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토리노 레스피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토리노 레스피기는 1879년 이탈리아 볼로냐에서 태어난 작곡가이다. 림스키코르사코프에게 사사받아 관현악법에 영향을 받았으며, 교향시 《로마의 분수》, 《로마의 소나무》, 《로마의 축제》 등으로 유명하다. 또한 고음악 연구와 신고전주의적 경향을 보였으며, 오페라, 발레, 협주곡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남겼다. 1932년 이탈리아 왕립 아카데미 회원이 되었으나, 1934년 로마에서 심장병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상주의 작곡가 - 모리스 라벨
모리스 라벨은 인상주의 음악가로서 드뷔시의 영향을 받았지만 독자적인 스타일을 구축하여 다양한 문화적 영향을 반영한 《볼레로》 등의 걸작을 남겼으며 제1차 세계 대전에도 참전한 프랑스 작곡가이다. - 인상주의 작곡가 - 카를로스 살제도
카를로스 살제도는 혁신적인 하프 연주 기법과 '살제도 메소드'를 확립하고, 에드가르 바레즈와 국제 작곡가 길드를 공동 설립하는 등 하프 음악과 현대 음악 발전에 기여한 프랑스 출신의 하프 연주자, 작곡가, 교육자이다. - 니콜라이 림스키코르사코프 -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는 20세기 러시아의 저명한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로, 혁신적인 초기 작품과 망명 시절의 발레 음악, 그리고 소련 귀국 후 사회주의 리얼리즘 영향을 받은 작품들을 통해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고전주의와 현대 기법의 조화로 20세기 음악사에 중요한 족적을 남겼다. - 니콜라이 림스키코르사코프 - 안톤 아렌스키
안톤 아렌스키는 러시아의 작곡가로,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에서 작곡을 배우고 모스크바 음악원 교수로 활동하며 알렉산드르 스크랴빈과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등을 제자로 길렀으며, 교향곡, 협주곡, 실내악 등 다양한 작품을 남겼다. - 신고전주의 작곡가 - 모리스 라벨
모리스 라벨은 인상주의 음악가로서 드뷔시의 영향을 받았지만 독자적인 스타일을 구축하여 다양한 문화적 영향을 반영한 《볼레로》 등의 걸작을 남겼으며 제1차 세계 대전에도 참전한 프랑스 작곡가이다. - 신고전주의 작곡가 - 보후슬라프 마르티누
보후슬라프 마르티누는 400곡 이상의 작품을 남긴 체코의 다작 작곡가로, 다양한 스타일을 탐구하며 관현악곡, 협주곡, 실내악곡, 오페라, 발레 음악 등 다수의 작품을 작곡했고, 체코 민속 음악, 재즈, 신고전주의, 초현실주의 등 다양한 음악적 경향을 수용하여 독자적인 음악 세계를 구축했으며, '줄리에타', '그리스의 수난' 등의 대표작을 남겼다.
오토리노 레스피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오토리노 레스피기 |
로마자 표기 | Ottorino Respighi |
IPA 표기 | , |
출생일 | 1879년 7월 9일 |
출생지 | 이탈리아 왕국 볼로냐 |
사망일 | 1936년 4월 18일 |
사망지 | 이탈리아 왕국 로마 |
직업 | 작곡가 지휘자 피아니스트 |
활동 시기 | 1893년 - 1935년 |
장르 | 신고전주의 음악 |
사조 | 낭만주의 음악 |
악기 | 바이올린 |
![]() | |
작품 | |
주요 작품 목록 | 오토리노 레스피기 작품 목록 |
2. 생애
오토리노 레스피기는 어릴 때 음악가였던 아버지에게 기초를 배웠고, 1891년 고향 볼로냐의 볼로냐 음악원에서 바이올린과 비올라를 공부했다.[3] 1899년에 졸업하고,[7] 1900년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왕립 극장에 비올라 주자로 취직했다.[31] 여기서 니콜라이 림스키코르사코프와 막스 브루흐를 알게 되었고, 특히 림스키코르사코프에게서 작곡에 대한 조언과 개인적인 가르침을 받으며 큰 영향을 받았다.[31]
