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네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네스는 고대 이집트의 첫 번째 파라오로 여겨지는 인물로, 상이집트와 하이집트를 통일하고 멤피스를 건설한 것으로 전해진다. 메네스라는 이름은 여러 형태로 기록되었으며, '지속된 그'라는 의미를 지닌다. 역사적 기록과 고고학적 증거를 바탕으로 메네스가 나르메르 또는 호르-아하와 동일 인물일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며, 멤피스 건설, 신 숭배, 문자 발명 등 다양한 업적과 문화적 영향을 남겼다. 메네스는 이집트의 건국자로서 로마 건국 신화의 로물루스와 비교되기도 하며, 현대 문화에서도 상징적인 인물로 묘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멤피스 (이집트) - 사카라
사카라는 이집트 초기 왕조 시대부터 로마 시대까지 사용된 고대 묘지로, 초기 왕조 시대 왕들의 무덤과 계단 피라미드, 고왕국 시대의 마스타바 무덤, 신왕국 시대 고위 관료의 무덤 등 다양한 시대 유적과 최근의 고고학적 발견으로 고대 이집트 역사와 문화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기원전 32세기 파라오 - 나르메르
나르메르는 기원전 31세기경 상·하 이집트의 통일을 이룬 초기 왕조 시대의 파라오로, 나르메르 팔레트와 같은 유물을 통해 상·하 이집트의 통일자로 알려져 있으며, 그의 통치 시기 가나안 지역에서 이집트의 영향력이 절정에 달했다. - 기원전 31세기 파라오 - 나르메르
나르메르는 기원전 31세기경 상·하 이집트의 통일을 이룬 초기 왕조 시대의 파라오로, 나르메르 팔레트와 같은 유물을 통해 상·하 이집트의 통일자로 알려져 있으며, 그의 통치 시기 가나안 지역에서 이집트의 영향력이 절정에 달했다. - 기원전 31세기 파라오 - 호르-아하
호르-아하는 기원전 31세기경 이집트 제1왕조의 두 번째 파라오로, 나르메르의 아들로 추정되며, 종교 활동 장려, 누비아 원정 등의 활동을 펼쳤고, 그의 무덤은 아비도스의 움 엘 카아브에 위치한다.
메네스 | |
---|---|
개요 | |
![]() | |
이름 | 메네스 |
이집트어 | Mnj |
의미 | 그는 인내하는 자 |
그리스어 | Μήνης (메네스) |
통치 기간 | |
추정 기간 | 기원전 3200–3000년경 |
왕조 | |
왕조 | 제1왕조 |
계승 정보 | |
이전 통치자 | 알 수 없음 |
후임 통치자 | 호르-아하(가능성 있음), 제르(가능성 있음) |
매장지 | |
위치 | 움 엘 카브 B17 및 B18 (나르메르의 무덤), 움 엘 카브 B10/B15/B19 (호르-아하의 무덤) |
추가 정보 | |
마네토 (아프리카누스) | 메네스 |
마네토 (에우세비우스) | 메네스 |
동일 인물 가능성 | 나르메르(?), 호르-아하(?) |
2. 이름과 정체성
'메네스'라는 이름은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시대의 역사가이자 사제인 마네토가 처음으로 기록했다. 마네토는 그리스어로 Μήνης (''Mênês'')라고 표기했다.[4] 기원전 5세기의 역사가 헤로도토스는 Μιν (''Min'')이라는 다른 그리스어 형태를 언급했지만,[5] 이는 신 민의 이름에서 비롯된 혼동으로 보이며, 관련이 없는 것으로 간주된다.
이집트어 형태인 ''mnj''는 이집트 제19왕조 시대의 토리노 왕 목록과 아비도스 왕 목록에서 가져온 것이다. ''mnj''는 "견디는 자"를 의미하며, "이름을 잃은 반 전설적인 영웅을 나타내는 단순한 설명적 별칭"으로 추정되기도 한다.[14]
상이집트와 하이집트를 통일한 인물로 알려진 나르메르에 대한 증거는 비교적 풍부하지만, 고고학적 기록에서 메네스에 대한 언급은 거의 없다. 이 때문에 메네스를 나르메르와 동일 인물로 보는 견해가 제기되었다. 나카다에서 발견된 상아 라벨에는 왕실 호칭 "아하"(호르-아하)가 건물 옆에 묘사되어 있고, 건물 안에는 일반적으로 메네스라고 여겨지는 왕실 호칭 "mn"이 있다.
