팡가시난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팡가시난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필리핀 팡가시난주를 중심으로 주변 지역에서 사용된다. 타갈로그어, 일로카노어 등과 유사하며, 말레이어, 인도네시아어 등과도 관련이 있다. 팡가시난어는 팡가시난주의 공식 언어이며, 팡가시난족의 언어이다. 팡가시난어는 동사-주어-목적어 어순을 따르며 교착어의 특징을 가진다. 고유의 문학과 문자 체계를 가지고 있었으나, 스페인 식민지 시대와 미국 통치 시기를 거치며 스페인어와 영어의 영향을 받아 차용어가 많아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루손어군 - 이바나그어
이바나그어는 필리핀 북동부에서 사용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필리핀 언어로, 북부와 남부 방언으로 나뉘며 모국어 기반 교육 프로그램에 따라 학교에서 교육된다. - 북루손어군 - 일로카노어
일로카노어는 타이완에서 기원한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필리핀 루손 북부와 중부에서 주로 사용되며 약 7백만 명의 사용자가 있고, 라 유니온 주에서 공식 지방 언어로 인정받았으며, 바이바인 음절 문자를 사용했으나 현재는 로마자로 표기한다. - VSO형 언어 - 하와이어
하와이어는 하와이 제도에서 시작된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한때 하와이 왕국의 공용어였으나 미국에 의한 왕국 전복 후 사용자가 줄어 소멸 위기에 처했지만, 하와이 문화 부흥 운동과 교육 활성화, 그리고 1978년 하와이주의 공용어 지정으로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 유네스코에 의해 소멸 위기 언어로 분류되었으나 니이하우섬에서는 여전히 사용되고 대학교에서도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 VSO형 언어 - 타갈로그어
타갈로그어는 필리핀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필리핀어의 기초가 되며 해외 이민자 공동체에서도 사용되고, 라틴 알파벳 기반에 독특한 음운론 및 문법 특징, 스페인어와 영어 차용어를 포함한다. - 필리핀의 언어 - 필리핀어
필리핀어는 타갈로그어를 기반으로 발전하여 다른 필리핀 언어들의 요소를 수용하며 진화하는 필리핀의 국어이자 공용어로서, 필리핀어 위원회에서 발전과 표준화를 담당하고 있으며, 법원에서도 사용이 장려되지만 타갈로그어와의 관계 및 다른 언어들과의 통합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 필리핀의 언어 - 타갈로그어
타갈로그어는 필리핀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필리핀어의 기초가 되며 해외 이민자 공동체에서도 사용되고, 라틴 알파벳 기반에 독특한 음운론 및 문법 특징, 스페인어와 영어 차용어를 포함한다.
팡가시난어 | |
---|---|
기본 정보 | |
토착어 이름 | 살리탄 팡가시난 |
발음 | /paŋɡasiˈnan/ |
사용 국가 | 필리핀 |
사용 지역 | 일로코스 지방 (전체 팡가시난 주, 남서부 라 union 주) 중앙루손 지방 (북부 타를라크 주, 북서부 누에바에시하 주, 북부 삼발레스 주) 코르딜레라 행정구 (남서부 벵게트 주) 카가얀 밸리 (남서부 누에바비스카야 주) |
사용자 | 팡가시난족 |
화자 수 | 180만 명 (2010년) |
언어 순위 | 필리핀에서 8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토착어 |
언어 분류 | |
어족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
어파 |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
어군 | 필리핀어군 |
하위 어군 | 북부 필리핀어군 |
세부 어군 | 북부 루손어군 |
더 세부 어군 | 메소-코르딜레라어군 |
가장 세부 어군 | 남부 코르딜레라어군 |
추가 분류 | 서부 남부 코르딜레라어군 |
문자 체계 | |
문자 | 라틴 문자 (팡가시난 알파벳) |
역사적 문자 | 쿠리탄 |
지위 | |
국가 | 팡가시난 주 |
소수 언어 | 필리핀 (지역 언어) |
관리 기관 | 필리핀 언어 위원회 |
언어 코드 | |
ISO 639-2 | pag |
ISO 639-3 | pag |
Glottolog | pang1290 |
2. 분류
팡가시난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한 갈래인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에 속한다.[13][14] 필리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마다가스카르에서도 팡가시난어가 사용된다는 점에서 타갈로그어, 일로카노어와 비슷하다.[15] 팡가시난어는 이웃한 벵게트주와 팡가시난 북쪽에 위치한 바기오에서 사용되는 이발로이어와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팡가시난어는 팡가시난 언어 집단으로 분류되며, 팡가시난과 벵게트주 뿐만 아니라 이웃한 일부 삼발레스주, 타를라크주, 누에바에히아주, 아우로라, 누에바비스카야주, 이푸가오주에서도 통용된다. 팡가시난어는 교착어이다.
