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랑켄펠데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블랑켄펠데역은 독일 베를린-드레스덴 철도 노선에 있는 역으로, 1950년 지역 주민들의 자발적인 노력으로 건설되었다. 동독 시대에는 베를린 장벽으로 인해 서베를린과의 연결이 단절되었으나, 독일 재통일 이후 S반 노선이 복원되었다. 현재는 베를린 S반 2호선, 지역 열차 RE8, RB24 노선이 운행하며, 베를린 시내, BER 공항, 뷘스도르프발트슈타트 등을 연결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브란덴부르크주의 철도역 - 비르켄베르더역
비르켄베르더역은 1877년에 개업하여 S반과 RB 노선이 정차하며, 2021년부터 역과 승강장 보수 공사가 진행 중인 독일 베를린 북부선에 있는 역이다. - 브란덴부르크주의 철도역 - 오라니엔부르크역
오라니엔부르크역은 독일 브란덴부르크주 오라니엔부르크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베를린 북부선 개통과 함께 개업하여 베를린 S반과 장거리 열차가 정차하는 주요 역으로 확장되었으며, 독일 분단 시기에는 동독과 서베를린을 잇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고 현재 다양한 노선이 운행 중이다. - 1950년 개업한 철도역 - 봉화역 (봉화)
봉화역은 경상북도 봉화군에 있는 철도역으로, 1955년 봉화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으며, 영동선 무궁화호와 누리로 열차가 정차하여 철암, 동해 및 영주, 동대구, 부전 방면으로 운행한다. - 1950년 개업한 철도역 - 구룡역 (순천)
구룡역은 전라남도 순천시에 위치했던 경전선의 폐지된 간이역으로, 일제강점기에 개업하여 한국전쟁 중 재개업과 폐쇄를 반복하다 2007년 여객 취급이 중지되었으며, 역명은 마을의 산세에서 유래한 단선 승강장의 지상역이었다. - 베를린 S반역 - 베를린 보타니셔 가르텐역
베를린 보타니셔 가르텐역은 1909년 개업하여 슈테글리츠-젤렌도르프 지역의 주택 건설을 지원하며 지역 교통망의 일부가 된 베를린 S반 철도역으로, 제2차 세계 대전과 분단 시대를 거쳐 재건을 통해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고 인근 역 및 버스 노선과 환승이 가능하다. - 베를린 S반역 - 베를린 그라이프스발더 슈트라세역
베를린 그라이프스발더 슈트라세역은 독일 베를린에 있는 S반역으로, 1875년 바이센제역으로 개업하여 역명 변경을 거쳐 현재의 이름을 갖게 되었으며, S반 노선 S41, S42, S8, S85가 운행하고 베를린 노면전차 M4번 및 버스 158번과 환승 가능하다.
| 블랑켄펠데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역 정보 | |
| 역 이름 | 블랑켄펠데 |
| 본래 이름 | 블랑켄펠데 (텔토플레밍군) |
| 본래 이름 (언어) | 독일어 |
| 심볼 | B |
| 심볼 2 | s-bahn |
| 심볼 위치 | 베를린 |
| 심볼 위치 2 | 베를린 |
| 역 종류 | 통과역/종착역 (S-Bahn) |
![]() | |
| 주소 | 브란덴부르크주 블랑켄펠데말로, 말로 |
| 국가 | 독일 |
| 소유주 | 도이체 반 |
| 운영자 | DB Netz DB Station&Service |
| 노선 | 베를린-드레스덴 철도 (km 19.4) |
| 플랫폼 | 2 (장거리) 1 (S-Bahn) |
| 선로 수 | 3 |
| 운행 회사 | DB Regio Nordost S-Bahn Berlin |
| 개업일 | 1950년 10월 8일 |
| 전철화 | 개업 시 10px, 750 V DC 시스템 (3rd rail) |
