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호충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호충강은 자포동물문의 가장 큰 분류군으로, 말미잘, 돌산호, 연산호 등을 포함하며, 전 세계 바다에 서식한다. 육방산호아강, 팔방산호아강, 원통말미잘강으로 분류되며, 각 아강은 폴립의 대칭 구조에 따라 구분된다. 산호충류는 폴립 형태의 몸을 가지며, 군체를 이루거나 단독 생활을 한다. 많은 종이 광합성 유기체와 공생하며,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멸종된 사방산호목과 판상산호목을 포함하여 다양한 분류군이 존재하며, 오염, 파괴적인 어업 등으로 위협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호충강 - 사방산호
사방산호는 고생대에 번성한 산호로, 방해석 껍데기와 겉표면의 가로 주름, 캘릭스 내 방사형 격벽 배열을 특징으로 하며, 격벽 배열을 통해 양측 대칭을 나타내고 대한민국 석탄기 지층에서 화석이 발견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산호충강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분류 | |
| 학명 | Anthozoa |
| 명명자 | Ehrenberg, 1834 |
| 아강 | 팔방산호아강 (Octocorallia) 육방산호아강 (Hexacorallia) 통발말미잘아강 (Ceriantharia) |
| 화석 범위 | 후기 에디아카라기 부터 현생 |
| 특징 | |
| 설명 | 해파리 단계가 없는 자포동물의 한 강 |
![]() | |
![]() | |
2. 다양성
산호충강은 자포동물문에서 가장 큰 분류군으로, 6천 종 이상이 알려져 있다. 크기는 가로 0.5cm 미만의 작은 개체에서 직경 1m 이상의 대형 군체까지 다양하며, 산호초 시스템을 구축하고 강화하는 다양한 색상과 형태의 종을 포함한다.[2][3]
산호충강은 크게 육방산호아강(Hexacorallia), 팔방산호아강(Octocorallia), 원통말미잘강(Ceriantharia)의 세 아강으로 나뉜다. 이들은 폴립 구조의 대칭성에 따라 구분되며, 각 아강 내의 관계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4]
산호초와 얕은 수심 환경은 다양한 종을 나타내지만, 실제로는 얕은 수심보다 심해에 더 많은 산호 종이 살고 있으며, 많은 분류군이 진화 과정에서 얕은 수심에서 심해로, 또는 그 반대로 이동했다.[18]
3. 하위 분류
과거에는 "원통흑산호강"이 별도의 아강으로 여겨졌지만, 이를 구성하는 두 목 중 흑산호목(Antipatharia)은 이제 육방산호아강의 일부로 간주되며, 꽃말미잘목은 독립적인 아강으로 간주된다.[4][5]
해양 생물 종 세계 등록부에 따른 분류는 다음과 같다.[7]
| 주요 산호충 분류군 | |||||
|---|---|---|---|---|---|
| 아강 | 목 | 이미지 | 예시 | 특징 | 분포 |
| 육방산호강 | 주름산호목 멸종 | ![]() | Stereolasma rectum | 중기 오르도비스기부터 후기 페름기까지 풍부했던 멸종된 목. 단독 또는 군집, 석회암으로 형성된 골격. 격막은 4의 배수로 발달한다.[8] | 광범위하게 분포한다. |
- 팔방산호아강
- ,, 등
- 파란산호목
- 바다맨드라미목
- 육방산호아강
- 말미잘목
- 해변말미잘목
- 돌산호목
- 무총산호목
- 흑산호목
- 갯고사리목
꽃말미잘강은 팔방산호아강과 육방산호아강으로 분류된다. 이들은 단계통군이며, 폴립의 구조가 8축 또는 6축 대칭이다.[41] 과거에는 말미잘목도 아강 중 하나로 여겨졌지만, 말미잘목과 흑산호목은 현재 육방산호아강에 포함된다.[42]
- 육방산호아강
- * 말미잘목
- * 해변말미잘목
