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발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폭발물은 급격한 화학 반응을 통해 대량의 에너지를 방출하여 부피를 팽창시키는 물질을 의미한다. 초기 열병기에서 시작하여 9세기 중국에서 흑색화약이 발명되면서 화학적 폭발물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이후 니트로글리세린, 다이너마이트, TNT 등 강력한 폭발물이 개발되었고, 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며 C-4와 PETN과 같은 더욱 강력한 폭발물이 등장했다. 폭발물은 연소 속도, 화학적 조성, 민감도, 물리적 형태 등 다양한 기준으로 분류되며, 광업, 건설, 군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폭발물의 위험성으로 인해 취급 및 보관에 대한 엄격한 규제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국제적으로 호환성 그룹을 통해 안전 관리가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폭발물 | |
---|---|
폭발물 지도 정보 | |
정의 | |
정의 | 급격한 화학 반응이나 핵 반응을 통해 다량의 에너지(열, 빛, 소리, 운동 에너지)를 발생시켜 폭발을 일으키는 물질 |
분류 | |
분류 | 화학 폭발물 핵 폭발물 |
화학 폭발물 | |
주요 성분 | 니트로글리세린 다이너마이트 TNT 질산암모늄 흑색화약 |
핵 폭발물 | |
주요 성분 | 우라늄 플루토늄 |
안전 및 규제 | |
안전 조치 | 전문적인 지식과 장비를 갖춘 사람만 취급해야 함 제조, 취급, 운반, 저장 및 사용에 대한 법적 규제 준수 |
기타 | |
폭발의 종류 | 연소 폭굉 폭발 |
위험성 | 폭발로 인한 인명 및 재산 피해 테러 및 범죄에 악용될 가능성 |
관련 법규 | 총포·도검·화약류 등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대한민국) 화약류 단속법 (일본) |
2. 역사
초기 열병기는 그리스의 불과 같이 고대부터 존재해왔다.[1][2] 화학적 폭발물의 역사는 근본적으로 화약의 역사와 관련이 깊다.[3] 9세기 당나라 시대, 도교 중국 연금술사들은 불로장생의 영약을 찾으려고 애썼다.[4][5][6] 그 과정에서 1044년 석탄, 초석, 황으로 만든 흑색화약이라는 폭발성 발명품을 우연히 발견했다. 흑색화약은 최초의 화학적 폭발물이었고, 1161년 중국인들은 전쟁에서 최초로 폭발물을 사용했다. 중국인들은 대나무나 청동으로 만든 관에서 발사되는 폭발물인 대나무 폭죽을 사용했다. 또한, 중국인들은 살아있는 쥐를 대나무 폭죽 안에 넣었는데, 적을 향해 발사하면 불타는 쥐가 큰 심리적 영향을 주어 적군 병사들을 겁주고 기병대를 혼란에 빠뜨렸다.[7]
폭발물은 반응 속도에 따라 저폭약(Low Explosives)과 고폭약(High Explosives)으로 분류할 수 있다.
