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르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르셀은 프랑스 파리에서 북쪽으로 약 15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도시이다. 르 뷔 살르셀과 사르셀-로셰르의 두 지역으로 나뉘며, 파리 RER D 노선과 트랑실리앵 파리-노르 교외 철도가 운행된다. 사르셀은 갈로-로마 시대부터 역사가 시작되었으며, 1950년대 이후 주택 부족 문제를 겪으며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는 도시로 성장했다. 현재는 프랑스령 카리브 이민자, 북아프리카 이민자,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이민자, 유대인 등 다양한 인종이 거주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발두아즈주 - 몽모랑시
몽모랑시는 프랑스 일 드 프랑스 지역 발 드 와즈 주에 위치한 코뮌으로, 파리 방어 요충지이자 몽모랑시 가문의 영지였으며, 루소의 저술 활동 및 부유층 휴식지로 인기를 얻었고, 다양한 문화 예술계 인사들이 거쳐 간 곳이다. - 발두아즈주 - 고네스
프랑스 파리 근교에 위치한 고네스는 크루 강 계곡에 자리 잡은 도시로, 선사시대부터 거주지였으며 중세 시대 곡물 재배와 직물 생산으로 번성했고, 1783년 세계 최초의 수소 기구 착륙, 나폴레옹 전쟁과 제2차 세계 대전의 중요 역할, 2000년 콩코르드 여객기 추락 사고를 겪었으나 현재는 주거 도시로 성장하여 교육 시설과 볼거리를 갖추고 유명 스포츠 선수들을 배출했다. - 발두아즈주의 코뮌 - 몽모랑시
몽모랑시는 프랑스 일 드 프랑스 지역 발 드 와즈 주에 위치한 코뮌으로, 파리 방어 요충지이자 몽모랑시 가문의 영지였으며, 루소의 저술 활동 및 부유층 휴식지로 인기를 얻었고, 다양한 문화 예술계 인사들이 거쳐 간 곳이다. - 발두아즈주의 코뮌 - 고네스
프랑스 파리 근교에 위치한 고네스는 크루 강 계곡에 자리 잡은 도시로, 선사시대부터 거주지였으며 중세 시대 곡물 재배와 직물 생산으로 번성했고, 1783년 세계 최초의 수소 기구 착륙, 나폴레옹 전쟁과 제2차 세계 대전의 중요 역할, 2000년 콩코르드 여객기 추락 사고를 겪었으나 현재는 주거 도시로 성장하여 교육 시설과 볼거리를 갖추고 유명 스포츠 선수들을 배출했다. - 프랑스의 준주도 - 오툉
오툉은 기원전 1세기 아우구스투스 황제에 의해 건설된 프랑스의 역사적인 도시이며, 로마 시대 유적, 로마네스크 양식의 생 라자르 대성당, 롤랭 박물관을 포함하고 스테버니지 등 여러 도시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 프랑스의 준주도 - 뮐루즈
뮐루즈는 프랑스 알자스 지역의 역사적인 산업 도시로, 한때 "프랑스의 맨체스터"라 불리며 번영했고, 현재는 다양한 산업과 문화유산을 가진 도시로 푸조 자동차 공장, 박물관, 발달된 교통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사르셀 | |
---|---|
개요 | |
![]() | |
위치 | 파리 내부 및 외부 교외 내 위치 (빨간색) |
![]() | |
코뮌 현황 | 프랑스의 하위 현, 프랑스의 코뮌 |
행정 구역 | |
아롱디스망 | 사르셀 |
캉통 | 사르셀 |
복합 자치체 | CA Roissy Pays de France |
정치 | |
시장 | 파트리크 아다드 |
임기 | 2020–2026 |
지리 | |
면적 | 8.45 km2 |
인구 | |
추가 정보 | |
INSEE 코드 | 95585 |
우편 번호 | 95200 |
면적 | 845 헥타르 |
인구 밀도 | 6,921명/km2 |
거주민 명칭 | Sarcelloises, Sarcellois |
웹사이트 | 사르셀 공식 웹사이트 |
2. 지리
파리에서 북쪽으로 약 15km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다. 시내는 크게 두 지역으로 나뉘는데, '사르셀 빌라주'라고 불리는 르 뷔 사르셀은 프티 론 강가의 교회 주변에 형성되었고, 현대적인 집합 주택군은 1950년대에 르 뷔 살르셀에서 남쪽으로 1km 떨어진 곳에 건설된 사르셀-로셰르 지구의 신도시이다. 코뮌은 남북 4.6km, 동서 3.1km 크기이다.