팡가시난어는 필리핀어군, 말레이시아의 말레이어(말레이시아어), 인도네시아어, 브루나이, 싱가포르, 하와이의 하와이어, 마다가스카르의 말라가시어와 유사하다.[7]
팡가시닉어군은 다음과 같다.[8]
이발로이어 |
카라오어 |
이와크어 |
칼랑구야어 |
팡가시난어 |
팡가시난어는 루손섬 서부 중앙, 링가옌 만을 따라 위치한 팡가시난주의 공식 언어이다. 팡가시난 사람들은 팡가시난족이라고도 불린다. 팡가시난주는 2000년 기준 총 인구 2,343,086명으로, 그 중 200만 명이 팡가시난어를 사용한다. 2020년 현재 팡가시난어는 필리핀에서 가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주요 언어 중 10위를 차지하며, 334,759 가구만이 이 언어를 사용한다.[9]
오스트로네시아어족 화자들은 선사 시대에 해양 동남아시아에 정착했는데, 그 연대는 5천 년 전보다 더 오래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팡가시난어의 원주민 화자들은 이러한 정착자들의 후손으로, 1만 년에서 6천 년 전 사이에 남중국에서 타이완을 거쳐 시작된 광범위한 이주의 물결을 시작한 이들이었다.
3. 분포
팡가시난어는 필리핀의 다른 팡가시난 공동체, 주로 인접한 벵게트주, 라 union, 누에바에시하주, 타를라크주, 삼발레스주, 누에바 비스카야주에서 사용되며, 메트로 마닐라, 카가얀, 이사벨라주, 불라칸주, 바탄주, 아우로라주, 케손주, 카비테주, 라구나주, 민도로섬, 팔라완주 및 민다나오섬, 특히 SOCCSKSARGEN, 다바오 지역, 카라가, 부키드논주 및 미사미스 오리엔탈주에서도 다양한 화자들이 사용하고 있다.
4. 역사
팡가시난이라는 단어는 '소금의 땅' 또는 '소금 생산지'를 의미하며, 팡가시난어에서 소금을 뜻하는 어근 'asin'에서 유래되었다. 팡가시난은 소금 상자 또는 소금을 넣은 제품을 언급할 때도 사용된다.
4. 1. 문학
스페인 시대와 미국 시대 동안 팡가시난어로 쓰인 문학과 구전 문학이 번성했다. 후안 사이간, 펠리페 킨토스, 나르시소 코르푸스, 안토니오 솔리스, 후안 비야밀, 후안 메히아, 마리아 C. 막사노와 같은 작가들이 팡가시난어로 글을 쓰고 출판했다. 팡가시난의 카티푸난 장교였던 펠리페 킨토스는 Sipi Awaray: Gelew Diad Pilipinas|시피 아와라이: 겔레우 디아드 필리피나스pag (Revolución Filipina|필리핀 혁명es)를 썼는데, 이는 팡가시난과 주변 지방에서 일어난 카티푸난 혁명 투쟁의 역사이다. 나르시소 코르푸스와 안토니오 솔리스는 공동으로 단편 로맨스 소설인 Impanbilay na Manoc a Tortola|임판빌라이 나 마녹 아 토르톨라pag를 썼다. (린가옌, 팡가시난: 구마위드 출판사, 1926)[1]
후안 비야밀은 호세 리살의 "나의 마지막 작별"을 팡가시난어로 번역했다. 파블로 메히아는 1920년대에 뉴스 잡지 Tunong|투농pag을 편집했다. 그는 또한 리잘의 전기인 Bilay tan Kalkalar nen Rizal|빌라이 탄 칼칼라르 넨 리잘pag을 썼다. 막사노는 문학 잡지 Silew|실레우pag를 출판했다. 막사노는 또한 로맨스 소설 Samban Agnabenegan|삼반 아그나베네간pag도 썼다. ''팡가시난 쿠리어''는 팡가시난어로 기사와 문학 작품을 게재했다. ''파이어니어 헤럴드''는 팡가시난어로 문학 부록 Sinag|시나그pag을 게재했다. 팡가시난어로 된 많은 기독교 출판물이 널리 보급되어 있다.[1]
5. 음운
팡가시난어는 다음과 같은 모음 음소를 가지고 있다.[8][1]
고유 어휘에서 /i/와 /u/는 [i ~ ɪ ~ ɛ]와 [u ~ ʊ ~ ɔ]로 실현된다. 폐모음 변이음 [i]/[u]는 강세를 받는 열린 음절에서만 사용되며, 중모음 변이음 [ɛ]/[ɔ]는 쉼표 앞의 열린 음절과 닫힌 마지막 음절에서 나타난다. 기본 변이음 [ɪ]/[ʊ]는 다른 모든 환경에서 나타난다.[8]