흑색화약보다 강력한 최초의 유용한 폭발물은 1847년에 개발된 니트로글리세린이었다. 니트로글리세린은 액체이고 매우 불안정하기 때문에 니트로셀룰로오스, 1863년 트리니트로톨루엔(TNT), 연소되지 않는 화약, 1867년 다이너마이트, 그리고 젤리그나이트(후자 두 가지는 화학적 대안이 아니라 니트로글리세린을 안정화시킨 정교한 제제로, 모두 알프레드 노벨이 발명했다)로 대체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는 포탄에 TNT가 채택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새로운 폭발물이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
이들은 다시 C-4와 PETN과 같은 더 강력한 폭발물로 대체되었다. 그러나 C-4와 PETN은 금속과 반응하고 쉽게 발화하지만, TNT와 달리 방수 및 가요성이 있다.[8]
인류 역사상 가장 먼저 발명된 폭발물은 흑색화약이다. 중국에서 6세기에서 7세기 무렵에 발명된 것으로 여겨지는 화약은, 이윽고 이슬람 제국과 유럽으로 전파되어, 화포와 총, 폭죽과 같은 발명품을 낳으면서 1000년 이상 인류가 알고 있던 유일한 폭발물이었다. 화약에 이은 새로운 폭발물이 등장한 것은 과학혁명과 산업혁명으로 인류의 지식이 현저하게 증대된 19세기 중반이었다. 독일의 크리스티안 쇼인바인이 1845년에 니트로셀룰로오스를, 이탈리아의 아스카니오 소브레로가 1847년에 니트로글리세린을 각각 발명했다. 이러한 새로운 폭발물은 매우 불안정하여 잇따라 폭발 사고를 일으켰기 때문에 많은 나라에서 제조가 금지되었다. 그러나 1866년 스웨덴의 알프레드 노벨이 니트로글리세린을 규조토에 스며들게 하여 안정화시키고 새로운 화약인 다이너마이트를 발명했다. 이에 따라 니트로글리세린은 안전하게 사용 가능하게 되었고, 인류는 화약을 뛰어넘는 새로운 폭발물을 손에 넣었다. 1875년에는 젤리그나이트도 발명되었다. 이 두 폭발물은 주로 광산과 건설 현장에서 사용되어 대규모 공사의 효율을 크게 향상시켰다.[42] 또한, 니트로셀룰로오스도 1886년에 폴 비외유가 B화약을 발명했고, 1889년에는 프레데릭 아벨과 제임스 뒤워에 의해 더욱 안전한 코르다이트가 발명되어 실용화의 길이 열렸다. 이 두 폭발물의 개발 이후에도 잇따라 새로운 폭발물이 개발되었다. 1891년에는 트리니트로톨루엔(TNT)의 생산이 시작되었다. 참고로, 1917년의 할리팩스 대폭발을 비롯하여 폭발물에 의한 사고는 여러 차례 발생하고 있다.
3. 종류
저폭약은 연소 속도가 비교적 느린 폭발물로, 물질 내에서 분해 속도가 음속보다 느리다. 정상적인 조건에서 초당 수 센티미터에서 약 0.4km/s까지 다양한 속도로 연소한다. 저폭약은 화약(무연화약 포함), 추진제, 조명탄, 폭죽과 같은 경량 화공품 등에 사용된다.[27][28]
고폭약은 폭굉 속도가 매우 빠른 폭발물로, 약 에서 의 폭발 속도를 가진다. 예를 들어, TNT의 폭발 속도는 약 6.9km/s, C-4는 약 이다. 다이너마이트, TNT, C-4 등이 이에 속하며, 주로 광산, 철거, 군사 목적으로 사용된다. 고폭약은 1차 폭약과 2차 폭약으로 나뉜다.[14]
인류 역사상 가장 먼저 발명된 폭발물은 흑색화약이다. 중국에서 6세기에서 7세기 무렵에 발명된 것으로 여겨지는 화약은, 이슬람 제국과 유럽으로 전파되어 화포, 총, 폭죽과 같은 발명품을 낳았다. 19세기 중반에는 니트로셀룰로오스와 니트로글리세린이 발명되었으나, 불안정하여 제조가 금지되기도 했다. 1866년 알프레드 노벨이 다이너마이트를 발명하면서 니트로글리세린은 안전하게 사용되기 시작했고, 젤리그나이트도 발명되었다. 1886년에는 B화약이, 1889년에는 코르다이트가 발명되어 실용화되었다. 1891년에는 트리니트로톨루엔(TNT) 생산이 시작되었다. 할리팩스 대폭발과 같이 폭발물에 의한 사고는 여러 차례 발생했다.[42]
3. 1. 화학적 조성에 따른 분류
화학 폭발물은 화학적 조성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3. 2. 민감도에 따른 분류
폭발물은 외부 자극에 대한 민감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감도(Sensitivity)는 폭발물이 폭발 또는 폭발이 일어나기 쉬운 정도, 즉 필요한 충격, 마찰, 또는 열의 양과 강도를 의미한다. 감도를 사용할 때는 어떤 종류의 감도에 대해 논의하고 있는지 명확히 해야 한다. 주어진 폭발물의 충격에 대한 상대적인 감도는 마찰이나 열에 대한 감도와 크게 다를 수 있다.