2. 1. 사르셀 빌라주 (Le Vieux Sarcelles)
파리에서 북쪽으로 약 15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사르셀 시내는 두 지역으로 나뉜다. 그중 '사르셀 빌라주'라고 불리는 르 뷔 사르셀(Le vieux Sarcelles)은 프티 론 강가의 교회 주변에 형성된 지역이다.2. 2. 사르셀 로셰르 (Sarcelles-Lochères)
파리에서 북쪽으로 약 15km 떨어진 곳에 있다. 시내는 두 지역으로 나뉜다. 사르셀-빌라주(Sarcelles-village)라고 불리는 르 뷔 살르셀(Le vieux Sarcelles)은 프티 론 강가의 교회 주변에 형성된 지역이다. 그리고 현대적인 집합 주택군은 모두 르 뷔 살르셀에서 남쪽으로 1km 떨어진 곳에 1950년대에 건설된 사르셀-로셰르 지구(Sarcelles-Lochères)의 신도시이다. 코뮌(commune)은 남북 4.6km, 동서 3.1km 크기이다.
3. 역사
사르셀은 862년에 기록된 '술통의 바퀴를 만드는 공장'에서 유래되었으며, 갈로-로마어 Cercellus 또는 Cercella에서 파생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지역에는 구석기 시대부터 수렵 채집 민족이 프티-론 강 계곡으로 왔을 것으로 보인다. le Haut du Roi라고 불리는 땅에서 로마 목욕탕이 발견되면서 1세기에서 5세기 사이에 정착지가 있었음이 확인되었다.
훈족에게 약탈당한 마을은 7세기부터 번영을 되찾았고, 생드니 수도원 소유가 되었다. 마을의 존재는 894년의 기증으로 증명된다. 이때 서프랑크 왕 우드 1세는 생드니 수도원의 회계 엘리만에게 Ex fisco nostro Cercilla에 있는 왕가의 농장을 주었다. 8세기에는 Sarcella로 기록되었다.
몽모랑시 가문 사람들이 시골을 정리하고 경제 성장을 도왔다. 백년 전쟁 중인 1420년부터 1436년까지 사르셀은 잉글랜드 군에게 점령되었다. 위그노 전쟁 중인 1567년에 일어난 생드니 전투에서 퇴각하는 위그노 군에 의해 사르셀 마을은 파괴되었다. 15세기 중반에 사르셀은 포팽쿠르 가문 소유가 되었고, 1629년에는 후작령이 되었다. 1685년, 사르셀은 병원을 세운 오토포르 후작 가문의 영지가 되었다.
18세기 마을은 와인용 포도와 과수 재배로 생계를 유지했다. 1726년에 출판된 백과사전에 따르면 인구는 1060명이었다.
19세기 사르셀은 주변 코뮌과 마찬가지로 와인용 포도 재배를 주요 수입원으로 삼았다. 와인용 포도는 경작 면적의 거의 전체를 차지했다. 그러나 1879년 포도 진딧물 유행으로 포도나무가 뽑히면서 사르셀 주민들은 채소 재배로 전환했다(19세기 프랑스의 포도 진딧물 재앙). 20세기 초, 특히 완두콩 생산으로 유명했으며, 여름에는 수확을 위해 노동자들이 대량으로 고용되었다. 6월부터 7월의 수확기에는 사르셀 인구가 약 2배로 늘어났다. 수확된 완두콩은 짐마차로 알-드-파리(현재의 파리 1구) 일부에 운반되었다. 과수 재배에서는 서양배가 특히 유명했다. 1870년, 마을은 프로이센 군에게 약탈당했다. 1892년에는 마을에서 콜레라가 맹위를 떨쳤다.