1910년 베를린으로 가서 브루흐에게 가르침을 받았다.[31] 그 후 얼마 동안 연주 활동을 계속하면서 작품을 발표하여 작곡가로 인정받게 되었고, 1913년 로마의 산타체칠리아 음악원 작곡과 교수로 초빙되어 로마에 정착했다.[31] 작곡가, 지휘자, 연주가로 다방면으로 활동하며 이탈리아 악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1932년 이탈리아 학사원 회원이 되었고, 해외 연주 여행도 여러 번 다니며 20세기 전반 이탈리아를 대표하는 작곡가로 인정받았다. 1936년 4월 18일 로마에서 심장병으로 56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16]
2. 1. 초기 생애 (1879-1900)
레스피기는 1879년 7월 9일 이탈리아 볼로냐의 팔라초 판투치 옆에 있는 비아 귀도 레니 8번지 아파트에서 태어났다.[3] 음악 교사였던 아버지 주세페 레스피기로부터 어릴 때부터 피아노와 바이올린의 기초를 배웠다. 레스피기는 처음에 바이올린을 정식으로 배우다가 선생님이 잘못 연주한 부분을 지적하며 자로 손을 때리자 그만두었으나, 더 참을성 있는 선생님과 함께 레슨을 다시 시작했다. 1891년 볼로냐 음악원(Conservatorio Giovanni Battista Martini)에 입학하여 페데리코 사르티에게 바이올린과 비올라를, 체사레 달롤리오에게 오르간, 대위법, 푸가를 배웠다.[3] 4학년 때부터는 음악원 원장 주세페 마르투치와 루이지 토르키에게 작곡과 음악사 수업을 받았다. 1899년 6월, 파가니니의 《마녀들》(Le Streghe)을 연주하여 바이올린 연주 졸업 시험에 합격하고 졸업장을 받았다.[3]2. 2. 러시아 유학 (1900-1903)
1899년 볼로냐 음악원 졸업 후,[31] 1900년부터 1901년까지, 그리고 1902년부터 1903년까지 두 시즌에 걸쳐 러시아 제국 극장 관현악단의 수석 비올라 연주자로 상트페테르부르크에 부임하여 이탈리아 오페라 공연에 참여했다.[31] 이곳에서 니콜라이 림스키코르사코프를 만나 5개월간 관현악법과 작곡 지도를 받았는데,[31] 림스키코르사코프의 정교한 관현악법은 레스피기의 음악에 큰 영향을 미쳤다.[31]2. 3. 베를린 유학 및 초기 활동 (1902-1913)
1899년 볼로냐 음악원을 졸업하고,[31] 1900년부터 1901년, 그리고 1902년부터 1903년까지 두 시즌에 걸쳐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왕립 극장 관현악단의 수석 비올라 연주자로 부임하여 이탈리아 오페라 공연에 참여했다.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니콜라이 림스키코르사코프를 만나 5개월간 지도를 받으며, 그의 정교한 관현악법에 큰 영향을 받았다.[31] 많은 자료에서 1902년 베를린에서 막스 브루흐의 지도를 잠시 받았다고 하지만, 엘자 레스피기(Elsa Respighi)는 이를 사실이 아니라고 부정하고 있다.[31]이후 볼로냐로 돌아와 작곡으로 두 번째 학위를 취득했다. 1908년까지 무젤리니 5중주단의 제1바이올린 주자로 활동했다. 1908년부터 1909년까지 베를린에 체류하며 연주가와 성악 레슨의 피아노 반주자로 일하며 음악적 지식을 넓히고, 이탈리아 이외의 작곡가들에게도 눈을 뜨게 되었다.
귀국 후 작곡에 몰두하여, 자작 칸타타(cantata) 《알레투사》(Aretusa, 1911년)의 피아노 반주 버전 제작에 열중했다.
2. 4. 로마 정착과 전성기 (1913-1926)
1913년, 레스피기는 로마의 산타 체칠리아 음악원 작곡과 교수로 초빙되어 로마에 정착하였다.[31] 그는 알프레도 카셀라 등과 함께 이탈리아 현대 음악 협회를 설립하여 이탈리아 음악의 현대화에 기여하고자 했다.1917년, 레스피기는 교향시 로마의 분수를 로마에서 초연하였으나, 큰 성공을 거두지 못하고 자신감을 잃었다.[31] 그러나 1918년 아르투로 토스카니니가 밀라노에서 로마의 분수를 재연하여 대성공을 거두면서, 레스피기는 국제적인 명성을 얻게 되었다.[31]
1919년, 레스피기는 자신의 제자이자 성악가였던 엘사 올리비에리-산자코모(Elsa Olivieri-Sangiacomo)와 결혼하였다.[31]
1923년, 레스피기는 산타 체칠리아 음악원의 원장에 취임하였으나,[31] 1926년, 작곡에 전념하기 위해 원장직을 사임하였다.[31]
1924년에는 교향시 로마의 소나무를 발표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
2. 5. 국제적 명성과 말년 (1925-1936)