일부 화자들은 /ɛ/와 /ɔ/를 차용어에서만 별개의 음소로 가지고 있다.[8]
팡가시난어는 [ɾ]-[d] 변이음을 나타내지 않는 필리핀 언어 중 하나이며, 자음 앞과 단어 마지막 위치에서만 대립을 보인다. 그 외에는 변이음이 되며, 여기서 [d]는 단어의 첫머리와 자음 뒤, 그리고 [ɾ]는 모음 사이에서만 위치한다. 자음 앞과 단어 마지막 위치에서 [ɾ]는 자유 변이를 통해 치조 전동음 [r]과 동일하게 발음된다. 스페인어 차용어에서는 [d]와 [ɾ]가 모든 단어 위치에서 대립한다.
/h, ʔ/를 제외한 모든 자음 음소는 음절 초두 또는 종결이 될 수 있다. 음소 /h/는 종결 위치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스페인어 단어 reloj|레로흐es '시계'는 [re.loh]로 들렸을 텐데, 최종 /h/가 탈락하여 /re.lo/가 된다. 그러나 이 단어는 팡가시난어 어휘에 일찍 들어와서 단어가 여전히 /re.loʒ/로 발음되었을 수도 있는데, 여기서 ''j''는 프랑스어 음운론에서와 같이 발음되어 팡가시난어에서는 /re.los/가 된다. 결과적으로 /re.lo/와 /re.los/가 모두 나타난다.
성문 파열음 /ʔ/는 종결로 허용되지 않으며, 초두로만 나타날 수 있다. 초두로 나타나더라도, 성문 파열음은 접사 부착 시 사라진다. 성문 파열음 /ʔ/은 모음으로 끝나는 단어에서, 일시 정지 전에만 ''때때로'' 종결에 나타난다.
6. 문법
다른 말레이폴리네시아어족 언어와 마찬가지로 팡가시난어는 동사-주어-목적어 어순을 따른다. 팡가시난어는 교착어이다.
6. 1. 대명사
rowspan="2" colspan="3" | | 절대격 | 주격 | 사격 | |||
---|---|---|---|---|---|---|
독립형 | 부착형 | |||||
1인칭 | 단수 | siák|시아크pag | ak|아크pag | -k(o)|-코pag | ed siak|에드 시아크pag | |
쌍수 | sikatá|시카타pag | ita, ta|이타, 타pag | -ta|-타pag | ed sikata|에드 시카타pag | ||
복수 | 포함 | sikatayó|시카타요pag | itayo, tayo|이타요, 타요pag | -tayo|-타요pag | ed sikatayo|에드 시카타요pag | |
배타 | sikamí|시카미pag | kamí|카미pag | mi|미pag | ed sikami|에드 시카미pag | ||
2인칭 | 단수 | siká|시카pag | ka|카pag | -m(o)|-모pag | ed sika|에드 시카pag | |
복수 | sikayó|시카요pag | kayó|카요pag | yo|요pag | ed sikayo|에드 시카요pag | ||
3인칭 | 단수 | sikató|시카토pag | -, -a|-, -아pag | to|토pag | ed sikato|에드 시카토pag | |
복수 | sikara|시카라pag | ira, ra|이라, 라pag | da|다pag | ed sikara|에드 시카라pag |
6. 2. 명사 접사
Benton (1971)은[10] 명사에 사용되는 여러 접사를 나열한다. Benton은 팡가시난어의 접사를 "명사적" (명사에 직접 붙는 접사)과 "명사화" (다른 품사를 명사로 바꾸는 접사)로 설명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명사에 적용되지 않고 기존 단어의 일부로만 발견되는 "비생산적 접사"도 설명하는데, 이러한 비생산적 접사 중 다수는 스페인어에서 파생된 단어에서 발견된다.7. 문자 체계
현대 팡가시난어는 27개의 문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기본 라틴 문자의 26개 문자와 팡가시난어 이중 자음 'ng'가 포함된다.
