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빨간 약과 파란 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빨간 약과 파란 약"은 영화 《매트릭스》에서 유래한 개념으로, 기존 질서와 다른 선택을 하는 행위를 비유하는 데 사용된다. 영화에서 주인공 네오는 빨간 약과 파란 약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데, 빨간 약은 현실을 자각하게 해주는 반면, 파란 약은 가상 현실에 머무르게 한다. 이 개념은 이후 정치적 은유로 사용되어, "빨간 약을 먹는다"는 것은 사회의 정치적 편견을 깨닫고 독립적인 사고를 하는 것을, "파란 약을 먹는다"는 것은 편견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극우, 우익 정치, 그리고 남성 권리 운동 등 다양한 맥락에서 사용되며, 영화 《토탈 리콜》, 《월터의 상상은 현실이 된다》, 《바비》, 게임 《사이버펑크 2077》등 다양한 매체에서도 유사한 딜레마를 표현하는 데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성계 - 이대남
    이대남은 2010년대 후반부터 대한민국 20대 남성의 정치·사회적 특징을 나타내는 용어로, 문재인 정부의 페미니즘 정책에 대한 반감과 공정성 요구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보수적인 성향을 띠며, 2022년 대통령 선거의 주요 변수로 작용하고 우파 및 사회 보수주의 세력의 지지 기반으로 활용된다.
  • 남성계 - 닉 푸엔테스
  • 매트릭스 시리즈 - 애니매트릭스
    애니매트릭스는 워쇼스키 자매가 기획하고 일본 애니메이션 제작진들이 참여하여 《매트릭스》 세계관을 배경으로 다양한 스타일과 장르로 풀어낸 9개의 단편 애니메이션 옴니버스 작품이다.
  • 매트릭스 시리즈 - 매트릭스 2: 리로디드
    2003년에 개봉한 워쇼스키 자매 감독의 SF 액션 영화 《매트릭스 2: 리로디드》는 전작의 6개월 후를 배경으로 네오, 트리니티, 모피어스가 자이언을 지키고 매트릭스의 진실을 파헤치는 여정을 그린 3부작 중 두 번째 작품이다.
  • 2010년 인터넷 밈 - 예두아르트 힐
    소련과 러시아의 바리톤 가수 예두아르트 힐은 전쟁 중 고아원 생활을 했지만 음악원에서 성공적인 경력을 쌓았고, 인민 예술가 칭호를 받았으며, 말년에는 "트롤롤롤" 영상으로 인터넷 밈 스타가 되었다.
  • 2010년 인터넷 밈 - 메가마인드
    2010년 드림웍스에서 제작한 슈퍼히어로 코미디 영화 메가마인드는 슈퍼 악당 메가마인드가 숙적 메트로맨을 제거한 후 새로운 영웅을 만들려다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 작품으로, 윌 페럴, 티나 페이, 조나 힐, 브래드 피트 등이 목소리 연기를 맡았고 톰 맥그래스가 감독했다.
빨간 약과 파란 약
영화 정보
원제The Matrix
한국어 제목매트릭스
감독릴리 워쇼스키, 라나 워쇼스키
각본릴리 워쇼스키, 라나 워쇼스키
제작조엘 실버
주연키아누 리브스
로렌스 피시번
캐리앤 모스
휴고 위빙
조 판톨리아노
음악돈 데이비스
촬영빌 포프
편집잭 무어
제작사워너 브라더스
배급사워너 브라더스
개봉일1999년 3월 31일
국가미국
언어영어
상영 시간136분
제작비6,300만 달러
흥행 수입4억 6,350만 달러

2. 영화 《매트릭스》

영화 《매트릭스》에서 주인공 네오(키아누 리브스 분)는 반란군 지도자 모피어스(로렌스 피시번 분)로부터 빨간 약과 파란 약 중 하나를 선택하라는 제안을 받는다. 모피어스는 "파란 약을 먹으면 이야기는 끝나고, 침대에서 깨어나 네가 믿고 싶은 것을 믿게 될 것이다. 빨간 약을 먹으면 이상한 나라에 남게 되고, 내가 토끼 굴이 얼마나 깊은지 보여주겠다"라고 설명한다.[1]

빨간 약을 선택한 네오는 현실 세계에서 깨어나 자신이 액체로 채워진 챔버에 누워 있었음을 알게 된다. 모피어스는 네오에게 매트릭스의 진실을 보여주는데, 그것은 20세기 말 지구를 정교하게 시뮬레이션한 컴퓨터 프로그램이며, 인류는 지각 있는 기계의 동력원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것이다.[2]

