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산타 체칠리아 국립음악원 관현악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타 체칠리아 국립음악원 관현악단은 1908년 창단된 이탈리아 최초의 관현악 연주회 전문 악단이다. 아우구스테오 음악당을 상주 공연장으로 사용했으며, 초대 음악 감독 베르나르디노 몰리나리는 이탈리아 작곡가들의 작품을 초연하고, 구스타프 말러, 클로드 드뷔시 등 당대 유명 음악가들을 객원 지휘자로 초빙했다. 무솔리니 정권 시기 활동이 위축되었고, 2차 세계대전 중에는 활동이 정지되기도 했다. 전후 페르난도 프레비탈리, 이고르 마르케비치를 거쳐 정명훈이 1997년 9대 음악 감독으로 취임했으며, 2005년 안토니오 파파노가 10대 음악 감독으로 취임하여 현재까지 재임 중이다. 부속 단체로는 산타 체칠리아 국립 아카데미 합창단이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의 음악 - 로마 오페라 극장
    로마 오페라 극장은 이탈리아 로마에 위치한 오페라 극장으로, 1880년 개관 후 여러 차례 개축을 거쳐 이탈리아를 대표하는 극장 중 하나가 되었으며, 여름에는 카라칼라 욕장에서 야외 공연을 개최하고 레푸블리카역과 테르미니역에서 도보로 이동 가능하다.
  • 로마의 음악 - 산타 체칠리아 국립음악원
    산타 체칠리아 국립음악원은 1565년 설립된 콘그레가치오네 데 무지치 디 로마에서 기원하여 1870년 국립 음악원으로 발전한 이탈리아 로마의 음악 교육기관으로, 학사 및 석사 학위 과정을 제공하며 30만 권이 넘는 장서를 소장한 도서관을 운영하고 조수미, 엔니오 모리코네, 체칠리아 바르톨리 등 저명한 음악가를 배출했다.
  • 이탈리아의 관현악단 - 이 무지치
    지휘자 없이 운영되는 이탈리아의 실내악단 이 무지치는 바로크 및 고전주의 음악을 연주하며 비발디의 《사계》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고, 로베르토 미켈루치가 참여한 《사계》 음반은 일본에서 클래식 최초 밀리언셀러를 기록했다.
  • 이탈리아의 관현악단 - 밀라노 주세페 베르디 교향악단
    밀라노 주세페 베르디 교향악단은 1993년 창단된 이탈리아의 오케스트라로, 해외 공연, 음반 녹음 등 활발한 활동을 펼치며 2024년부터 에마뉘엘 체크나보리안이 음악 감독을 맡고 있다.
산타 체칠리아 국립음악원 관현악단
기본 정보
원래 이름L'Orchestra dell'Accademia Nazionale di Santa Cecilia
영어 이름L'Orchestra dell'Accademia Nazionale di Santa Cecilia
위치로마, 이탈리아
설립1908년
이전 이름Symphony Orchestra of the Augusteo
Orchestra Stabile dell'Accademia Nazionale di Santa Cecilia
콘서트홀파르코 델라 무지카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음악 감독다니엘 하딩
음악
장르클래식 음악

2. 역사

1908년 산타 체칠리아 국립음악원 관현악단은 이탈리아 최초의 관현악 연주회 전문 악단으로 창단되었다. 1936년까지 아우구스테오 음악당을 상주 공연장으로 사용했기 때문에 '아우구스테오 교향악단'으로 불리기도 했다. 초기에는 고정된 음악 감독 없이 운영되었으나, 1912년 베르나르디노 몰리나리가 초대 음악 감독으로 취임했다.

몰리나리는 레스피기의 '로마 3부작' 등 이탈리아 작곡가들의 작품을 초연하고, 말러, 드뷔시, 슈트라우스 등 유명 지휘자들을 초빙했다. 그러나 무솔리니 정권 시기 활동이 위축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사실상 활동이 중단되기도 했다.