고대 팡가시난 사람들은 쿠리탄(Kuritan)이라고 불리는 고유의 표기 체계를 사용했다. 고대 팡가시난 문자는 타갈로그어 바야빈 문자와 관련이 있으며, 인도네시아의 자바어 카위 문자와 남인도의 바텔루투 또는 팔라바 문자에서 파생되었다.
라틴 문자는 스페인 식민주의 시대에 도입되었다. 팡가시난어 문학은 고유의 음절 문자 및 라틴 문자를 사용하여 스페인과 미국 식민지 시대에 번성했다. 팡가시난어는 많은 스페인어와 영어 단어를 차용했으며, 일부 고유 단어는 스페인어화되거나 영어화되었다. 그러나 고대 음절 문자의 사용은 감소했으며, 이 문자로 쓰인 문학 작품은 많이 남아 있지 않다.
8. 차용어
팡가시난어의 차용어는 대부분 스페인어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필리핀이 300년 이상 스페인의 지배를 받았기 때문이다. 차용어의 예시로는 lugarpag ('장소'), podirpag (''poder''에서 유래, '권력, 관리'), kontrapag (contraes에서 유래, '반대'), birdipag (verdees에서 유래, '녹색'), ispiritupag (espíritues에서 유래, '영혼'), 그리고 santopag ('거룩한, 성인') 등이 있다.[1]
9. 예시
훌리안 벨라스코(Julian Belasco)의 시 ''말리낙 야 라비(Malinak lay Labi)''는 팡가시난어로 쓰여진 작품으로, 현대 팡가시난어 번역과 영어 번역이 함께 제공된다.
'''말리낙 야 라비''' (원작: 훌리안 벨라스코)
말리낙 야 라비|Malinak ya Labipag
오라스 야 마레엔|Oras ya Mareenpag
마팔팔나이 다겜|Mapalpalna'y Dagempag
카테켑 토'이 리나에|Katekep to'y Linaewpag
사밋 데이 꼬깁 코|Samit da'y Kogip kopag
비낭고난 콘 땀볼|Binangonan kon tampolpag
타 필릿 나 푸속 야 시카'이 아마마요엔|Ta pilit na pusok ya sika'y amamayuenpag
라로 라 노 빌라이|Lalo la no bilaypag
노 시카라이 나넹넹|No sika la'y nanengnengpag
나푸나스 야 아미'이|Napunas ya ami'ipag
에르멘 야 악비비텐|Ermen ya akbibitenpag
노 노드노톤 코 라'이 사밋 나 오갈림|No nodnonoton ko la'y samit na ogalimpag
악타카 날링와난|Aktaka nalingwananpag
앙가드 카아오스 나 빌라이|Anggad kaaos na bilaypag
'''현대 팡가시난어와 영어 번역'''
Malinak lay Labi|Malinak lay Labipag
오라스 라’이 마레엔|Oras la’y Mareenpag
마팔팔나’이 다겜|Mapalpalna’y Dagempag
카테켑 토’이 리나에|Katekep to’y Linaewpag
사밋 데이 쿠깁 코|Samit da'y Kugip kopag
비낭고난 콘 땀볼|Binangonan kon tampolpag
라푸’드 사이 림가스 모|Lapu’d say limgas mopag
시칸 시카’이 아마마요엔|Sikan sika’y amamayuenpag
라로 라 빌라이|Lalo la bilaypag
노 시카 라’이 나넹네'응|No sika la’y nanengne'ngpag
나푸나스 란 아민|Napunas lan aminpag
소 에르멘 야 악비비텐|So ermen ya akbibitenpag
노 나노노탄|No nanonotanpag
코 라’이 사밋 데이 우갈림|ko la’y samit da'y ugalimpag
악 타 카 날링와난|Ak ta ka nalingwananpag
앙가’드 카우요스 나 빌라이|Angga’d kauyos na bilaypag
: 고요한 밤
: 평화로운 시간
: 부드러운 산들바람
: 이슬과 함께
: 내 꿈은 너무 달콤해
: 갑자기 깨어났어
: 너의 아름다움 때문에
: 너는 내가 사랑할 유일한 사람이야
: 무엇보다도, 나의 삶
: 내가 너를 볼 때
: 모두 지워져
: 내가 짊어진 슬픔
: 내가 기억할 때
: 너의 다정한 친절함
: 나는 너를 잊지 않을 거야
: 삶이 다할 때까지
9. 1. 단어
siakpag, akpag (나), sikapag, kapag (너, 단수), sikatopag (그/그녀), katopag (그) 등 기본적인 대명사를 포함하여 다양한 단어들이 존재한다.품사 | 팡가시난어 | 한국어 |
---|---|---|
대명사 | siakpag, akpag | 나 |
대명사 | sikapag, kapag | 너 (단수) |
대명사 | sikatopag | 그/그녀 |