- * 돌산호목
- * 무총산호목
- * 흑산호목
- *
- * 갯고사리목
- 팔방산호아강
- * 바다맨드라미목
- * 바다나팔목
- * 파란산호목
3. 1. 육방산호아강 (Hexacorallia)
육방산호아강(Hexacorallia)은 격막과 촉수가 6의 배수로 배열되는 특징을 가진다. 주요 목(Order)은 다음과 같다.| 목 | 특징 | 한국 분포 | 이미지 |
|---|---|---|---|
| 말미잘목 (Actiniaria) | 대부분 크고 단독 생활을 하며, 화려한 색상을 띤다. | ||
| 흑산호목 (Antipatharia) | 검은색의 골격을 가지며, 심해에 서식한다. 가늘고 긴 가지를 가진 덤불 모양의 군집을 이루며, 어두운 색의 가시가 있는 가지 축 골격은 독특하고 비콜라겐 단백질로 강화된다.[2] | ![]() | |
| 산호붙이말미잘목 (Corallimorpharia) | 말미잘과 유사하지만 촉수가 짧고 뭉툭하다. 크고 단독 폴립을 가지며, 큰 먹이를 잡는다. 일부 종은 동물원성 조류를 가진다.[2] | ||
| 돌산호목 (Scleractinia) | 석회질 골격을 형성하며, 산호초를 만드는 주요 생물이다. 격막은 6의 배수로 발달한다.[8] | 제주도와 독도 등지 | ![]() |
| 각산호목 (Antipatharia) | |||
| 모래말미잘목 (Zoanthidea) | |||
| 해변말미잘붙이목 (Ptychodactiaria) |
리보솜 DNA에 대한 유전자 연구에 따르면 원통말미잘강이 단일 계통군이며 그중 가장 오래되었거나 기저가 되는 목임을 보여주었다.[6]
3. 2. 팔방산호아강 (Octocorallia)
팔방산호아강(Octocorallia)은 8개의 깃털 모양 촉수를 가진 산호충강의 하위 분류이다.다음과 같은 목(Order)들을 포함한다.
- 바다맨드라미목(Alcyonacea) 또는 해계두목: 연산호, 해양목(Gorgonacea, 부채산호) 등을 포함한다.
- 공협목(Helioporacea) 또는 해세목
- 바다조름목(Pennatulacea)
- 근생목(Stolonifera)
- 소지목(Telestacea)
해양 생물 종 세계 등록부에 따른 팔방산호강의 분류는 다음과 같다.[7]
- 가지산호목 - 연산호와 고르고니아
- 공산호목 - 파란 산호
- 해우강목 - 해우, 바다 깃털, 바다 펜, 바다 팬지
팔방산호강은 바다 펜 (Pennatulacea), 연산호 (Alcyonacea), 그리고 파란 산호 (Helioporacea)를 포함한다. 고르곤해면(gorgonian)으로 알려진 해초와 해양 부채는 가지산호목의 일부이며, 역사적으로 별도의 목으로 구분되었다.[5]
부채산호는 바다맨드라미목에 포함되어 있지만, 이전에는 다른 목으로 분류되었다.[43]
3. 3. 원통말미잘강 (Ceriantharia)
원통말미잘강은 관 모양의 말미잘로, 두 개의 촉수 고리를 가진다. 펜니실라리아목 (Penicillaria)과 스피룰라리아목 (Spirularia)으로 나뉜다.[4]원통말미잘강에 속하는 관형 말미잘(세리안투스)은 바다말미잘과 매우 유사하게 보이지만, 실제로는 완전히 다른 산호충강에 속한다. 이들은 단독 생활을 하며 부드러운 퇴적물 속에 묻혀 산다. 관형 말미잘은 분비된 점액과 자포와 유사한 소기관의 실로 만들어진 관 속에서 사는데, 이 소기관을 ptychocysts라고 한다.[2]
리보솜 DNA에 대한 유전자 연구는 원통말미잘강이 단일 계통군이며 그중 가장 오래되었거나 기저가 되는 목임을 보여주었다.[6]
3. 4. 멸종된 분류군
사방산호류와 상판산호류는 고생대에 널리 서식했던 산호충강의 멸종된 분류군이다. 이들은 칼슘 껍데기의 화석으로 분류되며, 현재의 돌산호목과 비슷한 조상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된다. 5억 7000만 년 전부터 2억 4500만 년 전의 고생대 무렵부터 서식했다.[4]그 외에도 다음과 같은 멸종된 산호충강 분류군이 있다.