몇몇 철학자와 작가들은 빨간 약과 파란 약의 선택에 대해 논하며, 모든 정보를 얻은 후에도 현실 세계를 선택하는 것이 항상 옳은 것인지 의문을 제기한다. 러셀 블랙포드는 디지털 시뮬레이션보다 물리적 현실을 선택하는 것이 모든 사람에게 유효할 정도로 이점이 있는 것은 아니라고 믿는다.[4] 제이크 호슬리는 빨간 약을 LSD에 비유하며, 파란 약은 중독성이 있다고 묘사한다.[5]

2. 1. 빨간 약과 파란 약의 의미

영화 ''매트릭스''에서 주인공 네오는 반란군 지도자 모피어스로부터 빨간 약과 파란 약 중 하나를 선택하라는 제안을 받는다.[1] 모피어스는 파란 약을 먹으면 모든 것을 잊고 매트릭스의 시뮬레이션 현실 속에서 살아가게 되지만, 빨간 약을 먹으면 이상한 나라에 남아 토끼 굴이 얼마나 깊은지 보게 될 것이라고 설명한다.[1] 즉, 파란 약은 진실을 외면하고 거짓된 환상 속에서 안주하는 것을, 빨간 약은 고통스럽지만 진실을 깨닫고 현실을 직시하는 것을 상징한다.

네오는 빨간 약을 선택하고 현실 세계에서 깨어난다. 모피어스는 네오에게 매트릭스의 진실을 알려주는데, 그것은 20세기 말 지구를 시뮬레이션한 컴퓨터 프로그램이며, 인류는 지각 있는 기계의 동력원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것이다.[2]

빨간 약과 파란 약의 선택은 철학적인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러셀 블랙포드는 모든 정보를 얻은 후에도 현실 세계를 선택하는 빨간 약을 택할지 의문을 제기하며, 디지털 시뮬레이션보다 물리적 현실을 선택하는 것이 항상 이점이 있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한다.[4] 사이퍼는 빨간 약을 선택한 것을 후회하며 "무지가 곧 행복이다"라고 말하기도 한다.[4]

제이크 호슬리는 빨간 약을 LSD에 비유하며, 파란 약은 중독성이 있고, 매트릭스 안의 사람들은 스스로 파란 약을 복용하는 것이라고 묘사한다.[5]

이러한 빨간 약과 파란 약의 의미는 기존의 질서와 다른 선택을 하는 행위를 빗대어 사용되기도 한다.[95]

2. 2. 네오의 선택과 결과

매트릭스에서 주인공 네오는 반란군 지도자 모피어스에게 빨간 약과 파란 약 중 하나를 선택하라는 제안을 받는다. 모피어스는 파란 약을 먹으면 모든 것이 꿈이었다고 생각하며 매트릭스 안에서 계속 살게 되지만, 빨간 약을 먹으면 현실 세계를 깨닫고 매트릭스에서 벗어나게 된다고 설명한다.[1]

네오는 빨간 약을 선택하고 액체로 채워진 챔버에서 깨어나 현실 세계로 나오게 된다. 모피어스는 네오에게 매트릭스의 진실을 알려주는데, 그것은 20세기 말 지구를 모방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이며, 인간은 기계의 동력원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것이다.[2]

빨간 약을 선택한 네오는 진실을 알게 되었지만, 현실은 꿈속보다 더 힘들고 어려웠다. 그러나 네오는 진정성 있는 삶을 살기 위해 빨간 약을 선택한 것을 후회하지 않는다.

사이퍼는 빨간 약을 선택한 것을 후회하며 "몰랐으면 좋았을 텐데"라고 말하며 기계와 거래하여 매트릭스로 돌아가려고 한다. 이는 진실을 아는 것의 고통과 무지가 주는 행복 사이의 갈등을 보여준다.[61]

몇몇 철학자와 작가들은 빨간 약과 파란 약의 선택에 대해 논하며, 모든 정보를 얻은 후에도 현실 세계를 선택하는 것이 항상 옳은 것인지 의문을 제기한다. 그럼에도 영화는 네오가 진정성 있게 살고 죽기 위해 빨간 약을 선택하는 것이 가치 있다고 묘사한다.[4]

제이크 호슬리는 빨간 약을 LSD에 비유하며, 매트릭스 밖의 현실을 경험하게 하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또한 파란 약은 중독성이 있으며, 매트릭스 안의 사람들은 스스로 파란 약을 복용하는 것이라고 덧붙인다.[62]

2. 3. 워쇼스키 자매의 해석

워쇼스키 자매는 영화 《매트릭스》에서 빨간 약과 파란 약을 통해 관객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바를 인터뷰에서 밝혔다. 라나 워쇼스키는 2012년 인터뷰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이는 주인공 네오가 겪는 변화처럼, 관객 역시 영화를 보면서 기존의 믿음에 의문을 제기하고 스스로 삶의 의미를 찾아가도록 유도하는 것이 영화의 의도임을 시사한다.