대명사 | katopag | 그 |
대명사 | sikamipag, kamipag, mipag, sikatayopag, tayopag, sikatapag, tapag | 우리 |
대명사 | sikayopag, kayopag, yopag | 너희 (복수) |
대명사 | sikarapag (sika irapag) | 그들 |
지시사 | ayapag | 이것 |
지시사 | atanpag, amanpag | 저것 |
부사 | diapag | 여기 |
부사 | dimanpag, ditanpag | 저기 |
의문사 | siopapag, siopag, sipag | 누구 |
의문사 | antopag | 무엇 |
의문사 | inerpag | 어디 |
의문사 | kapiganpag, piganpag | 언제 |
의문사 | panopag, panontopag | 어떻게 |
부정 | agpag, andipag, alegpag, aliwapag | 아니다 |
수사 | aminpag | 모두 |
수사 | amayamaypag, dakelpag | 많은 |
수사 | pigarapag (piga irapag) | 일부 |
수사 | daisetpag | 적은 |
수사 | arompag | 다른 |
수사 | isapag, sakeypag | 하나 |
수사 | duapag, duarapag (dua irapag) | 둘 |
수사 | talopag, talorapag (talo irapag) | 셋 |
수사 | apatpag, apatirapag (apat irapag) | 넷 |
수사 | limapag, limarapag (lima irapag) | 다섯 |
형용사 | balegpag | 큰 |
형용사 | andokeypag | 긴 |
형용사 | maawangpag, malaparpag | 넓은 |
형용사 | makapalpag | 두꺼운 |
형용사 | ambelatpag | 무거운 |
형용사 | melagpag, melantingpag, tingotpag, daisetpag | 작은 |
형용사 | melagpag, melantingpag, tingotpag, antikeypag, kulangpag, abebapag | 짧은 |
형용사 | maingetpag | 좁은 |
형용사 | mabengpag, maimpispag | 얇은 |
명사 | biipag | 여자 |
명사 | lakipag, bologpag | 남자 |
명사 | toopag | 인간 |
명사 | ogawpag | 아이 |
명사 | asawapag, kaamongpag | 아내 (배우자) |
명사 | asawapag, kaamongpag | 남편 (배우자) |
명사 | inapag | 어머니 |
명사 | amapag | 아버지 |
명사 | ayeppag | 동물 |
명사 | sirapag, ikanpag | 물고기 |
명사 | manokpag, siwsiwpag | 새 (병아리) |
명사 | asopag | 개 |
명사 | kotopag | 이 |
명사 | olegpag | 뱀 |
명사 | bigispag (세균), alumbayarpag (지렁이) | 벌레 |
명사 | kiewpag, tanempag (식물) | 나무 |
명사 | kakiewanpag, katakelanpag | 숲 |
명사 | bislakpag, sangapag | 막대기 |
명사 | bungapag | 과일 |
명사 | bokelpag | 씨앗 |
명사 | bolongpag | 잎 |
명사 | lamotpag | 뿌리 |
명사 | obakpag | 껍질 |
명사 | bulaklakpag, rosaspag | 꽃 |
명사 | dikapag | 풀 |
명사 | singerpag, lubirpag, takerpag | 밧줄 |
명사 | baogpag, katatpag | 피부 |
명사 | lamanpag | 고기 |
명사 | dalapag | 피 |
명사 | pukelpag | 뼈 |
명사 | matabapag, tabapag | 지방 |
명사 | iknolpag | 달걀 |
명사 | saklorpag | 뿔 |
명사 | ikolpag | 꼬리 |
명사 | kulaanpag | 장소 |
동사 | laenpag | 가다 |
부사 | anggapopag | 아무것도 아님 |
명사 | bagopag | 깃털 |
명사 | buekpag | 머리카락 |
명사 | olopag | 머리 |
명사 | layagpag | 귀 |
명사 | matapag | 눈 |
명사 | elengpag | 코 |
명사 | sangipag | 입 |
명사 | ngipenpag | 이 |
명사 | dilapag | 혀 |
명사 | kokopag | 손톱 |
명사 | salipag | 발 |
명사 | bikkingpag | 다리 |
