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로프의 세라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로프의 세라핌은 1754년 러시아에서 태어난 정교회 수도사로, 본명은 프로코로스였다. 그는 어린 시절 기적적인 경험을 하고, 17세에 수도원에 들어가 수련 생활을 시작했다. 이후 은둔 생활과 엄격한 금욕 생활을 하며 영적 지도자로서 명성을 얻었다. 1815년부터는 순례자들을 받아 기적적인 치유와 예언으로 많은 이들을 이끌었다. 그는 자신에게는 엄격했지만 타인에게는 친절했으며, 1903년 시성되었다. 그의 유해는 소비에트 시대에 박해를 받기도 했으나, 현재는 디베예보 수녀원에 안치되어 있으며, 러시아 정교회에서 널리 존경받는 성인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동방 정교회 성인 - 안드레이 루블료프
15세기 러시아의 이콘 화가이자 수도사인 안드레이 루블료프는 러시아 정교회 미술의 황금기를 대표하는 인물로, 「성삼위일체」 이콘은 성삼위일체 묘사의 표준으로 인정받았으며 금욕적인 아름다움과 비잔틴 양식의 조화로 '루블료프파'라는 독자적인 예술 사조를 형성했다. - 러시아의 동방 정교회 성인 - 키예프의 올가
키예프의 올가는 10세기 키예프 루스의 통치자이자 이고르 1세의 부인으로, 남편의 암살 후 섭정으로서 드레블랴네인에 대한 잔혹한 복수, 세제 개혁을 통한 중앙 집권화 강화, 그리스 정교로의 개종을 통해 루스의 기독교화에 영향을 미쳐 러시아 정교회에서 성인으로 추대되었다. - 1759년 출생 - 윌리엄 윌버포스
윌리엄 윌버포스는 복음주의 기독교 신앙을 바탕으로 노예 무역 폐지 운동을 주도하고 도덕 개혁 운동, 선교 활동, 동물 복지 등 다양한 사회 운동에 헌신한 영국의 정치인이자 자선가이다. - 1759년 출생 - 메리 울스턴크래프트
메리 울스턴크래프트는 영국의 작가이자 여성주의 철학자이며, 여성의 교육과 권리를 옹호하며 대표 저서인 『여성의 권리 옹호』에서 여성의 사회적 지위 향상을 위한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 1833년 사망 - 윌리엄 윌버포스
윌리엄 윌버포스는 복음주의 기독교 신앙을 바탕으로 노예 무역 폐지 운동을 주도하고 도덕 개혁 운동, 선교 활동, 동물 복지 등 다양한 사회 운동에 헌신한 영국의 정치인이자 자선가이다. - 1833년 사망 - 아드리앵마리 르장드르
아드리앵마리 르장드르는 1752년에 태어나 1833년에 사망한 프랑스의 수학자이며, 정수론, 해석학, 기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기고 최소제곱법을 개발하는 등 물리학에도 기여했다.
사로프의 세라핌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존칭 | 성인 |
이름 | 사로프의 세라핌 |
러시아어 이름 | Серафим Саровский |
속명 | 프로호르 이시도로비치 모슈닌 |
출생일 | 1754년 7월 30일 |
출생지 | 러시아 제국, 쿠르스크 |
사망일 | 1833년 1월 2일 |
사망지 | 러시아 제국, 사로프 |
기념일 | 1월 2일, 7월 19일 (유해 발굴) |
시성일 | 1903년 7월 19일 (구력) |
시성 장소 | 사로프 수도원 |
시성 결정자 | 러시아 정교회 종무원 |
공경하는 교파 | 정교회 성공회 |
주요 성지 | 세라피모-디베예보 수도원, 러시아 |
칭호 | 고백자 기적을 행하는 자 |
상징 | 농민 복장 기도 중에 무릎을 꿇고 손을 든 모습 목에 건 십자가 가슴에 손을 얹은 모습 |
인물 정보 | |
한국어 이름 | 사로프의 세라핌 |
러시아어 이름 | Серафим Саровский |
출생년도 | 1759년 |
출생일 | 7월 19일 |
사망년도 | 1833년 |
사망일 | 1월 2일 |
시성일 | 1903년 7월 19일 |
출생지 | 러시아, 쿠르스크 |
사망지 | 러시아, 사로프 |
추가 정보 | |
관련 정보 | 사로프의 성 세라핌 |
종교 | 러시아 정교회 |
기념일 | 1월 15일 |
직업 | 고백자, 기적시행자 |
2. 생애
세라핌은 저술을 남기지 않았으며, 모토필로프와의 대화록이 사후에 출판된 것이 유일하다.