1925년 세바스티아노 아르투로 루치아니와 공동으로 초보자를 위한 교본 《오르페우스》를 출판했다.[32] 그해 12월, 미국을 처음 방문하여 12월 31일 카네기홀에서 자신의 피아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작품인 ''미솔리아 모드의 협주곡(Concerto in modo misolidio)''의 초연 독주자로 연주하였다.[3] 1920년대 중반부터 1930년대 초까지 유럽과 미국 등지에서 자신의 작품을 지휘하거나 피아노 작품의 독주자로서 활발하게 연주 활동을 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쌓았다.[3]1928년 11월에는 카네기홀에서 빌렘 멩겔베르크(Willem Mengelberg)가 뉴욕 필하모닉 오케스트라를 지휘하고 레스피기가 피아노를 연주하여, 그의 피아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작품 Toccata per pianoforte e orchestra|토카타 페르 피아노포르테 에 오르케스트라it를 초연했다.[10] 같은 해 말, 단 9일 만에 세 번째 로마풍 서사시인 ''로마의 축제''를 완성했다.[11] 이 작품은 1929년 2월 21일 뉴욕시 카네기홀에서 아투로 토스카니니(Arturo Toscanini)가 뉴욕 필하모닉을 지휘하며 초연되었다.[11]
1932년, 레알레 아카데미아 디탈리아(Reale Accademia d'Italia) 회원으로 임명되었다.[3]
1933년부터 건강이 악화되어 창작 활동이 뜸해졌다.[3] 1936년 4월 18일 로마에서 심장병으로 사망하였고,[16] 로마에 안장되었다가 1937년 고향 볼로냐로 이장되었다.[5]
3. 작품 세계
레스피기는 오페라 작곡가가 압도적으로 많은 이탈리아에서 보기 드물게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기악곡을 남겼다. 특히 스승인 니콜라이 림스키코르사코프에게서 전수받은 훌륭한 관현악법을 구사한 교향시 〈로마의 분수〉, 〈로마의 소나무〉, 〈로마의 축제〉 3부작이 유명하다.
초기 의고전주의적인 작품 활동 이후, 러시아 체류를 거치면서 레스피기의 음악적 기법은 변화를 겪었다. 자유로운 형식, 확장된 화성법, 큰 폭의 표현이 그 이후의 작품들을 좌우하는 요소가 되었다. 레스피기 작품은 이탈리아 국내 베리즘으로부터 벗어나, 일데브란도 피체티, 잔 프란체스코 말리피에로, 알프레도 카젤라와 함께 유럽 전역의 영향을 흡수하여 현대적인 음악 문화를 형성했다는 특징을 갖는다. 레스피기는 작품에서 복조적인 경향을 보였으며, 관현악곡은 특히 프랑스 인상주의 음악(특히 클로드 드뷔시, 모리스 라벨)의 영향을 받았지만, 날카로운 오케스트라 색채 감각은 이들과는 구별된다.
러시아 시대에 작곡된 『피아노 협주곡 이단조』등의 초기 작품에서는, 스승인 림스키코르사코프와 친분이 있던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의 영향을 볼 수 있다.
3. 1. 관현악법
레스피기는 스승인 니콜라이 림스키코르사코프에게 배운 뛰어난 관현악법을 바탕으로 화려하고 다채로운 음색을 구사하는 작품들을 남겼다. 그의 관현악 작품은 프랑스 인상주의 음악(특히 클로드 드뷔시, 모리스 라벨)의 영향을 받았지만, 보다 강렬하고 극적인 표현을 추구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레스피기는 일데브란도 피체티, 잔 프란체스코 말리피에로, 알프레도 카젤라와 함께 이탈리아 국내 베리즘에서 벗어나 유럽 전역의 영향을 흡수하여 현대적인 음악 문화를 형성하는 데 기여했다. 그는 자신의 작품에서 복조적인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관현악곡에서는 프랑스 인상주의 음악의 영향을 느낄 수 있다. 그러나 레스피기 특유의 날카로운 오케스트라 색채 감각은 프랑스 인상주의 작곡가들과는 구별되는 지점이다.
또한 레스피기는 이탈리아에서 고음악 복원의 선구자이기도 했다. 17세기와 그 전후의 이탈리아 음악을 열정적으로 연구하여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와 안토니오 비발디의 작품 외에도 베네데토 마르첼로의 『디도네』(Didone)를 교정하여 출판했다. 이러한 옛 작곡가나 옛 양식에 대한 경향 때문에 레스피기를 신고전주의 음악의 작곡가로 분류하기도 한다. 그는 고전파 음악 이전의 선율 양식이나 (무곡 등의) 음악 형식을 현대적인 화성법 및 질감과 융합하는 것을 즐겨했다.