또한, 팬들은 빨간 약이 트랜스젠더를 비유하거나 라나 워쇼스키와 릴리 워쇼스키가 트랜스젠더로 커밍아웃한 과정을 담은 이야기라는 해석을 내놓았다.[17][18] 1990년대에는 트랜스 여성의 일반적인 트랜스젠더 호르몬 치료법으로 프레마린이라는 적갈색 정제가 사용되었고, 당시 커밍아웃하지 않은 트랜스 여성에게 처방되는 일반적인 항우울제인 프로작은 파란색이었다는 점이 이러한 해석을 뒷받침한다.[19]

릴리 워쇼스키는 2020년 8월에 영화 제작자들이 의도적으로 영화에 트랜스젠더 관련 주제를 포함시켰다고 밝혔다.[20] 이는 빨간 약이 사회적 통념과 억압에서 벗어나 자신의 진정한 모습을 찾아가는 과정을 상징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3. 철학적, 문학적 배경

영화 《매트릭스》에서 주인공 네오는 빨간 약과 파란 약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상황에 놓인다. 빨간 약은 진실을 향한 불확실한 여정을, 파란 약은 안락하지만 거짓된 현실을 상징한다.[1] 이러한 설정은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 대한 언급과 함께 철학적, 문학적 배경을 드러낸다.

《매트릭스》는 영지주의, 실존주의, 허무주의 등 역사적 신화와 철학을 참고했다.[7][8] 워쇼스키 자매는 주연 배우 키아누 리브스에게 촬영 전 장 보드리야르의 《시뮬라크르와 시뮬라시옹》, 케빈 켈리의 《통제 불능》, 딜런 에반스의 《진화의 소개》를 읽도록 했다.[16] 또한, 오시이 마모루의 1995년 애니메이션 작품 《공각기동대》에서 강한 영향을 받았다.[56]

라나 워쇼스키는 2012년 인터뷰에서 매트릭스 시리즈가 네오의 변화처럼, 관객에게도 전이(shift)를 경험하게 하고, 의미를 구축하는 데 참여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57]

3. 1. 플라톤의 동굴의 비유

영화 《매트릭스》는 플라톤의 동굴의 비유와 유사한 점이 많다.[9][10] 동굴 속 죄수들은 그림자를 현실로 착각하지만, 한 죄수가 동굴 밖으로 나가 진실을 깨닫는 것처럼, 《매트릭스》의 네오도 빨간 약을 통해 매트릭스라는 가상 현실에서 벗어나 진정한 현실을 마주하게 된다.

빨간 약과 파란 약은 진실과 거짓, 인식과 무지의 문제를 상징한다.[95] 빨간 약은 고통스럽더라도 진실을 알게 되는 것을, 파란 약은 안락하지만 거짓된 세계에 머무르는 것을 의미한다.[95] 이러한 설정은 러셀 블랙포드(Russell Blackford)와 같은 인물들로 하여금 빨간 약을 택하는 것이 모든 사람에게 유효한 이점이 있는지 의문을 제기하게 했다.[4]

장자의 장자가 꿈에 나비가 되다, 르네 데카르트의 회의론[11][12], 이마누엘 칸트현상''물자체''에 대한 성찰, 로버트 노직의 "경험 기계",[13] 시뮬레이션된 현실의 개념 및 뇌 속의 항아리 사고 실험과 비교되기도 한다.[14][15]

『수조 속의 뇌』를 이미지한 일러스트

3. 2. 장자의 호접몽

장자의 호접몽은 꿈과 현실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들며, 진정한 자아가 무엇인지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54][55] 이는 매트릭스에서 빨간 약을 통해 현실을 자각하고 진정한 자아를 찾아가는 과정과 연결될 수 있다.