전쟁 이후 프랑코 페라라가 잠시 음악 감독을 맡았으나 단기간 재임에 그쳤고, 1953년 페르난도 프레비탈리가 3대 음악 감독으로 임명되어 1973년까지 재임했다. 이후 이고르 마르케비치가 악단을 정비하는 데 기여했으나, 후임 토머스 시퍼스는 취임 전 폐암으로 사망했다.

1983년 주세페 시노폴리가 음악 감독으로 부임하면서 악단은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했고, 레너드 번스타인이 명예 회장으로 추대되었다. 시노폴리, 우토 우기, 다니엘레 가티를 거쳐 1997년 정명훈이 9대 음악 감독으로 취임했다. 2002년에는 렌초 피아노가 설계한 파르코 델라 무지카가 새로운 상주 공연장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2005년 안토니오 파파노가 10대 음악 감독으로 취임하여 현재까지 재임 중이며, 2023년 음악 감독직을 마치고 명예 지휘자 칭호를 받을 예정이다. 유리 테미르카노프가 명예 지휘자이며, 2024년-2025년 시즌부터 다니엘 하딩이 차기 음악 감독을 맡을 예정이다.[16]

초창기 빅토르 데 사바타는 EMI에서, 툴리오 세라핀은 데카에서 녹음했다. 레너드 번스타인도이체 그라모폰에서 푸치니의 '라 보엠'을 녹음했다. 부속 단체로는 '''산타 체칠리아 국립 아카데미 합창단'''이 활동하고 있다.

2. 1. 창단 초기 (1908년 ~ 1945년)

1908년에 창단되었으며, 당시 오페라극장 소속 관현악단이 대부분이던 이탈리아 음악계에서 최초로 관현악 연주회 전문 악단으로 출범했다.[9] 1908년에서 1936년까지 아우구스테오 음악당을 상주 공연장으로 삼았기 때문에 '아우구스테오 교향악단'이라는 명칭으로 불리기도 했다. 창단 후에는 고정된 음악 감독이나 상임 지휘자 직책 없이 음악원 교수나 객원 지휘자들이 지휘했으나, 1912년에 베르나르디노 몰리나리가 초대 음악 감독으로 취임했다.[9]

몰리나리는 레스피기의 '로마의 분수'와 '로마의 소나무'를 비롯한 동시대 이탈리아 작곡가들의 관현악 작품을 초연하는 데 적극적이었고, 빅토르 데 사바타 등 동료 지휘자들을 객원 지휘자로 초빙하기도 했다. 몰리나리 이전에도 말러,[1] 드뷔시,[2] 슈트라우스[9] 등이 객원으로 출연해 자작곡을 지휘한 바 있다.

그러나 무솔리니의 파시스트 정권 수립 후 활동이 위축되었고, 2차 세계대전 중에는 전황 악화와 독일군의 로마 점령 등으로 인해 사실상 활동 정지 상태에 놓이기도 했다. 1944년 몰리나리가 사임한 후 프랑코 페라라가 자리를 이어받았으나, 단기 재임에 그쳤다.[9] 음악 감독 공석 시기에는 프란체스코 몰리나리-프라델리, 알베르토 에레데, 비나치스화 심리를 통과한 빌헬름 푸르트벵글러[5] 등이 객원으로 지휘했다.

2. 2. 전후 재건 (1945년 ~ 1983년)

1944년 베르나르디노 몰리나리 사임 후 프랑코 페라라가 음악 감독직을 이어받았으나, 단기간 재임했다.[9] 음악 감독 공석 시기에는 프란체스코 몰리나리-프라델리, 알베르토 에레데, 비나치스화 심리를 통과한 빌헬름 푸르트벵글러 등이 객원으로 지휘했다.[5]

1953년 페르난도 프레비탈리가 3대 음악 감독으로 임명되어 1973년까지 재임했고,[9] 이고르 마르케비치가 그 뒤를 이었다. 마르케비치는 단기간 재임했지만, 악단의 체제 정비와 합주력 회복에 크게 기여했다.[9] 그러나 후임으로 임명된 토머스 시퍼스는 폐암으로 1977년 12월 지휘대에 오르기도 전에 별세했고,[10] 이후 다시 음악 감독 공석 상태가 되었다.