3. 2. 고음악 연구
레스피기는 이탈리아 고음악 복원의 선구자이기도 하며, 17세기와 그 전후의 이탈리아 음악에 대한 열정적인 연구 조사를 통해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와 안토니오 비발디의 작품 외에도 베네데토 마르첼로의 『디도네』(Didone)를 교정하여 출판했다.[1] 과거 작곡가나 옛 양식에 대한 경향 때문에 레스피기를 신고전주의 음악의 작곡가로 보는 것도 가능하다. 레스피기는 고전파 음악 이전의 선율 양식이나 (무곡 등의) 음악 형식을 현대적인 화성법 및 질감과 융합하는 시도를 보여주었다. 프랑스에서 6인조가 "새로운 단순성"을, 특히 빈 고전파의 경쾌함으로의 회귀를 표방한 데 반해, 레스피기는 이탈리아 고음악의 복원, 그리고 고음악의 재창조 및 구성을 위해 옛 음악을 이용했던 것이다.3. 3. 신고전주의
레스피기는 이탈리아에서 고음악 복원의 선구자이기도 하다. 17세기와 그 전후의 이탈리아 음악을 열정적으로 연구하고 조사하여,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와 안토니오 비발디의 작품뿐만 아니라 베네데토 마르첼로의 『디도네』(Didone)를 교정하여 출판했다. 이러한 과거 작곡가와 옛 양식에 대한 경향 때문에 레스피기를 신고전주의 음악의 작곡가로 보기도 한다. 레스피기는 고전파 음악 이전의 선율 양식이나 (무곡 등의) 음악 형식을 현대적인 화성법 및 음색과 결합하는 것을 즐겨했다. 프랑스에서 6인조가 "새로운 단순성", 특히 빈 고전파의 경쾌함으로의 회귀를 표방한 반면, 레스피기는 이탈리아 고음악의 복원, 그리고 옛 음악의 재창조 및 구성을 위해 옛 음악을 이용했다.3. 4. 대표작
레스피기는 오페라 중심의 이탈리아 음악계에서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기악곡을 남긴 작곡가이다. 특히, 스승인 니콜라이 림스키코르사코프에게서 전수받은 뛰어난 관현악 기법을 활용한 교향시 로마의 분수, 로마의 소나무, 로마의 축제 등이 대표작으로 꼽힌다.- '''로마의 분수'''(1917): 로마에 있는 유명한 분수 4곳의 아름다움을 새벽, 아침, 낮, 저녁 시간대별 인상으로 표현한 교향시이다.
- '''로마의 소나무'''(1924): 로마의 오랜 역사와 함께한 소나무들을 통해 고대와 중세 로마에 대한 향수와 환상을 묘사한 교향시이다.
- '''로마의 축제'''(1928)
- '''류트를 위한 고풍스러운 무곡과 아리아''' : 3개의 모음곡으로 구성되어 있다.
- ''고대의 노래와 춤 1번 모음곡''(1917): 르네상스 류트 작품을 바탕으로 한다. 시모네 몰리나로, 빈첸초 갈릴레이(갈릴레오 갈릴레이의 아버지), 그리고 익명의 작곡가들의 곡을 포함한다.
- ''고대의 노래와 춤 2번 모음곡''(1923): 류트, 아치류트, 비올을 위한 작품을 바탕으로 한다. 파브리치오 카로소, 장-바티스트 베자르, 베르나르도 지아논첼리, 그리고 익명의 작곡가들의 곡과 마랭 메르센의 아리아도 포함한다.
- ''고대의 노래와 춤 3번 모음곡''(1932): 현악기만을 위한 편곡이며 전반적으로 우울한 분위기이다. 베자르의 류트 송, 루도비코 론칼리의 바로크 기타를 위한 작품, 산티노 가르시 다 파르마의 류트 작품과 익명의 작곡가들의 작품을 바탕으로 한다.
- ''베트라테 디 키에사'' (''교회의 스테인드글라스'') (1926): 네 개의 악장 중 세 개는 피아노를 위한 ''트레 프렐루디 소프라 멜로디에 그레고리아네''(1919)를 바탕으로 한다.
- '''새들''''' (1928): 새를 흉내내는 바로크 시대 작품을 바탕으로 한다. 서주 (베르나르도 파스키니), 비둘기 (자크 드 칼로), 암탉 (장-필립 라모, 나이팅게일 (17세기 익명의 영국 작곡가), 그리고 뻐꾸기 (파스키니)로 구성됨.
- '''보티첼리의 세 그림''''(트리티코 보티첼리아노, 1927): 우피치 미술관에 있는 보티첼리의 그림(프리마베라, 동방박사의 경배, 비너스의 탄생)에서 영감을 받은 세 개의 악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간 악장에서는 오, 오라, 오, 에마누엘(베니 에마누엘)이 사용되었다.