토리노 왕 목록과 아비도스 왕 목록은 파라오의 "네수-비트"-이름을 나열하며, 호루스 이름은 아니다. 플린더스 페트리는 "이티"를 제르와, "테티"(토리노) 또는 "이티"(아비도스)를 호르-아하와, 메네스("네브티"-이름)를 나르메르(호루스-이름)와 연관시켰다. 나르메르 또는 호르-아하가 메네스임을 증명하기 위해 제시된 두 개의 문서는 나카다 라벨과 아비도스 인장이지만, 해석은 분분하며 어느 한쪽의 이론을 확실하게 뒷받침하지 못한다.[6]
2. 1. '메네스'라는 이름의 유래
'메네스'라는 이름은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시대의 이집트 역사가이자 사제인 마네토의 저술에서 처음으로 기록되었다. 마네토는 그리스어로 이 이름을 Μήνης (로마자 표기: ''Mênês'')로 표기했다.[4] 기원전 5세기의 역사가 헤로도토스는 또 다른 그리스어 형태인 Μιν (로마자 표기: ''Min'')을 언급했지만,[5] 이 변형은 신 민의 이름에서 영향을 받은 결과로, 관련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이집트어 형태인 ''mnj''는 토리노 왕 목록과 아비도스 왕 목록에서 가져온 것으로, 이는 이집트 제19왕조 시기에 작성되었으며, 그 발음은 로 재구성되었다. 이집트 신왕국 초기에 이집트어의 변화로 인해 그의 이름은 이미 로 발음되었다.
''mnj''라는 이름은 "견디는 자"를 의미하며, I.E.S. Edwards(1971)는 이를 "이름을 잃은 반 전설적인 영웅을 나타내는 단순한 설명적 별칭"으로 만들어졌을 것이라고 제안한다. 또는, 이 이름은 나카다 III 시대 통치자들인 카, 전갈 2세, 나르메르의 집단적 정체성을 숨기거나, 단순히 기능적 리더십 역할을 지칭할 수도 있다.
2. 2. 나르메르와의 동일 인물설
나르메르와 메네스를 동일 인물로 보는 견해는 고고학적 기록에서 메네스에 대한 언급이 거의 없는 반면, 상이집트와 하이집트의 통일을 이룬 것으로 여겨지는 원왕조 인물인 나르메르에 대한 증거는 상대적으로 풍부하다는 사실에서 비롯되었다.메네스에 대한 주요 고고학적 언급은 나카다에서 발견된 상아 라벨이다. 이 라벨에는 왕실 호칭 "아하"(호르-아하)가 건물 옆에 묘사되어 있고, 건물 안에는 일반적으로 메네스라고 여겨지는 왕실 호칭 "mn"이 있다. 이를 통해 건물의 성격, "mn"의 의미, 호르-아하와 메네스의 관계에 대한 다양한 이론이 제기되었다.
토리노 왕 목록과 아비도스 왕 목록은 파라오의 "네수-비트"-이름을 나열하며, 호루스 이름은 아니다. 플린더스 페트리는 "이티"를 제르와 연관시키고, "테티"(토리노)(또는 다른 "이티"(아비도스))를 호르-아하와, 메네스("네브티"-이름)를 나르메르(호루스-이름)와 연관시켰다. 로이드(1994)는 이 계승을 "매우 그럴듯하다"고 생각하며, 체르벨로-아투오리(2003)는 "메네스는 나르메르"라고 단언한다. 그러나 자이들마이어(2004)는 메네스가 호르-아하라는 "상당히 안전한 추론"이라고 말한다.
나르메르 또는 호르-아하가 메네스임을 증명하기 위해 제시된 두 개의 문서는 다음과 같다.
- 나카다 라벨: 호르-아하의 세레크를 내부에 "메네스"라는 이름으로 해석되는 기호가 있는 울타리 옆에 표시한다.[6]
- 아비도스 인장: 나르메르의 "세레크"와 체스판 기호 "'mn'"이 교대로 나타나는데, 이는 메네스의 약어로 해석된다.