2. 3. 시노폴리, 정명훈 시대 (1983년 ~ 2005년)

1983년 주세페 시노폴리가 음악 감독으로 영입되면서 악단은 다시 재정비되기 시작했고, 동시에 레너드 번스타인을 악단의 명예 회장으로 추대했다.[9] 시노폴리는 악단의 운명을 회복하는 데 기여했으며, 말러브루크너를 포함하도록 악단의 레퍼토리를 확장했다.[9] 레너드 번스타인은 1983년부터 1990년까지 관현악단의 명예 회장이었다. 시노폴리의 후임으로는 우토 우기와 다니엘레 가티가 차례로 음악 감독을 역임했고, 1997년에는 정명훈이 9대 음악 감독에 취임했다.

2002년에는 렌초 피아노의 설계로 지어진 파르코 델라 무지카가 완공되어 상주 공연장으로 쓰이기 시작했다. 정명훈2005년까지 음악 감독직을 유지했고, 이어 안토니오 파파노가 10대 음악 감독에 취임해 현재까지 재임 중이다.

정명훈은 소속사였던 도이체 그라모폰을 중심으로 여러 작곡가의 테 데움 모음집, 이탈리아 서곡집, 포레뒤뤼플레의 레퀴엠, 체칠리아 바르톨리와 브라인 터펠의 듀엣 모음집(데카) 등의 음반을 발매하기도 했다.

2. 4. 파파노 시대와 현재 (2005년 ~ 현재)

안토니오 파파노2005년에 산타 체칠리아 국립음악원 관현악단의 음악 감독이 되었다.[11] 파파노의 지휘 아래, 관현악단은 EMI에서 상업 음반을 녹음했다.[12][13] 2023년에 파파노는 음악 감독직을 마치고 명예 지휘자 칭호를 받을 예정이다.[14][15]

정명훈2005년까지 음악 감독직을 역임했으며, 도이체 그라모폰을 중심으로 여러 작곡가의 테 데움 모음집, 이탈리아 서곡집, 포레뒤뤼플레의 레퀴엠, 체칠리아 바르톨리와 브라인 터펠의 듀엣 모음집(데카) 등의 음반을 발매했다. 파파노 또한 EMI에서 차이콥스키의 교향곡 4-6번과 관현악곡집, 레스피기의 '로마 3부작', 첼리스트 장한나의 독주곡 모음집 '로망스' 등을 녹음했다.

2002년 렌초 피아노가 설계한 파르코 델라 무지카가 완공되어 관현악단의 상주 공연장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현재 유리 테미르카노프가 관현악단의 명예 지휘자 칭호를 가지고 있다. 2023년 3월, 관현악단은 2024년-2025년 시즌부터 5년의 초기 계약으로 다니엘 하딩을 차기 음악 감독으로 임명한다고 발표했다.[16]

3. 역대 음악 감독

재임 기간이름
1912년 - 1944년베르나르디노 몰리나리
1944년 - 1945년프랑코 페라라
1953년 - 1973년페르난도 프레비탈리
1973년 - 1975년이고르 마르케비치
1976년토머스 시퍼스 (사실상 활동 없음)
1983년 - 1987년주세페 시노폴리
1987년 - 1992년우토 우기
1992년 - 1997년다니엘레 가티
1997년 - 2005년정명훈
2005년 - 2023년안토니오 파파노
2024년 -다니엘 하딩[16]


4. 주요 공연장

1908년부터 1936년까지 아우구스테오 음악당을 상주 공연장으로 사용했다. 2002년 렌초 피아노가 설계한 파르코 델라 무지카가 완공되어 상주 공연장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2003년부터는 아우디토리움 파르코 델라 무지카를 공연장으로 사용하고 있다.[1]