- '''브라질의 인상''''(임프레시오니 브라질리아네, 1928)
4. 주요 작품 목록
분야 | 제목 | 연도 | 비고 |
---|---|---|---|
오페라 | 렌초 왕 | 1905 | 3막의 희가극 |
오페라 | 알 뮬리노 | 1908 | 미완성 단편 |
오페라 | 세미라미스 | 1910 | 3막의 비가극 |
오페라 | 마리 빅투아르 | 1912년–14년 | 4막 5장의 오페라 |
오페라 | 숲 속의 잠자는 아가씨 | 1916년–21년 | 메르헨 오페라 |
오페라 | 벨파고르 | 1921년–22년 | 서막과 2막, 종막으로 구성된 서정 희극 |
오페라 | 잠긴 종 | 1925년–26년 | 4막의 오페라 |
오페라 | 마리아 엑지시아카 | 1932 | 1막과 두 개의 종막으로 구성된 신비극 |
오페라 | 불꽃 | 1933 | 3막 4장의 멜로드라마 |
오페라 | 루크레치아 | 1935년 또는 1936년 | 1막 3장의 역사극 (미완성 유작) |
발레 | 환상적인 상점 | 1918 | 조아키노 로시니의 주제 |
발레 | 베네치아의 스케르초 | 1920 | 무용이 곁들여진 희극 |
발레 | 옛 프랑스의 세브르 도자기 | 1920 | 17세기와 18세기 프랑스 음악의 주제 |
발레 | 마법의 솥 | 1920 | 러시아 민요의 주제 |
발레 | 새 | 1928 | 17세기와 18세기 프랑스 음악의 주제 |
발레 | 시바의 여왕 벨키스 | 1931 | 5막 발레 |
발레 | 콜롬비나의 계략 | ||
관현악곡 | 교향적 변주곡 | 1900 | |
관현악곡 | 전주곡, 코랄과 푸가 | 1901 | |
관현악곡 | 모음곡 C장조 (심포니아) | 1901, 1903년 개정 | |
관현악곡 | 서곡 '사육제' | 1913 | |
관현악곡 | 극적 교향곡 | 1913~14 | |
관현악곡 | 로마 3부작 | 로마의 분수, 로마의 소나무, 로마의 축제 | |
관현악곡 | 류트를 위한 고풍스러운 무곡과 아리아 | 모음곡 제1번(1917), 제2번(1924), 제3번(1932) | |
관현악곡 | 땅의 요정의 발라드 | 1920 | |
관현악곡 | 관현악 모음곡 '로시니아나' | 1925 | |
관현악곡 | 교회의 스테인드글라스 | 1925 | |
관현악곡 | 새 | 1927 | |
관현악곡 | 보티첼리의 세 그림 | 1927 | |
관현악곡 | 브라질의 인상 | 1928 | |
관현악곡 | 주제와 변주 '제12선법에 의한 메타모르포세온' | 1930 | |
관현악곡 | 파사칼리아와 푸가 c단조 BWV582 |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오르간곡 관현악 편곡 | |
관현악곡 | 5개의 소리의 그림 |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의 피아노곡 관현악 편곡 | |
협주곡 | 피아노 협주곡 가단조 | 1902 | |
협주곡 | 피아노와 관현악을 위한 《슬라브 환상곡》 | 1903 | |
협주곡 | 바이올린 협주곡 가장조 | 1903 | 미완성 |
협주곡 | 피아노와 관현악을 위한 《부르레스카》 | 1906 | |
협주곡 | 바이올린과 현악 합주를 위한 《파스토랄레》 | 1908 | |
협주곡 | 바이올린과 관현악을 위한 《고풍의 협주곡》 | 1908 | |
협주곡 | 바이올린과 관현악을 위한 협주곡 《그레고리오 성가풍》 | 1921 | |
협주곡 | 첼로와 관현악을 위한 《아다지오와 변주곡》 | 1920 | |
협주곡 | 바이올린과 관현악을 위한 《가을의 시》 | 1920-25 | |
협주곡 | 믹솔리디아 선법의 협주곡 | 1925 | |
협주곡 | 피아노와 관현악을 위한 《토카타》 | 1928 | |
협주곡 | 오보에와 트럼펫, 비올라 다모레, 콘트라베이스, 피아노와 현악 합주를 위한 《5성부 협주곡》 | 1933 | |
실내악 | 오르간과 현악 합주를 위한 모음곡 G장조 | 1905 | |
실내악 | 이중 사중주곡 D단조 | 1901 | |
실내악 | 피아노 5중주곡 B단조 | 1902 | |
실내악 | 현악 5중주곡 | 연대·날짜 미기입 | |
실내악 | 단악장 현악 4중주곡 D단조 | 연대·날짜 미기입 | |
실내악 | 비올라 4중주곡 D장조 | 1906 | |
실내악 | 현악 4중주 D장조 | 1907 | |
실내악 | 현악 4중주곡 제1번 D장조 | 1892년~98년 | 미발표 작품 |
실내악 | 현악 4중주곡 제2번 B♭장조 | 1898년 | 미발표 작품 |
실내악 | 현악 4중주 D단조 | 1909 | "Ernst ist das Leben, heiter ist die Kunst"라는 명칭 |
실내악 | 도리아 선법에 의한 현악 4중주곡 | 1924 | |
실내악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6개의 소품 | 1901~06 | |