3. 3. 데카르트의 회의론

데카르트의 회의론[11][12]은 모든 것을 의심하고 진리를 탐구하는 자세를 보여준다. 이는 영화 《매트릭스》에서 빨간 약을 선택하여 현실을 직시하는 행위와 유사하게 연결된다.[95]

3. 4. 루이스 캐럴의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루이스 캐럴의 1865년 소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는 주인공 앨리스가 "나를 먹어봐"라고 적힌 케이크와 "나를 마셔봐"라고 적힌 물약을 발견하는 장면이 나온다.[6] 케이크를 먹으면 앨리스는 몸집이 거대하게 커지고, 물약을 마시면 몸이 작아진다.[6] 이러한 설정은 영화 《매트릭스》에서 네오가 모피어스에게서 빨간 약과 파란 약 중 하나를 선택하라는 제안을 받는 장면의 모티프가 된 것으로 추정된다. 모피어스는 네오에게 빨간 약을 먹으면 이상한 나라에 남아 토끼 굴이 얼마나 깊은지 보게 될 것이라고 말하는데, 이는 앨리스가 이상한 나라에서 겪는 모험과 성장을 암시한다.[1]

4. 사회적, 정치적 은유

영화 《매트릭스》에서 빨간 약은 진실을 깨닫게 하는 도구로, 파란 약은 현실을 외면하고 안주하게 하는 도구로 사용된다. 이러한 설정은 사회적, 정치적 맥락에서 다양한 의미로 해석되고 활용된다.[95]

빨간 약과 파란 약의 개념은 이후 미국에서 정치적 은유로 널리 사용된다. "빨간 약을 먹는다" 또는 "레드필화"는 주류 미디어를 포함한 사회에 내재된 정치적 편견을 깨닫고, 독립적인 사고를 갖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파란 약을 먹는다" 또는 "블루필화"는 이러한 편견을 의심 없이 받아들이는 것을 의미한다.[26][27]

이 은유가 정치적으로 처음 사용된 것은 2006년 콜로라도 대학교 사회학 교수 캐슬린 J. 티어니의 에세이 "The Red Pill"이다. 허리케인 카트리나에 대한 미국 정부의 대응이 불충분하다고 느낀 사람은 "빨간 약을 먹고" 9.11 테러 이후의 정책이 국가를 더 취약하게 만들었다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고 주장했다.[30]

이후 이 은유는 신반동주의 블로거 커티스 야빈이 다른 맥락에서 대중화했다.[31] 2007년 멘시우스 몰드버그라는 필명으로 "민주주의 반대론: 열 개의 빨간 약"이라는 블로그 게시물을 작성했다. 그는 민주주의가 나쁘다고 서양인을 설득하는 것은 어렵지만, 민주주의에 반대하는 열 가지 "빨간 약" 주장을 제시했다.[32]

남성 권리 운동이나 마노스피어에서는 "빨간 약"이라는 단어는 결혼이나 일부일처제 등, 자신이 따르도록 기대되는 젠더 롤이 남녀 상호 이익이 아닌 여성만의 이익을 위해 의도되었다고 믿게 되는 순간을 지칭하는 은유로 사용된다.[34][35] 2016년에는 남성 권리 운동에 관한 다큐멘터리 『더 레드필』이 공개되었다.

이 개념은 얼터너티브 우익이나 우익 신념에 찬동하는 사람들을 지칭할 때 좌익 사이에서도 사용되고 있다.[78][79]

4. 1. 주류 언론과 대안 언론

영화 <매트릭스>에서 유래한 빨간 약과 파란 약 비유는 주류 언론과 대안 언론의 관계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빨간 약을 먹는다"는 것은 주류 언론이 제시하는 현실 인식에서 벗어나 독립적으로 사고하기 시작한다는 것을 의미한다.[26][27] 이는 사회에 내재된 정치적 편견을 깨닫고, 주류 언론의 보도 내용을 비판적으로 바라보게 된다는 뜻이다.[26][27]

반면 "파란 약을 먹는다"는 것은 주류 언론이 제공하는 정보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하고, 그들이 설정한 프레임 안에서 세상을 보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비유는 주류 언론에 대한 불신과 대안 언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현상을 보여준다.

