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울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울레는 삶, 다산, 온정, 건강의 여신으로, 리투아니아와 라트비아 신화에서 가장 강력한 신 중 하나이다. 사울레는 불행한 사람, 특히 고아를 돕는 존재로 묘사되며, '세계'는 "태양 아래 있는 곳"을 의미한다. 사울레는 달의 신 메누오와 부부였으며, 아우슈리네, 바카리네 등과 가족 관계를 맺는다. 사울레는 금색, 은색, 붉은색 등 화려한 색상으로 묘사되며, 황금 도구, 의복, 배 등을 소유하고, 춤을 추거나 마차, 배, 말 등을 타고 이동하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하지와 동지, 춘분, 추분에 축제가 열렸으며, 특히 하지 축제는 화환 만들기, 고사리 꽃 찾기, 모닥불 태우기, 불 위 도약 등의 행사를 통해 태양을 맞이하는 행사로 진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산의 신 - 에오스트레
에오스트레는 게르만 신화의 봄과 새벽의 여신으로, 앵글로색슨족은 4월을 에오스트레의 달이라 부르며 축제를 열었고, 이름은 '빛나다'라는 뜻에서 유래했으며, 현대 영어의 'Easter'와 부활절 토끼, 오스타라 축제 등과 관련된다.
사울레 | |
---|---|
기본 정보 | |
![]() | |
신화 체계 | 발트 신화 |
담당 영역 | 태양 |
다른 이름 | 사울레 사울리테 (Saulīte) |
배우자 | 메누오 / 메네스 |
자녀 | 사울레스 메이타 제미나 인드라야 셀리아 지에즈레 바이보라 |
그리스 로마 신화 대응 | 헬리오스 (그리스 신화) 솔 (로마 신화) |
에트루리아 신화 대응 | 우실 |
게르만 신화 대응 | 솔 |
힌두교 신화 대응 | 수리야 |
인도 유럽 신화 대응 | 세훌 |
관련 민족 | 발트족 |
축제 | 야니 라소스 |
2. 설명
사울레는 삶, 다산, 온정 및 건강의 여신이며, 가장 강력한 신들 중 한 명이다. 그녀는 불행한 사람들, 특히 고아들을 돕는다. 리투아니아어와 라트비아어로 "세계"를 뜻하는 ''pasaulis'' 또는 ''pasaule''는 "태양 아래 있는 곳"으로 번역된다.
사울레는 달의 신 메누오((''Mėnuo''))/메네스((''Mēness''))와 부부 사이였다. 메누오는 아우슈리네(샛별 또는 금성)와 사랑에 빠졌다. 그의 불륜에 천둥신 페르쿠나스는 메누오에게 벌을 내렸다. 벌에 대한 묘사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한 버전에서는 메누오가 두 동강으로 잘렸지만, 자신의 잘못을 배우지 못해 벌이 매달 반복된다. 또 다른 버전에서는 사울레와 메누오는 이혼했지만, 서로 그들의 딸이자 대지의 여신인 제미나를 보고 싶어 했다. 그래서 태양은 낮에 빛나고, 달은 밤에 방문한다. 세 번째 버전에서는 메누오의 얼굴이 디에바스(최고신) 또는 사울레에 의해 추하게 되었다고 한다.[30]
사울레는 지구상의 모든 생명을 책임지는 강력한 태양 여신으로, 불행한 사람, 특히 고아의 수호신이다. 리투아니아어와 라트비아어로 "세계"를 뜻하는 단어(''pasaulis''와 ''pasaule'')는 "태양 아래 [장소]"로 번역된다.
존 말라라스의 연대기 슬라브어 번역본(1261년)에 따르면, 텔리아벨리스라는 대장장이가 태양을 만들어 하늘로 던졌다고 한다. 프라하의 제롬(ca. 1369–1440)은 3년 동안 리투아니아 기독교화를 시도했으며, 사울레가 강력한 왕에 의해 탑에 갇혔다가 황도대가 거대한 쇠망치를 사용하여 구출했다는 신화를 이야기했다. 제롬은 자신이 직접 현지인들이 숭배하는 망치를 목격했다고 맹세했다.
