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바나그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바나그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는 필리핀 언어로, 필리핀 북동부의 이사벨라주와 카가얀주에서 사용된다. 이바나그어는 북부 필리핀어 하위 그룹에 속하며, 투게가라오에서 사용되는 방언이 표준으로 여겨진다. 2012년부터 필리핀 정부의 모국어 기반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이바나그어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학교 교육에서도 사용된다. 이바나그어는 스페인어의 영향을 받아 차용어가 많고, 다른 필리핀 언어에는 없는 고유한 음소와 자음 중복의 특징을 보인다. 동사-주어-목적어 어순을 따르며, Y와 nga, tu, ta 등의 조사가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루손어군 - 팡가시난어
    팡가시난어는 필리핀 루손섬 중서부 팡가시난주에서 팡가시난족이 사용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에 속하는 교착어이며, 스페인 식민지 시대 라틴 문자 도입 후 문학이 번성했으나 현재 쇠퇴를 막기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
  • 북루손어군 - 일로카노어
    일로카노어는 타이완에서 기원한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필리핀 루손 북부와 중부에서 주로 사용되며 약 7백만 명의 사용자가 있고, 라 유니온 주에서 공식 지방 언어로 인정받았으며, 바이바인 음절 문자를 사용했으나 현재는 로마자로 표기한다.
  • 필리핀의 언어 - 필리핀어
    필리핀어는 타갈로그어를 기반으로 발전하여 다른 필리핀 언어들의 요소를 수용하며 진화하는 필리핀의 국어이자 공용어로서, 필리핀어 위원회에서 발전과 표준화를 담당하고 있으며, 법원에서도 사용이 장려되지만 타갈로그어와의 관계 및 다른 언어들과의 통합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 필리핀의 언어 - 타갈로그어
    타갈로그어는 필리핀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필리핀어의 기초가 되며 해외 이민자 공동체에서도 사용되고, 라틴 알파벳 기반에 독특한 음운론 및 문법 특징, 스페인어와 영어 차용어를 포함한다.
이바나그어
지도 정보
이바나그어 사용 지역
에스놀로그에 따른 이바나그어 사용 지역
기본 정보
언어 이름이바나그어
다른 이름이바나그, 이바나크
사용 국가필리핀
사용 지역루손섬 북부
사용자이바나그족
언어 통계
화자 수600,000명 (2024년)
소멸 위기취약
언어 분류
어족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어파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어군필리핀어군
하위 어군북부 루손어군
세부 어군카가얀 계곡어군
문자
문자 체계라틴 문자
지위
공용어 지정필리핀의 지역 언어
관리 기관필리핀 언어 위원회
언어 코드
ISO 639-3ibg
Glottologiban1267
Linguasphere31-CCB-a
음성
음성 표기IPA

2. 분류

이바나그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는 필리핀어의 하나로, 세부아노어, 타갈로그어처럼 널리 알려져 있다. 이바나그어는 일로카노어, 팡가시난어 등과 함께 북부 필리핀어 하위 그룹에 속한다.

3. 사용과 현재의 지위

2012년 10월을 기준으로, 이바나그 문화 부흥은 필리핀 정부가 토속 문화를 보존하려는 노력으로 추진하는 모국어 기반 프로그램(MTB) 시행의 일환이다. 이는 미래 세대의 언어까지 포함한다. 이바나그어는 필리핀 학교에서 교육되는 MTB 언어 중 하나이며, 현재 이바나그어로 "Zininaga Ta Bannagibg (강의 유산)"와 "Why Women Wash the Dishes" 두 가지 연극이 공연되고 있다.[16]

4. 분포 및 방언

이바나그어는 필리핀 북동부 이사벨라주카가얀주에서 사용되며, 지역에 따라 사용 방식에 약간의 차이가 있어 크게 북부 이바나그어와 남부 이바나그어로 나뉜다.[6]

스페인 사람들이 투게가라오에 오기 전에는 이르라야어(거의 사멸된 가당어 방언)가 사용되었다. 스페인 사람들은 라로(옛 누에바 세고비아시)에서 투게가라오로 이바나그어를 전파하여 필리핀 북동부의 공용어로 만들었다. 그러나 20세기 후반 이후 이로카노 정착민들이 유입되면서 이로카노어가 새로운 공용어가 되었다.[3][4]

4. 1. 표준 방언

이바나그어는 필리핀 북동부 지역(이사벨라주와 카가얀주)의 여러 지역에서 사용되며, 이 때문에 지역에 따라 사용 방식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투게가라오에서 사용되는 이바나그어가 표준 방언으로 알려져 있다. 다른 이바나그어 원어민들은 발음과 억양의 차이로 화자가 투게가라오시 출신인지 구분할 수 있다. 도시 방언을 채택한 대부분의 사람들은 히스패닉 억양을 가지는 경향이 있다.

이사벨라주의 카우아얀과 일라간 화자들은 투게가라오 이바나그어의 히스패닉 억양과 달리 강한 억양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카가얀주 북부의 원어민들은 더 강한 억양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아불루그, 아파리, 카말라니우간, 팜플로나, 라로를 포함한 카가얀주 북부 마을의 이바나그어 화자들은 'p'를 'f'로 바꾸는 경향이 있다.[5] 또한, 이 지역의 특정 이바나그어 단어는 투게가라오와 이사벨라의 이바나그어와 다릅니다. 방언으로는 남부 이바나그어와 북부 이바나그어가 있다.[6]

''예시:''

  • mapatu|마파투ibg – mafatu|마파투ibg ('뜨겁다')
  • paggipayan|팍기파얀ibg – faggifayan|팍기파얀ibg ('놓는 곳')
  • dupo|두포ibg – dufo|두포ibg ('바나나')


투게가라오 이바나그어는 표준어로 간주될 수 있지만, 카가얀주 북부 이바나그어는 이바나그어가 해당 주 전역으로 확산되기 전의 고대 히스패닉 이전 이바나그어에 가장 가까울 수 있다. 카가얀주 북부가 원래 이바나그어의 고향이었기 때문이다. 반면에 투게가라오 이바나그어는 스페인의 영향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인근 이타위스어의 요소를 받아들였을 수 있다. 동시에 이사벨라 이바나그어는 해당 주에서 우세했던 원래 가당어의 요소를 받아들였을 수 있다.

