海雲台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66호금정중학교 소장 동래몰운대도(金井中學校所蔵東萊沒雲台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67호금정중학교 소장 동래다대진도(金井中學校所蔵東萊多大鎭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68호금정중학교 소장 동래서평포진도(金井中學校所蔵東萊西平浦鎭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69호금정중학교 소장 동래수영도(金井中學校所蔵東萊水營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70호금정중학교 소장 부산포지도(金井中學校所蔵釜山浦之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71호금정중학교 소장 부산진지도(金井中 schools所蔵釜山鎭之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72호금정중학교 소장 부산첨사영지도(金井中學校所蔵釜山僉使營之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73호금정중학교 소장 다대포진지도(金井中學校所蔵多大浦鎭之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74호금정중학교 소장 동래봉수대도(金井中學校所蔵東萊烽燧臺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75호금정중학교 소장 동래왜인교거지도(金井中學校所蔵東萊倭人僑居之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76호금정중학교 소장 동래기영회지도(金井中學校所蔵東萊耆英會之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77호금정중학교 소장 동래별신청도(金井中學校所蔵東萊別神庁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78호금정중학교 소장 동래농주산도(金井中學校所蔵東萊弄珠山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79호금정중학교 소장 동래이섭교도(金井中學校所蔵東萊利渉橋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80호금정중학교 소장 동래희경루방회도(金井中學校所蔵東萊喜慶楼榜會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81호금정중학교 소장 동래세병교도(金井中學校所蔵東萊洗兵橋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82호금정중학교 소장 동래구학진도(金井中學校所蔵東萊龜鶴陣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83호금정중학교 소장 동래일신정연회도(金井中學校所蔵東萊日新亭宴會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84호금정중학교 소장 동래관덕정도(金井中學校所蔵東萊觀德亭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85호금정중학교 소장 동래태평관연회도(金井中學校所蔵東萊太平館宴會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86호금정중학교 소장 동래아사도(金井中學校所蔵東萊衙舍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87호금정중학교 소장 동래객사도(金井中學校所蔵東萊客舍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88호금정중학교 소장 동래별장궤연도(金井中學校所蔵東萊別将跪宴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89호금정중학교 소장 동래향청배연도(金井中學校所蔵東萊郷庁排宴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90호금정중학교 소장 동래별과입격도(金井中學校所蔵東萊別科入格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91호금정중학교 소장 동래안락서원도(金井中學校所蔵東萊安楽書院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92호금정중학교 소장 동래충렬사도(金井中學校所蔵東萊忠烈祠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93호금정중학교 소장 동래동헌도(金井中學校所蔵東萊東軒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94호금정중학교 소장 동래내아도(金井中學校所蔵東萊内衙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95호금정중학교 소장 동래점망대도(金井中學校所蔵東萊瞻望臺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96호금정중학교 소장 동래지하여지도(金井中學校所蔵東萊地下如之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97호금정중학교 소장 동래주학교도(金井中學校所蔵東萊州學校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98호금정중학교 소장 동래금단도(金井中學校所蔵東萊禁壇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199호금정중학교 소장 동래망월루도(金井中學校所蔵東萊望月楼図)금정구금정중학교
제200호금정중학교 소장 동래사청도(金井中學校所蔵東萊社庁図)금정구금정중학교