3. 가족
다른 신화에서 아우슈리네는 사울레의 딸이자 하녀로 묘사된다. 아우슈리네는 사울레를 위해 불을 지피고 하늘을 가로지르는 또 다른 하루의 여정을 준비시킨다. 바카리네(저녁별)는 저녁에 사울레를 위해 침대를 만든다. 리투아니아 신화에서 사울레는 다른 행성의 어머니였다. 인드라야(목성), 셀리아(토성), 지에즈드레(화성), 바이보라(수성).[30]
4. 신화
존 말라라스의 연대기(1261) 슬라브어 번역본에는 텔리아벨리스라는 대장장이가 태양을 만들어 하늘로 던졌다는 기록이 있다. 프라하의 제롬(1369년경–1440년)은 3년 동안 리투아니아 기독교화를 시도했으며, 이후 강력한 왕에게 납치되어 탑에 갇힌 사울레를 황도대가 거대한 쇠망치를 사용하여 구출했다는 신화를 이야기했다. 제롬은 현지인들이 숭배하는 망치를 직접 목격했다고 맹세했다.
사울레와 메네스(달)는 부부였다. 메누오는 아우슈리네(샛별 또는 금성)과 사랑에 빠졌고, 페르쿠나스(천둥의 신)는 그의 불륜에 대해 벌을 내렸다. 처벌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가 전해지는데, 한 버전에서는 메누오가 두 조각으로 잘렸지만 실수를 배우지 못해 매달 처벌이 반복된다고 한다. 또 다른 버전에서는 메누오와 사울레가 이혼했지만, 둘 다 딸 제미나(지구)를 보고 싶어해 태양은 낮에, 달은 밤에 지구를 방문한다고 한다.[2] 세 번째 버전에서는 메누오의 얼굴이 디에바스(최고신) 또는 사울레에 의해 훼손되었다고 주장한다.
다른 신화에서 아우슈리네는 사울레의 딸이자 하인으로 묘사된다. 아우슈리네는 사울레를 위해 불을 지피고 하늘을 가로지르는 여정을 준비시킨다. 바카리네(저녁별)는 저녁에 사울레를 위해 침대를 만든다. 리투아니아 신화에서 사울레는 목성(인드라야), 토성(셀리야), 화성(지에즈드레), 수성(바이보라) 등 다른 행성들의 어머니였다.
사울레는 생명, 풍요, 따뜻함, 건강의 여신이며, 특히 고아와 같이 불운한 사람들을 보호한다.
4. 1. 색상
라트비아 민요에서 사울레와 그녀의 딸들은 금실로 짠 숄을 입고, 사울레는 금 신발을 신는 것으로 묘사된다.[3] 사울레는 은색, 금색, 또는 실크 의상을 입고 반짝이는 왕관을 착용하기도 한다.[3]
사울레는 때때로 아침에 "붉은색" (''sārta'') 또는 "붉은 나무 안에서" 깨어나는 것으로 묘사된다.[4] 또한 황금 슬리퍼, 스카프, 벨트, 그리고 황금 배를 소유하고 있다고 한다.[4] 다른 설명에서는 황금 반지, 황금 리본, 황금 술, 심지어 황금 왕관까지 묘사된다.[8]
사울레는 "빨간색, 금색, 은색, 흰색 실"로 짠 옷을 입고 있는 것으로도 묘사된다.[5] 리투아니아 전통에서 태양은 일몰 시 산을 굴러 내려가는 "황금 바퀴" 또는 "황금 원"으로 묘사되기도 한다.[6] 라트비아의 수수께끼와 노래에서 사울레는 태양의 "불 같은 측면"을 나타내는 것처럼 붉은색과 연관된다. 해가 지고 뜨는 것은 둥근 모양 때문에 장미 화환과 피어나는 장미와 동일시된다.[7][8][9]
4. 2. 움직임
사울레는 은색 언덕 위에서 금빛 신발을 신고 춤을 추는 모습으로 묘사되며, 발트 신화의 여신 아우슈리네는 하지가 시작되는 날 사람들을 위해 돌 위에서 춤을 춘다고 전해진다.[11] 리투아니아 신화에서 태양(여성으로 여겨짐)은 달(남편)에게 가는 마차를 타고 가면서, 가는 길에 "춤을 추고 불꽃을 뿜어낸다".[11]
4. 3. 거처