스스로 "빨간 약을 먹었다"고 표현하는 사람들은 주류 언론이 숨기거나 왜곡한다고 생각하는 진실을 찾고자 한다. 이들이 주로 관심을 갖는 분야는 음모론, 반유대주의, 백인 우월주의, 동성애 혐오, 여성 혐오 등이다.[27][28]

4. 2. 정치적 이념과 신념

빨간 약과 파란 약의 개념은 미국에서 정치적 은유로 널리 사용되며, 특히 온라인 문화에서 두드러진다. "빨간 약을 먹는다"는 것은 주류 언론을 포함한 사회에 내재된 정치적 편견을 인식하고 독립적인 사고를 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파란 약을 먹는다"는 것은 이러한 편견을 비판 없이 수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26][27]

스스로 "빨간 약을 먹었다"고 칭하는 사람들은 종종 음모론, 반유대주의, 백인 우월주의, 동성애 혐오, 여성 혐오적 신념을 가진 것으로 여겨진다.[27][28] 극우파와 우익 정치 신념을 가진 사람들이 이 용어를 자주 사용하기 때문에, "빨간 약을 먹은"이라는 표현은 때때로 다른 사람들에 의해 우익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29]

이 은유가 정치적으로 처음 사용된 것은 2006년 콜로라도 대학교 사회학 교수 캐슬린 J. 티어니의 에세이 "빨간 약"에서였다. 그녀는 허리케인 카트리나에 대한 미국 정부의 대응이 불충분하다고 느끼는 사람들이 "빨간 약을 먹고" 9.11 테러 이후의 정책이 국가를 더 취약하게 만들었다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고 주장했다.[30]

이후 이 은유는 신반동 블로거 커티스 야빈에 의해 다른 맥락에서 대중화되었다.[31] 그는 2007년 멘시우스 몰드버그라는 필명으로 "민주주의 반대론: 열 개의 빨간 약"이라는 블로그 게시물을 작성했다. 그는 민주주의가 나쁘다고 서양인을 설득하는 것은 어렵지만, 민주주의에 반대하는 열 가지 "빨간 약" 주장을 제시했다.[32]

2017년, 정치 활동가 캔디스 오웬스는 미국 흑인 보수주의를 홍보하는 웹사이트 ''Red Pill Black''과 유튜브 채널을 시작했다.[33]

일부 남성 권리 운동, 남성향 문화권, 반페미니즘 커뮤니티에서 "레드 필"이라는 용어는 개인이 결혼과 일부일처제와 같은 특정 성 역할이 여성만을 위한 것이라고 믿게 되는 순간을 의미하는 은유로 사용된다.[34][35] 2016년에는 남성 권리 운동에 관한 다큐멘터리 영화 ''레드 필''이 개봉되었다.

인셀 관련 블로그에서 대중화된 ''블랙필'' 비유는, 지위가 낮거나 매력적이지 않은 남성이 여성과의 관계에 대한 전망을 개선하기 어렵다고 믿는 것을 의미한다.[37][38]

4. 3. 캔디스 오웬스의 "Red Pill Black"

2017년, 정치 활동가이자 평론가인 캔디스 오웬스는 미국 흑인 보수주의를 홍보하는 웹사이트 ''Red Pill Black''과 유튜브 채널을 개설했다.[33] 여기서 "레드필"은 기존에 믿고 있던 좌파의 내러티브를 거부하는 과정을 의미하는 은유로 사용되었다.[85] 이는 빨간 약의 은유가 특정 정치적 신념을 옹호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5. 기타 용례

영화 《매트릭스》에서 빨간 약은 현실을 깨닫게 하는 도구로, 파란 약은 현실을 외면하고 가상 현실에 안주하게 하는 도구로 사용된다.[95] 이러한 설정은 대중문화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쳐, 다양한 작품에서 빨간 약과 파란 약의 은유가 활용되고 있다.

가이 가와사키는 저서 ''시작의 기술''(2004)에서 새로운 조직의 리더가 현실과 환상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상황을 빨간 약에 비유하며, 성공을 위해서는 빨간 약을 먹고 토끼 굴이 얼마나 깊은지 봐야 한다고 조언했다.[86]

마에모 운영 체제 애플리케이션 설치 프로그램에는 2010년 1월까지 "Red Pill Mode"라는 이스터 에그가 있었다.[87][88] 이 모드는 초보 사용자가 고급 기능을 실수로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고 숙련된 사용자에게는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특정 고급 기능의 잠금을 해제하는 역할을 했다.