투게가라오 이바나그어이사벨라 이바나그어영어타갈로그
Ari ka nga kuman ta illuk.|아리 카 응아 쿠만 타 일룩.ibgKammu nga kumang tu illug.|캄무 응아 쿠망 투 일룩.ibg달걀을 먹지 마세요.Huwag kang kumain ng itlog.|후왁 캉 쿠마인 낭 이틀로그.tl


4. 2. 지역별 특징

이바나그어는 필리핀 북동부 지역(이사벨라주카가얀주)에서 사용되며, 지역에 따라 사용 방식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투게가라오에서 사용되는 이바나그어가 표준 방언으로 알려져 있다. 다른 이바나그어 원어민들은 발음과 억양의 차이로 화자가 투게가라오시 출신인지 구분할 수 있다. 도시 방언을 채택한 대부분의 사람들은 히스패닉 억양을 가지는 경향이 있다.

투게가라오에서는 스페인 사람들이 오기 전에 이르라야어(거의 사멸된 가당어 방언)가 사용되었다. 스페인 사람들은 라로(옛 누에바 세고비아시)에서 투게가라오로 이바나그어를 전파하여 필리핀 북동부의 공용어로 만들었다. 그러나 20세기 후반 이후 이로카노 정착민들이 유입되면서 이로카노어가 새로운 공용어가 되었다.[3][4]

이사벨라주의 카우아얀과 일라간 화자들은 투게가라오 이바나그어의 히스패닉 억양과 달리 강한 억양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카가얀주 북부의 원어민들은 더 강한 억양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아불루그, 아파리, 카말라니우간, 팜플로나, 라로를 포함한 카가얀주 북부 마을의 이바나그어 화자들은 'p'를 'f'로 바꾸는 경향이 있다.[5] 또한, 이 지역의 특정 이바나그어 단어는 투게가라오와 이사벨라의 이바나그어와 다릅니다. 방언으로는 남부 이바나그어와 북부 이바나그어가 있다.[6]

'''예시:'''

  • mapatuibg – mafatuibg ('뜨겁다')
  • paggipayanibg – faggifayanibg ('놓는 곳')
  • dupoibg – dufoibg ('바나나')


투게가라오 이바나그어는 표준어로 간주될 수 있지만, 카가얀주 북부 이바나그어는 이바나그어가 해당 주 전역으로 확산되기 전의 고대 히스패닉 이전 이바나그어에 가장 가까울 수 있다. 카가얀주 북부가 원래 이바나그어의 고향이었기 때문이다. 반면에 투게가라오 이바나그어는 스페인의 영향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인근 이타위스어의 요소를 받아들였을 수 있다. 동시에 이사벨라 이바나그어는 해당 주에서 우세했던 원래 가당어의 요소를 받아들였을 수 있다.

투게가라오 이바나그어이사벨라 이바나그어영어타갈로그
Ari ka nga kuman ta illuk.ibgKammu nga kumang tu illug.ibg달걀을 먹지 마세요.Huwag kang kumain ng itlog.tl


4. 3. 고대 이바나그어

투게가라오에서는 스페인 사람들이 오기 전에 이르라야어(거의 사멸된 가당어 방언)가 사용되었다. 스페인 사람들은 라로(옛 누에바 세고비아시)에서 투게가라오로 이바나그어를 전파하여 필리핀 북동부의 공용어로 만들었다. 그러나 20세기 후반 이후 이로카노어 정착민들이 유입되면서 이로카노어가 새로운 공용어가 되었다.[3][4]

카가얀주 북부 이바나그어는 해당 주 전역으로 확산되기 전의 고대 히스패닉 이전 이바나그어에 가장 가까울 수 있다. 카가얀주 북부가 원래 이바나그어의 고향이었기 때문이다. 반면에 투게가라오 이바나그어는 스페인의 영향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인근 이타위스어의 요소도 받아들였을 수 있다. 동시에 이사벨라 이바나그어는 해당 주에서 우세했던 원래 가당어의 요소를 받아들였을 수 있다.

현대 이바나그어에서 사용되는 '쌀'을 뜻하는 innafi|인나피ibg, '돼지'를 뜻하는 bavi|바비ibg, '불'을 뜻하는 afi|아피ibg와 같은 단어들은 스페인어 자료에는 각각 innafuy|인나푸이ibg, bavuy|바부이ibg, afuy|아푸이ibg로 기록되어 있다. 또한, 숫자 '1'을 뜻하는 이바나그어 단어 tadday|탓다이ibg는 한때 itte|잇떼ibg라는 단어와 바꿔 사용되었으나, 현대 이바나그어 화자들은 itte|잇떼ibg를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7][8]

5. 음운

이바나그어는 모음과 자음으로 구성된 음운 체계를 가진다.

5. 1. 모음

이바나그어의 모음은 다음과 같다.

전설 모음중설 모음후설 모음
고모음iu
중모음eə
저모음aɔ



이바나그어에서는 이중모음의 단모음화가 관찰된다. 예를 들어, '가다'를 뜻하는 umay|우마이ibg, '집'을 뜻하는 balay|발라이ibg, 또는 '날'을 뜻하는 aggaw|악가우ibg는 각각 'ume', 'bale', 'aggo'로 발음되는 경우가 있다.


  • A (아), E (에), I (이), O (오), U (우), Y (이)

5. 2. 자음

이바나그어는 필리핀의 언어 가운데 동화가 없는 언어 중 하나이다.