세라핌은 저술이나 논문이 아닌, 은둔 수도 생활과 영적 치유의 기적으로 생전부터 널리 알려졌다. 순례자들이 끊임없이 방문하였고, 세라핌은 그들에게 매우 친절하게 대해주었다. 또한 세라핌은 방문객들에게 시기에 관계없이 “하리스트스 부활(Христос Воскрес)! (그리스도 부활하셨다!)”이라고 인사했다. 이 인사말("그리스도 부활하셨다!"라고 말하고, 상대방은 "정말 부활하셨다"라고 대답하는)은 부활절 이후의 부활절 기간에 행해지는 것이지만, 세라핌은 부활의 기쁜 복음을 방문객들과 언제든지 함께 하려고 부활절 기간에 국한하지 않고 이 인사말을 사용했다.
깊은 숲 속으로 들어가 홀로 수행하는 모습은 14세기, 15세기에 러시아 정교회에서 활발했던 수도원 운동과 통한다고 평가된다. 애굽의 마리아에서 볼 수 있듯이 사막으로 나가 수행하는 것은 동방 정교회에 널리 보이는 전통이었지만, 러시아의 수도사·수녀들은 겨울에 혹한이 되는 광대한 숲을 사막에 비유하여 수행의 장소로 삼았다. 18세기 중반에 이러한 황야 수도의 부흥이 일어났고, 세라핌도 그 주역 중 한 명이었다.
세라핌은 후학 지도에도 힘썼다. 디베예보 수녀원은 그의 지도 아래 발전했다.
사건 | 날짜 |
---|---|
출생 | 1754년 7월 19일 (율리우스력) |
사로프 수도원 입회 | 1777년 |
수사 서원 및 수도 부제 서품 | 1786년 |
수도 사제 서품 및 은둔 생활 시작 | 1793년 |
강도에게 습격당함 | 불명, 은둔 생활 중 |
1,000일 밤낮 바위 위 기도 | 불명, 강도 사건 이후 |
대중에게 가르침 시작 | 1815년 |
모토필로프와의 대화 | 1831년 |
선종 | 1833년 1월 2일 (율리우스력) |
시성 | 1903년 7월 19일 |
2. 1. 어린 시절과 수도 생활


1754년 7월 19일(율리우스력)에 태어난 세라핌은 초기 동방 정교회의 일곱 집사 중 한 명이자 요한 복음사가의 제자인 프로코로스의 이름을 따 프로호르라는 세례명을 받았다. 그의 부모 이시도르와 아가티아 모시닌은 러시아 쿠르스크에 살았으며, 아버지는 상인이었다.[1] 그는 쿠르스크의 세르기에프스코-카잔 성당 건설에 참여했지만 완공 전에 사망했고, 어머니는 어린 프로호르를 공사장에 데려가곤 했다. 어느 날, 일곱 살 된 프로호르는 종탑에서 실수로 떨어졌으나,[1] 동방 정교회 전통에 따르면 기적적인 성모의 성화인 쿠르스크의 성모가 그를 보호했다고 한다.
1775년, 17세의 프로호르는 키예프의 도로테아를 방문했다. 1777년, 19세에 사로프 수도원에 수련자 (''포슬루슈니크'')로 들어갔다. 1786년에는 공식적으로 삭발식을 거행하고(수도 서원을 했다) 세라핌이라는 수도명을 받았는데, 이는 성경에 나오는 스랍 천사를 가리킨다. 얼마 후 그는 수도 부제로 서품받았다. 1793년에는 수도 사제로 서품받았고,[3] 이후 세라핌-디베예보 수도원으로 알려지게 된 디베예보 수녀원의 영적 지도자가 되었다.