- †Numidiaphyllida
- †Kilbuchophyllida
- †Heterocorallia
- †Heliolitida
- †Cothoniida
- †Tabuloconida
4. 생물학
산호충류의 기본적인 몸 형태는 폴립이며, 입, 촉수, 강장으로 구성된다.[2] 입은 몸 안쪽의 인두와 연결되며, 강장은 중격이라는 칸막이로 나뉜다.[2] 몸벽은 표피, 중교질, 위표피 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격은 몸벽이 접혀 들어간 부분이다.[2] 일부 종은 중교질의 괄약근을 이용하여 폴립을 완전히 수축시킬 수 있다.[2]
촉수에는 자포가 있어 먹이를 잡는 데 사용되며, 발사 후 교체에는 약 48시간이 걸린다.[2] 일부 말미잘은 자포로 무장한 아크로라기(acrorhagi)나 아콘티아(acontia)를 무기로 사용하며, 경산호는 "쓸어내는 촉수"를 방어 수단으로 사용한다.[2]
대부분의 산호충류는 기회주의적 포식자로서, 촉수를 이용하여 먹이를 잡는다.[2] 큰 먹이는 촉수를 통해 입으로, 작은 먹이는 섬모를 통해 촉수 끝에서 입으로 이동한다.[2] 강장에서는 세포 외 소화가 시작되고, 부분적으로 소화된 음식은 식세포 작용을 통해 흡수된다.[2]
많은 산호충류는 주산텔라와 공생하여 광합성을 통해 영양분을 얻는다.[16] 주산텔라는 숙주로부터 질소성 폐기물과 이산화 탄소를 얻고, 산호충류는 광합성 능력과 탄산 칼슘 생산 증가를 얻는다.[16] 주산텔라의 존재는 영구적이지 않으며, 환경에 따라 변할 수 있다.[17] 50m보다 깊은 곳에서는 빛이 부족하여 주산텔라가 존재하지 않는다.[18]
산호충류는 세로, 가로, 방사형 근육을 통해 움직이며, 폴립은 확장, 수축, 구부림, 비틀림이 가능하다.[2] 대부분은 기질에 부착하지만, 일부는 이동하거나 파고 들어갈 수 있다.[2] 가스 교환과 배설은 확산을 통해 이루어지며, 특화된 감각 기관은 없다.[2]
산호충류는 뛰어난 재생 능력을 가지며, 분열, 출아 등 다양한 무성 생식이 가능하다.[2] 예를 들어, 바다 말미잘은 발판 조각을 남기거나 세로로 나뉘어 새로운 개체를 생성할 수 있다.[19]
대부분의 산호충류는 자웅이체이지만 일부는 자웅동체이다.[2] 생식 세포는 위표피에서 기원하며, 성숙하면 강장 내로 방출되어 외부에서 수정된다.[2] 접합자는 플라눌라 유충으로 발달하여 플랑크톤 생활을 한 후 해저에 정착한다.[2] 일부 플라눌라는 노른자위나 주산텔라를 포함하여 더 넓게 분산될 수 있다.[2]
5. 생태
산호초는 지구상에서 가장 생물 다양성이 풍부한 서식지 중 하나로, 다양한 종류의 산호, 어류, 연체동물, 다모류, 절지동물, 불가사리, 성게, 기타 무척추동물 및 조류를 지원한다.[24] 산호는 광합성 작용을 하기 때문에 얕은 물에서 발견되며, 이들 중 다수는 육지 가장자리에 위치한다.[24] 3차원 구조를 가진 산호초는 매우 생산적인 생태계이다. 산호초는 서식하는 생물들에게 먹이를 제공하고, 다양한 크기의 은신처를 제공하여 여러 생물에게 적합하며, 휴식처, 대형 포식자에 대한 방어, 생장을 위한 견고한 구조를 제공한다. 많은 종류의 원양어류가 번식지 및 보육 시설로 사용하며, 주변 수 마일까지 해양 생산성에 영향을 미친다.[25] 자포동물은 자신보다 작은 동물을 잡아먹으며, 물고기, 게, 따개비, 달팽이, 불가사리 등과 같은 동물에게 잡아먹힌다. 산호의 서식지는 생태계의 균형을 깨뜨리는 외부 요인에 의해 쉽게 교란된다. 1989년에는 침입종인 가시관불가사리(*Acanthaster planci*)가 아메리카 사모아에서 대량 번식하여 산호초 산호의 90%를 죽였다.[26]