이바나그어는 관련된 많은 필리핀의 언어에는 없는 음소를 가지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자매 언어와 비교했을 때 이바나그어에만 독특한 음소로는 innafi|이나피ibg('쌀')의 , bavi|바비ibg('돼지')의 , kazzing|카찡ibg('염소')의 , madjan|마쟌ibg('여종업원')의 가 있다.

이바나그어는 축약을 특징으로 하는데, 예를 들어 gaddua|가두아ibg ('절반'), mappazzi|마빠찌ibg ('짜다, 짜는 것')과 같다.

이바나그어 자음 음소표
colspan="2" |양순음치경음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비음
파열음/
마찰음
무성음rowspan="2" |
유성음
마찰음무성음
유성음
탄음~
접근음


6. 표기법

이바나그어는 두 가지 방식으로 표기할 수 있다. 오래된 문헌에서는 종종 "스페인식" 표기법을 사용했다. ⟨c⟩|⟨c⟩es와 ⟨qu⟩|⟨qu⟩es는 /k/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고, 성문 폐쇄음으로 끝나는 단어에는 어미에 '-c'를 추가했다.[10]

예: Quiminac cami tab bavi|우리는 돼지고기를 먹었다.ibg

예: Napannu tac cunam y langui-c|하늘은 구름으로 가득 차 있다.ibg

이바나그어를 표기하는 또 다른 방법은 보다 음성적인 새로운 간략화된 방법이다. 이 현대적인 철자법 체계는 필리핀어, 비사야어, 이로카노어와 같은 다른 언어의 체계와 일치한다. 또한, 묵음 문자는 생략된다. 이 표기법은 이바나그어 사용 지역에서 교육부의 모국어 기반 다중 언어 교육 정책의 목적으로 공립학교에서 채택되고 있으며, 이바나그 문화유산 재단(Ibanag Heritage Foundation, Inc.)에서 규정하고 있다.[11][12][13]

예: Kiminak kami tu bavi|우리는 돼지고기를 먹었다.ibg

예: Napannu tu kunam i langi|하늘은 구름으로 가득 차 있다.ibg

7. 문법

이바나그어는 응집어로, 대명사가 대부분 동사에 붙는다.

=== 인칭 대명사 ===

==== 독립 인칭 대명사 ====


  • 나: Sakan, Sakangibg (이사벨라), So'ibg
  • 너: Sikaw, sikoibg (이사벨라)
  • 그, 그녀, 그것: Yayyaibg
  • 우리(포괄적): Sittam, sittangibg (이사벨라)
  • 우리(배타적): Sikamiibg
  • 너희들(복수/정중): Sikamuibg
  • 그들: Iraibg


==== 소유 대명사 ====

대명사소유 대명사 형태어근 예시파생어 예시
1인칭Sakan, Sakangibg (이사벨라), So'ibg (나)-ku, -' (주어가 모음이나 이중모음으로 끝날 때)kazzingibg (염소), limaibg (손)kazzing kuibg (나의 염소), lima'ibg (나의 손)
Sikamiibg (배타적, 우리), Sittam, sittangibg (이사벨라) (포괄적, 우리)-mi, -tamlibruibg (책)libru miibg (우리 책), libru tamibg (우리 책)
2인칭Sikawibg (너, 단수)-mu, -mmejasibg (양말), libruibg (책)mejas muibg (너의 양말), librumibg (너의 책)
Sikamuibg (너희들(복수/정중))-nubanderaibg (깃발)bandera nuibg (너희들의 깃발)
3인칭Yayya, yatunibg (그, 그녀, 그것)-namanu'ibg (닭)manu' naibg (그의, 그녀의, 그것의 닭)
Iraibg (그들)-daitubangibg (의자)itubang daibg (그들의 의자)



==== 대명사 활용 예시 ====


  • '나/내가':
  • '나는 먹고 있다': Kuman naibg = kumanibg ('먹다') + naibg ('나'). 때때로 ngaibg가 naibg 대신 사용된다.
  • '나는 그에게 음식을 주었다': Neddak ku yayya ta makanibg = neddanibg ('주다') kuibg ('나').
  • '내가 갈 것이다': So' laman ngana y umeibg = So'ibg ('나')
  • '나는 그것을 반으로 나누었다': Ginaddwa'ibg = ginaddwaibg ('반으로 나누다') ' ('나'). 여기서 문장의 성문 폐쇄음은 '나'를 나타낸다. 성문 폐쇄음이 없으면 문장이 불완전해지고 의미가 통하지 않는다.
  • "당신":
  • "(당신) 밖으로 나가다": Mallawak kaibg = Mallawanibg ('가다') + kaibg ('당신')
  • '당신이 주다': Iddammuibg = Iddanibg ('주다/놓다') + muibg ('당신')
  • '그/그녀/그것': 보통 naibg를 사용한다.
  • '그것을 잃어버렸다': Nawawan naibg (Nawawanibg) '잃어버렸다' (naibg) '그/그녀/그것' (참고: 성문 폐쇄음 없이 naibg는 '그', '그녀', 또는 '그것'을 의미할 수 있다.)
  • "우리": 종종 tamibg 또는 tangibg이 동사나 명사 뒤에 붙는다. Sittam/sittangibg은 포괄적인 ‘우리’이다.
  • '가자': Tam ngana!/Ettang ngana!ibg (이사벨라) 또는 Ume tam!ibg
  • '우리들': 말하는 대상을 제외한 '우리들'을 나타낼 때는 Sikamiibg를 사용한다. 이 경우, miibg가 동사, 형용사 또는 명사 끝에 붙는다.
  • '우리는 보러 갈 것이다': Ume mi nga innanibg = umeibg ('가다'), miibg ('우리')
  • '우리는 배부르다'(음식으로 인해): Nabattug kamiibg = nabattugibg ('배부르다'), kamiibg (제외적 '우리')
  • '우리는 이바나그족이다': Ibanag kamiibg
  • '너희들': 복수 '너희들'을 나타낸다. 종종 nuibg 또는 kamuibg가 사용된다.
  • '그를/그녀를 데려와라': Apannu yayya!ibg = apanibg ('데려오다'), nuibg (복수 '너희들')
  • '너희 거기에 갔었니?': Uminé kamu tari?ibg = umineibg ('갔다'), kamuibg ('너희들')
  • '그들': Iraibg. Iraibg는 '그들'임을 강조할 때가 아니면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iraibg 대신 daibg가 사용된다.
  • '그들이 내 집을 샀다': Ginatang da y bale'ibg = ginatangibg ('샀다'), daibg ('그들')