나르메르 또는 호르-아하가 메네스임을 주장하기 위해 각 문서와 관련하여 결정적이지 않은 논쟁이 이루어졌다. 아비도스 인장에는 나르메르의 세레크와 게임판 기호("mn")가 교대로 나타나며, 메네스의 전체 이름이 쓰여질 때 항상 표시되는 음성 보완물인 "n" 기호가 함께 나타난다. 그러나 다른 초기 이집트 제1왕조 인장 분석을 바탕으로, 인장은 메네스라는 나르메르의 왕자 이름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되어 메네스는 호르-아하라는 주장도 있다. 이처럼 의견은 다양하며, 인장이 어느 이론을 결정적으로 뒷받침한다고 말할 수는 없다.
3. 역사적 기록과 논란
메네스는 고대 이집트 제1왕조의 시조로 여겨지는 인물이다. 고대 기록에 따르면 상이집트와 하이집트를 통일하고 최초의 파라오가 되었다고 전해진다.[21][22] [25] 헬레니즘 시대의 민중 소설에도 등장할 정도로 중요한 인물로 여겨졌다.[23]
마네토는 메네스가 군대를 이끌고 국경 너머로 진출하여 큰 영광을 얻었다고 기록했다.[4] 이는 메네스가 고대 로마를 건국한 로물루스처럼 고대 이집트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인물로 묘사되었음을 보여준다.[24]
그러나 메네스의 이름은 카이로 석이나 팔레르모 석 같은 현존하는 왕립 연대기 조각에는 나타나지 않는다.[23] 이집트 제5왕조 시대에 만들어진 왕명표 석비에도 그의 이름은 없다. 대신 후대의 자료에서 호루스 신으로부터 직접 왕위를 물려받은 최초의 인간 왕으로 등장한다.[23]
이러한 기록의 불일치와 상반된 내용 때문에, 메네스의 역사적 실존 여부와 그 정체에 대한 논란이 존재한다. 그리고 고고학적 기록에는 메네스에 대한 언급이 거의 없지만, 상이집트와 하이집트의 통일을 이룬것으로 알려진 원왕조 인물인 나르메르에 대한 증거는 풍부하게 존재하여, 메네스와 나르메르를 동일 인물로 보는 이론이 제기되기도 하였다.
3. 1. 상하 이집트 통일
고고학적 기록에는 메네스에 대한 언급이 거의 없지만, 상이집트와 하이집트의 통일을 이룬 것으로 알려진 원왕조 인물인 나르메르에 대한 증거는 풍부하게 존재한다. 이러한 이유로 메네스와 나르메르를 동일 인물로 보는 이론이 제기되었다.메네스에 대한 주요 고고학적 언급은 나카다에서 발견된 상아 라벨에서 찾을 수 있다. 이 라벨에는 왕실 호칭 "아하"(호르-아하)가 건물 옆에 묘사되어 있고, 건물 안에는 일반적으로 메네스라고 여겨지는 왕실 호칭 "mn"이 있다. 이를 통해 건물의 성격(장례용 부스 또는 신전), "mn"의 의미(이름 또는 동사 "지속"), 호르-아하와 메네스의 관계(동일 인물인지, 연속적인 파라오인지)에 대한 다양한 이론이 제기되었다.
일반적으로 정확하다고 여겨지는 토리노와 아비도스 왕 목록은 파라오의 "네수-비트"-이름을 나열하며, 호루스-이름은 아니다. 이는 왕 목록의 "네수-비트"-이름, 고고학적 기록의 호루스-이름, 마네토와 기타 역사적 자료에 따른 제1왕조 파라오 수를 비교하여, 다양한 기록을 조화시키는 데 중요하다.
플린더스 페트리는 이러한 기록을 조화시키기 위해 "이티"를 제1왕조의 세 번째 파라오인 제르와, "테티"(토리노) 또는 "이티"(아비도스)를 호르-아하와 연관시켰다. 그리고 메네스("네브티"-이름)를 나르메르(호루스-이름)와 제1왕조의 첫 번째 파라오로 연결했다. 로이드(1994)는 이러한 왕위 계승이 "매우 그럴듯하다"고 평가했으며, 체르벨로-아투오리(2003)는 "메네스는 나르메르이고 제1왕조는 그로부터 시작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자이들마이어(2004)는 메네스가 호르-아하라는 "상당히 안전한 추론"이라고 말한다.