명사 | puegpag | 무릎 |
명사 | limapag | 손 |
명사 | payakpag | 날개 |
명사 | egespag | 배 |
명사 | paitpag | 내장 |
명사 | beklewpag | 목 |
명사 | benegpag | 등 |
명사 | pagewpag, susopag | 가슴 |
명사 | pusopag | 심장 |
명사 | alteypag | 간 |
동사 | inompag | 마시다 |
동사 | manganpag, akanpag, kamotpag | 먹다 |
동사 | ketketpag | 물다 |
동사 | sepseppag, susopag | 빨다 |
동사 | lutdapag | 뱉다 |
동사 | utapag | 토하다 |
동사 | sibokpag | 불다 |
동사 | engaspag, ingaspag, dongappag, linawapag, angespag | 숨쉬다 |
동사 | elekpag | 웃다 |
동사 | nengnengpag | 보다 |
동사 | dengelpag | 듣다 |
동사 | amtapag, kabatpag | 알다 |
동사 | nonotpag | 생각하다 |
동사 | angobpag | 냄새 맡다 |
동사 | takotpag | 두려워하다 |
동사 | ogippag | 자다 |
동사 | bilaypag | 살다 |
동사 | onpateypag, pateypag | 죽다 |
동사 | manpateypag, pateypag | 죽이다 |
동사 | labanpag, kolkolpag, bakalpag | 싸우다 |
동사 | managnoppag, anoppag, manpanapag, manerelpag | 사냥하다 (잡다) |
동사 | tirapag, naknapag, pekpekpag | 때리다 |
동사 | tegtegpag, sugatpag | 자르다 |
동사 | pisagpag, puterpag, palduapag | 쪼개다 (반) |
동사 | saksakpag, doyokpag | 찌르다 |
동사 | gugopag, gorgorpag, korkorpag | 긁다 |
동사 | kotkotpag | 파다 |
동사 | langoypag | 수영하다 |
동사 | tikyabpag | 날다 |
동사 | akarpag | 걷다 |
동사 | galapag, galipag, onsabipag, sabipag | 오다 |
동사 | dokolpag (눕다), tilapag (거짓말하다) | 눕다 |
동사 | yorongpag (i-orongpag) | 앉다 |
동사 | alageypag | 서다 |
동사 | likopag, telekpag | 돌다 |
동사 | pelagpag (떨어뜨리다), tumbapag | 떨어지다 |
동사 | iterpag, itdanpag (iteranpag) | 주다 |
동사 | benbenpag | 잡다 |
동사 | pespespag | 짜다 |
동사 | kuskospag, gorgorpag, poyokpag | 문지르다 |
동사 | oraspag | 씻다 |
동사 | ponaspag | 닦다 |
동사 | goyorpag | 잡아당기다 |
동사 | tolakpag | 밀다 |
동사 | topakpag | 던지다 |
동사 | singerpag | 묶다 |
동사 | daitpag | 꿰매다 |
동사 | bilangpag | 세다 |
동사 | ibagapag, ibagampag | 말하다 |
동사 | togtogpag, kansiyonpag | 노래하다 |
동사 | galawpag | 놀다 |
동사 | letawpag | 뜨다 |
동사 | agospag | 흐르다 |
동사 | kigtelpag | 얼다 |
동사 | laragpag | 부풀다 |
명사 | agewpag, banuapag | 해 |
명사 | bulanpag | 달 |
명사 | bitewenpag | 별 |
명사 | danumpag | 물 |
명사 | uranpag | 비 |
명사 | ilogpag, kalayanpag, patalanpag, angalakanpag | 강 |
명사 | lookpag | 호수 |
명사 | dayatpag, laotpag | 바다 |
명사 | asinpag | 소금 |
명사 | batopag | 돌 |
명사 | buerpag | 모래 |
명사 | dabokpag | 먼지 |
명사 | dalinpag | 흙 |
명사 | lorempag | 구름 |
명사 | kelpapag | 안개 |
명사 | tawenpag | 하늘 |
명사 | dagempag | 바람 |
명사 | linewpag | 눈 |
명사 | pakigtelpag | 얼음 |
명사 | asewekpag | 연기 |
명사 | apoypag, poolpag (불꽃), dalangpag (화염) | 불 |