발트해 민간 전승에서 사울레는 바다 끝에 있는 은색 문이 있는 성에 살거나,[12] 동쪽에 위치해 있거나,[13] 밤에는 바다 한가운데 있는 섬으로 휴식을 취하러 간다고 한다.[14] 민요에서 사울레는 밤에는 "하얀 물거품 속" 은색 요람에서 잠을 자기 위해 호수 바닥으로 가라앉는다.[15]
4. 4. 운송 수단
사울레는 구리 바퀴가 달린 마차[17], "빛나는 구리 전차"[18], 지치지 않는 말들이 끄는 황금 전차[19], 물고기 뼈로 만든 "예쁜 썰매"[20]를 타고 하늘을 여행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또한 남편인 달에게 가는 길에 빛나는 차를 운전하는 것으로도 묘사된다.[11]
다른 이야기에서는 사울레가 은[21] 또는 황금 배[18]를 타고 바다를 항해한다고 하는데, 전설에 따르면 이것이 밤에 이동하기 위해 전차가 변신하는 것이라고 한다.[13][22] 라트비아 민요에서는 사울레가 저녁에 반짝이는 왕관을 나무에 걸어두고 황금 배를 타고 항해를 떠난다.[3]
4. 5. 말
사울레의 말은 발트 민속에서 여러 차례 언급된다. 사울레의 말은 흰색으로 묘사되기도 하고,[13] 다른 이야기에서는 금색, 은색, 다이아몬드색의 세 필의 말로 묘사되기도 한다.[11] 라트비아의 다이나(민요)에서는 노란색,[23] 금색 또는 불꽃색으로 묘사된다.[22] 다이나에서 태양의 말은 금빛 발굽과 고삐를 가지고 있으며, 금빛 존재 자체이거나 밤색을 띠며 "밝거나 황혼의 하늘의 색조를 반사한다"고 묘사된다.[24] 사울레가 세계 바다를 가로지르는 야간 여행을 시작할 때, 그녀의 전차는 배로 바뀌고 "태양이 그녀의 말을 헤엄치게 한다"[21]는 것은 "그녀가 바다에서 말을 씻기 위해 멈춘다"는 것을 의미한다.[25]
학문적 연구에 따르면 라트비아의 다이나에 등장하는 ''geltoni žirgeliailv'' 또는 ''dzelteni kumeliņilv'' ('금빛' 또는 '노란 말')는 반복되는 시적 모티프로 보인다.[8]
4. 6. 기타 묘사
바이바 비체프레이베르가 교수와 민족학자 Nijolė Laurinkienė|니욜레 라우린키에네lt의 연구에 따르면, 사울레는 민요에서 고아들을 위로하는 "어머니"(motinėlė|모티넬레lt, māmuliņa|마물리냐lv)로 묘사되며, 이는 해가 뜨는 데 시간이 걸리는 이유이다.[26] 다른 민요에서 의인화된 여성 태양은 또한 "흰색"(balt-|발트-lv)과 연관되어 흰 셔츠의 이미지, "mīļā, balte"("태양아, 사랑스러운, 하얀")라는 표현, 그리고 태양의 궤적(떠오를 때는 붉고, 여행할 때는 흰색)의 묘사와 같은 형태로 나타난다.[27]
5. 축제
사울레의 축제는 하지와 동지에 열린다. 리투아니아의 라소스(기독교가 들어온 이후 성 요한의 날로 바뀌었다.)와 라트비아의 야니에는 화환 만들기, 마법이 담긴 고사리 꽃을 찾기, 모닥불을 태우기, 불 위로 뛰어넘기를 하면서 다음 날 아침 4시경 태양을 맞이한다.[31] 이 날은 가장 즐거운 전통 공휴일이다. 동지에는 사울레가 돌아오는 것을 축하한다. 기독교는 리투아니아의 쿠시오스(ˈkuːtʃʲɔslt)와 라트비아의 지에마슈브츠키(z̪iemas̪s̪veːt̪ki|lv)를 크리스마스로 흡수했다. 춘분과 추분에도 사울레와 관련된 축제가 열렸다고 전해진다.[30]
참조
[1]
웹사이트
Baltic etymology
http://starling.rine[...]