1930년대 채소밭은 사르셀 경작지의 350350ha를 차지했다. 20세기 동안 면 방적 공장, 알루미늄 제조, 타일 및 벽돌 제조와 같은 산업이 도입되면서 사르셀은 점차 전원적인 모습을 잃어갔다. 프랑스 혁명기부터 제2차 세계 대전 후기까지, 사르셀에서 채취한 천연 진흙을 사용한 벽돌 제조로 많은 벽돌공이 고용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사르셀의 역사는 가속도를 더했다. 베이비 붐에 따른 인구의 자연 증가, 그리고 같은 시기에 일어난 프랑스령 알제리로부터의 귀환자 급증 (무시할 수 없는 수의 사람들이 사르셀로 이주해 왔다)이 주택 부족 문제를 악화시켰다. 최초의 주택이 사르셀 마을의 들판에 수천 호 세워졌다. 이 주택 단지는 긴 침체의 상징이 되었다. 오늘날, 사르셀의 주택 단지는 민족이 섞여 사는 몇 안 되는 성공 사례로 여겨지지만, 프랑스 반교에서 확대되는 도시 폭력의 모습도 가지고 있다. 현재의 사르셀에는 큰 프랑스령 카리브 이민 공동체, 북아프리카 이민,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이민, 유대인 거주민 공동체가 살고 있다. 그러나, 타민족의 혼재는 한계에 다다르고 있으며, 공동체 간의 문제도 증가 추세에 있다.
2005년에 사르셀-로셰르 지구의 탄생 50주년을 기념한 후, 시는 주택 단지의 리모델링에 착수하고 있다.
3. 1. 고대
사르셀은 '술통의 바퀴를 만드는 공장'에서 유래되었으며, 갈로-로마어 Cercellus 또는 Cercella에서 파생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지역에는 구석기 시대부터 수렵 채집 민족이 프티-론 강 계곡으로 왔을 것으로 보인다. le Haut du Roi라고 불리는 땅에서 로마 목욕탕이 발견되면서 1세기에서 5세기 사이에 정착지가 있었음이 확인되었다.훈족에게 약탈당한 마을은 7세기부터 번영을 되찾았고, 생드니 수도원 소유가 되었다. 마을의 존재는 894년의 기증으로 증명된다. 이때 서프랑크 왕 우드 1세는 생드니 수도원의 회계 엘리만에게 Ex fisco nostro Cercilla에 있는 왕가의 농장을 주었다. 8세기에는 Sarcella로 기록되었다.
3. 2. 중세
훈족의 약탈을 받은 마을은 7세기부터 번영을 되찾았고, 생드니 수도원의 소유가 되었다. 894년 서프랑크 왕 우드 1세는 생드니 수도원의 회계 엘리만에게 'Ex fisco nostro Cercilla'에 있는 왕가의 농장을 기증했다. 8세기에는 Sarcella로 기록되었다.몽모랑시 가문 사람들이 시골을 정리하고 경제 성장을 도왔다. 백년 전쟁 중인 1420년부터 1436년까지 사르셀은 잉글랜드 군에게 점령되었다. 위그노 전쟁 중인 1567년에 일어난 생드니 전투에서 퇴각하는 위그노 군에 의해 사르셀 마을은 파괴되었다. 15세기 중반에 사르셀은 포팽쿠르 가문 소유가 되었고, 1629년에는 후작령이 되었다. 1685년, 사르셀은 병원을 세운 오토포르 후작 가문의 영지가 되었다.
