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유 (문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유는 어떤 대상이나 개념을 다른 대상이나 개념에 빗대어 표현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비유는 크게 과장, 모순어법, 반어, 알레고리, 은유, 제유, 환유, 환의 등의 종류로 나눌 수 있으며, 직유, 은유, 환유, 제유, 우의, 반어, 동음이의 반복 등이 있다. 비유는 문학 작품의 표현력을 풍부하게 하고, 독자에게 새로운 의미를 전달하는 데 기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비유 (문학) |
---|
2. 어원
trope는 회전, 방향, 방식을 뜻하는 그리스어 τρόπος|troposel에서 유래하였다. 이 단어는 τρέπειν|trepeinel의 명사형이다. 고전 수사학에서 trope는 문중의 말의 배열 (패턴)의 변경을 수반하는 수사법을 가리키는 'scheme'과 함께, 수사법을 크게 양분하는 중요한 것이었다.
전의(轉義)는 크게 비유와 의미의 변화로 나눌 수 있다. 고전 수사학에서 전의는 문장 내 단어 배열(패턴)의 변경을 수반하는 수사 기법인 "scheme"과 함께 수사 기법을 크게 양분하는 것이었다. 현대에는 "말의 묘미", "문채", "수사"라는 의미로도 사용된다.
3. 종류
3. 1. 비유 (Figurative Language)
비유는 어떤 대상이나 개념을 다른 대상이나 개념에 빗대어 표현하는 방식이다.3. 1. 1. 직유 (Simile)
'''직유'''는 'A는 B와 같다'와 같이 직접적으로 비교를 나타내는 표현 방식이다. 예를 들어 "눈처럼 하얀 피부"와 같이 쓰인다. 일본어에서는 "처럼"을 붙여 비유임을 나타낸다.[1]
3. 1. 2. 은유 (Metaphor)
은유(隱喩, metaphor)는 상이한 대상들이나 개념들이 지닌 유사성을 병치시킴으로써 드러나는 비유이다. 예를 들어 ‘연애는 운전이다.’는 ‘운전’이라는 익숙한 개념을 빌려 ‘연애’라는 익숙하지 않은 개념을 이해하려는 은유로서, 그 문장의 화자에게 두 개념은 유사성과 이질성을 모두 지니고 있다고 보인다.[2] 은유는 유사한 특징을 가진 이종의 것의 병치를 통한 대상 또는 개념의 설명으로, 예를 들면 "용기 있는 사람"을 "사자의 심장을 가진 사람"으로 표현하는 것이 있다.
3. 1. 3. 환유 (Metonymy)
어떤 대상을 인접한 대상으로 지칭하여 표현하는 비유이다. 예를 들어 미국 대통령의 행동을 ‘백악관의 행동’이라고 하는 경우이다.[2] 근접성에 의한 전이법으로, "미국 대통령의 결정"을 "백악관의 결정"으로 표현하는 것이 예시이다.[1]
3. 1. 4. 제유 (Synecdoche)
환유 및 은유와 관련한 것으로, 어떤 대상 전체를 그 일부분으로 지칭하거나, 그 반대로 표현하는 비유이다. 예를 들어 고용 노동자를 'hired hands'(빌린 손)으로 표현하는 것은 부분에서 전체를 나타내는 예시이다.[2] 경관을 '법'으로 표현하는 것은 전체로 전체를 나타내는 예시이다. 특수한 것으로 일반적인 것을 나타내는 예시는 음식을 '밥'으로 표현하는 것이고, 일반적인 것으로 특수한 것을 나타내는 예시는 사자를 '고양이'로 표현하는 것이다. 빌딩을 '벽돌과 모르타르'로 표현하는 것은 구성하는 것으로 나타내는 예시이다.[2]
3. 1. 5. 우의 (Allegory)
은유의 한 종류로, 한 문장이나 담화 전체에서 지속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말한다. '우유'(愚喩), '우의'(寓意), '풍유'(諷諭)라고도 한다.[1] 이야기 전체를 통해 일관되게 사용되는 은유(메타포)의 예시로는 "국가라는 배는 로비스트의 폭풍보다 더 심한 폭풍을 헤쳐 항해했다."와 같은 것이 있다.[1]
3. 2. 의미의 변화
의미의 변화는 단어나 구의 의미를 원래 의미와 다르게 사용하는 방식이다.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3. 2. 1. 반어 (Irony)
일반적인 의미와는 반대되는 의미를 함축함으로써 드러나는 비유이다. 예를 들어 나쁜 상황을 만든 사람에게 “잘했다.”라고 말하는 경우이다.[2] 표준적인 의미의 정반대의 의미 부여에 의한 전이법을 만들어낸다. 예: "상당한" → "조금"[1]
3. 2. 2. 동음이의 반복 (Antanaclasis)
다의어나 동음이의어를 한 문장이나 담화 안에서 여러 차례, 각기 다른 의미로 사용하는 비유이다. 말장난이나 표어에 자주 사용된다.[2]
3. 2. 3. 과장 (Hyperbole)
과장(誇張, hyperbole)은 어떤 대상을 실제보다 크게 또는 작게 표현하는 비유이다.[2]
3. 2. 4. 모순어법 (Oxymoron)
모순어법은 서로 모순되는 두 단어나 구를 결합하여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내는 표현 방식이다.[1]
3. 2. 5. 완곡법 (Euphemism)
'''완곡법'''은 불쾌하거나 듣기 거북한 표현을 완화하여 표현하는 방법이다.[1]
3. 2. 6. 우언법 (Parable)
우언법은 교훈적인 내용을 담은 짧은 이야기를 통해 간접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식이다.
3. 2. 7. 대조법 (Antithesis)
서로 반대되는 개념이나 아이디어를 대조시켜 의미를 강조하는 표현 방식이다.[1]
4. 관련 용어
참조
[1]
웹사이트
Silva Rhetorica
http://rhetoric.byu.[...]
[2]
서적
국어학개론
태학사
2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