=== 지시 대명사 ===

  • '이것': yaw|야우ibg, ye|예ibg, yawe|야웨ibg
  • '저것'(말하는 사람에게 가까운 것): yatun|야툰ibg 또는 yane|야네ibg (이사벨라)
  • '저것'(말하는 사람과 상대방 모두에게서 먼 것): yari|야리ibg 또는 yore|요레ibg
  • '저것'(없거나 과거의 것을 가리킬 때 사용됨): yuri|유리ibg
  • '이 개': ye kitu|예 키투ibg
  • '저 고양이': yane kitaw|야네 키타우ibg
  • '저 물소': yari nuang|야리 누앙ibg
  • '저 날': yuri aggaw|유리 아까우ibg


거리나 시간을 강조하기 위해서는 yatun|야툰ibg을 제외하고는 첫 음절에 강세를 둔다. 즉, yatun davvun|야툰 다뿐ibg은 '저 땅'이라는 뜻이다.

단어를 강조하는 다른 방법은 지시부사를 사용하는 것이다.

  • '이 집'(여기): ye balay taw|예 발라이 따우ibg
  • '저기 있는 저 여자아이': yatun babay tatun|야툰 바바이 따툰ibg
  • '저기 있는 저 남자': yari lalaki tari|야리 랄라키 따리ibg
  • '오래전 저 할머니': yuri bako' turi|유리 바코 투리ibg


turi|투리ibg에서 'tu'에 강세를 길게 해서 지난 시간과 거리를 강조하기도 한다.

  • Tadday nga aggaw|땃다이 응아 아까우ibg – 타갈로그어: Isang araw|이쌍 아라우tl – 영어: One day|원 데이영어
  • Tadday vulan|땃다이 불란ibg – 타갈로그어: Isang buwan|이쌍 부완tl – 영어: One month|원 먼쓰영어
  • Tadday nga dagun/ragun|땃다이 응아 다군/라군ibg – 타갈로그어: Isang taon|이쌍 따온tl – 영어: One year|원 이어영어


=== 의문사 ===

의문사한국어 번역
anni?ibg무엇을?
nikanni?ibg언제?
sitaw?ibg어디?
sinni?ibg누가?
ngatta?ibg왜?
kunnasi?ibg어떻게?
piga?ibg얼마나?



겹친 자음은 각각 따로 발음해야 한다. 예를 들어 anni?ibg는 'an ni'와 같이 발음한다.

예시 문장한국어 번역
Anni kuammu?ibg무엇을 하고 있니?
Kanni labbe' mu?ibg언제 도착했니?
Sitaw angayat tam?ibg어디로 가고 있니?
Sinni nanga' ta affefec ku?ibg누가 내 부채를 가져갔니?
Ngatta nga ari ka kuman?ibg왜 먹지 않니?
Kunnasim lutuan yatun nu awan tu rekadum?ibg재료가 없는데 어떻게 요리할 거니?
Piga yaw? Piga yatun?ibg이것은 얼마야? 저것은 얼마야?



=== 동사 ===

이바나그어 동사는 시제에 따라 활용되지만, 인칭에 따라 활용되지는 않는다.

대부분의 다른 말레이폴리네시아어와 마찬가지로, 이바나그어에는 연결 동사가 없다. 즉, 영어의 'to be'에 해당하는 동사가 없다는 뜻이다. 그러나 이는 때때로 'to have'(갖다) 동사를 사용하여 보완한다. 많은 경우, 동사의 원형과 현재 시제 형태가 동일하다.


  • '있다/있게 하다': egga|엑가ibg
  • '먹다/먹다': kuman|쿠만ibg
  • '마시다/마시다': minum|미눔ibg
  • '필요하다/필요하다': mawag|마왁ibg
  • '원하다/원하다', '좋아하다/좋아하다': kaya|카야ibg
  • '가다/가다', '오다/오다': umay|우마이ibg
  • '원하지 않다/원하지 않다', '좋아하지 않다/좋아하지 않다': manaki|마나키ibg
  • '나는 여기 있다': Egga nga tawe|엑가 응아 타웨ibg
  • '염소를 먹습니까?': Kumak ka tu kazzing?|쿠막 카 투 카찡?ibg
  • '이것을 마셔라': Inumang mu/inumammu yaw.|이누망 무/이누맘무 야우.ibg
  • '물을 마셔라': Uminum/mininum/mininung ka tu danum/danung.|우미눔/미니눔/미니눙 카 투 다눔/다눙.ibg
  • '당신은 자야 합니다': Mawag mu makkaturug.|마왁 무 마카투룩.ibg
  • '묻다': mangiyavu|망이야부ibg


과거 시제를 만드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몇 가지 일반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요리하다': nilutu/nallutu|닐루투/날루투ibg
  • '자르다': ginappo|긴압포ibg
  • '(머리) 자르다': inusi|이누시ibg
  • '멀리 두다': inirayyu|이니라유ibg
  • '사다': ginatang|기나탕ibg
  • '우리는 디넨덴을 요리했습니다': Nallutu kami tu dinengdeng|날루투 카미 투 디넹뎅ibg
  • '우리는 돼지를 요리했습니다': Nilutu mi yari bavi.|닐루투 미 야리 바비.ibg (Y|이ibg는 돼지가 이미 요리되었으므로 돼지 자체가 없는 경우 yari|야리ibg가 된다)
  • '그들은 내 머리를 잘랐습니다': Inusi' da y vu' ku.|이누시 다 이 부 쿠.ibg
  • '나는 머리를 잘랐습니다': Nappa usi' na' tu vu' ku.|납파 우시 나 투 부 쿠.ibg
  • '그들은 그를 멀리 두었습니다': Inirayyu da yayya.|이니라유 다 야야.ibg
  • '내가 너에게 이 소를 사주었다': Ginatang ku yaw baka para nikaw/niko.|기나탕 쿠 야우 바카 파라 니카우/니코.ibg


미래 시제를 만드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갈 것이다'와 같은 조동사를 사용하는 것이다. 문맥에 따라 현재 시제가 미래를 나타낼 수도 있다.