그 후, 세라핌은 사로프 수도원 밖 숲 속 통나무집에서 25년 동안 은둔자로 살았다. 이 시기 그의 발은 걷기 어려울 정도로 부어올랐다. 사로프의 식사와 단식은 더욱 엄격해졌는데, 처음에는 수도원에서 얻은 빵과 정원에서 재배한 채소를 먹었고, 그 후에는 채소만, 3년 동안은 풀만 먹었다.[3]

어느 날, 나무를 하던 중 강도들에게 습격당해 자신의 도끼 자루로 무자비하게 맞았으나 저항하지 않았고, 죽은 채로 버려졌다. 강도들은 돈을 찾지 못했고, 그의 오두막에서 성모의 성화만 발견했다. 세라핌은 평생 곱추가 되었다. 그러나 강도들의 재판에서 그는 그들을 위해 자비를 호소했다. 수도원에서 5개월 동안 부상에서 회복한 후 다시 황야로 돌아갔다.[3]
이 사건 이후, 세라핌은 1,000일 밤을 연속으로 기도하며 팔을 하늘로 향한 채 바위 위에서 보냈는데, 이는 특히 그의 부상으로 인한 고통을 고려할 때 동방 정교회에서 기적적인 금욕주의 업적으로 여겨진다.
2. 2. 은둔과 영적 지도
1775년, 17세의 세라핌은 키예프의 도로테아를 방문했다. 1777년, 19세에 사로프 수도원에 수련자(''포슬루슈니크'')로 입회했다. 1786년에 공식적으로 삭발식(수도 서원)을 거행했고 세라핌이라는 수도명을 받았다(이는 성경에 나오는 스랍-천사를 가리킨다). 얼마 후 그는 수도 부제로 서품받았다. 1793년, 그는 수도 사제로 서품받았고,[3] 이후 세라핌-디베예보 수도원으로 알려지게 된 디베예보 수녀원의 영적 지도자가 되었다.이후 세라핌은 사로프 수도원 밖 숲 속의 통나무집으로 은퇴하여 25년 동안 은둔자로서 고독한 삶을 살았다. 이 기간 동안 그의 발은 걷기 어려울 정도로 부어올랐다. 사로프의 식사와 단식 습관은 더욱 엄격해졌다. 처음에는 수도원에서 얻은 빵과 정원에서 재배한 채소를 먹었고, 그 후에는 채소만 먹었다. 3년 동안 그는 풀만 먹었다.[3]
어느 날, 나무를 하던 중 세라핌은 강도들에게 습격을 받아 자신의 도끼 자루로 무자비하게 맞았다. 그는 저항하지 않았고 죽은 채로 버려졌다. 강도들은 그들이 찾던 돈을 찾지 못했고, 그의 오두막에서 성모 (성모 마리아)의 성화만 발견했다. 세라핌은 평생 곱추가 되었다. 그러나 강도들의 재판에서 그는 그들을 위해 자비를 호소했다. 그는 수도원에서 5개월 동안 부상에서 회복한 후 다시 황야로 돌아왔다.[3]
이 사건 이후 세라핌은 1,000일 밤을 연속으로 기도하며 팔을 하늘로 향한 채 바위 위에서 보냈는데, 이는 특히 그의 부상으로 인한 고통을 고려할 때 동방 정교회에서 기적적인 금욕주의의 업적으로 여겨진다.
1815년, 성모 마리아에게서 받았다고 하는 영적 체험에 따라 순례자들을 그의 은둔처로 받아들이기 시작했다. 그는 곧 기적적인 치유 능력과 예언의 은사로 인해 엄청난 인기를 얻었다. 하루에 수백 명의 순례자들이 그를 방문했는데, 그들은 그가 질문하기 전에 손님들의 질문에 답할 수 있는 능력에도 이끌렸다.
세라핌은 자신에게 대단히 가혹했지만 다른 사람들에게는 친절하고 부드러웠다. 항상 손님들을 절로 맞이하고, 평화의 입맞춤을 나누고, “그리스도께서 부활하셨다!”라고 외치며 모든 사람을 “나의 기쁨”이라고 불렀다. 그는 자신이 “모든 기쁨의 기쁨”이라고 부른 성모의 성화 앞에 무릎을 꿇고 있는 동안 사망했다. 이 성화는 현재 모스크바 총대주교 관저 예배당에 보관되어 있다.
세라핌은 저술이나 논문이 아닌, 은둔 수도 생활과 영적 치유의 기적으로 생전부터 널리 알려졌다. 순례자들이 끊임없이 방문하였고, 세라핌은 그들에게 매우 친절하게 대해주었다. 또한 세라핌은 방문객들에게 시기에 관계없이 “하리스트스 부활(Христос Воскрес)! (그리스도 부활하셨다!)”이라고 인사했다. 이 인사말("그리스도 부활하셨다!"라고 말하고, 상대방은 "정말 부활하셨다"라고 대답하는)은 부활절 이후의 부활절 기간에 행해지는 것이지만, 세라핌은 부활의 기쁜 복음을 방문객들과 언제든지 함께 하려고 부활절 기간에 국한하지 않고 이 인사말을 사용했다.