3. 3. 근세
사르셀은 862년에 '술통의 바퀴를 만드는 공장'에서 유래되었으며, 갈로-로마어 Cercellus 또는 Cercella에서 파생된 것으로 추정된다. 몽모랑시 가문 사람들이 시골을 정리하고 경제 성장을 도왔다. 백년 전쟁 중인 1420년부터 1436년까지 사르셀은 잉글랜드 군에게 점령되었다. 위그노 전쟁 중인 1567년에 일어난 생드니 전투에서 퇴각하는 위그노 군에 의해 사르셀 마을은 파괴되었다. 15세기 중반에 사르셀은 포팽쿠르 가문 소유가 되었고, 1629년에는 후작령이 되었다. 1685년, 사르셀은 병원을 세운 오토포르 후작 가문의 영지가 되었다.[1]18세기 마을은 와인용 포도와 과수 재배로 생계를 유지했다. 1726년에 출판된 백과사전에 따르면 인구는 1060명이었다.[1]
3. 4. 근대
18세기 사르셀은 와인용 포도와 과수 재배로 생계를 유지했다. 1726년에 출판된 백과사전에 따르면 인구는 1060명이었다.19세기 사르셀은 주변 코뮌과 마찬가지로 와인용 포도 재배를 주요 수입원으로 삼았다. 와인용 포도는 경작 면적의 거의 전체를 차지했다. 그러나 1879년 포도 진딧물 유행으로 포도나무가 뽑히면서 사르셀 주민들은 채소 재배로 전환했다(19세기 프랑스의 포도 진딧물 재앙).[1] 20세기 초, 특히 완두콩 생산으로 유명했으며, 여름에는 수확을 위해 노동자들이 대량으로 고용되었다. 6월부터 7월의 수확기에는 사르셀 인구가 약 2배로 늘어났다. 수확된 완두콩은 짐마차로 알-드-파리(현재의 파리 1구) 일부에 운반되었다. 과수 재배에서는 서양배가 특히 유명했다. 1870년, 마을은 프로이센 군에게 약탈당했다. 1892년에는 마을에서 콜레라가 맹위를 떨쳤다.[1]
1930년대 채소밭은 사르셀 경작지의 350헥타르를 차지했다.[1] 20세기 동안 면 방적 공장, 알루미늄 제조, 타일 및 벽돌 제조와 같은 산업이 도입되면서 사르셀은 점차 전원적인 모습을 잃어갔다. 프랑스 혁명기부터 제2차 세계 대전 후기까지, 사르셀에서 채취한 천연 진흙을 사용한 벽돌 제조로 많은 벽돌공이 고용되었다.[1]
3. 5. 현대
사르셀은 20세기 초, 특히 완두콩 생산으로 유명했으며, 여름에는 수확을 위해 노동자들이 대량으로 고용되었다. 6월부터 7월의 수확기에는 사르셀 인구는 약 2배로 늘어났다. 수확된 완두콩은 짐마차로 알-드-파리 (현재의 파리 1구) 일부에 운반되었다.[1] 1930년대, 채소밭은 사르셀 경작지의 350 헥타르를 차지했다.[1] 20세기 동안 면 방적 공장, 알루미늄 제조, 타일 및 벽돌 제조와 같은 산업의 도입으로 서서히 사르셀은 전원의 특성을 잃어갔다.[1] 프랑스 혁명기부터 제2차 세계 대전 후기까지, 사르셀에서 채취한 천연 진흙을 사용한 벽돌 제조로 많은 벽돌공이 고용되었다.[1]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사르셀의 역사는 가속도를 더했다. 베이비 붐에 따른 인구의 자연 증가, 그리고 같은 시기에 일어난 프랑스령 알제리로부터의 귀환자 급증 (무시할 수 없는 수의 사람들이 사르셀로 이주해 왔다)이 주택 부족 문제를 악화시켰다.[1] 최초의 주택이 사르셀 마을의 들판에 수천 호 세워졌다.[1] 이 주택 단지는 긴 침체의 상징이 되었다.[1] 오늘날, 사르셀의 주택 단지는 민족이 섞여 사는 몇 안 되는 성공 사례로 여겨지지만, 프랑스 반교에서 확대되는 도시 폭력의 모습도 가지고 있다.[1] 현재의 사르셀에는 큰 프랑스령 카리브 이민 공동체, 북아프리카 이민,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이민, 유대인 거주민 공동체가 살고 있다.[1] 그러나, 타민족의 혼재는 한계에 다다르고 있으며, 공동체 간의 문제도 증가 추세에 있다.[1]