나르메르 또는 호르-아하가 메네스임을 증명하기 위해 두 가지 문서가 제시되었다. 첫 번째는 나카다 라벨로, 호르-아하의 어머니로 추정되는 네이트호테프 여왕의 무덤에서 발견되었다.[6] 이 라벨에는 호르-아하의 세레크가 "메네스"라는 이름으로 해석되는 기호가 있는 울타리 옆에 표시되어 있다. 두 번째는 아비도스에서 발견된 인장으로, 나르메르의 "세레크"와 체스판 기호 "'mn'"이 번갈아 나타나는데, 이는 메네스의 약어로 해석된다. 그러나 각 문서에 대한 해석은 논쟁의 여지가 있어, 나르메르 또는 호르-아하가 메네스라는 결정적인 증거는 되지 못한다.
아비도스에서 발견된 인장에는 나르메르의 세레크와 게임판 기호("mn")가 교대로 나타나며, 메네스의 전체 이름이 쓰여질 때 항상 표시되는 음성 보완물인 "n" 기호가 함께 나타나 "메네스"라는 이름을 나타낸다. 언뜻 보면 이것은 나르메르가 메네스라는 강력한 증거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초기 이집트 제1왕조 인장 분석을 바탕으로, 이 인장은 메네스라는 나르메르의 왕자 이름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따라서 메네스는 나르메르의 후계자인 호르-아하이며, 호르-아하가 메네스였다는 것이다. 이에 대한 반박도 있지만, 의견은 여전히 다양하며, 인장이 어느 한쪽의 이론을 결정적으로 뒷받침한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헤로도토스는 이집트의 첫 번째 왕으로 "민"을 언급한 후, "리누스" 또는 이집트의 "마네로스"는 "이집트의 첫 번째 왕의 유일한 아들"이었으며 때 이르게 사망했다고 기록했다.[7]
고대 전통에 따르면, 메네스는 상이집트와 하이집트를 하나의 왕국으로 통일하고 제1왕조를 세운 첫 번째 파라오였다. 비록 메네스는 왕립 연대기(카이로 석과 팔레르모 석)의 현존하는 조각에는 나타나지 않지만, 후대의 자료에서는 이집트의 첫 번째 통치자로 등장한다. 일부 자료에서는 그가 신 호루스로부터 직접 왕위를 물려받았다고 전한다. 그는 또한 후대의 왕 목록에도 항상 이집트의 첫 번째 인간 파라오로 나타난다. 메네스는 헬레니즘 시대의 민중 소설에도 등장하는데, 이는 그가 그 시대에도 여전히 중요한 인물로 여겨졌음을 보여준다.
메네스는 고대 이집트 역사에서 로물루스와 같은 고대 로마의 건국 인물로 여겨졌다. 마네토는 메네스가 "군대를 국경 너머로 이끌고 큰 영광을 얻었다"라고 기록한다.[4] 고대의 전설에 따르면, 메네스는 기원전 3000년과 2850년 사이에 상이집트와 하이집트를 하나의 왕국으로 통일하고 제1왕조를 세운 인물로 여겨진다.[21][22] [25]
하지만 그의 이름은 카이로 석이나 팔레르모 석과 같은 현존하는 유물에는 남아 있지 않으며, 이집트 제5왕조 시대에 만들어진 왕명표 석비에도 나타나지 않는다. 그의 이름은 후대의 문헌에 호루스로부터 직접 왕위를 물려받은 최초의 인간 이집트 왕으로 등장한다.[23] 또한 더 후대의 왕명표에도 최초의 인간 왕으로 기록되어 있다. 마네토 역시 그를 중요한 인물로 묘사하고 있다. 메네스는 고대 로마를 세운 로물루스처럼, 고대 이집트의 많은 역사를 만든 인물로 묘사된다.[24] 마네토는 메네스가 "군대를 전선으로 이끌고, 위대한 영광을 얻었다"고 기록했다.[25]
3. 2. 멤피스 건설
마네토는 초기 왕조 시대와, 특히 "티니스 출신"인 메네스를 티니스와 연관시킨다.[4] 반면 헤로도토스는 메네스가 나일강의 흐름을 제방 건설을 통해 돌린 후 수도로 멤피스를 건설했다고 주장한다.[9] 마네토는 멤피스 건설을 메네스의 아들인 아토티스에게 돌리고[25] 이집트 제3왕조 이전의 파라오들을 "멤피스 출신"이라고 부르지 않는다.[28]헤로도토스와 마네토의 멤피스 건국 이야기는 후대에 만들어진 이야기일 가능성이 있다. 2012년 시나이 반도에서 발견된 부조는 나르메르 이전의 상 이집트 통치자인 이리-호르가 멤피스를 방문했음을 보여주는데, 이는 멤피스가 이미 기원전 32세기 초에 존재했음을 시사한다.[11]
3. 3. 기타 업적
디오도로스 시켈로스는 메네스가 신을 숭배하고 희생을 바치는 관습을 도입했으며, 더 우아하고 사치스러운 생활 방식을 도입했다고 말했다.[29] 이집트 제24왕조의 파라오 테프나크트는 메네스가 사치스러운 생활 방식을 도입했다는 이유로 그의 명예를 훼손했으며, 플루타르크는 테베의 기둥에 메네스를 저주하는 글귀가 새겨져 있었다고 언급했다.[29]플리니우스는 메네스가 이집트에서 문자를 발명한 것으로 여겨진다고 기록했다.
