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루손어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루손어군은 약 40개의 언어로 구성된 언어군으로, 필리핀 루손섬 북부에 분포한다. 일로카노어, 이스나그어, 이바나그어, 갓당어, 칼링가어, 이푸가오어, 팡가시난어 등이 포함된다. 북루손어군은 일로카노어, 아르타어, 디카메이 아그타어, 카가얀 계곡, 북동 루손, 메소-코르디예라의 5개 분기로 나뉜다. 북루손어군 조어는 말레이폴리네시아 조어에서 기원했으며, 종성 *ʔ의 소실, *s와 *t의 전위와 같은 음운론적 특징을 보인다. 이 언어군에서만 발견되는 어휘 혁신도 존재하며, 이고로트족, 일로카노족 등이 이 언어군에 속하는 언어를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북루손어군 | |
---|---|
언어 정보 | |
언어 이름 | 북루손어군 |
다른 이름 | 코르디예라어군 |
사용 지역 | 루손섬 북부 |
어족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
어파1 |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
어파2 | 필리핀어군 (?) |
Glottolog | nort3238 |
Glottolog 설명 | 북루손어군 |
![]() | |
하위 어군 | |
하위 어군 목록 | 일로카노어 카가얀밸리어군 동남코르디예라어군 동북루손어군 디카마이아그타어 아르타어 |
2. 분류
북루손어군은 크게 일로카노어, 카가얀밸리어군, 동남코르디예라어군, 동북루손어군, 디카마이 아그타어, 아르타어로 분류된다.
로렌스 리드 (2018)는 30개가 넘는 북루손 언어를 북동 루손, 카가얀 계곡 및 메소-코르디예라 하위 그룹으로 나누고, 일로카노와 아르타어를 별도의 분기로 분류하였다.[1][2]
2. 1. 일로카노어
북루손어군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언어 중 하나이다.[1][2]2. 2. 카가얀밸리어군
카가얀밸리어군은 이스나그어, 이바나그어군, 갓당·카가얀어군으로 구성된다. 이바나그어군은 아타어, 이바나그어, 이타위스어, 요가드어로 구성되며, 갓당·카가얀어군은 중앙 카가얀 아그타어, 갓당어(Gaddang), 가당어(Ga'dang)로 구성된다.[1][2]2. 3. 동남코르디예라어군
동남코르디예라어군은 알타어군 (북알타어, 남알타어), 중앙코르디예라어군 (이시나이어, 칼링가·이트네그어군, 핵심 코르디예라어군), 남코르디예라어군 (일롱고트어, 팡가시난어군)으로 구성된다.- '''알타어군'''
- 북알타어
- 남알타어
- '''중앙코르디예라어군'''
- 이시나이어
- '''칼링가·이트네그어군'''
- 이트네그어
- 칼링가어
- '''핵심 코르디예라어군'''
- 이푸가오어
- '''본톡·발랑가오어군'''
- 발랑가오어
- '''본톡·캉카나에이어군'''
- 본톡어
- 캉카나에이어
- '''남코르디예라어군'''
- 일롱고트어
- '''팡가시난어군'''
- 팡가시난어
- '''벵게트어군'''
- 이발로이어
- 이와크어
- 칼랑구야어
- 카라오어
2. 4. 동북루손어군
두파닝간 아그타어[7], (핵심) 디나피게 아그타어, 카시구란 아그타어, 나그티푸난 아그타어, 파하난 아그타어, 파라난어로 구성된다.2. 5. 디카마이 아그타어 (†)
디카마이 아그타어는 필리핀에서 쓰이던 북루손어군의 언어였으나 사멸되었다.[1][2]2. 6. 아르타어
로렌스 리드는 30개가 넘는 북루손 언어를 5개의 분기로 나누었는데, 아르타어는 그 중 하나의 분기로 취급된다.[1][2]3. 음운 체계
Reid (2006)는 북루손어군 조어의 음운 체계를 재구축했으며, 강세가 음소적으로 존재한다고 보았다.[5]
*i | *ɨ | *u |
*a |
3. 1. 특징
Reid (2006)는 북루손어군 조어의 음운 체계를 재구축했으며, 강세가 음소적으로 존재한다.[5]
북루손어군 조어의 음소 목록은 다른 필리핀어와 구별되는 말레이폴리네시아 조어에서 비롯된 혁신이 없다. 그러나 북루손어군의 특징을 나타내는 두 가지 음운론적 혁신이 있다.
- 종성 *ʔ (< *q)의 소실
- *s와 *t의 전위, 예: 북루손어군 조어 *saŋitmis < 말레이폴리네시아 조어 *taŋismis '울다', *Rasutmis < *Ratusmis '백'.
4. 어휘
북루손어군에서만 발견되는 어휘 혁신으로는 *dutdut|둣둣|깃털, 체모mis, *kəməl|커멀|짜다mis, *lətəg|러턱|부풀다mis, *yəgyəg|여겨그|지진mis, *takdəg|딱더그|서다mis, *ʔubət|우벗|엉덩이mis가 있다. 의미 변화도 관찰되는데, 예를 들어 *ʔatəd|아떠드|주다mis (원시 필리핀어 *hatəd|하떠드|호위하다mis 비교)와 *laman|라만|멧돼지mis (원시 필리핀어 *laman|라만|살mis 비교)가 있다.[3]
5. 관련 민족
이고로트족, 일로카노족 등이 있다.
참조
[1]
간행물
Modeling the linguistic situation in the Philippines
https://minpaku.repo[...]
Senri Ethnological Studies, Minpaku
2018
[2]
문서
indicates that the language is extinct.
[3]
논문
The Northeastern Luzon Subgroup of Philippine Languages
2013
[4]
간행물
The Meso-Cordilleran Group of Philippine Languages
Linguistic Society of the Philippines and SIL Philippines
2005
[5]
학술지
On reconstructing the morphosyntax of Proto-Northern Luzon
2006
[6]
간행물
Modeling the linguistic situation in the Philippines
https://minpaku.repo[...]
Senri Ethnological Studies, Minpaku
2018
[7]
논문
The Northeastern Luzon Subgroup of Philippine Languages
2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