2005년에 사르셀-로셰르 지구의 탄생 50주년을 기념한 후, 시는 주택 단지의 리모델링에 착수하고 있다.[1]
4. 인구
사르셀의 인구는 2015년 기준 약 4만 명으로, 40여 개의 다양한 배경을 가진 주민들로 구성되어 있다.[4]
연도 | 인구 |
---|---|
1793 | 1600 |
1800 | 1410 |
1806 | 1588 |
1821 | 1327 |
1831 | 1615 |
1836 | 1609 |
1841 | 1735 |
1846 | 1788 |
1851 | 1622 |
1856 | 1604 |
1861 | 1781 |
1866 | 1846 |
1872 | 1682 |
1876 | 1845 |
1881 | 2001 |
1886 | 2159 |
1891 | 2118 |
1896 | 2199 |
1901 | 2384 |
1906 | 2603 |
1911 | 2796 |
1921 | 3364 |
1926 | 5032 |
1931 | 6292 |
1936 | 7083 |
1946 | 6622 |
1954 | 8397 |
1962 | 35800 |
1968 | 51674 |
1975 | 55007 |
1982 | 53630 |
1990 | 56833 |
1999 | 57871 |
2008 | 59221 |
2016 | 57781 |
사르셀에는 1960년대 프랑스로 이주한 북서 아프리카 출신 피에 누아가 상당수 거주하고 있으며, 활발한 유대인 공동체와 프랑스의 아시리아인이 가장 많이 거주하고 있다.[5]
4. 1. 이민
사르셀에는 1960년대 프랑스로 이주한 북서 아프리카 출신 피에 누아가 상당수 거주하고 있다. 또한 활발한 유대인 공동체와 프랑스의 아시리아인이 가장 많이 거주하고 있다.[5]《영국과 프랑스의 소수 민족 이주민: 통합의 상충 관계》의 저자 라흐산 맥스웰은 사르셀의 소수 민족이 다른 프랑스 지역 사회에 비해 더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며, "사르셀을 프랑스 본토 전역의 도시를 대표하는 곳으로 간주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6] 주민들은 "사르셀 정체성"이 존재한다고 믿으며, 이는 모든 민족 집단이 이 도시의 일부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범죄와 폭력 수준을 낮춘다고 믿는다.[7]
사르셀의 소수 민족은 1980년대에 프랑스의 다른 지역보다 빠르게 정치적 권력을 얻었다. 많은 이민자, 특히 카리브해 출신과 세파르딕 유대인들이 프랑스 시민권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많은 정치인들이 소수 민족의 요구에 더 빨리 응답했다. 2000년대 시장이었던 프랑수아 푸포니는 소수 민족의 역사를 기념하는 기념물을 헌정하고,[7] 아랍어 및 힌디어 강좌 운영과 같은 특정 민족 집단을 지원하는 단체에 대한 자금 지원을 승인했으며,[6] 종교 행사를 위한 공공 시설 사용을 허가했다.[8] 푸포니는 이러한 방식이 여러 민족 집단에게 하나의 공동체 의식을 부여하는 최선의 방법이라고 주장했다.[6] 비평가들은 특정 민족 집단에 맞는 단체에 대한 자금 지원이 분리를 조장한다고 주장했다.[7]
4. 1. 1. 카리브해 출신