| 간선 | 1982년 5월 23일, 15 kV AC 시스템 (overhead) |
| 운행 중단 기간 | 1961년 9월 - 1992년 8월 30일, [[File:S-Bahn-Logo.svg|10px]] 운행 중단 |
| 이전 이름 | 1950-1953 블랑켄펠데 (텔토군) 1953-1996 블랑켄펠데 (초센군) |
| 코드 | }}|ibnr=8010053|category=4}} |
| 구역 | : Berlin C/5955 |
| 웹사이트 | www.bahnhof.de |
| 인접역 | |
| RE 8S | 왼쪽: 베를린-리히터펠데 오스트 오른쪽: 달레비츠 |
| RB 24-S | 왼쪽: BER Airport 오른쪽: 달레비츠 방향: BER Airport |
| S2 | 왼쪽: 말로 |
| 노선 정보 | |
| 노선 1 | 베를린-드레스덴선 S반선 |
| 영업 거리 1 | 베를린 안할트역 기점 19.5 km |
| 이전 역 1 | 말로 |
| 이전 거리 1 | 2.7 |
| 노선 2 | 베를린-드레스덴선 열차선 |
| 영업 거리 2 | 베를린 안할트역 기점 19.5 km |
| 다음 역 2 | 달레비츠 |
| 다음 거리 2 | 1.3 |
2. 역사
블랑켄펠데역은 1950년 10월 8일 블랑켄펠데(텔토군)역으로 개통되었다. 개통 당시 S반과 장거리 열차 선로를 공유했으며, 1953년 10월부터 장거리 열차도 정차했다. S반과 장거리 열차의 선로 공유는 신호 장애를 초래하여 1952년 5월 18일 블랑켄펠데-랑스도르프 구간이 복선화되었다. 같은 날 베를린 안할트역이 폐역되었고, 베를린 외곽순환선 방면으로 열차 운행이 변경되었다. 블랑켄펠데역 북쪽에서 외곽순환선과 드레스덴선이 교차하면서 연결선이 건설되었다. 1950년 말 드레스덴선과 외곽순환선의 남서부 연결선이 건설되었다. S반 운행에 지장을 주지 않기 위해 블랑켄펠데역-말로역 구간이 다시 복선화되었고, S반과 장거리 열차 운행은 별도의 선로로 분리되었다.[11]
2. 1. 초기 역사 (1950년 이전)
드레스덴선이 개통될 당시 블랑켄펠데의 인구는 560여 명에 불과했다. 가장 가까운 철도역은 북쪽으로 떨어진 말로역과 1884년에 개통한 달레비츠역이었다. 블랑켄펠데에서 글라조를 잇는 도로에는 철도 건널목만 설치되었고, 1920년에 신호소가 설치되었다. 1928년 남부 베를린 토지회사가 블랑켄펠데 일대의 토지를 매입하여 투자자에게 매각을 시작하면서 주택 건설이 진행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직전까지 인구는 6,000여 명으로 증가했다. 1930년대 독일제국철도는 블랑켄펠데 지역에 역 건설을 승인했으나, 지자체에서 역 건설 자금을 지원하지는 못했다.[11]1940년부터 베를린 S반 전동차가 랑스도르프역까지 운행했다. 대베를린으로 편입된 지역의 철도 시설 정리 작업의 일환으로 1941년에 블랑켄펠데역 건설이 승인되었고, S반 운행은 서쪽으로 건설될 별도의 선로에서 진행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계획은 실현되지 못했다.[11]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소련에 전쟁 배상으로 복선 선로의 한 쪽이 철거되었고, 블랑켄펠데 신호소도 운영을 중단했다. 1945년 여름부터 장거리 열차가 다시 정차했고, 같은 해 10월 1일부터 말로역-랑스도르프역 간 S반 운행이 재개되었다. 종전 이후 약 2,500명이 추가로 이주하면서 블랑켄펠데 지역의 인구는 8,000명을 초과했다. 지역 시장과 베를린 철도국의 협의 끝에 신규 정차역 설치가 합의되었다. 자금 부족으로 인해 지자체에서 건설비 전액과 5년간 운영 비용을 출자했다. 섬식 승강장이 건설될 예정이었으나, 복선 선로가 건설되지 않았기 때문에 건설 이후 한동안은 단선으로 운행했다. 독일국영철도는 S반 배차 간격을 40분 이하로 단축하기 위해 1949년부터 마리엔펠데역-아틸라슈트라세역 구간의 재복선화를 진행했다.[11]