실내악 | 바이올린 소나타 B단조 | 1916-17 | |
성악/합창 | 네비에 | 1906 | 성악과 피아노 [30] |
성악/합창 | 스토르넬라트리체 | 1906 | 성악과 피아노 |
성악/합창 | 친케 칸티 알란티카 | 1906 | 성악과 피아노 |
성악/합창 | 일 라멘토 디 아리아나 | 1908 | 메조소프라노와 오케스트라 [30] |
성악/합창 | 아레투사 | 1911 | 메조소프라노와 오케스트라, 퍼시 비시 셸리 작사 |
성악/합창 | 트레 리리체 | 1913 | 메조소프라노와 오케스트라 (노테, 네비에, 피오지아) [28] |
성악/합창 | 라 센시티바 (민감한 식물) | 1914 | 메조소프라노와 오케스트라, 퍼시 비시 셸리 작사 |
성악/합창 | 일 트라몬토 (석양) | 1914 | 메조소프라노와 현악사중주(또는 현악 오케스트라), 퍼시 비시 셸리 작사 |
성악/합창 | 미모사 | 1914 | 메조소프라노와 관현악, 퍼시 비시 셸리 작사 |
성악/합창 | 황혼 | 1914 | 메조소프라노와 현악사중주(또는 현악합주), 퍼시 비시 셸리 작사 |
성악/합창 | 친케 리리체 | 1917 | 성악과 피아노 |
성악/합창 | 숲의 신 | 1917 | 소프라노와 소오케스트라, 안토니오 루비노 작사 |
성악/합창 | 콰트로 리리체 | 1920 | 성악과 피아노, 가브리엘레 다눈치오 작사 |
성악/합창 | 라 프리마베라 (봄) | 1922 | 독창, 합창, 오케스트라, 고스탄 자리안 작사 |
성악/합창 | 데이타 실바네 (숲의 신들) | 1925 | 소프라노와 소규모 오케스트라, 안토니오 루비노 작사 |
성악/합창 | 라우다 퍼 라 나티비타 델 시뇨레 (주님 탄생에 대한 찬가) | 1930 | 야코포네 다 토디 작사 |
성악/합창 | 주님 탄생을 위한 라우다 | 1930 | 야코포네 다 토디 작사 |
성악/합창 | 그리스도 | 1898년–99년 | 작곡가 자신 작사 |
성악/합창 | 아레투사 | 1910년–11년 | 퍼시 비시 셸리 작사 |
저서 | 오르페우스 | 1925 | 세바스티아노 아르투로 루치아니와 함께 음악사와 이론에 관한 기본 교재 |
4. 1. 오페라
- 렌초 왕 (1905)
- 세미라미스 (1909)
- 마리 빅투아르 (1913년 완성, 2004년 초연)
- 숲 속의 잠자는 아가씨 (1922)
- 벨파고르 (1923)
- 잠긴 종 (1927)
- 마리아 엑지시아카 (1932)
- 불꽃 (1934)
- 루크레치아 (1937) 1막 오페라 (부인 엘사와 제자 엔니오 포리노에 의해 사후 완성됨)
4. 2. 발레
오토리노 레스피기는 여러 편의 발레 작품을 작곡했다. 1918년에 작곡하여 1919년 6월 5일 런던에서 초연된 환상적인 상점은 조아키노 로시니의 곡에서 멜로디를 차용했다.[8] 1920년에는 베네치아의 스케르초, 옛 프랑스의 세브르 도자기, 마법의 솥, 콜롬비나의 계략을 작곡했다.[8] 옛 프랑스의 세브르 도자기는 17세기와 18세기 프랑스 음악을 편곡한 것이고, 마법의 솥은 러시아 민요를 바탕으로 한 작품이다. 1932년에는 시바의 여왕 벨키스를 작곡했다.[8]4. 3. 관현악곡
- 교향적 변주곡 (1900)[21]
- 전주곡, 코랄과 푸가 (1901)[21]
- 모음곡 C장조 (심포니아) (1901, 1903년 개정)[23]
- 로마 3부작
- * 로마의 분수 (1916)
- * 로마의 소나무 (1924)
- * 로마의 축제 (1928)
- 류트를 위한 고풍스러운 무곡과 아리아
- * 모음곡 제1번 (1917)
- ** 시모네 몰리나로와 빈첸초 갈릴레이 및 작곡가 미상의 류트 작품을 바탕으로 함
- * 모음곡 제2번 (1923)
- ** 파브리치오 카로소와 장-바티스트 베사르 및 작곡가 미상이 류트와 테오르보, 비올을 위해 작곡한 소품을 바탕으로 함. 또한, 마랭 메르센 작곡으로 여겨지는 가곡도 사용됨
- * 모음곡 제3번 (1932)
- ** 이전 두 곡과 달리 현악 합주곡으로 구상되었으며, 전반적으로 우수에 잠겨 있다. 베사르 작곡의 에어 드 쿠르와 루도비코 론칼리의 기타곡, 산티노 갈치 다 팔마의 류트곡 외에 작곡가 미상의 작품이 사용됨
- 교회의 스테인드글라스 (1926)
- 새 (1927)
- 보티첼리의 세 그림 (1927)
- 브라질의 인상 (1928)
- 메타모르포제 (1930)
4. 4. 협주곡

- 피아노 협주곡 가단조 (1902)
- 피아노와 관현악을 위한 《슬라브 환상곡》(Fantasia Slava) (1903)
- 바이올린 협주곡 가장조 (1903, 미완성) - 살바토레 디 비토리오에 의해 완성됨[13]
- 피아노와 관현악을 위한 《부르레스카》(Burlesca) (1906)
- 바이올린과 현악 합주를 위한 《파스토랄레》(Pastorale) (1908)
- 바이올린과 관현악을 위한 《고풍의 협주곡》(Concerto all'antica) 이단조 (1908)