감도는 특정 목적에 맞는 폭발물을 선택할 때 중요한 고려 사항이다.
폭발물이 지속적으로 폭발하는 데 필요한 감도의 지수이다. 이는 폭발물을 지속적이고 연속적인 폭발로 유도하는 데 필요한, 확실한 신관의 위력으로 정의된다.
;기폭약
: 충격, 마찰, 열, 정전기, 전자기파와 같은 자극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폭발물이다. 매우 일반적인 규칙으로, 기폭약은 PETN보다 더 민감한 화합물로 간주된다.[22][23] 폭발 개시에는 비교적 적은 에너지만 필요하다.
: 주요 고성능 기폭약은 다음과 같다.
;2차 폭발물
: 1차 폭발물보다 감도가 낮아 폭발을 유도하는 데 훨씬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다. 감도가 낮기 때문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취급과 저장이 더 안전하다. 2차 폭발물의 예로는 TNT와 RDX가 있다.
;3차 폭약
: '''폭파약'''(blasting agents)이라고도 불리며, 충격에 매우 둔감하여 실용적인 양의 뇌관(primary explosive)으로는 안정적으로 폭발시킬 수 없고, 대신 2차 폭약(secondary explosive)의 중간 폭약 부스터(explosive booster)가 필요하다. 대부분의 3차 폭약은 연료와 산화제를 포함한다. ANFO는 반응 속도가 느릴 경우 3차 폭약이 될 수 있다.
3. 3. 물리적 형태에 따른 분류
폭발물은 생산되거나 사용되는 물리적 형태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29]4. 폭발물의 특성
폭발물의 유용성은 그 특성과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완전히 이해할 때에만 제대로 평가할 수 있다. 보다 중요한 특성 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 '''감도(Sensitivity)'''
폭발물이 폭발 또는 폭발이 일어나기 쉬운 정도, 즉 필요한 충격, 마찰, 또는 열의 양과 강도를 의미한다. 감도의 종류에 따라 어떤 종류의 감도에 대해 논의하고 있는지 명확히 해야 한다. 주어진 폭발물의 충격에 대한 상대적인 감도는 마찰이나 열에 대한 감도와 크게 다를 수 있다.
특정 폭발물은 압력 강하, 가속도, 날카로운 가장자리 또는 거친 표면의 존재, 비호환성 물질 또는 핵이나 전자기 방사선과 같은 요인에 특이적으로 민감할 수 있다.
감도는 특정 목적에 맞는 폭발물을 선택할 때 중요한 고려 사항이다. 장갑 관통탄의 폭발물은 상대적으로 불감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충격으로 인해 원하는 지점에 도달하기 전에 폭발할 수 있다. 핵무기 주변의 폭발 렌즈도 우발적인 폭발의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매우 불감하도록 설계되었다.