산호초에서 자라는 산호를 조경산호라고 하며, 다른 곳에서 자라는 산호는 비조경산호로 알려져 있다. 비조경산호의 대부분은 무공생산호이며 얕은 바다와 깊은 바다 서식지에서 모두 서식한다. 깊은 바다에서는 연산호, 다모류, 기타 벌레, 갑각류, 연체동물 및 해면과 생태계를 공유한다. 대서양에서는 냉수 산호인 ''Lophelia pertusa''가 광범위한 심해 산호를 형성하여 다른 많은 종을 지원한다.[27]
히드로충, 태형동물, 거미불가사리와 같은 다른 동물군도 종종 해류 산호와 산호 군락의 가지 사이에서 서식한다.[28] 피그미 해마는 특정 종의 해류 산호를 서식지로 삼을 뿐만 아니라, 숙주와 밀접하게 닮아 위장이 뛰어납니다.[29] 일부 생물은 숙주 종과의 필수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다. 연체동물 ''Simnialena marferula''는 해류 산호 ''Leptogorgia virgulata''에서만 발견되며, 색깔이 해류 산호와 같고 방어 화학 물질을 격리하며, 갯민달고둥 ''Tritonia wellsi''는 또 다른 필수 공생 생물로, 깃털 모양의 아가미는 폴립의 촉수와 유사하다.[30]
다수의 해양 말미잘 종은 다른 생물과 공생 관계를 맺고 있다. 특정 게와 은둔 게는 해양 말미잘을 찾아 껍질에 올려 보호를 받으며, 물고기, 새우, 게는 말미잘의 촉수 사이에서 살아가며 자포 세포와 가까이 있어 보호를 받는다. 일부 단각류는 해양 말미잘의 강장 속에 살고 있다.[31] 해양 말미잘은 독성 세포에도 불구하고 물고기, 불가사리, 벌레, 바다거미 및 연체동물에게 먹힙니다. 갯민달고둥 ''Aeolidia papillosa''는 군생 말미잘(*Anthopleura elegantissima*)을 먹고 자신의 보호를 위해 자포를 축적한다.[31]
6. 고생물학
고생대(약 5억 4천만~2억 5천 2백만 년 전)에 살았던 고대 산호의 멸종된 여러 목들은 현대 Scleractinia의 조상과 가까운 것으로 여겨진다.[32][33]
- Numidiaphyllida †
- Kilbuchophyllida †
- Heterocorallia †
- Rugosa †
- Heliolitida †
- Tabulata †
- Cothoniida †
- Tabuloconida †
이들은 모두 산호이며, 화석 기록 연대기와 일치한다. 쉽게 보존되는 석회질 골격을 가지고 있으며, 강장동물 화석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 시대 | 기간 | 산호 |
|---|---|---|
| 선캄브리아대 | 에디아카라기 | |
| 고생대 | 캄브리아기 | Tabulaconida |
| 오르도비스기 | 판산호, Kilbuchophyllida, 주름산호, Heliolitida | |
| 실루리아기 | ||
| 데본기 | Heterocorallia | |
| 석탄기 | ||
| 페름기 | Numidiaphyllida | |
| 페름기-트라이아스기 대멸종 | ||
| 중생대 | 트라이아스기 | |
| 쥐라기 | ||
| 백악기 | ||
| 신생대 | 제3기 | Scleractinia |
6억 5천만 백만 년 전부터 현재까지 주요 산호 화석 기록과 발전의 연대표는 위와 같다.[34][35]
고생대에 널리 서식했던 군으로서, 다음 두 그룹이 있다.