텔토군에서는 역사 건축 비용 5만 동독 마르크를 출자했다. 주민 1명당 3마르크씩을 출자하여 2만 마르크를 확보할 계획이었으나, 실제 모금액은 36,000 마르크였다. 모금 외에도 수보트니크 등의 노동 봉사도 포함되었다. 1949년 3월에 착공식이 진행되었다. 공사 당시 시멘트를 절약하기 위해 콘크리트 공급처를 찾고 있었고, 동독 인민전선에서는 안할트 근교선의 비르켄그룬트 노르트 정거장의 사용되지 않는 승강장을 철거하여 블랑켄펠데역 건설에 사용했다. 승강장은 콘크리트 재질로 96 cm 높이로 건설되었고, 약 75%는 철거된 자재로 건설되었다. 서부 승강장이 건설되지 않았고, 대합실 건설용 자재가 부족하여 당초 계획했던 1950년 초반에서 완공 시기가 지연되었다. 자재 공급이 정상화되면서 1950년 가을로 완공 시기가 조정되었고, 그 해 10월 8일에 개통했다.[11]
2. 2. 동독 시대 (1950년 ~ 1990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블랑켄펠데는 동독 지역에 속했으며, 소련에 전쟁 배상으로 철도 시설이 철거되는 어려움을 겪었다.[11] 지역 주민들의 노력과 텔토군 지자체의 재정 지원으로 1950년 10월 8일 블랑켄펠데(텔토군)역이 개통되었다.[11] 주민 1명당 3마르크씩 출자하여 2만 마르크를 확보할 계획이었으나 실제 모금액은 36,000 마르크였다. 모금 외에도 수보트니크 등의 노동 봉사도 포함되었다.[11]블랑켄펠데역은 S반과 장거리 열차의 환승역으로 기능하며, 동베를린, 서베를린, 드레스덴을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5] 1953년 5월 18일 동독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역명이 블랑켄펠데(초센군)역으로 변경되었다.[12]
베를린 장벽 건설(1961년) 이후, 블랑켄펠데역은 동독 내에서 S반 운행의 종착역이 되었고, 서베를린과의 연결은 단절되었다.[13] 말로역과의 연결을 유지하기 위해 별도의 승강장이 건설되고, "블라우어 보크"(푸른 염소)라는 별명의 셔틀 열차가 운행되었다.[13] 이 열차는 V 15형 디젤 기관차와 제어 객차로 구성된 열차로 운행되었으며, 기관차에 칠해진 파란색 페인트와 당시 라디오 엔터테인먼트 프로그램의 이름을 따서 '블라우어 보크'라는 별명을 얻었다.[5][4]
2. 3. 독일 통일 이후 (1990년 ~ 현재)
독일의 재통일 이후, 서베를린 S반 네트워크와의 재연결이 결정되었다. 1985년 드레스덴선이 가공 전선 시스템으로 전철화되었기 때문에, S반을 랑스도르프까지 복구하려면 새로운 선로 구간 건설이 필요했을 것이다. 따라서 S반 운행은 블랑켄펠데역까지만 복원되었고, 이남 구간은 열차 환승으로 대체되었다. 1991년 9월 16일, '블라우어 보크' 셔틀 열차 운행이 중단되고 직류 S반 운행 준비 공사가 시작되었다. 기존 상대식 승강장은 철거되고 섬식 승강장으로 대체되었다. 승강장 북쪽의 급경사와 공사 지연 문제로 인해 신규 승강장 설치는 진행되지 않았다.[12] 1992년 8월 31일, 블랑켄펠데-리히텐라데 구간의 S반 운행이 재개되었다. 1996년 6월 2일, 현재의 역명(블랑켄펠데역)으로 개칭되었다.드레스덴선의 베를린 시내 장거리선 복원 공사로 인해 2023년에 지역간 열차 승강장이 철거되었고, 철도 건널목도 입체화되었다. 2025년 이후 정식 승강장이 재설치될 예정이다.

3. 위치 및 시설
블랑켄펠데역은 베를린-드레스덴 철도 19.4 km 지점에 있는 블랑켄펠데 지역에 있다. 곡선 구간을 통해 장거리 선로는 베를린 외곽순환선(Berliner Außenring, BAR)의 글라소워 담 쥐트 분기점 북쪽 지선과 연결된다. 장거리 선로와 S반 단선 선로는 베를린 방향으로 외곽 순환선을 넘어간다. 두 선로는 말로역 앞에서 합쳐진다.