감도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몇 가지 시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시험 방법 | 설명 |
---|---|
충격 | 감도는 폭발을 일으키기 위해 표준 무게를 물질에 떨어뜨려야 하는 거리로 표현된다. |
마찰 | 감도는 반응을 일으키기에 충분한 마찰을 발생시키기 위해 물질에 가해지는 압력의 양으로 표현된다. |
열 | 감도는 물질의 분해가 발생하는 온도로 표현된다. |
- '''폭발 속도(Velocity of detonation)'''
폭발 반응이 폭발물 질량 내에서 전파되는 속도이다. 대부분의 상업용 광산 폭약의 폭발 속도는 초당 1,800m에서 8,000m에 이른다. 밀도와 함께 대기 과압 및 지반 가속도 모두에 전달되는 에너지의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정의에 따르면, 흑색 화약이나 무연 화약과 같은 "저폭약"은 초당 171~631m의 연소 속도를 갖는다.[15] 반면, 폭발 코드와 같은 1차 "고폭약" 또는 TNT 또는 C-4와 같은 2차 고폭약은 초당 약 6900~8092m의 훨씬 더 높은 연소 속도를 갖는다.[16]
- '''안정성(Stability)'''
폭발물이 열화 없이 저장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다음 요인들은 폭발물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친다.
요인 | 설명 |
---|---|
화학적 조성 | 니트로(-NO2), 니트레이트(-ONO2), 아지드(-N3)와 같은 특정 그룹은 본질적으로 불안정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화합물의 화학 결합은 주로 공유 결합으로 특징지어지며, 따라서 높은 이온 격자 에너지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안정화되지 않는다. |
저장 온도 | 폭발물의 분해 속도는 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한다. 경험적으로 대부분의 폭발물은 70 °C 이상의 온도에서 위험할 정도로 불안정해진다. |
햇빛 노출 | 많은 질소기를 포함하는 폭발성 화합물은 자외선에 노출되면 급속히 분해되어 안정성에 영향을 미친다. |
전기 방전 | 많은 폭발물에서 정전기 또는 스파크에 의한 착화 감도가 일반적이다. |
- '''폭발력(Power)'''
폭약에 적용되는 일률 또는 성능이라는 용어는 폭약이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실제로는 에너지 전달 방식(즉, 파편 투사, 공중 폭발, 고속 제트, 수중 충격파 및 기포 에너지 등)에서 의도한 바를 달성하는 폭약의 능력으로 정의된다. 폭약의 일률 또는 성능은 해당 물질의 의도된 용도를 평가하기 위한 일련의 맞춤형 시험으로 평가한다.
- '''폭굉(Brisance)'''
폭발력 외에도, 폭약은 파쇄 효과 또는 폭굉(프랑스어로 "깨다"라는 뜻에서 유래)이라는 두 번째 특징을 보인다. 폭굉은 포탄, 폭탄 외피 및 수류탄의 파편화에서 폭발의 효과를 결정하는 데 중요합니다. 폭약이 최대 압력(물리적 힘)에 도달하는 속도는 폭굉의 척도이다.
- '''밀도(Density)'''
장약의 밀도는 단위 부피당 폭발물의 질량을 의미한다. 높은 장약 밀도는 마찰에 대한 저항력을 높여 민감도를 낮출 수 있다. 그러나 개별 결정이 부서질 정도로 밀도가 증가하면 폭발물이 더 민감해질 수 있다. 장약 밀도의 증가는 또한 더 많은 폭발물을 사용할 수 있게 하여 탄두의 위력을 증가시킨다. 폭발물을 민감도를 넘어 압축하는 것은 ''데드 프레싱(dead-pressing)''이라고도 알려진 상태가 가능한데, 이 경우 물질은 더 이상 신뢰할 수 있게, 또는 전혀 폭발을 시작할 수 없게 된다.
- '''휘발성(Volatility)'''
휘발성은 물질이 기화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성질이다. 과도한 휘발성은 탄약의 탄두 내부에 압력이 발생하고 혼합물이 각 성분으로 분리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휘발성은 폭발물의 화학적 조성에 영향을 미쳐 안정성이 현저히 감소할 수 있으며, 이는 취급 위험성을 증가시킨다.
- '''흡습성(Hygroscopicity)'''
폭발물에 물이 유입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물은 폭발물의 감도, 위력, 폭굉 속도를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흡습성은 물질이 수분을 흡수하는 경향을 나타내는 척도이다. 수분은 증발할 때 열을 흡수하는 불활성 물질로 작용하고, 원치 않는 화학 반응을 일으키는 용매로 작용하여 폭발물에 악영향을 미친다.