[2]
논문
Pasaulio kūrimo motyvai lietuvių pasakojamojoje tautosakoje
https://www.lituanis[...]
2002
[3]
논문
The Latvians in Their Folk Songs
1937
[4]
서적
The Faces of the Goddess
Oxford University Press
[5]
서적
Dictionary of Nature Myths: Legends of the Earth, Sea, and Sky
Oxford University Press
[6]
논문
Iš baltų mitinio vaizdyno juodraščių: Saulė
https://etalpykla.li[...]
2012
[7]
서적
Ugnies metaforos: Lietuvių ir latvių mitologijos studija
Lietuvių literatūros ir tautosakos institutas
[8]
논문
Saulės bei metalų kultas ir mitologizuotoji kalvystė. Metalų laikotarpio idėjų atšvaitai baltų religijoje ir mitologijoje
https://www.lituanis[...]
2018
[9]
논문
The Rose and blood: images of fire in Baltic mythology
https://www.lituanis[...]
2003
[10]
서적
Ugnies metaforos: Lietuvių ir latvių mitologijos studija
Lietuvių literatūros ir tautosakos institutas
[11]
서적
The songs of the Russian people, as illustrative of Slavonic mythology and Russian social life
Ellis & Green
[12]
서적
Britannica Encyclopedia of World Religions
Encyclopaedia Britannica
[13]
논문
The Cosmology of the Ancient Balts
1997-02
[14]
서적
Studying Religions with the Iron Curtain Closed and Opened
Brill
[15]
서적
Ugnies metaforos: Lietuvių ir latvių mitologijos studija
Lietuvių literatūros ir tautosakos institutas
[16]
서적
Merriam-Webster's Encyclopedia of World Religions
Merriam-Webster, Incorporated
[17]
서적
A History of Pagan Europe
Routledge
[18]
서적
Encyclopedia of Russian and Slavic myth and legend
ABC-CLIO
[19]
서적
Dictionary of Nature Myths: Legends of the Earth, Sea, and Sky
Oxford University Press
[20]
서적
Encyclopedia of Religion and Nature
A & C Black
[21]
논문
The Latvian Mythological Space in Scholarly Time
2011-09-20
[22]
논문
Saulės ratų ir jos laivo mitiniai vaizdiniai: šviesulys paros cikle
https://etalpykla.li[...]
2017
[23]
서적
The Faces of the Goddess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24]
논문
Sun Myths in Lithuanian Folksongs
1900
[25]
서적
A History of Pagan Europe
Routledge
[26]
논문
The orphan in Latvian sun-songs: An analysis of semantic links between two concepts
1980-03
[27]
논문
A structural analysis of lexical and contextual semantics-Latvian Balts 'white' in sun-songs
1980-09
[28]
웹사이트
Baltic etymology
http://starling.rine[...]
[29]
웹사이트
발트 어원학
http://starling.rine[...]
[30]
서적
Of Gods & Holidays: The Baltic Heritage
Tvermė
[31]
서적
Of Gods & Holidays: The Baltic Heritage
Tvermė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