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트 찬드라 다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라트 찬드라 다스는 동벵골 치타공 출신의 인물로, 캘커타 대학교에서 수학했으며, 다르질링 부티아 기숙학교 교장과 티베트어 교사를 거쳐 티베트 탐험에 참여했다. 그는 영국 스파이로 활동하며 티베트, 러시아, 중국에 대한 정보를 수집했고, 귀국 후에는 티베트 여행 목적이 폭로되어 친분을 맺었던 티베트인들이 처벌받는 결과를 낳았다. 다스는 라싸 빌라에서 찰스 앨프리드 벨, 가와구치 에카이 등을 맞이했으며, 신지학협회 창설자 헬레나 블라바츠키와 헨리 스틸 올콧을 만났다. 1902년 티베트어-영어 사전을 편찬했으며, 1917년에 사망했다. 그는 다양한 저술 활동을 했으며, 티베트의 종교, 역사 등을 연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의 간첩 - 바이올렛 스자보
바이올렛 스자보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영국 특수 작전 집행부 요원으로 프랑스 레지스탕스를 지원하며 활약하다 독일군에 체포되어 라벤스브뤼크 강제 수용소에서 처형된 용감한 인물로, 조지 십자 훈장을 받았다. - 영국의 간첩 - 세르게이 스크리팔
러시아의 전직 군 정보국 대령 세르게이 스크리팔은 영국 비밀 정보국에 포섭되어 간첩 활동을 한 혐의로 러시아에서 유죄 판결을 받았으나, 첩보 교환으로 석방 후 영국으로 이주, 신경작용제 노비촉에 의해 독살 시도를 당했다. - 티베트학자 - 스벤 헤딘
스벤 헤딘은 중앙아시아 탐험과 고대 도시 유적 발굴에 기여한 스웨덴의 지리학자이자 탐험가이지만, 나치 독일과의 협력 관계로 비판을 받기도 하는 인물이다. - 티베트학자 - 나카자와 신이치
나카자와 신이치는 대칭성 인류학을 제창하고 그린 액티브를 설립하여 활동하는 일본의 사상가, 인류학자, 종교학자로, 다수의 저서를 발표하고 여러 상을 수상했으나 옴진리교 옹호 발언으로 비판받기도 했다.
사라트 찬드라 다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শরৎচন্দ্র দাশ (샤랏 찬드라 다쉬) |
직업 | 탐험가, 학자, 스파이 |
출생일 | 1849년 7월 18일 |
출생지 | 치타공, 벵골, 영국령 인도 제국 |
사망일 | 1917년 1월 5일 |
사망지 | 치타공, 벵골, 영국령 인도 제국 |
부모 | 디나다얄 다쉬 |
2. 생애
동벵골 치타공의 벵골 힌두교도 바이디아 가문에서 태어나 캘커타 대학교의 프레지던시 칼리지에서 공부했다. 1874년 다르질링의 부티아 기숙학교 교장이 되었고, 티베트어 교사 우겐 갸초의 도움으로 1879년과 1881년 두 차례 티베트를 여행하며 티베트어 및 산스크리트어 문헌을 수집하고 얄룽 계곡 등을 탐험했다.[2][7]
이후 영국을 위해 활동하며 1884년 콜먼 매콜리의 티베트 탐험대에 합류하는 등 스파이 활동을 하기도 했다.[4] 이 활동으로 인해 그와 교류했던 티베트인들이 보복을 당하는 결과를 낳았다.[5]
말년에는 다르질링에 정착하여 '라사 빌라(Lhasa Villa)'라는 이름의 집에서 찰스 알프레드 벨 경, 가와구치 에카이 등과 교류했으며, 1882년에는 신지학협회 창설자들과 만나기도 했다.[8] 1886년 인도 제국 훈장(C.I.E.)을 받았고[9], 사티시 찬드라 비디아부산과 티베트-영어 사전 편찬 작업에 참여했다.[3] 러디어드 키플링의 소설 『소년 김』 등장인물의 모델이라는 설도 있다.[10] 1917년에 세상을 떠났다.