사르셀에는 카리브해 출신 주민들이 거주하고 있다. 2008년 기준으로 인구의 8.7%가 카리브해 출신이었다.[9] 2012년 기준으로, 많은 카리브해 출신 주민들이 프랑스 시민권을 가지고 있었다.[7]1970년대에 접어들면서 흑인 카리브해 출신들은 정치 변화에 더 관심을 갖게 되었다.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지역 활동가인 가이 기우블리(Guy Guyoubli)는 거의 모든 카리브해 출신으로 구성된 시위 목록을 조직했다. 《영국과 프랑스의 소수 민족 이주민: 통합의 상충 관계》의 저자인 라흐산 맥스웰은 이 사실을 통해 카리브해 출신들이 정치 시스템에 참여하려는 진지한 의도를 보여주었지만, 이 목록에서 선출된 대표는 없었다고 기록했다.[10] 당시 프랑스 대도시 전역의 소수 민족들은 정치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려고 점점 더 노력하고 있었다.[10] 1989년에는 도시 최초의 두 명의 카리브해 출신 시의원이 선출되었다. 같은 해 시장이었던 레이몽 라몽타뉴는 프랑스 대도시 최초의 카리브해 중심, 시의회 지원 커뮤니티 센터를 열었다.[7]
많은 이민자, 특히 카리브해 출신과 세파르딕 유대인들이 프랑스 시민권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많은 정치인들이 소수 민족의 요구에 더 빨리 응답했다. 2000년대 시장이었던 프랑수아 푸포니는 소수 민족의 역사를 기념하는 기념물을 헌정하고,[7] 종교 행사를 위한 공공 시설 사용을 허가했다.[8]
4. 1. 2. 마그레브 출신 무슬림
1950년대와 1960년대에 마그레브인들이 사르셀에 도착하기 시작했다. 이후 수십 년 동안 정치 조직을 발전시켰다. 원래 이슬람교도들은 개조된 임시 공간에서 예배를 드렸지만, 이후 그들의 공동체를 위해 모스크를 건설했다.1990년대에 마그레브인들이 처음으로 코뮌 의회에 선출되었다. 라흐산 맥스웰은 마그레브인들이 "낮은 투표율과 약한 지역 사회 조직"을 가졌기 때문에 2012년경까지 "핵심적인 지위"를 얻기 시작하지 않았다고 썼다.[11]
4. 1. 3. 시리아계 기독교인
사르셀에는 프랑스의 아시리아인이 가장 많이 거주하고 있다.[5] 2005년에는 1915년 아시리아인 학살의 아시리아-칼데아 희생자를 기리는 기념비가 세워졌다.[6]4. 1. 4. 마그레브 출신 유대인
1960년대에 많은 마그레브 유대인들이 프랑스로 이주하여 사르셀에 정착했다. 이들은 주로 알제리, 튀니지, 모로코 출신이었다. 오늘날 유대인 거주자 대부분은 프랑스 시민권을 가지고 있다.[7]마그레브 유대인들의 이민이 절정에 달했을 때, 그들은 동화주의와 세속주의를 신봉했다. 그들은 미셸 비에비오르카와 필리프 바타유가 "사회생활의 모든 측면을 포괄하지는 않지만" "구조적인 역할"이라고 묘사한 북아프리카의 신념을 가지고 있었다.[12] 1980년대부터 종교가 더욱 공적이고 중요해졌다. 비에비오르카와 바타유는 이전의 북아프리카 관행이 "종교가 모든 것을 통제하는 '젊은이'들의 새로운 정통 관행과 뒤섞이고 있다"고 말했다.[12]
1983년에는 북아프리카 출신의 세파르드 유대인들을 주축으로 한 일련의 시의원들이 선출되었다.[7]
5. 교통
사르셀에는 RER D 노선의 가르주-사르셀 역과 트랑실리앵 파리-노르 교외 철도 노선의 사르셀-생-브리스 역이 운행된다. 사르셀-생-브리스 역은 행정적으로 인근 생-브리스-수-포레 코뮌의 영토에 있지만, 실제로는 사르셀 시내 중심가와 매우 가깝다.
사르셀에는 N16 도로가 지나며, RATP(RATP) 8개 노선 버스가 운행된다.
5. 1. 철도
사르셀에서는 파리 RER D 노선의 가르주-사르셀 역이 운행된다.또한 트랑실리앵 파리-노르 교외 철도 노선의 사르셀-생-브리스 역에서도 운행된다. 이 역은 행정적으로 인근 생-브리스-수-포레 코뮌의 영토에 위치하지만, 실제로는 사르셀 시내 중심가와 매우 가깝다.