  • '그를 데리러 갈 것이다': Apam mi ngana yayya|아팜 미 응아나 야야ibg
  • '나중에 르촌을 사러 가라': Sonu manannwang ka na gumatang tu lichon|소누 마난놩 카 나 구마탕 투 리촌ibg 또는 Sonu bibbinnay ka na matang tu lichon|소누 비빈나이 카 나 마탕 투 리촌ibg (이사벨라), Sonu mangananwan ka ngana gumatang ta lechon.|소누 망아난완 카 응아나 구마탕 타 레촌.ibg (투게가라오)

7. 1. 인칭 대명사

이바나그어의 독립 인칭 대명사는 다음과 같다.

  • 나: Sakan, Sakangibg (이사벨라), So'ibg
  • 너: Sikaw, sikoibg (이사벨라)
  • 그, 그녀, 그것: Yayyaibg
  • 우리(포괄적): Sittam, sittangibg (이사벨라)
  • 우리(배타적): Sikamiibg
  • 너희들(복수/정중): Sikamuibg
  • 그들: Iraibg


이바나그어의 소유 대명사 형태는 다음과 같다.

대명사소유 대명사 형태어근 예시파생어 예시
1인칭Sakan, Sakangibg (이사벨라), So'ibg (나)-ku, -' (주어가 모음이나 이중모음으로 끝날 때)kazzingibg (염소), limaibg (손)kazzing kuibg (나의 염소), lima'ibg (나의 손)
Sikamiibg (배타적, 우리), Sittam, sittangibg (이사벨라) (포괄적, 우리)-mi, -tamlibruibg (책)libru miibg (우리 책), libru tamibg (우리 책)
2인칭Sikawibg (너, 단수)-mu, -mmejasibg (양말), libruibg (책)mejas muibg (너의 양말), librumibg (너의 책)
Sikamuibg (너희들(복수/정중))-nubanderaibg (깃발)bandera nuibg (너희들의 깃발)
3인칭Yayya, yatunibg (그, 그녀, 그것)-namanu'ibg (닭)manu' naibg (그의, 그녀의, 그것의 닭)
Iraibg (그들)-daitubangibg (의자)itubang daibg (그들의 의자)



이바나그어는 응집어이므로 대명사는 대부분 동사에 붙는다.


  • '나/내가': '나'를 나타내는 방법은 최소한 네 가지가 있다.
  • '나는 먹고 있다': Kuman naibg = kumanibg ('먹다') + naibg ('나'). 때때로 ngaibg가 naibg 대신 사용된다.
  • '나는 그에게 음식을 주었다': Neddak ku yayya ta makanibg = neddanibg ('주다') kuibg ('나').
  • '내가 갈 것이다': So' laman ngana y umeibg = So'ibg ('나')
  • '나는 그것을 반으로 나누었다': Ginaddwa'ibg = ginaddwaibg ('반으로 나누다') ' ('나'). 여기서 문장의 성문 폐쇄음은 '나'를 나타낸다. 성문 폐쇄음이 없으면 문장이 불완전해지고 의미가 통하지 않는다.
  • “당신”: “당신”을 나타내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 “(당신) 밖으로 나가다”: Mallawak kaibg = Mallawanibg ('가다') + kaibg ('당신')
  • ‘당신이 주다’: Iddammuibg = Iddanibg ('주다/놓다') + muibg ('당신')
  • '그/그녀/그것': 다른 대명사와 마찬가지로 이것을 말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지만, 보통 naibg를 사용한다.
  • '그것을 잃어버렸다': Nawawan naibg (Nawawanibg) '잃어버렸다' (naibg) '그/그녀/그것' (참고: 성문 폐쇄음 없이 naibg는 '그', '그녀', 또는 '그것'을 의미할 수 있다.)
  • “우리”: 종종 tamibg 또는 tangibg이 동사나 명사 뒤에 붙는다. Sittam/sittangibg은 포괄적인 ‘우리’이다.
  • '가자': Tam ngana!/Ettang ngana!ibg (이사벨라) 또는 Ume tam!ibg
  • '우리들': 말하는 대상을 제외한 '우리들'을 나타낼 때는 Sikamiibg를 사용한다. 이 경우, miibg가 동사, 형용사 또는 명사 끝에 붙는다.
  • '우리는 보러 갈 것이다': Ume mi nga innanibg = umeibg ('가다'), miibg ('우리')
  • '우리는 배부르다'(음식으로 인해): Nabattug kamiibg = nabattugibg ('배부르다'), kamiibg (제외적 '우리')
  • '우리는 이바나그족이다': Ibanag kamiibg
  • '너희들': 복수 '너희들'을 나타낸다. 종종 nuibg 또는 kamuibg가 사용된다.
  • '그를/그녀를 데려와라': Apannu yayya!ibg = apanibg ('데려오다'), nuibg (복수 '너희들')
  • '너희 거기에 갔었니?': Uminé kamu tari?ibg = umineibg ('갔다'), kamuibg ('너희들')
  • '그들': Iraibg. Iraibg는 '그들'임을 강조할 때가 아니면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iraibg 대신 daibg가 사용된다.
  • '그들이 내 집을 샀다': Ginatang da y bale'ibg = ginatangibg ('샀다'), daibg ('그들')