명사 | dapolpag | 재 |
동사 | poolpag, sinitpag | 타다 |
명사 | dalanpag, basbaspag (길) | 길 |
명사 | palandeypag | 산 |
형용사 | ambalangapag, pulapag | 빨간색 |
형용사 | ampasisengpag, pasisengpag, birdi | 녹색 |
형용사 | duyawpag | 노란색 |
형용사 | amputipag, putipag | 흰색 |
형용사 | andeketpag, deketpag | 검은색 |
명사 | labipag | 밤 |
명사 | agewpag | 낮 |
명사 | taonpag | 해 |
형용사 | ampetangpag, petangpag | 뜨거운 |
형용사 | ambetelpag, betelpag | 차가운 |
형용사 | napselpag (napeselpag), napnopag (napanopag) | 가득한 |
형용사 | balopag | 새로운 |
형용사 | daanpag | 낡은 |
형용사 | dugapag, maongpag, abigpag | 좋은 |
형용사 | aliwapag, maogespag | 나쁜 |
형용사 | abolokpag, bolokpag | 썩은 |
형용사 | maringotpag, dingotpag, marutakpag, dutakpag | 더러운 |
형용사 | maptekpag, petekpag | 곧은 |
형용사 | malimpekpag, limpekpag, tibokelpag | 둥근 |
형용사 | matdempag (matarempag), tarempag | 날카로운 |
형용사 | mangmangpag, epelpag | 무딘 |
형용사 | palanaspag, patadpag, patarpag | 매끄러운 |
형용사 | ambasapag, basapag | 젖은 |
형용사 | amagapag, magapag | 마른 |
형용사 | dugapag, tuapag | 맞는 (진실) |
형용사 | asingerpag | 가까운 |
형용사 | arawipag | 먼 |
형용사 | kawananpag | 오른쪽 |
형용사 | kawigipag | 왼쪽 |
전치사 | edpag | ~에 |
전치사 | edpag | 안에 |
전치사 | ibapag | ~와 함께 |
접속사 | tanpag | 그리고 |
접속사 | nopag | 만약 |
접속사 | tapag, lapu edpag | 왜냐하면 |
명사 | ngaranpag | 이름 |
명사 | imispag, ngiriyetpag | 미소 |
명사 | lakipag | 할아버지 |
명사 | baipag | 할머니 |
형용사 | maganapag, masantingpag, marakeppag | 아름다운 |
형용사 | tuapag, tod-tuapag | 진실 |
형용사 | aliwapag | 잘못된 |
형용사 | ambangetpag | 냄새 |
형용사 | masamitpag, mananampag | 맛있는 |
동사 | inaro takapag, inar-aro takapag | 사랑해 |
- '''기타 표현'''
- ''Maabig ya agew!'' - 좋은 하루 되세요!
- ''Maabig a kabuasan!'' - 좋은 아침입니다!
- ''Maabig a ngarem!'' - 좋은 오후 되세요!
- ''Maabig a labi!'' - 좋은 저녁 되세요!
9. 2. 문장
다른 말레이폴리네시아어족 언어와 마찬가지로 팡가시난어는 동사-주어-목적어 어순을 따른다. 팡가시난어는 교착어이다.9. 3. 숫자
다음은 1에서 10까지의 숫자 목록이다.영어 | 타갈로그어 | 팡가시난어 |
---|---|---|
one | isa|이사tl | sakey|사케이pag |
two | dalawa|달라와tl | duara|두아라pag, dua|두아pag |
three | tatlo|타틀로tl | talora|탈로라pag, talo|탈로pag |
four | apat|아팟tl | apatira|아파티라pag, apat|아팟pag |
five | lima|리마tl | limara|리마라pag, lima|리마pag |
six | anim|아님tl | anemira|아네미라pag, anem|아넴pag |
seven | pito|피토tl | pitora|피토라pag, pito|피토pag |
eight | walo|왈로tl | walora|왈로라pag, walo|왈로pag |
nine | siyam|시얌tl | siamira|시아미라pag, siam|시암pag |
ten | sampu|삼푸tl | samplora|삼플로라pag, samplo|삼플로pag |
기수는 다음과 같다.