노선 | 역 |
---|---|
RER D | 가르주-사르셀 역 |
트랑실리앵 H선 | 사르셀-생-브리스 역 |
5. 2. 도로
사르셀에는 N16 도로가 지난다.5. 3. 버스
사르셀에는 RATP(RATP) 8개 노선 버스가 운행된다.6. 범죄
2012년 맥스웰은 "경범죄"와 기물 파손이 지속적인 문제라고 언급했다. 그는 흑인 이민자, 마그레브인, 유대인 간의 "폭력적인 대립"이 "반복되는 주제"라고 말했다.[7] 2012년까지 사르셀은 "파리 교외 지역 중 더 위험한 곳 중 하나"라는 평판을 얻었다.[7] 맥스웰은 지역 주민들이 그 명성이 과장되었다고 말했다고 적었다.[7]
맥스웰은 2005년 프랑스 폭동 당시 한 보고서에서 사르셀의 건물 피해가 "상대적으로 적었다"고 결론지었다고 썼다. 보고서는 대부분의 도시와 비교했을 때 사르셀에서 심각한 폭동이 발생한 날이 적었다고 결론지었다.[7] 그는 또한 지역 주민들이 피해를 "다른 곳만큼 심각하지 않았고, 사르셀의 경제적, 민족적 구성을 고려했을 때 예상했던 것만큼 심각하지 않았다"고 말했다고 덧붙였다.[7]
7. 국제 관계
사르셀은 다음 도시들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13]
국가 | 도시 |
---|---|
이스라엘 | נתניה|네타냐he (네타냐, 1988년부터) |
독일 | Hattersheim|하터스하임de (하터스하임, 1987년부터) |
나고르노카라바흐 공화국 | Մարտակերտ|마르타케르트hy (마르타케르트, 2015년부터)[14] |
8. 교육
사르셀에는 19개의 공립 유치원(écoles maternelles|프랑스어)[15], 21개의 공립 초등학교(écoles primaires|프랑스어)[16], 6개의 공립 중학교(collèges프랑스어), 2개의 공립 고등학교(lycées프랑스어)와 I.U.T (대학 기술 연구소, Institut universitaire de technologie|프랑스어), C.I.O (진로 정보 센터, Centre d'information et d'orientation|프랑스어) 등 2개의 다른 교육 기관이 있다.[17]
''안나 랑푸스 시립 도서관''(Bibliothèque intercommunale Anna Langfus|프랑스어)은 60,000권 이상의 자료를 보유하고 있으며 성인 섹션과 어린이 섹션으로 나뉜다.[18][19] ''멜 보니스 음악 공간''(Espace Musique Mel Bonis|프랑스어)도 사르셀에 있다.[20]
8. 1. 중학교
사르셀에는 6개의 공립 중학교(''collèges'')가 있다.[17]중학교 이름 |
---|
샹트렌(Chantereine) |
아나톨 프랑스(Anatole-France) |
에바리스트 갈루아(Évariste-Galois) |
장 뤼르사(Jean-Lurçat) |
빅토르 위고(Victor Hugo) |
볼테르(Voltaire) |
8. 2. 고등학교
사르셀에는 다음 2개의 공립 고등학교가 있다.[17]- 라 투렐 종합고등학교
- 장 자크 루소 종합고등학교
8. 3. 기타
사르셀에는 19개의 공립 유치원(écoles maternelles|프랑스어)[15], 21개의 공립 초등학교(écoles primaires|프랑스어)[16], 6개의 공립 중학교(collèges|프랑스어), 2개의 공립 고등학교(lycées|프랑스어)와 2개의 다른 교육 기관이 있다.[17]- 중학교: 샹트렌(Chantereine), 아나톨 프랑스(Anatole-France), 에바리스트 갈루아(Évariste-Galois), 장 뤼르사(Jean-Lurçat), 빅토르 위고(Victor Hugo), 볼테르(Voltaire)
- 고등학교: 라 투렐 종합고등학교, 장 자크 루소 종합고등학교
- 기타: I.U.T (대학 기술 연구소, Institut universitaire de technologie|프랑스어), C.I.O (진로 정보 센터, Centre d'information et d'orientation|프랑스어)
안나 랑푸스 시립 도서관(Bibliothèque intercommunale Anna Langfus|프랑스어)이 사르셀에 있다.[18] 이 도서관은 60,000권 이상의 자료를 보유하고 있으며 성인 섹션과 어린이 섹션으로 나뉜다.[19] 또한 멜 보니스 음악 공간(Espace Musique Mel Bonis|프랑스어)도 사르셀에 있다.[20]
9. 유명 인물
- 레 트윈스, 뉴 스타일 댄서
- 조나단 아수, 축구 선수
- 다미앙 셀리, 다이빙 선수
- 사라 시지크, 유도 선수
- 모하메드 디아, 패션 디자이너
- 디디에 도미, 축구 선수
- 앤디 포스탱, 축구 선수
- 마티스 텔, 축구 선수
- 드미트리 풀키에, 축구 선수
- 에릭 사뱅, 축구 선수