7. 2. 지시 대명사


  • '이것': yaw|야우ibg, ye|예ibg, yawe|야웨ibg
  • '저것'(말하는 사람에게 가까운 것): yatun|야툰ibg 또는 yane|야네ibg (이사벨라)
  • '저것'(말하는 사람과 상대방 모두에게서 먼 것): yari|야리ibg 또는 yore|요레ibg
  • '저것'(없거나 과거의 것을 가리킬 때 사용됨): yuri|유리ibg
  • '이 개': ye kitu|예 키투ibg
  • '저 고양이': yane kitaw|야네 키타우ibg
  • '저 물소': yari nuang|야리 누앙ibg
  • '저 날': yuri aggaw|유리 아까우ibg


거리나 시간을 강조하기 위해서는 yatun|야툰ibg을 제외하고는 첫 음절에 강세를 둔다. 즉, yatun davvun|야툰 다뿐ibg은 '저 땅'이라는 뜻이다.

단어를 강조하는 다른 방법은 지시부사를 사용하는 것이다.

  • '이 집'(여기): ye balay taw|예 발라이 따우ibg
  • '저기 있는 저 여자아이': yatun babay tatun|야툰 바바이 따툰ibg
  • '저기 있는 저 남자': yari lalaki tari|야리 랄라키 따리ibg
  • '오래전 저 할머니': yuri bako' turi|유리 바코 투리ibg


turi|투리ibg에서 'tu'에 강세를 길게 해서 지난 시간과 거리를 강조하기도 한다.

  • Tadday nga aggaw|땃다이 응아 아까우ibg – 타갈로그어: Isang araw|이쌍 아라우tl – 영어: One day|원 데이영어
  • Tadday vulan|땃다이 불란ibg – 타갈로그어: Isang buwan|이쌍 부완tl – 영어: One month|원 먼쓰영어
  • Tadday nga dagun/ragun|땃다이 응아 다군/라군ibg – 타갈로그어: Isang taon|이쌍 따온tl – 영어: One year|원 이어영어

7. 3. 의문사

의문사한국어 번역
anni?ibg무엇을?
nikanni?ibg언제?
sitaw?ibg어디?
sinni?ibg누가?
ngatta?ibg왜?
kunnasi?ibg어떻게?
piga?ibg얼마나?



겹친 자음은 각각 따로 발음해야 한다. 예를 들어 anni?ibg는 'an ni'와 같이 발음한다.

예시 문장한국어 번역
Anni kuammu?ibg무엇을 하고 있니?
Kanni labbe' mu?ibg언제 도착했니?
Sitaw angayat tam?ibg어디로 가고 있니?
Sinni nanga' ta affefec ku?ibg누가 내 부채를 가져갔니?
Ngatta nga ari ka kuman?ibg왜 먹지 않니?
Kunnasim lutuan yatun nu awan tu rekadum?ibg재료가 없는데 어떻게 요리할 거니?
Piga yaw? Piga yatun?ibg이것은 얼마야? 저것은 얼마야?


7. 4. 동사

이바나그어 동사는 시제에 따라 활용되지만, 인칭에 따라 활용되지는 않는다.

대부분의 다른 말레이폴리네시아어와 마찬가지로, 이바나그어에는 연결 동사가 없다. 즉, 영어의 'to be'에 해당하는 동사가 없다는 뜻이다. 그러나 이는 때때로 'to have'(갖다) 동사를 사용하여 보완한다. 많은 경우, 동사의 원형과 현재 시제 형태가 동일하다.

  • '있다/있게 하다': egga|엑가ibg
  • '먹다/먹다': kuman|쿠만ibg
  • '마시다/마시다': minum|미눔ibg
  • '필요하다/필요하다': mawag|마왁ibg
  • '원하다/원하다', '좋아하다/좋아하다': kaya|카야ibg
  • '가다/가다', '오다/오다': umay|우마이ibg
  • '원하지 않다/원하지 않다', '좋아하지 않다/좋아하지 않다': manaki|마나키ibg
  • '나는 여기 있다': Egga nga tawe|엑가 응아 타웨ibg
  • '염소를 먹습니까?': Kumak ka tu kazzing?|쿠막 카 투 카찡?ibg
  • '이것을 마셔라': Inumang mu/inumammu yaw.|이누망 무/이누맘무 야우.ibg
  • '물을 마셔라': Uminum/mininum/mininung ka tu danum/danung.|우미눔/미니눔/미니눙 카 투 다눔/다눙.ibg
  • '당신은 자야 합니다': Mawag mu makkaturug.|마왁 무 마카투룩.ibg
  • '묻다': mangiyavu|망이야부ibg


과거 시제를 만드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몇 가지 일반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요리하다': nilutu/nallutu|닐루투/날루투ibg
  • '자르다': ginappo|긴압포ibg
  • '(머리) 자르다': inusi|이누시ibg
  • '멀리 두다': inirayyu|이니라유ibg
  • '사다': ginatang|기나탕ibg
  • '우리는 디넨덴을 요리했습니다': Nallutu kami tu dinengdeng|날루투 카미 투 디넹뎅ibg
  • '우리는 돼지를 요리했습니다': Nilutu mi yari bavi.|닐루투 미 야리 바비.ibg (Y|이ibg는 돼지가 이미 요리되었으므로 돼지 자체가 없는 경우 yari|야리ibg가 된다)
  • '그들은 내 머리를 잘랐습니다': Inusi' da y vu' ku.|이누시 다 이 부 쿠.ibg
  • '나는 머리를 잘랐습니다': Nappa usi' na' tu vu' ku.|납파 우시 나 투 부 쿠.ibg
  • '그들은 그를 멀리 두었습니다': Inirayyu da yayya.|이니라유 다 야야.ibg
  • '내가 너에게 이 소를 사주었다': Ginatang ku yaw baka para nikaw/niko.|기나탕 쿠 야우 바카 파라 니카우/니코.ibg


미래 시제를 만드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갈 것이다'와 같은 조동사를 사용하는 것이다. 문맥에 따라 현재 시제가 미래를 나타낼 수도 있다.