- '''독성(Toxicity)'''
많은 폭발물은 어느 정도 독성을 갖고 있다.
5. 폭발물의 활용
폭발물은 광업에서 암석을 파쇄하고 광물을 채굴하는 데 가장 많이 사용된다. 광산이 지표면에 있든 지하에 있든, 고성능 폭약이나 저성능 폭약의 폭발이나 폭연은 밀폐된 공간에서 특정 부피의 취성 재료(암석)를 분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광업 산업에서는 연료유와 질산암모늄 용액의 유제[9], 질산암모늄 프릴(비료 펠릿)과 연료유의 혼합물(ANFO) 및 질산암모늄과 가연성 연료의 젤라틴 현탁액 또는 슬러리[10]와 같은 질산염계 폭약을 주로 사용한다.
재료 과학 및 공학에서 폭발물은 클래딩(폭발 용접)에 사용된다. 얇은 판 형태의 재료를 다른 재료의 두꺼운 층 위에 놓고, 그 위에 폭발물을 놓는다. 폭발물 층의 한쪽 끝에서 폭발이 시작되면, 두 금속 층은 고속으로 강하게 밀착되어 금속 결합을 생성한다.
인류 역사상 가장 먼저 발명된 폭발물은 흑색화약이다. 중국에서 6세기에서 7세기 무렵에 발명된 것으로 여겨지는 화약은, 이슬람 제국과 유럽으로 전파되어, 화포와 총, 폭죽과 같은 발명품을 낳으면서 1000년 이상에 걸쳐 인류가 알고 있던 유일한 폭발물이었다. 19세기 중반, 독일의 크리스티안 쇼인바인이 니트로셀룰로오스를, 이탈리아의 아스카니오 소브레로가 니트로글리세린을 각각 발명했다. 그러나 이 폭발물들은 매우 불안정하여 많은 나라에서 제조가 금지되었다. 1866년 스웨덴의 알프레드 노벨이 니트로글리세린을 규조토에 스며들게 하여 안정화시킨 다이너마이트를 발명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1875년에는 젤리그나이트도 발명되었다. 이 두 폭발물은 주로 광산과 건설 현장에서 사용되어 대규모 공사의 효율을 크게 향상시켰다.[42] 1886년 폴 비외유가 B화약을 발명했고, 1889년에는 프레데릭 아벨과 제임스 뒤워에 의해 더욱 안전한 코르다이트가 발명되어 니트로셀룰로오스도 실용화되었다. 1891년에는 트리니트로톨루엔(TNT)의 생산이 시작되었다.
6. 폭발물의 위험성 및 안전 관리
폭발물 소지 또는 사용에 대한 법적 타당성은 관할권에 따라 다르다. 전 세계 여러 국가에서는 폭발물 관련 법률을 제정하고 폭발물 또는 원료의 제조, 유통, 저장, 사용, 소지를 위해 면허를 요구하고 있다.
인류 역사상 가장 먼저 발명된 폭발물은 흑색화약이다. 중국에서 6세기에서 7세기 무렵 발명된 것으로 여겨지는 화약은, 이슬람 제국과 유럽으로 전파되어, 화포, 총, 폭죽과 같은 발명품을 낳으면서 1000년 이상 인류가 알고 있던 유일한 폭발물이었다.