- 데릭 마주-사코, 축구 선수
- 유누스 상카레, 축구 선수
- 장-마뉘엘 테티스, 축구 선수
- 프레데릭 토마, 축구 선수
- 조나단 토크플, 축구 선수
- 스티브 야고, 축구 선수
- 리야드 마레즈, 축구 선수
- 위삼 벤 예데르, 축구 선수
- 아미르 하다드, 가수
- 미스 도미니크, 가수
- 도미니크 스트로스칸, 사르셀의 전 시장이자 국제 통화 기금 총재
; 출신 인물
; 연고 인물
- 멜라니 보니스:작곡가, 현지에서 사망
- 로랑 테쉬네:음악 교육자, 한때 현지 음악원에서 교편을 잡았다.
- 도미니크 스트로스칸:정치인, 경제학자, 1995년부터 1997년까지 시장
- 모리스 위트릴로:화가, 한때 현지에 거주
참조
[1]
웹사이트
Répertoire national des élus: les maires
https://www.data.gou[...]
data.gouv.fr, Plateforme ouverte des données publiques françaises
2022-09-13
[2]
간행물
Sarcelles
Cassini-Ehess
[3]
뉴스
Population en historique depuis 1968
https://www.insee.fr[...]
INSEE
[4]
웹사이트
Sarcelles, ville ghetto ou cité modèle ?
France Télévisions
2015-03-04
[5]
서적
The ChaldoAssyrian Community What saved Sarcelles and rid it of the reputation associated with 'Sarcel-litis was undoubtedly due to its Jewish population which, unaware of the drawbacks of concrete urbanisation, emphasised the positive[....]
[6]
서적
Ethnic Minority Migrants in Britain and France: Integration Trade-Offs
https://books.google[...]
[7]
서적
Ethnic Minority Migrants in Britain and France: Integration Trade-Offs
https://books.google[...]
[8]
서적
Ethnic Minority Migrants in Britain and France: Integration Trade-Offs
https://books.google[...]
[9]
논문
Tensions and Tradeoffs: Ethnic Minority Migrant Integration in Britain and France
https://books.google[...]
ProQuest
2008
[10]
서적
Ethnic Minority Migrants in Britain and France: Integration Trade-Offs
https://books.google[...]
[11]
서적
Ethnic Minority Migrants in Britain and France: Integration Trade-Offs
https://books.google[...]
[12]
서적
Sarcelles
https://books.google[...]
[13]
웹사이트
Jumelages
http://www.sarcelles[...]
Sarcelles
[14]
웹사이트
Karabakh's Martakert and Sarcelles sign cooperation agreement
http://armenpress.am[...]
[15]
웹사이트
Les écoles maternelles
http://www.sarcelles[...]
2017-05-22
[16]
웹사이트
Les écoles primaires
http://www.sarcelles[...]
2017-05-22
[17]
웹사이트
Jeunesse (11-25) Équipements scolaires superieurs
http://www.sarcelles[...]
2017-05-22
[18]
웹사이트
Bibliothèque intercommunale Anna Langfus à Sarcelles
http://www.agglo-val[...]
2014-06-03
[19]
웹사이트
Bibliothèque Anna Langfus
http://bibliotheques[...]
2014-06-03
[20]
웹사이트
Espace Musique Mel Bonis
http://bibliotheques[...]
2014-06-03
[21]
웹사이트
Jonathan Assous
http://www.football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