장거리 플랫폼은 길이 229m, 높이 76cm이며, 약 30m 구간에 지붕이 덮여 있다. S반 플랫폼은 길이 180m, 높이 96cm이며, 승강장 가장자리 한 곳을 가지고 있다. S반 선로는 장거리 선로보다 3m 위에 있다. 장거리 플랫폼에는 선로 양쪽에 출구가 있는 보행자 터널과 카를-마르크스-슈트라세 건널목으로 이어지는 지상 접근로가 있다. S반 플랫폼은 계단과 경사로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4. 운행 노선
블랑켄펠데역에는 베를린 S반 2호선과 레기오날반(지역 열차) RE8, RB24 노선이 정차한다.
| 노선 | 종류 | 구간 |
|---|---|---|
| S2 | 베를린 S반 | 베르나우 - 블랑켄부르크 - 말로 - 블랑켄펠데 |
| RE8 | 레기오날엑스프레스 | 베를린 - BER 공항 - 블랑켄펠데 - 뷘스도르프발트슈타트 - 루카우-우크로 - 도베를루크-키르히하인 - 엘스터베르다 |
| RB24 | 레기오날반 | BER 공항 - 블랑켄펠데 - 뷘스도르프발트슈타트 |
S반은 20분 간격으로 운행되며, 베를린 시내와 베르나우 바이 베를린을 연결한다.[9] RE8 노선은 베를린과 엘스터베르다를 연결하며, RB24 노선은 BER 공항과 뷘스도르프발트슈타트를 연결한다.[9] 텔토-플레밍 교통공사(Teltow-Fläming)에서 운영하는 버스와 환승할 수 있다.
5. 사회문화적 의의
블랑켄펠데역은 단순한 철도역을 넘어, 독일 분단과 통일의 역사를 보여주는 중요한 장소이다. 베를린 장벽 건설과 붕괴를 거치면서 동서독 주민들의 삶과 애환을 함께 해 온 역사적 상징성을 지닌다.
1961년 8월 베를린 장벽 건설로 인해 S반 노선은 말로 북쪽에서 단절되었다.[4] 이로 인해 블랑켄펠데에 별도의 플랫폼이 건설되었고, 짧은 구간은 셔틀 열차로 운행되었다. 이 열차는 기관차에 칠해진 파란색 페인트와 당시 라디오 엔터테인먼트 프로그램의 이름을 따서 '블라우어 보크'(푸른 염소)라는 별명을 얻었다.[5][4]
독일 재통일 이후, 서베를린 S반 네트워크를 주변 지역과 다시 연결하기로 결정하면서 '블라우어 보크'는 1991년 9월 16일에 폐지되었고, 재건된 구간에서 전철 운행이 재개되었다.[5] 1992년 8월 31일에는 블랑켄펠데에서 리히텐라데를 경유하여 베르나우까지 운행하는 S반 열차가 재개되었다.
오늘날 블랑켄펠데역은 베를린과 브란덴부르크 지역 간의 교통 연결성을 강화하고, 지역 발전에 기여하는 핵심적인 인프라로 기능하고 있다.
참조
[1]
서적
Eisenbahnatlas Deutschland (German railway atlas)
Schweers + Wall
[2]
URL
[3]
웹사이트
Der VBB-Tarif: Aufteilung des Verbundgebietes in Tarifwaben und Tarifbereiche
https://www.swp-pots[...]
Verkehrsverbund Berlin-Brandenburg
2017-01-01
[4]
서적
S-Bahn Berlin. Geschichte(n) für unterwegs
[5]
웹사이트
Blankenfelde station
http://stadtschnellb[...]
stadtschnellbahn-berlin.de
2015-05-24
[6]
문서
Deutsche Reichsbahn, summer 1957 timetable
[7]
문서
Deutsche Reichsbahn, summer 1960 timetable
[8]
간행물
Kein IR-Halt in Blankenfelde
GVE-Verlag
[9]
Timetable
Timetables for Blankenfelde
http://kursbuch.bahn[...]
[10]
URL
[11]
서적
Wie Blankenfelde seinen Bahnhof bekam
[12]
웹인용
Blankenfelde
http://stadtschnellb[...]
2012-01-14
[13]
서적
S-Bahn Berlin. Geschichte(n) für unterwegs
GVE-Verla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