2. 1. 제1호 ~ 제100호

번호등록명소재지소유자
제001호동래부동헌(東莱府東軒)동래구동래구
제002호범어사일주문(梵魚寺一柱門)금정구범어사
제003호다대포객사(多大浦客舎)사하구사하구
제004호망미루(望美樓)동래구동래구
제005호독진대아문(獨鎮大衙門)동래구동래구
제006호동래향교(東萊郷校)동래구향교재단
제007호충렬사(忠烈祠)동래구충렬사 관리사무소
제008호장관청(將官庁)동래구동래기영회
제009호부산 금정구 오층석탑(釜山金井区五層石塔)금정구부산대학교
제010호부산 서구 삼층석탑(釜山西区三層石塔)서구동아대학교
제011호원효암 동편 삼층석탑(元曉庵東便三層石塔)금정구범어사
제012호원효암 서편 삼층석탑(元曉庵西便三層石塔)금정구범어사
제013호고려오층석탑(高麗五層石塔)동래구개인
제014호만덕사지 당간지주(萬德寺址幢竿支柱)북구만덕사
제015호범어사 당간지주(梵魚寺幢竿支柱)금정구범어사
제016호범어사 석등(梵魚寺石燈)금정구범어사
제017호수영성 남문(水営城南門)수영구수영구
제018호동모1(銅矛1)부산진구부산시립박물관
제019호동모2(銅矛2)부산진구부산시립박물관
제020호동파두(銅把頭)부산진구부산시립박물관
제021호군관청(軍官庁)동래구충렬사 관리사무소
제022호범어사명부전(梵魚寺冥府殿)금정구범어사
제023호범방동 삼층석탑(凡方洞三層石塔)강서구강서구
제024호동래부동면고문서(東萊府東下面古文書)남구부산시립박물관
제025호이안눌 청룡암시 목판(李安訥青龍巌詩木板)금정구범어사
제026호천수책판(千手冊版)금정구범어사
제027호어산집책판(魚山集冊版)금정구범어사
제028호범어사·범어사창건사적·범어사고적판(梵魚寺・梵御寺創建史跡・梵魚寺古跡板)금정구범어사
제029호선문첩요책판(禅門撮要冊版)금정구범어사
제030호권왕문판(언문판)(勧王文版 (諺文版))금정구범어사
제031호삼국유사(三国遺事)금정구범어사
제032호태첨화상주심경(太顛和尚注心經)금정구범어사
제033호함허어록(涵虚語録)금정구범어사
제034호지공직지(指空直指)금정구범어사
제035호선종영가집(禅宗永嘉集)금정구범어사
제036호불설대보부모은중경(仏説大報父母恩重経)금정구범어사
제037호육조대사법보단경(六祖大師法宝檀経)금정구범어사
제038호금강반야바라밀경변상(金剛般若波羅蜜経変相)금정구범어사
제039호불조역대통재(仏祖歴代通載)금정구범어사
제040호몽산화상법어약록(蒙山和尚法語略録)금정구범어사
제041호법화경(法華経)금정구범어사
제042호진언집(真言集)서구내원정사
제043호조상경(造像経)서구내원정사
제044호염불보권문(念仏普勧文)서구내원정사
제045호내원정사소장묘법연화경(内院精舎所蔵妙法蓮華経)서구내원정사
제046호범어사명유제증롱(梵魚寺名鍮製蒸籠)남구부산시
제047호내원정사 목조관음보살좌상(内院精舎木造観音菩薩坐像)서구내원정사
제048호유원각선생매안감고비(柔遠閣先生埋案感古碑)남구부산시
제049호포은시고(圃隠詩藁)부산진구부산시
제050호가덕도 등대(加徳島灯台)강서구해양수산부
제051호범어사 사천왕도(梵魚寺四天王図)금정구범어사
제052호범어사 제석신중도(梵魚寺帝釈神衆図)금정구범어사
제053호범어사 관음전 백의관음보살도(梵魚寺観音殿白衣観音菩薩図)금정구범어사
제054호마하사 현왕도(摩訶寺現王図)연제구범어사
제055호범어사 의상대사 영정(梵魚寺義湘大師影幀)금정구범어사
제056호진재 김윤겸 필 영남기행화첩(眞宰金允謙筆嶺南紀行画帖)서구동아대학교박물관
제057호기영각시첩(耆英閣詩帖)서구동아대학교박물관
제058호금강전도십이곡병(金剛全図十二曲屏)서구동아대학교박물관
제059호동래고지도(東萊古地図)서구동아대학교박물관
제060호대원군 초상화(大院君肖像画)서구동아대학교박물관
제061호복천사 지장십왕도(福泉寺地蔵十王図)영도구복천사
제062호복천사 아미타극락회상도(福泉寺阿弥陀極楽会上図)영도구복천사
제063호범어사 팔상·독성·나한전(梵魚寺八相・獨聖・羅漢殿)금정구범어사
제064호대방광불화엄경(大方広仏華厳経) (권40)서구동아대학교박물관
제065호복천사조상경(福泉寺造像経)영도구복천사
제066호선원제선집도서(禅源諸詮集都序)영도구복천사
제067호범어사 대웅전 석가영산회상도(梵魚寺大雄殿釈迦霊山会上図)금정구범어사
제068호범어사 대웅전 삼장보살도(梵魚寺大雄殿三蔵菩薩図)금정구범어사
제069호범어사 대웅전 제석신중도(梵魚寺大雄殿帝釈神衆図)금정구범어사
제070호범어사 관음전 목조관음보살좌상(梵魚寺観音殿木造観音菩薩坐像)금정구범어사
제071호범어사 비로전 목조비로자나삼존불좌상(梵魚寺毘盧殿木造毘盧遮那三尊仏坐像)금정구범어사
제072호범어사 미륵전 목조여래좌상(梵魚寺弥勒殿木造如来坐像)금정구범어사
제073호범어사 석조연화대좌하다석(梵魚寺石造蓮花台座下台石)금정구범어사
제074호자수책거리병풍(刺繍冊巨里屏風)수영구개인
제075호남지기로회도(南池耆老会図)서구동아대학교박물관
제076호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仏説長寿滅罪護諸童子陀羅尼経)금정구
제077호어전준천제명첩(御前濬川題名帖)남구
제078호천상렬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図)남구
제079호이의양필산수도(李義養筆山水図)남구
제080호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経)금정구범어사
제081호보리달마사행론(菩提達磨四行論)금정구범어사
제082호선문염송집(禅門拈頌集)금정구범어사
제083호대방광불화엄경(大方広仏華厳経) (권41)서구동아대학교박물관
제084호이덕성가문적(李德成家文籍)남구
제085호장안사 응진전 석조석가삼존십육나한상(長安寺応眞殿石造釈迦三尊十六羅漢像)기장군장안사
제086호장안사 명부전 석조지장십왕상(長安寺冥府殿石造地蔵十王像)기장군장안사
제087호장안사 대웅전 석가영산회상도(長安寺大雄殿釈迦霊山会上図)기장군장안사
제088호장안사 응진전 석가영산회상도(長安寺応眞殿釈迦霊山会上図)기장군장안사
제089호장안사 명부전 지장보살도(長安寺冥府殿地蔵菩薩図)기장군장안사
제090호범어사 동종(梵魚寺銅鐘)금정구범어사
제091호운수사 대웅전(雲水寺大雄殿)사상구운수사
제092호운수사 대웅전 석조여래삼존좌상(雲水寺大雄殿石造如来三尊坐像)사상구운수사
제093호국청사소장강희오년명금고(国清寺所蔵康熙五年銘金鼓)금정구국청사
제094호장안사 대웅전 석조삼세불좌상(長安寺大雄殿石造三世仏坐像)기장군장안사
제095호선암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일괄(仙巖寺木造阿弥陀如来坐像及び腹蔵遺物一括)부산진구선암사
제096호범어사 원효암 목조관음보살좌상(梵魚寺元曉庵木造観音菩薩坐像)금정구범어사
제097호원광사 석가설법도(圓光寺釈迦説法図)동래구원광사
제098호동래향청고왕록(東萊郷庁考往録)동래구동래향교
제099호동래향교고왕록(東萊郷校考往録)동래구동래향교
제100호대안원년명반자(大安元年銘半子)서구동아대학교박물관