깊은 숲 속으로 들어가 홀로 수행하는 모습은 14세기, 15세기에 러시아 정교회에서 활발했던 수도원 운동과 통한다고 평가된다. 애굽의 마리아에서 볼 수 있듯이 사막으로 나가 수행하는 것은 동방 정교회에 널리 보이는 전통이었지만, 러시아의 수도사·수녀들은 겨울에 혹한이 되는 광대한 숲을 사막에 비유하여 수행의 장소로 삼았다. 18세기 중반에 이러한 황야 수도의 부흥이 일어났고, 세라핌도 그 주역 중 한 명이었다.
세라핌은 후학 지도에도 힘썼다. 디베예보 수녀원은 그의 지도 아래 발전했다.
2. 3. 사망과 시성
세라핌은 자신이 “모든 기쁨의 기쁨”이라고 부른 성모의 성화 앞에 무릎을 꿇고 있는 동안 사망했다. 이 성화는 현재 모스크바 총대주교 관저 예배당에 보관되어 있다.[3]
러시아에서는 성인의 유해가 부패하지 않을 것이라는 널리 퍼진 믿음이 있었지만, 1903년 1월 그의 무덤을 조사한 위원회의 공식적인 확인 결과 세라핌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았다. 그러나 이는 아키만드리트 세라핌 치차고프가 주도한 시성과 대중적 존경을 막지는 못했다. 1903년 1월 말(율리우스력), 황제 니콜라이 2세의 승인을 얻은 최고 성상은 세라핌의 시성을 발표했다.[5] 1903년 7월 초, 그의 유해는 원래 매장지에서 성 조시무스와 사바티우스 교회로 옮겨졌다. 니콜라이 2세와 알렉산드라 표도로브나 황후는 유해를 안치할 새로운 사이프러스 관을 제공했다. 1903년 7월 19일(8월 1일) 사로프에서 성대한 시성식(유해 발견) 축제가 열렸고, 황제와 그의 아내, 그의 어머니인 마리아 표도로브나 황후, 그리고 다른 황실 고위 인사들이 참석했다.[6][7]
1903년 7월 18일,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안토니 바드코프스키 대주교는 사로프의 성모 승천 대성당에서 왕실 가족이 참석한 가운데 마지막 파니히다(추모 예배)를 집례했다. 7월 19일, 세라핌의 생일에, 늦은 예배가 8시에 시작되었다. 소입당에서 12명의 아키만드리트들이 교회 한가운데에서 관을 들어 올려 성찬대(제단) 주위를 돌았다가 특별히 제작된 봉안함에 안치했다.
사로프에서의 축제는 성 세라핌에게 봉헌된 최초의 두 교회의 봉헌식으로 끝났다. 첫 번째 교회는 사로프 황야의 그의 수도원 방 위에 세워졌다. 두 번째 교회는 7월 22일 디베예보 수녀원에서 봉헌되었다.
볼셰비키 혁명 이후, 소비에트 당국은 종교 집단을 심하게 박해했다. 그들의 기독교 박해의 일환으로, 그들은 세라핌을 포함한 많은 성인의 유해를 몰수했다. 게다가, 대주교가 된 그의 전기 작가 세라핌 치차고프는 체포되어 사형 선고를 받고 1937년 총살형으로 처형되었다(그리고 러시아 정교회 성인으로도 기념된다).
1991년, 세라핌의 유해는 70년 동안 소비에트 반종교 박물관에 숨겨진 후 다시 발견되었다. 이것은 소련 해체 이후 러시아와 정교회 세계 전체에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십자군 전쟁(종교 행렬)은 모스크바에서 디베예보 수녀원까지 유해를 도보로 호위했고, 그곳에 현재까지 남아 있다.