5. 1. 영화 《토탈 리콜》, 《월터의 상상은 현실이 된다》, 《바비》

영화 《토탈 리콜》에서는 주인공(아놀드 슈워제네거 분)이 현실로 돌아가고 싶다는 소망을 상징하는 빨간 약을 먹는 장면이 나온다.[95]

영화 《월터의 상상은 현실이 된다》에서는 주인공(벤 스틸러 분)이 그린란드누크 공항에서 "빌릴 수 있는 차가 있습니까?"라고 묻자, 직원은 "파란 차와 빨간 차가 있습니다"라고 대답한다. 주인공은 "빨간 차로 하죠"라고 말하며 빨간 차를 선택한다.[89] 이는 《매트릭스》의 빨간 약/파란 약 장면을 오마주한 것으로 해석된다.[90][91][92]

영화 《바비》에서는 주인공 바비가 바비랜드에서 계속 살 것인지(분홍색 하이힐), 아니면 현실 세계로 들어갈 것인지(버켄스탁 샌들) 선택해야 하는 상황에 놓인다.[93] 영화 마지막 장면에서 바비는 옅은 분홍색 버켄스탁 샌들을 신고 현실 세계에서 인간으로 살아가게 된다.

5. 2. 게임 《사이버펑크 2077》

게임 ''사이버펑크 2077''에서 캐릭터 미스티는 V에게 두 가지 약을 준다. 하나는 주황색(오메가 블로커)이고, 다른 하나는 파란색(의사-엔도트리진)이다. 파란 약은 조니 실버핸드의 인격 인그램이 V의 정신을 장악하는 과정을 늦춘다. 주황색 약은 그 과정을 가속화한다.

5. 3. 블록 파티의 노래 "She's Hearing Voices"

블록 파티의 노래 "She's Hearing Voices" 가사에는 "빨간 약, 파란 약"이라는 구절이 포함되어 있다.[95]