- 바이올린과 관현악을 위한 협주곡 《그레고리오 성가풍》(Concerto Gregoriano) (1921)
- 첼로와 관현악을 위한 《아다지오와 변주곡》(Adagio con variazioni) (1920)
- 바이올린과 관현악을 위한 《가을의 시》(Poema Autunnale) (1920-25)
- 믹솔리디아 선법의 협주곡 (1925)
- 피아노와 관현악을 위한 《토카타》(Toccata) (1928)
- 오보에와 트럼펫, 비올라 다모레, 콘트라베이스, 피아노와 현악 합주를 위한 《5성부 협주곡》(Concerto a cinque) (1933)
4. 5. 실내악
- 현악 4중주 D장조 (1907)[8]
- 현악 4중주 D단조 (1909, "Ernst ist das Leben, heiter ist die Kunst"라는 명칭이 붙어있음)[8]
- 도리아 선법에 의한 현악 4중주곡 (1924)[8]
- 바이올린 소나타 B단조 (1916-17)[8]
4. 6. 성악/합창
연도 | 제목 | 형식 | 작사 | 비고 |
---|---|---|---|---|
1906 | 네비에 | 성악과 피아노 | [30] | |
1906 | 스토르넬라트리체 | 성악과 피아노 | ||
1906 | 친케 칸티 알란티카 | 성악과 피아노 | ||
1908 | 일 라멘토 디 아리아나 | 메조소프라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곡 | [30] | |
1911 | 아레투사 | 메조소프라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칸타타 | 퍼시 비시 셸리 | |
1913 | 트레 리리체 | 메조소프라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곡 | (노테, 네비에, 피오지아) [28] | |
1914 | 라 센시티바 (민감한 식물) | 메조소프라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곡 | 퍼시 비시 셸리 | |
1914 | 일 트라몬토 (석양) | 메조소프라노와 현악사중주(또는 현악 오케스트라)를 위한 곡 | 퍼시 비시 셸리 | |
1914 | 미모사(La Sensitiva) | 메조소프라노와 관현악을 위한 칸타타 | 퍼시 비시 셸리 | |
1914 | 황혼(Il Tramonto) | 메조소프라노와 현악사중주(또는 현악합주)를 위한 연작가곡 | 퍼시 비시 셸리 | |
1917 | 친케 리리체 | 성악과 피아노 | ||
1917 | 숲의 신(Dietà silvane) | 소프라노와 소오케스트라를 위한 연작가곡 | 안토니오 루비노 | |
1920 | 콰트로 리리체 | 성악과 피아노 | 가브리엘레 다눈치오 | |
1922 | 라 프리마베라 (봄) | 독창, 합창, 오케스트라를 위한 서정시 | 고스탄 자리안 | |
1925 | 데이타 실바네 (숲의 신들) | 소프라노와 소규모 오케스트라를 위한 가곡집 | 안토니오 루비노 | |
1930 | 라우다 퍼 라 나티비타 델 시뇨레 (주님 탄생에 대한 찬가) | 세 명의 독창자(소프라노, 메조소프라노, 테너), 혼성합창(8성부 혼성합창과 남성 4성부 합창 포함), 실내악단(목관악기와 4손 피아노)을 위한 칸타타 | 야코포네 다 토디 | |
1930 | 주님 탄생을 위한 라우다(Lauda per la Natività del Signore) | 독창, 혼성합창, 실내합주를 위한 칸타타 | 야코포네 다 토디 | |
1898년–99년 | 그리스도(Christus) | 독창, 합창, 관현악을 위한 성서에 기반한 칸타타 | 작곡가 자신 | |
1910년–11년 | 아레투사(Aretusa) | 메조소프라노와 관현악을 위한 칸타타 | 퍼시 비시 셸리 |
4. 7. 저서
레스피기는 1925년 세바스티아노 아르투로 루치아니와 함께 음악사와 이론에 관한 기본 교재인 《오르페우스》를 출판했다.[8]5. 레스피기와 무솔리니 정권
1922년부터 베니토 무솔리니의 파시스트 정부에 대해 중립적인 입장을 유지했다. 그의 국제적인 명성이 높아짐에 따라 어느 정도의 자유를 얻었지만, 동시에 정권이 그의 음악을 정치적 목적으로 이용하도록 장려했다. 레스피기는 아르투로 토스카니니와 같은 더욱 직설적인 비평가들이 계속해서 정권 하에서 일할 수 있도록 보증했다.[7] 레스피기의 작품은 파시스트 당 정권에서도 매우 호평을 받았지만, 레스피기 자신은 파시즘에 깊이 개입하지는 않았다. 후반생은 베니토 무솔리니의 파시스트 당과 어색한 관계를 이어갔다. 그럼에도 토스카니니와 같은 당에 대한 노골적인 비판자의 지지도 얻어, 비판자들이 자신의 작품을 상연하는 것을 허용했다.[32]
6. 참고 문헌
참조
[1]
사전
Respighi, Ottorino
http://www.lexico.co[...]
Oxford University Press
[2]