2016년 10월 19일, 세라핌의 일부 유해는 소유즈 MS-02에 실려 우주로 발사되었다.[8]
세라핌은 1월 2일 기념으로 앵글리컨 공동체에서 기념된다.[9]
요한 바오로 2세도 그를 성인으로 언급했다.[11]
사건 | 날짜 |
---|---|
출생 | 1759년 7월 19일 |
사로프 수도원 입회 | 1778년 11월 |
수사 서원 및 수도 부제 서품 | 1786년 |
수도 사제 서품 및 은둔 생활 시작 | 1793년 |
대중에게 가르침 시작 | 1825년 초겨울 |
모토필로프와의 대화 | 1831년 |
선종 | 1833년 1월 2일 (율리우스력) |
시성 | 1903년 7월 19일 |
사로프의 세라핌은 저서를 남기지 않았으며, 모토필로프와의 대화록이 사후에 출판된 것만이 존재한다.
3. 영성과 가르침
세라핌은 저술이나 논문이 아닌, 은둔 수도 생활과 영적 치유의 기적으로 생전부터 널리 알려졌다. 순례자들이 끊임없이 방문하였고, 세라핌은 그들에게 매우 친절하게 대해주었다. 또한 방문객들에게 시기에 관계없이 “하리스트스 부활(Христос Воскрес)! (그리스도 부활하셨다!)”이라고 인사했다. 이 인사말("그리스도 부활하셨다!"라고 말하고, 상대방은 "정말 부활하셨다"라고 대답하는)은 부활절 이후의 부활절 기간에 행해지는 것이지만, 세라핌은 부활의 기쁜 복음을 방문객들과 언제든지 함께 나누고자 이 인사말을 사용했다.
깊은 숲 속으로 들어가 홀로 수행하는 모습은 14세기, 15세기에 러시아 정교회에서 활발했던 수도원 운동과 통한다고 평가된다. 애굽의 마리아에서 볼 수 있듯이 사막으로 나가 수행하는 것은 동방 정교회에 널리 보이는 전통이었지만, 러시아의 수도사·수녀들은 겨울에 혹한이 되는 광대한 숲을 사막에 비유하여 수행의 장소로 삼았다. 18세기 중반에 이러한 황야 수도의 부흥이 일어났고, 세라핌도 그 주역 중 한 명이었다.
세라핌은 후학 지도에도 힘썼다. 지베예보 여자 수도원은 그의 지도 아래 발전했다.
3. 1. 성령 획득
"평화로운 영혼을 얻으십시오. 그러면 당신 주위에 수천 명이 구원받을 것입니다."
"성령께서 우리 마음에 들어오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우리가 그리스도를 위해 하는 모든 선행은 성령께서 우리에게 주시는 것이지만, 무엇보다도 항상 우리에게 열려 있는 기도가 그렇습니다."
사로프의 세라핌(Серафим Саровский)은 모토필로프(Мотофилов)와의 "대화"에서 신앙생활의 목적을 묻는 모토필로프에게 "신앙생활의 목적은 성령의 획득에 있습니다"라고 답하고, "금욕, 철야 기도, 기도, 구제,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하는 모든 선행은 성령을 획득하기 위한 수단일 뿐입니다"라고 말하며, 성령의 획득이 어떻게 달성되는지에 대해서도 성전에 근거하여 가르치고 있다. 참고로 이때 그는 자신의 상인 집안 출신임을 반영하여, 비유에 무역과 상업 이야기를 사용하고 있다.
"대화"에는 다양한 주제가 담겨 있지만, 주요 주제 중 하나는 성령이다.
3. 2. 기도와 겸손
"평화로운 영혼을 얻으십시오. 그러면 당신 주위에 수천 명이 구원받을 것입니다."
"성령께서 우리 마음에 들어오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우리가 그리스도를 위해 하는 모든 선행은 성령께서 우리에게 주시는 것이지만, 무엇보다도 항상 우리에게 열려 있는 기도가 그렇습니다."
옛날에는 빈번하게 일어났던 은혜의 기적이 현대에는 일어나지 않는 이유를 묻자 성 세라핌은 "단 하나 부족한 것이 있다. ― 바로 확고한 의지이다."라고 대답했다고 한다.[22]
"(자기의) 영혼을 다스리라, 그러면 너의 주변 사람들은 구원받으리라."[23]
4. 유산과 영향
사로프의 세라핌은 러시아 정교회에서 매우 중요한 성인으로 존경받고 있으며, 그의 유산과 영향은 여러 방면에서 나타난다.