참조

[1] 웹사이트 The Matrix Review https://www.empireon[...] 2024-07-29
[2] 웹사이트 The Matrix https://www.pluggedi[...] 2024-07-29
[3] 웹사이트 DP/30: Cloud Atlas, Screenwriter/Directors Lana Wachowski, Tom Tykwer, Andy Wachowski http://moviecitynews[...] moviecitynews.com 2012-10-13
[4] 서적 Jacking in to the Matrix franchise: cultural reception and interpretation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5] 서적 Matrix Warrior: Being the One https://archive.org/[...] Macmillan
[6] 간행물 The Matrix Resurrections Trailer: Decoding the Alice in Wonderland References https://www.vanityfa[...] 2021-09-09
[7] 뉴스 Philosophers Draw On a Film Drawing On Philosophers https://www.nytimes.[...] 2021-02-08
[8] 웹사이트 Journal of Religion & Film: Wake Up! Gnosticism and Buddhism in The Matrix by Frances Flannery-Daily and Rachel Wagner https://www.unomaha.[...] 2015-11-29
[9] 서적 Taking the Red Pill: Science, Philosophy and the Religion in the Matrix https://books.google[...] BenBella Books 2003
[10] 웹사이트 You Won't Know the Difference So You Can't Make the Choice https://philosophyno[...] philosophynow.org
[11]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Theory of Knowledge https://books.google[...] Polity 2006
[12] 문서 Skepticism http://plato.stanfor[...]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13] 서적 Philosophers Explore The Matrix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4] 웹사이트 The Brain in a Vat Argument http://www.iep.utm.e[...]
[15] 학술 Philosophers Explore The Matrix https://ndpr.nd.edu/[...] 2006-01-15
[16] 웹사이트 The Books: Matrix 'Inspirations' http://thematrix101.[...]
[17] 서적 Females https://www.versoboo[...] verso 2020-07-07
[18] 웹사이트 With The Matrix 4 coming, let's talk about how the first movie is a trans allegory https://www.syfy.com[...] SyFy Channel 2020-07-07
[19] 웹사이트 What We Can Learn About Gender From The Matrix https://www.vulture.[...] Vulture 2020-07-07
[20] 웹사이트 The Matrix was a metaphor for transgender identity, director confirms https://www.independ[...] 2020-10-30
[21] 서적 Integrating Counselling & Psychotherapy. Directionality, Synergy and Social Change https://www.google.c[...] Sage Publishing
[22] 서적 The Parallax View https://books.google[...] MIT Press
[23] 서적 The Seer of Unreality. The Hyperreality Wars https://www.google.c[...] Magus Books
[24] 학술 Re-Writing "Reality": Reading ''The Matrix'' https://www.google.c[...] 2000-10
[25] 서적 Lacan in the End Times. In the Name of the Absent Father https://www.google.c[...] Taylor & Francis
[26] 학술 The Ungovernability of Digital Hate Culture https://jia.sipa.col[...] 2018-12-19
[27] 뉴스 Red pills and dog whistles: It is more than 'just the internet' https://www.aljazeer[...] 2023-03-17
[28] 학술 Taking the Red Pill: Ideological Motivations for Spreading Online Disinformation. https://tiara.org/wp[...] 2017-12
[29] 뉴스 How We Swallowed Redpilled Whole https://www.theatlan[...] 2023-03-17
[30] 웹사이트 The Red Pill https://items.ssrc.o[...]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2006-06-11
[31] 웹사이트 Curtis Yarvin wants American democracy toppled. He has some prominent Republican fans. https://www.vox.com/[...] 2022-12-18
[32] 웹사이트 The Case Against Democracy: Ten Red Pills https://www.unqualif[...] 2007-04-24
[33] 웹사이트 Liberals Sick of the Alt-Left Are Taking 'the Red Pill' https://www.foxnews.[...] 2020-02-19
[34] 웹사이트 Men's rights movement: why it is so controversial? http://www.theweek.c[...] 2015-04-01
[35] 웹사이트 Are You Man Enough for the Men's Rights Movement? https://www.gq.com/n[...] 2015-04-01
[36] 웹사이트 Getting White Pilled With Michael Malice https://ricochet.com[...] Ricochet 2020-11-12
[37] 뉴스 The alt-right is creating its own dialect. Here's the dictionary https://qz.com/10920[...] 2018-06-08
[38] 뉴스 "'Raw hatred': why the 'incel' movement targets and terrorises women" https://www.theguard[...] 2018-04-26
[39] 서적 The art of the start: the time-tested, battle-hardened guide for anyone starting anything https://archive.org/[...] Penguin
[40] 웹사이트 Red Pill mode http://wiki.maemo.or[...] 2010-01-25
[41] 웹사이트 src/repo.cc http://mxr.maemo.org[...] 2010-01-25
[42] 뉴스 CNN.com – Transcripts http://transcripts.c[...] CNN 2018-02-15
[43] 웹사이트 "'Secret Life of Walter Mitty' Trailer: Ben Stiller Goes on a Grand Adventure" https://screenrant.c[...] 2020-07-23
[44] 뉴스 The Secret Life of Walter Mitty: watch the trailer for Ben Stiller's new film https://www.theguard[...] 2018-02-15
[45] 뉴스 A Look Back at Walter Mitty https://www.highbrow[...] 2018-02-10
[46] 뉴스 The Secret Life of Walter Mitty movie review https://dailyreview.[...] Daily Review 2018-02-10
[47] 간행물 An Exhaustive List of (Almost) Every Single Reference in the Barbie Movie https://time.com/629[...] 2023-07-21
[48] 뉴스 Philosophers Draw On a Film Drawing On Philosophers https://www.nytimes.[...] 2021-02-08