사전
Respighi
Merriam-Webster
2019-07-06
[3]
웹사이트
RESPIGHI, Ottorino: Dizionario Biografico degli Italiani - Volume 87 (2016)
https://www.treccani[...]
Treccani
2023-11-19
[4]
뉴스
The Three Arts
https://www.newspape[...]
1920-12-28
[5]
웹사이트
Inaugurazione lapide Respighi (Engl)
http://www.luigiverd[...]
Luigi Verdi
2023-11-19
[6]
뉴스
Life With Respighi
https://www.newspape[...]
2023-11-17
[7]
음반
Liner notes from RCA Toscanini Edition CD Vol 32
1990-01-01
[8]
음반
Respighi - Serenata • Trittico botticelliano • Gli uccelli • Suite in G major
https://www.naxos.co[...]
Naxos Records
2020-10-26
[9]
웹사이트
Impressione brasiliane (Brazilian…
https://www.allmusic[...]
[10]
뉴스
RESPIGHI AS A PIANIST; Noted Composer to Play His New Toccata at Philharmonic Concert This Week
https://www.nytimes.[...]
2021-10-24
[11]
웹사이트
Respighi, Ottorino: The Roman Visionary
https://www.classica[...]
2020-10-26
[12]
음반
Respighi - Preludio, Corale e Fuga, Burlesca, Rossiniana, Five Etudes-Tableaux
https://www.chandos.[...]
Chandos Records
2020-06-17
[13]
웹사이트
Ottorino Respighi: "Huntingtower: Ballad for Band"
https://www.umwindor[...]
Umwind Orchestra
2022-04-28
[14]
음반
RESPIGHI: Aretusa / La Sensitiva / Il Tramonto
https://www.naxos.co[...]
[15]
논문
Emerging issues in infective endocarditis.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10(6)
[16]
뉴스
Italian opera composer is dead in Rome
https://www.newspape[...]
2019-07-25
[17]
웹사이트
Pining for Rome: Ottorino Respighi, Mussolini, and the doctrine of fascism
https://chicagomaroo[...]
[18]
웹사이트
ADRIANO'S CONVERSATIONS WITH ELSA RESPIGHI
http://www.musicweb-[...]
2022-07-20
[19]
웹사이트
Story Behind the Respighi Editions
https://salvatorediv[...]
SalvatoreDiVittorio.com
2020-10-26
[20]
서적
Music in Theory and Practice: Volume II
[21]
악보
Aria per archi
Edizioni Panastudio
[22]
악보
Leggenda
Nuova Edizione
[23]
악보
Suite per archi
Edizioni Panastudio
[24]
악보
Humoreske
Nuova Edizione
[25]
악보
Concerto per Violino (in La Maggiore)
Edizioni Panastudio
[26]
악보
Serenata per piccola orchestra
Edizioni Panastudio
[27]
악보
Suite in Sol Maggiore
Edizioni Panastudio
[28]
악보
Tre Liriche
Edizioni Panastudio
[29]
악보
Ballata delle Gnomidi
https://www.digitala[...]
[30]
악보
Il Lamento di Arianna
Edizioni Panastudio
[31]
서적
Ottorino Respighi
Ricordi
[32]
음반
Liner notes from RCA Toscanini Edition CD Vol 32
1990-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