  • '그를 데리러 갈 것이다': Apam mi ngana yayya|아팜 미 응아나 야야ibg
  • '나중에 르촌을 사러 가라': Sonu manannwang ka na gumatang tu lichon|소누 마난놩 카 나 구마탕 투 리촌ibg 또는 Sonu bibbinnay ka na matang tu lichon|소누 비빈나이 카 나 마탕 투 리촌ibg (이사벨라), Sonu mangananwan ka ngana gumatang ta lechon.|소누 망아난완 카 응아나 구마탕 타 레촌.ibg (투게가라오)

8. 통사론 및 어순

이바나그어 문장 구조는 종종 동사-주어-목적어 어순을 따른다.[1]


  • '''예시:''' "안도이가 개를 꺼냈다." - Nellawan ni Andoy y kitu.ibg


형용사는 종종 뒤에 조사가 붙어 명사를 수식한다.[1]

  • '''예시:''' "큰 집" - Dakal nga balayibg


서술적인 문장이 아닌 간단한 문장:[1]

  • '''예시:'''
  • * "집이 빨갛다" - Uzzin y balayibg
  • * "빨간 집" - Uzzin nga balayibg

9. 조사(Markers)

Yibg와 ngaibg는 이바나그어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두 가지 조사이다. 이들은 형용사와 명사를 연결하거나 문장의 주어를 나타낸다.


  • '큰 웃음': Nagallu nga galo'ibg. Nagalluibg는 '큰'을 나타내고 ngaibg는 그것을 웃음에 연결한다.
  • '당신의 아이는 키가 크다': Atannang y ana' muibg. '이다'라는 동사가 없고 어순이 바뀐 상태에서 yibg는 '당신의 아이'가 주어임을 나타낸다.


Tuibg는 또 다른 조사이지만, 설명하기가 간단하지 않다. 종종 '아무것도, 없음'을 의미하는 awanibg과 함께 사용된다.

  • '먹을 것이 없다': Awan tu makanibg – 타갈로그어: Wala nang pagkaintl. 여기서 tuibg는 awanibg ('없음')과 makanibg ('음식')을 연결한다. Tuibg는 타갈로그어의 nangtl과 유사하다.


Taibg는 또 다른 조사이다. Taibg는 타갈로그어의 satl와 유사하다.

  • '새 의자를 만들어라': Maggangwa ka ta bagu nga silla.ibg – 타갈로그어: Gagawa ka ng bagong upuan.tl (여기서는 ngaibg와 taibg가 모두 사용된다)

10. 어휘

이바나그어는 스페인어에서 차용한 단어가 많으며, 다른 필리핀 언어에서는 보기 힘든 스페인어 단어들을 많이 사용한다.

기본적인 인사말로는 "좋은 아침"을 뜻하는 Dios nikamu ta umma|디오스 니카무 따 움마ibg(또는 Mapia nga umma|마피아 응아 움마ibg), "좋은 오후"를 뜻하는 Dios nikamu ta fugak|디오스 니카무 따 푸각ibg(또는 Mapia nga fugak|마피아 응아 푸각ibg), "좋은 저녁/밤"을 뜻하는 Dios nikamu ta gabi|디오스 니카무 따 가비ibg(또는 Mapia nga gabi|마피아 응아 가비ibg) 등이 있다.

이바나그어의 숫자는 다음과 같다.

이바나그어 숫자
숫자이바나그어
0awan|아완ibg
1tadday|탓다이ibg
2duwa|두와ibg
3tallu|탈루ibg
4appa'|아파ibg
5lima|리마ibg
6annam|안남ibg
7pitu|피투ibg
8walu|왈루ibg
9siyam|시얌ibg
10mafulu|마풀루ibg
11karatadday/onse|카라탓다이/온세ibg
12karaduwa/dose|카라두와/도세ibg
13karatallu/trese|카라탈루/트레세ibg
14karappa/katorse|카라파/카토르세ibg
15karalima/kinse|카라리마/킨세ibg
20duwafulu/beinte|두와풀루/베인테ibg
100magatu|마가투ibg
200duwa gatu|두와 가투ibg
500lima gatu|리마 가투ibg
1000marivu|마리부ibg
2000duwa rivu|두와 리부ibg

[14]

10. 1. 차용어

이바나그어에는 스페인어에서 차용한 단어가 많다. 이바나그어는 다른 필리핀 언어에서는 거의 볼 수 없거나 들을 수 없는 스페인어 단어들로 가득 차 있다.

  • 안경: anchuparra|안추파라ibg/anteojos|안테오호스es
  • 식물: masetas|마세타스ibg
  • 상점: chenda|첸다ibg (tienda|티엔다es에서 유래)
  • 문: puerta|푸에르타ibg
  • 화장실: kasilyas|카실랴스ibg
  • 빨리, 즉시: insigida|인시기다ibg (en seguida|엔 세기다es에서 유래)