5. 음반

산타 체칠리아 국립음악원 관현악단은 연주회 전문 관현악단으로, 현재까지도 이탈리아 관현악 작품의 공연 및 녹음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빅토르 데 사바타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0년대 후반에 HMV(현 EMI)에서 베토벤드뷔시 등의 작품을 녹음했고,[2] 툴리오 세라핀은 데카에서 푸치니의 오페라를 녹음했다.[9] 1980년대까지는 발매된 음반 수가 적었으나, 주세페 시노폴리 재임 기간에 필립스를 통해 본격적인 녹음 작업이 재개되었다.[9]

레너드 번스타인도이체 그라모폰에서 푸치니의 '라 보엠'을 녹음했으며,[7] 정명훈도이체 그라모폰을 통해 여러 작곡가의 테 데움 모음집, 이탈리아 서곡집, 포레뒤뤼플레의 레퀴엠, 체칠리아 바르톨리와 브라인 터펠의 듀엣 모음집(데카) 등 다양한 음반을 발매했다. 안토니오 파파노는 EMI에서 차이콥스키 교향곡 4-6번과 관현악곡집, 레스피기의 '로마 3부작', 첼리스트 장한나의 독주곡 모음집 '로망스' 등을 녹음했다.[12][13] 이외에도 후안 디에고 플로레스 등 유명 성악가의 독창곡집이나 엔니오 모리코네의 영화 음악 자작자연집 등의 음반도 발매되고 있다.[8]

참조

[1] 웹사이트 Gustav Mahler https://santacecilia[...]
[2] 웹사이트 Claude Debussy https://santacecilia[...]
[3] 웹사이트 Sala accademica and teatro argentina - Bibliomediateca - Accademia Nazionale di Santa Cecilia http://bibliomediate[...]
[4] 웹사이트 Sala accademica - Bibliomediateca - Accademia Nazionale di Santa Cecilia http://bibliomediate[...]
[5] 웹사이트 Sala accademica and teatro argentina - Bibliomediateca - Accademia Nazionale di Santa Cecilia http://bibliomediate[...]
[6] 웹사이트 Sala accademica and teatro argentina - Bibliomediateca - Accademia Nazionale di Santa Cecilia http://bibliomediate[...]
[7] 웹사이트 Bernstein Santa Cecilia https://www.comune.r[...]
[8] 웹사이트 Ricerca cronologia - Bibliomediateca - Accademia Nazionale di Santa Cecilia http://bibliomediate[...]
[9] 뉴스 Secrets of the Santa Cecilia Orchestra's success http://www.gramophon[...] 2016-01-20
[10] 뉴스 Thomas Schippers Is Dead at 47; Conductor of Opera, Symphony https://query.nytime[...] 2016-01-20
[11] 뉴스 Antonio Pappano: 'I didn't know what I was. Now I'm discovering my Italian roots.' https://www.theguard[...] 2019-10-05
[12] 뉴스 Tchaikovsky: Symphonies Nos 4, 5 & 6, Orchestral of the Academia Nazionale di Santa Cecilia/ Pappano https://www.theguard[...] 2016-01-20
[13] 뉴스 Verdi: Aida review – Pappano brings gorgeous colours and textures to a spectacular studio recording https://www.theguard[...] 2016-01-20
[14] 뉴스 Pappano direttore emerito di Santa Cecilia dall'ottobre del 2023 https://www.giornale[...] 2021-10-26
[15] 뉴스 After 24 Years, a Conductor Returns to the Met Opera https://www.nytimes.[...] 2021-10-26
[16] 간행물 Daniel Harding appointed Music Director of Accademia Nazionale di Santa Cecilia https://www.askonash[...] Askonas Holt 2023-03-28
[17] 웹사이트 ローマ発 〓 ダニエル・ハーディングがサンタ・チェチーリア国立アカデミー管の音楽監督に、パッパーノの後任 https://m-festival.b[...] 2024-08-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