[49] 웹사이트 Journal of Religion & Film: Wake Up! Gnosticism and Buddhism in The Matrix by Frances Flannery-Daily and Rachel Wagner https://www.unomaha.[...] 2015-11-29
[50] 서적 Taking the Red Pill: Science, Philosophy and the Religion in the Matrix https://books.google[...] BenBella Books 2003
[51] 웹사이트 You Won't Know the Difference So You Can't Make the Choice https://philosophyno[...] philosophynow.org 2022-07-19
[52]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Theory of Knowledge https://books.google[...] Polity 2006
[53] 서적 Philosophers Explore The Matrix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54] 웹사이트 The Brain in a Vat Argument http://www.iep.utm.e[...] 2022-07-19
[55] 논문 Philosophers Explore The Matrix https://ndpr.nd.edu/[...] 2015-01-04
[56] 웹사이트 "'Matrix Virtual Theatre' (interview with the Wachowskis)" http://www.warnervid[...] Warner Brothers Studios 2012-07-19
[57] 웹사이트 DP/30: Cloud Atlas, Screenwriter/Directors Lana Wachowski, Tom Tykwer, Andy Wachowski http://moviecitynews[...] moviecitynews.com 2012-12-10
[58] 웹사이트 With The Matrix 4 coming, let's talk about how the first movie is a trans allegory https://www.syfy.com[...] SyFy Channel 2020-07-07
[59] 웹사이트 What We Can Learn About Gender From The Matrix https://www.vulture.[...] Vulture 2020-07-07
[60] 웹사이트 The Matrix was a metaphor for transgender identity, director confirms https://www.independ[...] 2020-10-30
[61] 서적 Jacking in to the Matrix franchise: cultural reception and interpretation https://books.google[...]
[62] 서적 Matrix Warrior: Being the One https://archive.org/[...] Macmillan
[63] 간행물 The Matrix Resurrections Trailer: Decoding the Alice in Wonderland References https://www.vanityfa[...] 2021-09-09
[64] 뉴스 Philosophers Draw On a Film Drawing On Philosophers https://www.nytimes.[...] 2021-02-08
[65] 웹사이트 Journal of Religion & Film: Wake Up! Gnosticism and Buddhism in The Matrix by Frances Flannery-Daily and Rachel Wagner https://www.unomaha.[...] 2015-11-29
[66] 서적 Taking the Red Pill: Science, Philosophy and the Religion in the Matrix https://books.google[...] BenBella Books 2003
[67] 웹사이트 You Won't Know the Difference So You Can't Make the Choice https://philosophyno[...] philosophynow.org 2024-04-06
[68]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Theory of Knowledge https://books.google[...] Polity 2006
[69] 간행물 Skepticism http://plato.stanfor[...]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70] 서적 Philosophers Explore The Matrix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71] 웹사이트 The Brain in a Vat Argument http://www.iep.utm.e[...] 2024-04-06
[72] 간행물 Philosophers Explore The Matrix https://ndpr.nd.edu/[...] 2006-01-15
[73] 웹사이트 The Books: Matrix 'Inspirations' http://thematrix101.[...] 2024-04-06
[74] 서적 Females https://www.versoboo[...] verso 2019-10-19
[75] 웹사이트 With The Matrix 4 coming, let's talk about how the first movie is a trans allegory https://www.syfy.com[...] SyFy Channel 2019-09-13
[76] 웹사이트 What We Can Learn About Gender From The Matrix https://www.vulture.[...] Vulture 2019-02-07
[77] 웹사이트 The Matrix was a metaphor for transgender identity, director confirms https://www.independ[...] 2020-08-05
[78] 뉴스 Red pills and dog whistles: It is more than 'just the internet' https://www.aljazeer[...] 2020-09-06
[79] 뉴스 How We Swallowed Redpilled Whole https://www.theatlan[...] 2021-12-13
[80] 웹사이트 The Red Pill https://items.ssrc.o[...]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2024-04-06
[81] 웹사이트 Curtis Yarvin wants American democracy toppled. He has some prominent Republican fans. https://www.vox.com/[...] 2022-10-24
[82] 웹사이트 The Case Against Democracy: Ten Red Pills https://www.unqualif[...] 2024-04-06
[83] 웹사이트 Men's rights movement: why it is so controversial? http://www.theweek.c[...] 2015-02-19
[84] 웹사이트 Are You Man Enough for the Men's Rights Movement? https://www.gq.com/n[...] 2015-03
[85] 웹사이트 Liberals Sick of the Alt-Left Are Taking 'the Red Pill' http://www.foxnews.c[...] 2017-09-13
[86] 서적 The art of the start: the time-tested, battle-hardened guide for anyone starting anything https://archive.org/[...] Penguin
[87] 웹사이트 Red Pill mode http://wiki.maemo.or[...] 2010-01-25
[88] 웹사이트 src/repo.cc http://mxr.maemo.org[...] 2010-01-25
[89] 뉴스 CNN.com – Transcripts http://transcripts.c[...] CNN 2018-02-15
[90] 웹사이트 'Secret Life of Walter Mitty' Trailer: Ben Stiller Goes on a Grand Adventure https://screenrant.c[...] 2013-07-30
[91] 뉴스 The Secret Life of Walter Mitty: watch the trailer for Ben Stiller's new film https://www.theguard[...] 2018-02-15
[92] 뉴스 A Look Back at Walter Mitty https://www.highbrow[...] 2018-02-10
[93] 웹사이트 An Exhaustive List of (Almost) Every Single Reference in the Barbie Movie https://time.com/629[...] 2024-04-06
[94] 뉴스 “빨간약이냐 파란약이냐”…가상세계 속 인간 선택은? http://www.hani.co.k[...] 한겨레 신문 2019-06-20
[95] 뉴스 '파란책'은 없고 '빨간책' 판치는 세상 아이들엔 독이 든 사과 http://www.mediapen.[...] 미디어펜 2019-06-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