1903년, 니콜라이 2세 황제의 승인을 받아 최고 성상은 세라핌의 시성을 발표했다.[5] 같은 해 7월, 그의 유해는 성 조시무스와 사바티우스 교회로 옮겨졌고, 황제 부부는 유해를 안치할 새 관을 제공했다. 1903년 7월 19일(8월 1일) 사로프에서 성대한 시성식 축제가 열렸으며, 황실 가족이 참석했다.[6][7] 시성식 축제는 성 세라핌에게 봉헌된 두 교회 봉헌식으로 끝났는데, 하나는 사로프 황야의 수도원 방 위에, 다른 하나는 7월 22일 디베예보 수녀원에 세워졌다.
볼셰비키 혁명 이후, 소비에트 당국은 종교 집단을 박해하며 세라핌을 포함한 많은 성인의 유해를 몰수했고, 그의 전기 작가 세라핌 치차고프는 체포되어 1937년 처형되었다. 1991년, 세라핌의 유해는 소비에트 반종교 박물관에 숨겨진 후 다시 발견되어, 십자군 전쟁(종교 행렬)을 통해 모스크바에서 디베예보 수녀원으로 옮겨졌다. 2016년 10월 19일, 세라핌의 일부 유해는 소유즈 MS-02에 실려 우주로 발사되었다.[8]
세라핌은 1월 2일 앵글리컨 공동체에서 기념되며,[9][10] 요한 바오로 2세도 그를 성인으로 언급했다.[11] 일본 정교회에서는 1월 15일에 세라핌 성인 축일이 거행된다. 가톨릭 성 바오로 수도회 사제 이케다 토시오(池田敏雄)의 성인전 《교회의 성인들》에서는 1월 9일 "러시아의 세라핌 성인"이 게재되었고, 개정판에서는 7월 19일(시성일)에 게재되어 있다.
4. 1. 구교도와의 관계
사로프의 세라핌과 러시아 구교도 전통 사이의 관계는 다소 모순적이다. 한편으로 그의 회고록, 전기, 말씀 모음집에서 그는 교회 개혁과 공식적인 위계질서를 확신하는 지지자로 묘사된다.[12] 반면에 세라핌의 이콘에서는 보통 왼손에 레스트보프카를 들고 묘사되며,[13] 어떤 경우에는 구 러시아식 구교도 스타일의 수도복(독특한 클로부크와 구식 주조 청동 십자가)을 입고 묘사되기도 하는데, 이는 그의 유일한 생전 초상화에서 그가 이러한 물건들과 함께 묘사되었기 때문이다.[14] 세라핌 성인이 사용했던 레스트보프카는 현재까지 그의 유품 중 하나로 보존되어 있다.[15]일부 자료에 따르면, 사로프의 세라핌 시성 과정에서 알려진 문제는 그가 구교도 전통에 대한 전반적인 지지와 동정심 때문이었다고 한다.[16][17] 이 경우, 그에게 돌려진 구 의식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는 그의 제자들이 공식 교회 관리들의 눈에 그들의 스승을 가장 유리한 빛으로 비추려고 꾸며낸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18] 세라핌이 구 의식파 가문[16] 또는 러시아 북부와 동부 지역에 널리 퍼져 있던 비밀 구교도 가문[14] 출신일 가능성도 제기되었으며, 이후 예디노베리예로 점진적으로 이행했을 가능성도 있다.[15]
일부 논란에도 불구하고, 세라핌은 적어도 공식 성행전 수준에서는 러시아 구 의식을 거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9] 대다수의 구교도 저술가들은 세라핌에 대해 알려진 사실과 그의 시성의 정당성 자체를 거의 의심하며,[20][21] 그의 이름은 종종 교파 간 논쟁에 사용된다.[14]
4. 2. 기념과 숭배
1903년 1월, 황제 니콜라이 2세의 승인을 얻은 최고 성상은 세라핌의 시성을 발표했다.[5] 같은 해 7월, 그의 유해는 원래 매장지에서 성 조시무스와 사바티우스 교회로 옮겨졌고, 니콜라이 2세와 알렉산드라 표도로브나 황후는 유해를 안치할 새 관을 제공했다. 1903년 7월 19일(8월 1일) 사로프에서 성대한 시성식(유해 발견) 축제가 열렸고, 황제 부부와 황실 고위 인사들이 참석했다.[6][7]1903년 7월 18일,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안토니 바드코프스키 대주교는 사로프의 성모 승천 대성당에서 왕실 가족이 참석한 가운데 마지막 파니히다(추모 예배)를 집례했다. 7월 19일, 세라핌의 생일에 늦은 예배가 시작되었고, 소입당에서 12명의 아키만드리트들이 관을 들어 올려 성찬대(제단) 주위를 돌았다가 봉안함에 안치했다. 사로프에서의 축제는 성 세라핌에게 봉헌된 최초의 두 교회 봉헌식으로 끝났는데, 하나는 사로프 황야의 수도원 방 위에, 다른 하나는 7월 22일 디베예보 수녀원에 세워졌다.