2. 1. 초기 생애
동벵골 치타공의 벵골 힌두교도 바이디아 가문 출신이다. 당시 캘커타 대학교의 일부였던 프레지던시 칼리지에서 공부했다. 1874년 다르질링에 있는 부티아 기숙학교의 교장으로 임명되었다. 1878년, 학교의 티베트어 교사였던 라마 우겐 갸초의 도움으로 타시룬포 사원 방문 허가증을 얻었다. 이듬해인 1879년 6월, 다스는 우겐 갸초와 함께 다르질링을 출발하여 티베트로 첫 여행을 떠났다. 약 6개월간 티베트에 머물면서 연구 자료로 사용할 티베트어 및 산스크리트어 문서를 대량 수집하여 다르질링으로 돌아왔으며, 이 자료들은 훗날 그의 학문 연구의 기초가 되었다.[2][7]2. 2. 티베트 탐험
1874년 다르질링에 있는 부티아 기숙학교의 교장으로 임명된 그는 1878년 학교의 티베트어 교사였던 라마 우겐 갸초의 도움으로 티베트의 타쉬룬포 사원 방문 허가를 얻었다. 1879년 6월, 다스는 우겐 갸초와 함께 다르질링을 출발하여 첫 번째 티베트 여행길에 올랐다. 약 6개월간 티베트에 머물면서 연구 자료로 활용할 다량의 티베트어 및 산스크리트어 문헌을 수집하여 다르질링으로 돌아왔다. 1880년에는 다르질링에서 수집한 정보를 분석하는 데 시간을 보냈다.[2]1881년 11월, 다스는 우겐 갸초와 다시 티베트로 떠나 얄룽 계곡 등을 탐험했으며, 1883년 1월 인도로 복귀했다.[7] 이후 사티시 찬드라 비디아부산과 함께 티베트-영어 사전을 준비하기도 했다.[3]
탐험 이후 다스는 영국을 위한 스파이로 활동하기도 했다. 1884년에는 티베트 및 러시아, 중국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목적으로 콜먼 매콜리가 이끄는 티베트 탐험대에 합류했다.[4] 그러나 그가 인도로 돌아온 뒤 티베트 방문 목적이 알려지면서, 그와 교류했던 많은 티베트인들이 보복으로 처벌받게 되었다.[5]
2. 3. 스파이 활동 및 후반 생애
한동안 그는 영국을 위해 스파이로 활동하며, 티베트 및 러시아, 중국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목적으로 1884년 콜먼 매콜리의 티베트 탐험대에 동행했다.[4] 그가 티베트를 떠난 후 그의 방문 목적이 알려지면서, 그와 친분을 맺었던 많은 티베트인들이 심각한 보복을 받거나 처벌받게 되었다.[5]생애 후반기에 다스는 다르질링에 정착하여 자신의 집을 '라사 빌라(Lhasa Villa)'로 이름 짓고 생활했다. 이곳에서 그는 찰스 알프레드 벨 경이나 가와구치 에카이 등 여러 저명한 방문객들을 맞이했다. 또한, 1882년에는 신지학협회의 창설자인 헬레나 블라바츠키와 헨리 스틸 올콧과 교류하기도 했다.[8] 1886년에는 인도 제국 훈장(C.I.E.)을 받았다.[9]

1902년, 그는 사티시 찬드라 비디아부산과 함께 티베트어-영어 사전 편찬 작업을 맡아 진행했다.[3] 다스는 1917년에 세상을 떠났다.
러디어드 키플링의 소설 『소년 김』에 등장하는 '무케르지'라는 인물의 모델이 다스라는 설이 있다.[10]
2. 4. 사망
1902년 티베트어 풀이용 영어 사전을 편찬하는 작업을 맡았으며, 1917년 세상을 떠났다.3. 학문적 업적 및 평가
사라트 찬드라 다스는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인도의 중요한 학자이자 탐험가로서, 특히 티베트학 분야에 큰 족적을 남겼다. 그의 학문적 활동은 티베트의 언어, 종교, 역사, 문화 등 광범위한 영역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이는 다수의 저술과 번역 작업을 통해 구체화되었다.
그의 가장 대표적인 학문적 성과 중 하나는 그레이엄 샌드버그, 어거스터스 윌리엄 헤이드와 공동으로 편찬한 Tibetan-English Dictionary with Sanskrit Synonyms|티베트어-영어 사전, 산스크리트어 동의어 포함영어 (1902)이다. 이 사전은 티베트어 연구의 기초를 다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오늘날까지도 관련 분야 연구자들에게 필수적인 참고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다스는 직접 티베트를 탐험하고 그 경험을 기록한 저술들을 남겼다. 특히 그의 저서 라싸와 중앙 티베트 여행 (1902)은 당시 서구 사회에 거의 알려지지 않았던 라싸와 티베트 중앙 지역의 사회, 문화, 정치 상황을 생생하게 전달하며 큰 반향을 일으켰다. 이외에도 그는 티베트 불교 경전 번역, 티베트 역사 및 문법 연구 등 다양한 학문적 결과물을 발표하며 서구의 티베트 이해 증진에 크게 기여했다.
다만 그의 활동은 당시 영국 제국주의의 그레이트 게임과 같은 지정학적 맥락 속에서 이루어졌다는 점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의 탐험과 정보 수집은 학문적 목적 외에도 영국의 정치적, 전략적 이해관계와 연관되어 있었다는 평가도 존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라트 찬드라 다스가 남긴 방대한 자료와 연구 성과는 티베트학 발전에 있어 중요한 토대가 되었음은 분명하다.