- Rugosala † (사방산호류)
- Tabulatala † (상판산호류)
많은 멸종된 산호는 칼슘 껍데기의 화석으로 분류된다. 현재의 돌산호목과 비슷한 조상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되며, 5억 7000만 년 전부터 2억 4500만 년 전의 고생대 무렵부터 서식했다.
7. 인간과의 상호 작용
산호초와 얕은 해양 환경은 자연 현상과 해수 온도 상승뿐만 아니라 오염, 퇴적 및 파괴적인 어업 관행과 같은 인위적인 문제로 인해 위협받고 있다. 오염은 하수, 농업 제품, 연료 또는 화학 물질이 육지에서 유출된 결과일 수 있다. 이러한 물질은 해양 생물을 직접 죽이거나 해칠 수 있으며, 토착 종을 질식시키는 조류의 성장을 촉진하거나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는 조류 번식을 형성할 수 있다. 바다의 유류 유출은 산호를 오염시킬 수 있으며, 표면 근처를 떠다니는 해양 생물의 알과 유충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36]
산호는 수족관 거래를 위해 수집되며, 이는 산호초의 장기적인 생존에 거의 신경 쓰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 산호초에서의 어업은 어렵고 트롤 어업은 많은 기계적 손상을 입힌다. 세계 일부 지역에서는 폭발물을 사용하여 산호초에서 물고기를 떼어내고, 청산가리를 같은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두 가지 관행 모두 산호초 서식지를 무차별적으로 죽일 뿐만 아니라 산호를 죽이거나 손상시키고, 때로는 스트레스를 주어 공생 조류를 내쫓고 백화 현상을 일으킨다.[36]
심해 산호 서식지도 인간 활동, 특히 무분별한 트롤 어업으로 인해 위협받고 있다. 이러한 생태계는 거의 연구되지 않았지만, 영원한 어둠과 낮은 온도에서 동물은 천천히 성장하고 성숙하며, 햇빛이 비치는 위의 바다보다 잡을 가치가 있는 물고기가 상대적으로 적다. 심해 산호초가 어린 물고기에게 안전한 보육 공간을 제공하는 정도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많은 한해성 어종에게 중요할 수 있다.[37]
참조
[1]
웹사이트
Anthozoa: Etymology
http://www.finedicti[...]
2017-06-25
[2]
서적
Invertebrate Zoology
Cengage Learning
[3]
서적
Animal biodiversity: an outline of higher-level classification and survey of taxonomic richness
[4]
논문
Fast-Evolving Mitochondrial DNA in Ceriantharia: A Reflection of Hexacorallia Paraphyly?
2014-03
[5]
논문
The phylum Cnidaria: A review of phylogenetic patterns and diversity 300 years after Linnaeus
http://www.nhm.ku.ed[...]
[6]
논문
Systematic relationships within the Anthozoa (Cnidaria: Anthozoa) using the 5'-end of the 28S rDNA
1995-06
[7]
WoRMS
Anthozoa
2015-04-24
[8]
서적
Fossil Invertebrates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9]
서적
Invertebrate Zoology
Holt-Saunders International
[10]
서적
Soft Corals and Sea Fans: A Comprehensive Guide to the Tropical Shallow Water Genera of the Central-West Pacific, the Indian Ocean and the Red Sea
https://books.google[...]