디오도로스 시쿨루스는 파라오 메네스가 사냥을 하던 중 자신의 개들에게 공격을 받자 악어 신 소베크의 사제들이 크로코딜로폴리스에서 전하는 이야기를 기록했는데, 메네스는 모에리스 호수를 악어의 등에 업혀 건너고, 이에 감사하여 크로코딜로폴리스를 세웠다고 한다.[12]
가스통 마스페로는 다른 왕들과 관련된 전통이 이 이야기와 혼합되었을 가능성을 인정하면서도, 이 이야기를 이집트 제12왕조의 파라오 아멘엠하트 3세에게로 옮겨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을 일축했다. 그는 디오도로스가 메네스에 대한 전통을 정확하게 기록하지 않았다고 의문을 제기할 이유가 없다고 보았다. 이후, 에드워즈는 "명백히 시대착오로 가득 찬 이 전설은 역사적 가치가 전혀 없다"고 말했다.
4. 통치 기간과 죽음
마네토는 메네스가 30년, 60년 또는 62년 동안 통치했으며, 하마에게 죽임을 당했다고 기록했다.[4][13][25][30]
5. 문화적 영향과 유산
메네스는 상이집트와 하이집트를 통일하고[4] 이집트 제1왕조를 세운 첫 파라오로 알려져 있다.[4] 비록 왕립 연대기(카이로 석과 팔레르모 석)에는 직접 등장하지 않지만, 후대 자료들에서는 이집트의 첫 통치자로 기록되어 있다. 일부 기록에서는 호루스 신에게서 직접 왕위를 받았다고 전해지며,[5] 후대 왕 목록에도 첫 인간 파라오로 꾸준히 등장한다. 헬레니즘 시대 민중 소설에도 등장하는 것을 보면, 당시에도 중요한 인물로 여겨졌음을 알 수 있다.[6]
메네스는 고대 이집트에서 고대 로마 건국 신화의 로물루스와 같은 존재로 여겨졌다.[7] 마네토는 메네스가 "군대를 이끌고 국경 밖으로 나가 큰 영광을 얻었다"라고 기록했다.[4]
5. 1. 후대 왕조의 평가
디오도로스 시쿨루스는 메네스가 신을 숭배하고 희생을 바치는 관습을 도입했으며, 더 우아하고 사치스러운 생활 방식을 도입했다고 말했다. 플루타르코스는 테베의 기둥에 사치 도입자로서 메네스에 대한 저주가 새겨졌다고 언급했는데, 이는 이집트 제24왕조의 파라오 테프나크트 1세가 메네스의 명예를 훼손한 사건과 관련이 있다.[29]플리니우스는 메네스가 이집트에서 문자를 발명했다고 기록했다. 디오도로스 시켈로스는 메네스가 이집트 신화에 등장하는 신들의 전쟁을 도입하고, 제물 의식과 사치스러운 생활 방식을 만들었다고 기록했다.[29]
5. 2. 상징적 의미
고대 전통에 따르면 메네스는 상 이집트와 하 이집트를 하나의 왕국으로 통일하고[4] 이집트 제1왕조의 첫 번째 파라오가 되었다고 한다.[4] 메네스는 왕립 연대기(카이로 석과 팔레르모 석)의 현존하는 조각에는 나타나지 않지만, 후대의 자료에서는 이집트의 첫 번째 통치자로 등장한다. 일부 자료에서는 그가 신 호루스로부터 직접 왕위를 물려받았다고 전한다.[5] 그는 또한 후대의 왕 목록에도 항상 이집트의 첫 번째 인간 파라오로 나타난다. 메네스는 헬레니즘 시대의 민중 소설에도 등장하여, 그 시대에도 중요한 인물로 여겨졌음을 보여준다.[6]메네스는 고대 이집트 역사에서 로물루스와 같은 고대 로마의 건국 인물로 여겨졌다.[7] 마네토는 메네스가 "군대를 국경 너머로 이끌고 큰 영광을 얻었다"라고 기록한다.[4]
5. 3. 현대 문화 속 메네스
알렉산더 다우는 스코틀랜드 출신의 동양학 학자이자 극작가로, 고대 이집트를 배경으로 한 비극 《세토나》를 썼다. 《세토나》에서 주연 메네스 역은 세라피스 다음 가는 왕위 계승 서열 2위로 묘사되었으며, 1774년 데이비드 개릭이 드루어리 레인 극장에서 공연했을 때 새뮤얼 레디시가 연기했다.[32]6. 한국 역사와의 비교 (별도 주제)
메네스와 단군 신화를 비교하여 고대 국가 건설 과정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분석해 본다.