3. 1. 티베트어-영어 사전 편찬
사라트 찬드라 다스는 티베트어와 산스크리트어 연구에 중요한 기여를 했으며, 특히 그가 공동 편찬한 사전은 그의 대표적인 학문적 업적으로 평가받는다. 그는 그레이엄 샌드버그(Graham Sandberg)와 어거스터스 윌리엄 헤이데(Augustus William Heyde)와 함께 Tibetan-English Dictionary with Sanskrit Synonyms|티베트어-영어 사전, 산스크리트어 동의어 포함영어을 편찬했다. 이 사전의 초판은 1902년 캘커타에서 출판되었다.이 사전은 출판 이후에도 꾸준히 그 가치를 인정받아 여러 차례 재판되었다. 인도의 스리 사트구루 출판사(Sri Satguru Publications)에서 1989년에, 모틸랄 바나르시다스 출판사(Motilal Banarsidass)에서는 1970년대부터 2000년대에 걸쳐 여러 번 다시 출판하며 그 중요성을 이어갔다. 현재까지도 이 사전은 티베트어 연구자들에게 중요한 참고 자료로 활용되고 있으며, 일본에서는 축쇄판이 출판되기도 했다.
3. 2. 기타 저술 활동
- ''티베트의 종교, 역사 등에 관한 기고'' (원제: ''Contributions on the religion, history, &c., of Tibet: Rise and progress of Jin or Buddhism in China''). 《벵골 아시아 학회 저널》(Journal of the Asiatic Society of Bengal) 제51권 제1부 (1882). [https://archive.org/details/journalofasiatic5111asia/page/n3/mode/2up 원문 링크]
- ''1881-82년 라싸 여행기'' (원제: ''Narrative of a journey to Lhasa in 1881-82''). (1885).
- ''1882년 야므도(팔티) 호수 주변, 로카, 야를룽, 사캬 여행기'' (원제: ''Narrative of a journey round Lake Yamdo (Palti), and in Lhokha, Yarlung, and Sakya in 1882''). (1887).
- ''아바다나칼파라타: 보살에 관한 전설적인 이야기 모음'' (원제: ''Avadānakalpalatā: a collection of legendary stories about the Bodhisattvas''). 아시아 학회 (1890). [https://books.google.com/books?id=2rcoAAAAYAAJ 원문 링크]
- ''윤회의 교리'' (원제: ''Doctrine of Transmigration''). 불교 텍스트 협회 (1893).
- ''눈의 땅에 있는 인도 팡디트'' (원제: ''Indian Pandits in the Land of Snow''). 침례교 선교부, 캘커타 (1893). 19세기 말 처음 출판되었으며, 이후 루파(Rupa & Co.)에서 2006년 재판됨. . [https://books.google.com/books?id=HZxDAAAAYAAJ 원문 링크]
- 사라트 찬드라 다스, 그레이엄 샌드버그, 어거스터스 윌리엄 헤이드 공저. ''티베트어-영어 사전, 산스크리트어 동의어 포함'' (원제: ''A Tibetan-English dictionary with Sanskrit synonyms''). 캘커타 (1902). 다스의 대표적인 공저 사전으로, 현재까지도 재판되어 이용되고 있으며 일본에서 축쇄판이 출판되기도 함. [https://archive.org/details/atibetanenglish01dasgoog 원문 링크]
- 라싸와 중앙 티베트 여행 (원제: ''Journey to Lhasa and Central Tibet''). 윌리엄 우드빌 록힐 편집. 존 머레이 (1902). 다스의 티베트 탐험을 기록한 중요 저서로, 이후 ''Lhasa and Central Tibet''이라는 제목으로 재판됨. (2007년 재판), (2003년 재판). [https://archive.org/details/journeytolhasace00dass 원문 링크]
- ''티베트어 문법 입문;: 시투 줌-탁, 다그-제 살-와이 멜롱 및 시투이 샬 룽의 텍스트 포함'' (원제: ''An introduction to the grammar of the Tibetan language;: With the texts of Situ sum-tag, Dag-je sal-wai melong and Situi shal lung''). 다르질링 지부 인쇄소 (1915). 이후 모틸랄 바나르시다스(Motilal Banarsidass)에서 1972년과 1983년에 재판됨. [https://archive.org/details/grammaroftibetan00dass 원문 링크]
- ''자서전: 나의 유년 시절 사건의 이야기'' (원제: ''Autobiography: Narratives of the events of my early life''). 인도 연구: 과거와 현재(Indian Studies: Past & Present), 캘커타 (1969, 재판).
참조
[1]
서적
A Journey to Lhasa and Central Tibet
John Murray
[2]
서적
Journey to Lhasa and Central Tibet
Paljor Publications
[3]
서적
Collected Papers on Buddhist Studies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Publ.
2018-05-02
[4]
서적
Commodities of Empire: Working Paper No.9
http://www.open.ac.u[...]
Open University
[5]
서적
Lhasa and Its Mysteries: With a Record of the Expedition of 1903-1904
Cosimo, Inc.
[6]
서적
The Masters Revealed: Madame Blavatsky and the Myth of the Great White Lod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7]
서적
Journey to Lhasa and Central Tibet
Paljor Publications
[8]
서적
The Masters Revealed: Madame Blavatsky and the Myth of the Great White Lodge
SUNY Press
[9]
서적
The Golden Book of India
https://books.google[...]
MacMillan & Co
[10]
서적
Quest for Kim: In Search of Kipling's Great Gam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