Australian Institute of Marine Science
[11]
논문
The global diversity of sea pens (Cnidaria: Octocorallia: Pennatulacea)
[12]
서적
The Cnidaria, Past, Present and Future: The world of Medusa and her sisters
https://books.google[...]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13]
서적
Coelenterate Biology 2003: Trends in Research on Cnidaria and Ctenophora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14]
웹사이트
Corals: How do stony corals grow? What forms do they take?
http://oceanservice.[...]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7-06-13
[15]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the Octocorallia
http://www.ucmp.berk[...]
University of California Museum of Paleontology
2017-06-13
[16]
웹사이트
Contribution to the BUFUS Newsletter, Field excursion to Milne Bay Province - Papua New Guinea, Madl and Yip 2000
http://biophysics.sb[...]
2011-05-23
[17]
서적
The Light and Smith Manual: Intertidal Invertebrates from Central California to Oreg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8]
서적
Diseases of Coral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19]
논문
Fission in Sea Anemones: Integrative Studies of Life Cycle Evolution1
[20]
서적
The Cnidaria, Past, Present and Future: The world of Medusa and her sisters
https://books.google[...]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1]
웹사이트
Learn about Sea Anemones and Relatives: Reproduction: Asexual
http://www.asnailsod[...]
2017-06-15
[22]
웹사이트
Corals: How do corals reproduce?
http://oceanservice.[...]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7-06-17
[23]
논문
Energetics, competency, and long-distance dispersal of planula larvae of the coral ''Pocillopora damicornis''
[24]
웹사이트
Corals: Importance of coral reefs
http://oceanservice.[...]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7-06-17
[25]
서적
Coral Reef Ecology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6]
웹사이트
Corals: Natural Threats to Coral Reefs
http://oceanservice.[...]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7-06-17
[27]
서적
Cold-Water Corals: The Biology and Geology of Deep-Sea Coral Habitat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서적
The Manual of Marine Invertebrates
https://archive.org/[...]
Tetra Press:Salamander Books Ltd.
[29]
웹사이트
Hippocampus bargibanti, Pygmy seahorse
http://www.fishbase.[...]
FishBase
2017-06-18
[30]
서적
Seashore animals of the Southeast: a guide to common shallow-water invertebrates of the Southeastern Atlantic Coast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31]
서적
Advances in Marine Biology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32]
간행물
Paleobiology and Biology of Corals
The Paleontological Society
[33]
웹사이트
Anthozoa: Subgroups
http://palaeo.gly.br[...]
University of Bristol
2007-04-10
[34]
웹사이트
Anthozoa: Fossil Record
http://www.ucmp.berk[...]
UCMP
2020-03-09
[35]
웹사이트
Corals: Table 1
http://geology.er.us[...]
USGS
2020-03-09
[36]
웹사이트
Corals: Anthropogenic threats to corals
http://oceanservice.[...]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08-03-25
[37]
서적
Cold-Water Corals: The Biology and Geology of Deep-Sea Coral Habitat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8]
간행물
Contribution to the BUFUS Newsletter, Field excursion to Milne Bay Province - Papua New Guinea, Madl and Yip 2000
http://www.sbg.ac.at[...]
[39]
논문
A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Octocorallia (Cnidaria: Anthozoa) based on mitochondrial protein-coding sequences
[40]
논문
Hidden among Sea Anemones: The First Comprehensive Phylogenetic Reconstruction of the Order Actiniaria (Cnidaria, Anthozoa, Hexacorallia) Reveals a Novel Group of Hexacorals
[41]
논문
DNA sequence variation of mitochondrial large-subunit rRNA provides support for a two subclass organization of the Anthozoa (Cnidaria)
[42]
논문
Systematic relationships within the Anthozoa (Cnidaria: Anthozoa) using the 5'-end of the 28S rDNA
http://www.sciencedi[...]
[43]
논문
The phylum Cnidaria: A review of phylogenetic patterns and diversity 300 years after Linnaeus
http://www.nhm.ku.ed[...]
2007
[44]
웹사이트
http://paleo.cortlan[...]
[45]
서적
Paleobiology and Biology of Corals
The Paleontological Society
[46]
웹사이트
Anthozoa: Subgroups
http://palaeo.gly.br[...]
University of Bristol
2009-03-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