볼셰비키 혁명 이후, 소비에트 당국은 종교 집단을 박해하며 세라핌을 포함한 많은 성인의 유해를 몰수했다. 그의 전기 작가 세라핌 치차고프는 체포되어 1937년 처형되었다. 1991년, 세라핌의 유해는 소비에트 반종교 박물관에 숨겨진 후 다시 발견되어, 십자군 전쟁(종교 행렬)을 통해 모스크바에서 디베예보 수녀원으로 옮겨졌다. 2016년 10월 19일, 세라핌의 일부 유해는 소유즈 MS-02에 실려 우주로 발사되었다.[8]
세라핌은 1월 2일 기념으로 앵글리컨 공동체에서 기념된다.[9][10] 요한 바오로 2세도 그를 성인으로 언급했다.[11]
일본 정교회에서는 1월 15일에 세라핌 성인 축일이 거행된다. 가톨릭 성 바오로 수도회 사제 이케다 토시오(池田敏雄)의 성인전 《교회의 성인들》에서는 1월 9일 "러시아의 세라핌 성인"이 게재되었고, 개정판에서는 7월 19일(시성일)에 게재되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Repose of Venerable Seraphim, Wonderworker of Sarov
https://www.oca.org/[...]
[2]
웹사이트
The Calendar
https://www.churchof[...]
2021-03-27
[3]
서적
Encyclopedia of Monasticism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2-10-03
[4]
문서
Handbook for clergymen
http://www.odinblago[...]
1913
[5]
웹사이트
Деяние Святейшаго Синода 29 января 1903 г. о канонизации преподобного Серафима Саровского
http://www.pravoslav[...]
2018-02-22
[6]
웹사이트
Саровские торжества 1903 года
http://www.ippo.ru/h[...]
2018-02-22
[7]
웹사이트
1 августа – обретение мощей преподобного Серафима, Саровского чудотворца / Статьи / Патриархия.ru
http://www.patriarch[...]
2018-02-22
[8]
웹사이트
Soyuz MS-02 spacecraft docking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http://tass.com/scie[...]
2018-02-22
[9]
웹사이트
The Calendar
https://www.churchof[...]
2021-03-27
[10]
웹사이트
For All the Saints / For All the Saints – A Resource for the Commemorations of the Calendar / Worship Resources/ Karakia/ ANZPB-HKMOA / Resources / Home – Anglican Church in Aotearoa, New Zealand and Polynesia
https://www.anglican[...]
2021-03-27
[11]
서적
Crossing the Threshold of Hope
http://archive.org/d[...]
Knopf
1994
[12]
웹사이트
Преподобный Серафим Саровский и старообрядцы
http://serafimushka.[...]
2018-01
[13]
웹사이트
Iconography of St. Seraphim of Sarov
http://www.diveevo.r[...]
[14]
웹사이트
Discussion at a religious history forum
https://web.archive.[...]
2011-10-08
[15]
웹사이트
Сергей Чесноков. От отступничества к единоверию
https://archive.toda[...]
2013-01-13
[16]
서적
Церковная «реформа»
2003
[17]
서적
Преподобный Серафим Саровский: предания и факты
[18]
웹사이트
Преподобный старообрядец Серафим Саровский
http://verardc.ru/pd[...]
[19]
웹사이트
Православные святые об еретичестве старообрядцев
http://apologetika.e[...]
[20]
웹사이트
Никонианское «старчество»
http://www.staropomo[...]
[21]
웹사이트
В отсутствие святых
http://www.staropomo[...]
[22]
웹사이트
『大斎の意味』カリストス・ウェア主教著、ダヴィド 水口優明神父翻訳
http://www.orthodox-[...]
[23]
서적
信仰の機密
東京復活大聖堂教会
2004
[24]
웹인용
세라핌(1.2) 기본정보
http://maria.catholi[...]
2021-01-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