10. 2. 기본 인사말


  • 좋은 아침: Dios nikamu ta umma|디오스 니카무 따 움마ibg (다른 표현으로는 Mapia nga umma|마피아 응아 움마ibg가 있다.)
  • 좋은 오후: Dios nikamu ta fugak|디오스 니카무 따 푸각ibg (다른 표현으로는 Mapia nga fugak|마피아 응아 푸각ibg가 있다.)
  • 좋은 저녁/밤: Dios nikamu ta gabi|디오스 니카무 따 가비ibg (다른 표현으로는 Mapia nga gabi|마피아 응아 가비ibg가 있다.)
  • 안녕하세요?: Kunnasi ka?|쿤나시 카?ibg
  • 잘 지내요, 당신은요?: Mapia so' gapa, sikaw?|마피아 소 가파, 시카우?ibg
  • 잘 지내요, 신께 감사드립니다: Mapia so' gapa, mabbalo' ta Afu|마피아 소 가파, 마발로 타 아푸ibg
  • 감사합니다: Mabbalo'|마발로ibg
  • 어디 가세요?: Sitaw y angayammu?|시타우 이 앙아야무?ibg
  • …에 갑니다: Umay na' ta...|우마이 나 타...ibg
  • 뭐하세요?: Anni kukuam mu?|안니 쿠쿠암 무?ibg
  • 특별한 일은 없어요: Awan, maski anni laman.|아완, 마스키 안니 라만.ibg
  • 들어오세요: Tullung kamu|툴룽 카무ibg, Maddulo kamu|마둘로 카무ibg 또는 Mattalung kamu|마탈룽 카무ibg
  • 오랜만이네요: Nabayag taka nga ari nasingan.|나바약 타카 응아 아리 나싱안.ibg

10. 3. 숫자

이바나그어 숫자
숫자이바나그어
0awan|아완ibg
1tadday|탓다이ibg
2duwa|두와ibg
3tallu|탈루ibg
4appa'|아파ibg
5lima|리마ibg
6annam|안남ibg
7pitu|피투ibg
8walu|왈루ibg
9siyam|시얌ibg
10mafulu|마풀루ibg
11karatadday/onse|카라탓다이/온세ibg
12karaduwa/dose|카라두와/도세ibg
13karatallu/trese|카라탈루/트레세ibg
14karappa/katorse|카라파/카토르세ibg
15karalima/kinse|카라리마/킨세ibg
20duwafulu/beinte|두와풀루/베인테ibg
100magatu|마가투ibg
200duwa gatu|두와 가투ibg
500lima gatu|리마 가투ibg
1000marivu|마리부ibg
2000duwa rivu|두와 리부ibg

[14]

11. 속담

다음은 필리핀 전역에서 알려진 이바나그 속담의 예시이다.


  • Y tolay nga/tu ari nga/amme* na mallipay ta pinaggafuanan na ay ari nga/amme na makadde ta angayanan na.ibg (이사벨라)[1]
  • Ang taong Hindi marunong lumingon sa pinanggalingan ay Hindi makakarating sa paroroonan.tl
  • 한국어: 과거를 돌아보지 않는 자는 목적지에 도달할 수 없다.
  • Ta langi awan tu binarayang, yatun ta utun na davvun ittam minum.ibg
  • Sa langit walang alak, kaya sa ibabaw ng lupa dapat tayo'y lumaklak.tl
  • 한국어: 천국에는 맥주가 없으니, 그래서 우리는 여기서 마신다.
  • Ari mu kagian nga piyyo ngana y illuk tapenu ari nga magivung.ibg (투게가라오)
  • Ammeng kagim tu piyyo ngana y illug tapenu ari nga magivung.ibg (이사벨라)
  • Huwag mong sabihing sisiw na ang itlog para Hindi ito maging bugok.tl
  • 한국어: 알을 병아리라고 부르지 마라. 그러면 썩을 것이다.

12. 카가얀 주(州) 국가(Provincial anthem)

Napaka-interesante nga kuku
Nu manayoka nga pilit
Awan tu makalavuk niko|카가얀, 나의 소중한 카가얀,
당신은 위대한 일들을 해왔습니다.
만약 당신이 저를 떠날 것이 사실이라면,
저는 당신을 잊지 않을 것입니다.}}

Cagayan, kuruga nga labbe ku
Cagayan, awan tu kagittam
Maski nu attu ira nga davvun
Sikaw laman niko ta futu|카가얀, 당신을 바라보는 것을 저는 사랑합니다.
카가얀, 당신은 비교할 수 없습니다.
다른 땅들이 아름답다 해도,
당신은 제 마음속에 사랑받을 존재입니다.ibg

여기 제시된 직역은 카가얀 주 국가의 영어 버전과 다릅니다.

참조

[1] 웹사이트 201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Report No. 2A - Demographic and Housing Characteristics (Non-Sample Variables) https://psa.gov.ph/s[...] 2022-05-02
[2] 서적 Diccionario ybanag-español https://books.google[...] los Amigos del Pais 1854
[3] 서적 The Ethnohistory of Northern Luzon Stanford University Press
[4] 서적 Cagayan valley and eastern Cordillera, 1581-1898 Rex Commercial
[5] 웹사이트 Da Ayong Anni Dagga https://archive.org/[...]
[6] 웹사이트 Ethnologue https://www.ethnolog[...]
[7] 서적 Diccionario ybanag-español https://books.google[...] Imp. de los Amigos del País
[8] 서적 Diccionario españól-ibanág: ó sea, Tesauro hispánocagayán https://books.google[...] Imp. de Ramirez y Giraudier
[9] 뉴스 DepEd indigenous culture revival in upswing https://archive.toda[...] Philippine Information Agency 2012-10-20
[10] 서적 Agguiguiammuan tac Cagui Gasila / Grammatica Ibanag-Castellana http://name.umdl.umi[...] Estab. Tipog. del Colegio de Santo Tomás
[11] 서적 The Orthography of Ibanag Ibanag Heritage Foundation, Inc.
[12] 웹사이트 Ibanag Language and Culture http://cbclawmatters[...] 2013
[13] 뉴스 Ibanag to be a medium of instruction in DepEd's multi-lingual education program - VP Binay https://www.philstar[...] philstar.com 2012-05-10
[14] 문서 ayya itta
[15] 웹사이트 Ibanag http://www.ethnologu[...]
[16] 뉴스 DepEd indigenous culture revival in upswing https://archive.toda[...] Philippine Information Agency 2012-1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