메네스는 이집트 제1왕조를 개창한 파라오로, 이집트의 통일을 이룩한 인물로 여겨진다. 단군은 한국의 신화적 인물로, 고조선 건국의 시조로 알려져 있다. 두 인물 모두 고대 국가의 기틀을 마련했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하지만 메네스는 역사적 실존 인물로 여겨지는 반면, 단군은 신화적 성격이 강하다는 차이점이 있다. 또한, 메네스는 상하 이집트를 통합하는 과정에서 전쟁을 벌였지만, 단군은 하늘에서 내려와 신성한 힘으로 나라를 세웠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비교를 통해 한국 독자들은 메네스와 이집트 초기 왕조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참조
[1]
논문
The Chronology of Ancient Egypt
[2]
서적
Ancient Egyptian: A linguistic introdu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웹사이트
Harry Thurston Peck, Harpers Dictionary of Classical Antiquities (1898), Menes
https://www.perseus.[...]
Tufts University
2023-09-30
[4]
간행물
Manetho, Fr. 6, 7a, 7b. Text and translation in ''Manetho'', translated by W.G. Waddell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1940), pp.26–35
[5]
문서
Herodotus: 2.4.1, 2.99.1ff.
[6]
웹사이트
Naqada Label {{!}} The Ancient Egypt Site
http://www.ancient-e[...]
2021-07-20
[7]
서적
The Histories of Herodotus of Halicarnassus
Joh. Enschedé en Zonen
[8]
Citation
The Dwellers on the Nile: Chapters on the Life, Literature, History and Customs of the Ancient Egyptians
[9]
문서
Herodotus: 2.99.4.
[10]
문서
Herodotus: 2.109
[11]
간행물
Iry-Hor et Narmer au Sud-Sinaï (Ouadi 'Ameyra), un complément à la chronologie des expéditios minière égyptiene
https://www.academia[...]
2023-02-28
[12]
문서
Diodorus: 45
[13]
웹사이트
Comparing the King Lists of Manetho
https://pharaoh.se/c[...]
2023-02-11
[14]
문서
Edwards 1971: 11
[15]
문서
Beck et al. 1999
[16]
문서
Edwards 1971: 13
[17]
문서
Lloyd 1994: 7
[18]
문서
Cervelló-Autuori 2003: 174
[19]
문서
Herodotus: 2.4.1, 2.99.1ff.
[20]
문서
Lloyd 1994: 6
[21]
문서
Etheredge 2008
[22]
문서
Maspero 1903: 331
[23]
문서
Shaw and Nicholson 1995: 218
[24]
문서
Manley 1997: 22
[25]
문서
Verbrugghe and Wickersham 2001: 131
[26]
문서
Herodotus: 2.109
[27]
문서
Herodotus: 2.99.4.
[28]
문서
Verbrugghe and Wickersham 2001: 133
[29]
문서
Elder 1849: 1040
[30]
문서
Sayce and Gibbon 1906: 15
[31]
문서
R.Wunderlich.''The secret of Creta".Efstathiadis group.Athens 1987.p171
[32]
문서
Dow 1774
[33]
서적
" ''The Pageant of World History''"
https://archive.org/[...]
Allyn & Bacon
[34]
웹사이트
Menes (king of Egypt) - Britannica Online Encyclopedia
http://www.britanni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