2. 2. 제101호 ~ 제200호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
번호등록명소재지소유자
제101호흑유및흑유정병(黒釉及び黒釉浄瓶)서구동아대학교박물관
제102호분청사기인화국화문사이부태호(粉青沙器印花菊花文四耳附胎壺)서구동아대학교박물관
제103호갑인춘친정도(甲寅春親政図)서구동아대학교박물관
제104호고려사(高麗史)서구동아대학교박물관
제105호천안사소장송광사판법어(天安寺所蔵松廣寺版法語)부산진구천안사
제106호장안사명부전(長安寺冥府殿)기장군장안사
제107호장안사응진전(長安寺応眞殿)기장군장안사


2. 3. 제201호 ~ 제300호

번호지정명칭소재지시대지정일


3. 주요 문화재 상세 설명

(주요 문화재 상세 설명 섹션은 하위 섹션에서 상세하게 다루고 있으므로, 별도의 내용을 작성하지 않는다.)

3. 1. 불교 문화재

부산광역시에는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가진 사찰들이 많으며, 이들 사찰에는 다양한 불교 문화재들이 보존되어 있다.

  • '''범어사'''는 신라 문무왕 때 의상대사가 창건한 사찰로, 부산 지역 불교의 중심지 역할을 해왔다. 범어사에는 삼층석탑, 대웅전을 비롯한 다양한 문화재가 있다.
  • '''범어사 삼층석탑'''은 통일신라 후기에 조성된 석탑으로, 전형적인 신라 석탑 양식을 보여준다.
  • '''대웅전'''은 조선시대에 중건된 건물로, 화려한 단청과 섬세한 조각이 특징이다.
  • '''장안사'''는 신라 문무왕 때 원효대사가 창건한 사찰로, 대웅전등의 문화재가 있다.
  • '''운수사'''는 신라시대에 창건된 사찰로, 대웅전을 비롯한 문화재가 있다.


이 외에도 부산 지역에는 여러 사찰에서 다양한 불교 문화재를 소장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부산 지역 불교의 역사와 특징을 살펴볼 수 있다.

3. 2. 조선시대 유물

동래향교는 조선시대 부산 지역의 대표적인 유교 교육기관으로, 대성전을 비롯한 주요 건물들이 잘 보존되어 있다. 충렬사임진왜란동래성 전투에서 순절한 송상현 부사를 비롯한 호국 영령들을 모신 사당이다. 동래부 동헌은 조선시대 동래부의 관아 건물로, 충신당과 독진대아문 등이 남아있다.

동래부에는 객사와 망미루 등 관아 건축물이 있었는데, 객사는 외국 사신이나 중앙 관리의 숙소로 사용되었고, 망미루는 동래부사의 휴식 공간이었다. 임진왜란과 관련하여 충렬사 외에도 정발 장군을 모신 정공단, 독진대아문, 장관청 등이 역사적 의미를 지닌다.

동래향청고왕록과 동래향교고왕록은 조선 후기 동래 지역 향촌 사회의 운영과 변화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기록물이다. 이들 기록물에는 향촌 사회의 조직, 재정, 의례 등이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어 당시 사회상을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로 활용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