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반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반왕은 234년 구수왕의 사후 백제의 제7대 왕으로 즉위했으나, 고이왕에게 폐위된 인물이다. 고이왕 즉위 과정에서 왕실 방계의 강제력이 작용했고, 사반왕은 폐위 직후 살해당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반왕의 폐위는 궁정 내 권력 투쟁과 진씨 세력의 해씨 세력에 대한 우위 확보로 해석된다. 일본 역사서에는 야마토 시대 특정 씨족의 시조로 기록되어 있어, 생애 후반을 일본에서 보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34년 사망 - 제갈량
    제갈량은 삼국 시대 촉한의 정치가이자 전략가로, 유비의 삼고초려로 촉한에 합류하여 승상이 되었고, 섭정으로서 남정을 통해 촉한의 기반을 다졌으며, 북벌을 통해 위나라를 공격했으나 실패했으며, 법치주의와 인재 등용을 중시하고 경제 정책을 통해 국력을 강화했다.
  • 234년 사망 - 구수왕
    구수왕은 백제의 제6대 국왕으로 재위 기간 동안 말갈, 신라와의 전쟁에서 주로 패배하고 가뭄과 기근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며, 사반왕을 아들로 두었으나 비류왕과의 관계는 학계에서 논쟁이 되고 있고, 그의 치세는 백제 초기 왕권 경쟁의 불안정성을 보여주는 시기로 평가된다.
  • 3세기 한국의 군주 - 구수왕
    구수왕은 백제의 제6대 국왕으로 재위 기간 동안 말갈, 신라와의 전쟁에서 주로 패배하고 가뭄과 기근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며, 사반왕을 아들로 두었으나 비류왕과의 관계는 학계에서 논쟁이 되고 있고, 그의 치세는 백제 초기 왕권 경쟁의 불안정성을 보여주는 시기로 평가된다.
  • 3세기 한국의 군주 - 분서왕
    분서왕은 백제의 제11대 왕으로 낙랑군과의 전쟁을 지휘하다 자객에게 피살되었으며, 그의 죽음은 백제 정치 상황에 큰 변화를 가져왔고 초기 왕권 계승의 불안정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 3세기 출생 - 책계왕
    책계왕은 백제 제8대 국왕으로 고이왕의 아들이며, 대방군 태수의 딸과 결혼하여 외교 관계를 강화하고 고구려의 공격에 대비해 방어 시설을 보강했으나, 한, 예맥 연합군의 침입으로 전사하여 백제의 정치적 불안정을 초래했다.
  • 3세기 출생 - 성 게오르기우스
    성 게오르기우스는 3~4세기 로마 제국 시대에 순교한 로마 군 장교로, 용을 물리치는 전설로 기사도의 상징이 되었으며 잉글랜드, 조지아 등의 수호성인으로 4월 23일에 축일을 기념한다.
사반왕
기본 정보
이름사반
칭호어라하
재위234년 – 234년 (2개월)
즉위234년
전임자구수왕
섭정고이왕
후임자고이왕
본명부여사반
출생일미상
출생지위례성
사망일234년
사망지위례성
배우자미상
자녀미상
시호사반 어라하, 사비 어라하, 사이 어라하
부왕구수왕
직업
왕가부여
왕조백제
로마자 표기Saban-wang, Sabi-wang, Sai-wang
한자 표기沙伴王, 沙沸王, 沙伊王
한글 표기사반왕, 사비왕, 사이왕
백제 군주 목록
백제 역대 국왕온조 18 BCE–28 CE
다루 28–77
기루 77–128
개루 128–166
초고 166–214
구수 214–234
사반 234
고이 234–286
책계 286–298
분서 298–304
비류 304–344
계 344–346
근초고 346–375
근구수 375–384
침류 384–385
진사 385–392
아신 392–405
전지 405–420
구이신 420–427
비유 427–455
개로 455–475
문주 475–477
삼근 477–479
동성 479–501
무령 501–523
성 523–554
위덕 554–598
혜 598–599
법 599–600
무 600–641
의자 641–660

2. 생애

구수왕234년에 사망하자, 장남인 사반왕이 제7대 임금이 되었다. 그러나 초고왕의 동생 또는 동생의 후손이라는 설이 있는 고이왕에게 나이가 어리다는 이유로 폐위되었다. 삼국유사에는 사이비왕(沙伊沸王) 또는 사이왕(沙伊王)으로 나온다. 학계에서는 사반왕이 왕위에 오른 직후 고이왕에게 왕위를 빼앗긴 것으로 보아, 폐위 직후 살해당했을 것으로 추정한다.[1]

삼국사기에는 사반왕에 대한 기록이 거의 없는데, 너무 어려서 통치할 수 없었고, 곧 초고왕의 동생인 고이왕에게 왕위를 계승했다는 내용만 있다.[2] 삼국사기의 기록은 다음과 같다.

구수왕이 21년 만에 죽으니 장자 사반이 이어 왕이 되었으나 나이가 어려서 정사를 돌볼 수 없었다. 초고왕의 동모(同母) 아우가 왕이 되었다.[2]

2. 1. 폐위 배경

구수왕234년에 사망한 후, 장남인 사반왕이 왕위에 올랐으나 나이가 어리다는 이유로 고이왕에게 폐위되었다. 학자들은 사반왕의 폐위를 궁정 내 권력 투쟁과 전라도의 진씨 세력이 충청도의 해씨 세력에 대해 우위를 확보한 사건으로 해석한다.[3] 삼국유사에는 사반왕이 폐위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3]

2. 2. 일본과의 관계

일본의 역사서인 신찬성씨록에는 사반왕이 야마토 시대 특정 씨족의 시조로 기록되어 있다.[4] 이는 사반왕이 생애 후반을 일본에서 보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3. 가계


  • 아버지: 구수왕
  • 어머니: 알려지지 않음
  • 동생 또는 후손: 비류
  • 조카 또는 후손: 근초고
  • 형제: 부여 우복 - 321년에 내신좌평에 임명되었고, 327년에는 반란 진압에 기여했다.
  • 왕비: 알려지지 않음
  • 자녀: 알려지지 않음. (일본 씨족의 시조로 기록되어 있다.)


삼국사기의 기록에 따르면 비류왕은 구수왕의 아들이라고 하나, 연대상 차이가 있어 학자들은 구수왕의 손자로 추정한다.

3. 1. 비류왕과의 관계 논란

삼국사기에 따르면 사반왕은 구수왕의 아들이자 비류왕의 형이다. 그러나 비류왕과 사반왕 사이에는 70년 이상의 연대 차이가 있어 형제 관계에 대한 이견이 있다. 삼국사기는 비류왕의 아버지로 구수왕을, 형으로 사반왕을 지목하며, 사반왕이 물러난 뒤 70년 만에 비류왕이 즉위하여 40년을 통치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참조

[1] 서적 백제의중앙과지방 (Central area and regions of Baekje) Juryuseong
[2] 서적 Samguk sagi
[3] 서적 Samguk Yusa: Legends and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of Ancient Korea Silk Pagoda
[4] 논문 Ancient Korea-Japan Relations: Dating the Formative Years of the Yamato Kingdom (366-405 CE) by the Samguk-sagi Records and Reinterpreting the Related Historical Facts https://benthamope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