팡가시난어 | 영어 |
---|---|
isa|이사pag, sakey|사케이pag, san-|산-pag | one |
dua|두아pag, dua'ra|두아라pag (dua ira|두아 이라pag) | two |
talo|탈로pag, -tlo|-틀로pag, talo'ra|탈로라pag (talo ira|탈로 이라pag) | three |
apat|아팟pag, -pat|-팟pag, apatira|아파티라pag (apat ira|아팟 이라pag) | four |
lima|리마pag, lima'ra|리마라pag (lima ira|리마 이라pag) | five |
anem|아넴pag, -nem|-넴pag, anemira|아네미라pag (anem ira|아넴 이라pag) | six |
pito|피토pag, pito'ra|피토라pag (pito ira|피토 이라pag) | seven |
walo|왈로pag, walo'ra|왈로라pag (walo ira|왈로 이라pag) | eight |
siam|시암pag, siamira|시아미라pag (siam ira|시암 이라pag) | nine |
polo|폴로pag, samplo|삼플로pag (isan polo|이산 폴로pag), samplora|삼플로라pag (isa'n polo ira|이산 폴로 이라pag) | tens, ten |
lasus|라수스pag, sanlasus|산라수스pag (isa'n lasus|이산 라수스pag) | hundreds, one hundred |
libo|리보pag, sakey libo|사케이 리보pag | thousands, one thousand |
laksa|락사pag, sanlaksa|산락사pag (isa'n laksa|이산 락사pag), sakey a laksa|사케이 아 락사pag | ten thousands, ten thousand |
서수는 접두사 ''kuma-'' (''ka-'' + 삽입어 ''-um'')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kumadua|쿠마두아pag는 '두 번째'를 뜻한다.
결합수는 접두사 ''ka-''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katlo|카틀로pag는 '세 명의 그룹 중 세 번째'를 뜻한다.
분수는 접두사 ''ka-''와 결합수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kakatlo|카카틀로pag는 '세 번째 부분'을 뜻한다.
곱셈 서수는 접두사 ''pi-''와 2부터 4까지의 기수 또는 다른 숫자에 대해 ''pin-''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예를 들어 kaisa|카이사pag는 '첫 번째', pidua|피두아pag는 '두 번째', pinlima|핀리마pag는 '다섯 번째'를 뜻한다.
곱셈 기수는 접두사 ''man-'' (현재 또는 미래 시제에는 ''mami-'' 또는 ''mamin-'', 과거 시제에는 ''ami-'' 또는 ''amin-'')을 해당 곱셈 서수에 붙여 형성된다. 예를 들어 aminsan|아민산pag은 '한 번', amidua|아미두아pag는 '두 번', mamitlo|마미틀로pag는 '세 번'을 뜻한다.
분배 기수는 접두사 ''san-'', ''tag-'', 또는 tunggal|퉁갈pag과 기수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예를 들어 sansakey|산사케이pag는 '각각 하나', sanderua|산데루아pag는 '각각 두 개'를 뜻한다.
분배 곱셈 수는 접두사 ''magsi-'', tunggal|퉁갈pag, 또는 balangsakey|발랑사케이pag와 곱셈 기수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예를 들어 tunggal pamidua|퉁갈 파미두아pag는 '각각 두 번', magsi-pamidua|막시-파미두아pag는 '각각 두 번'을 뜻한다.
참조
[1]
서적
Pangasinan Reference Grammar
University of Hawaii Press
[2]
웹사이트
201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Report No. 2A – Demographic and Housing Characteristics (Non-Sample Variables)
https://psa.gov.ph/s[...]
2022-05-02
[3]
웹사이트
201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Report No. 2A – Demographic and Housing Characteristics (Non-Sample Variables)
https://psa.gov.ph/s[...]
2022-05-02
[4]
서적
Sociolinguistics: an international handbook of the science of language and society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5]
웹사이트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http://www.ethnologu[...]
2005
[6]
웹사이트
Current Developments in Comparative Austronesian Studies
http://rspas.anu.edu[...]
2004-08-19
[7]
웹사이트
The Austronesian Basic Vocabulary Database.
http://language.psy.[...]
2006-05-29
[8]
간행물
The Southern Cordilleran Group of Philippine Languages
[9]
웹사이트
Tagalog is the Most Widely Spoken Language at Home (202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 Republic of the Philippines
https://psa.gov.ph/c[...]
2024-07-15
[10]
서적
Pangasinan reference grammar
https://archive.org/[...]
Honolulu : University of Hawaii Press
[11]
웹사이트
Kapampangan
http://www.ethnologu[...]
[12]
문서
Philippine Census, 2000. Table 11. Household Population by Ethnicity, Sex and Region: 2000
[13]
웹인용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Fifteenth edition.
http://www.ethnologu[...]
[14]
웹인용
Current Developments in Comparative Austronesian Studies
http://rspas.anu.edu[...]
2004-08-19
[15]
웹인용
The Austronesian Basic Vocabulary Database.
http://language.psy.[...]
2015-07-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