19세기 중반, 독일의 크리스티안 쇼인바인이 니트로셀룰로오스(1845년)를, 이탈리아의 아스카니오 소브레로가 니트로글리세린(1847년)을 각각 발명했다. 그러나 1866년 스웨덴의 알프레드 노벨이 니트로글리세린을 규조토에 스며들게 하여 안정화시킨 다이너마이트를 발명했다. 1875년에는 젤리그나이트도 발명되었다. 1886년에 폴 비외유가 B화약을 발명했고, 1889년에는 프레데릭 아벨과 제임스 뒤워에 의해 더욱 안전한 코르다이트가 발명되었다. 1891년에는 트리니트로톨루엔(TNT) 생산이 시작되었다. 1917년 할리팩스 대폭발을 비롯하여 폭발물에 의한 사고는 여러 차례 발생하고 있다.[42]
6. 1. 폭발물의 위험성
폭발물은 잘못 다루거나 보관하면 예상치 못한 폭발을 일으켜 인명 피해, 재산 피해, 환경 오염을 초래할 수 있다.폭발물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
- 화학적 조성: 특정 화학 그룹(-NO2, -ONO2, -N3 등)을 포함하는 폭발물은 불안정하여 불꽃이나 충격에 민감하다.
- 저장 온도: 온도가 높을수록 폭발물의 분해 속도가 빨라진다. 대부분의 폭발물은 70°C 이상에서 위험하다.
- 햇빛 노출: 자외선은 질소기를 포함하는 폭발성 화합물을 분해시킨다.
- 전기 방전: 정전기나 스파크는 폭발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폭발물을 다룰 때는 접지가 필요하다.
폭발물은 어느 정도 독성이 있으며, 제조 과정이나 폭발 후 생성되는 물질도 독성을 가질 수 있다.
- 뇌관의 중금속 (납, 수은, 바륨 등)
- TNT의 질소 산화물
- 다량 사용 시 과염소산염
이러한 환경 및 건강 문제를 줄이기 위해 "친환경 폭발물"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예를 들어, 구리(I) 5-니트로테트라졸레이트는 납 아지드를 대체하는 무연 기폭제이다.[17]
6. 2. 국제적 규제 및 협약
국제연합은 위험물 운송에 관한 규정을 마련하여 폭발물의 안전한 운송을 위한 국제적인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30] 이 규정에는 번호가 매겨진 위험 등급 및 구분(HC/D) 코드와 알파벳 호환성 그룹 코드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1.4G 또는 1.4S로 표시된 소비자용 폭죽이 있다.위험 등급 및 구분(HC/D)은 위험 등급 내의 수치 지정자로, 관련 위험의 특성 및 우세성, 그리고 인명 피해 및 재산 피해를 야기할 가능성을 나타낸다. 이는 국제적으로 인정된 시스템으로, 물질과 관련된 주요 위험을 최소한의 표시를 사용하여 전달한다.
1류(폭발물)의 구분은 다음과 같다.
구분 | 설명 |
---|---|
1.1 | 대량 폭발 위험. 용기 또는 팔레트 내의 한 품목이 실수로 폭발할 경우, 폭발이 주변 품목을 연쇄적으로 폭발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
1.2 | 비대량 폭발, 파편 발생. 폭발 효과의 크기를 고려하여 1.2.1, 1.2.2 및 1.2.3의 세 가지 세분류로 나뉜다. |
1.3 | 대량 화재, 경미한 폭발 또는 파편 위험. 추진제와 많은 폭발물품이 이 범주에 속한다. |
1.4 | 중간 정도의 화재, 폭발 또는 파편 없음. 대부분의 소형 화기 탄약(장전된 무기 포함)과 일부 폭발물품이 이 범주에 속한다. |
1.5 | 대량 폭발 위험, 매우 불감. |
1.6 | 폭발 위험, 대량 폭발 위험 없음, 매우 불감. |
6. 3. 한국의 폭발물 안전 관리
대한민국은 「총포·도검·화약류 등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을 통해 폭발물의 제조, 판매, 소지, 사용 등을 엄격하게 규제하고 있다. 폭발물 관련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정기적인 안전 점검과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불법 폭발물 제조 및 유통을 근절하기 위한 단속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폭발물 테러 및 범죄 예방을 위해 관련 법규 강화 및 안전 관리 시스템 개선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7. 폭발물의 예
8. 화학 폭발물의 호환 그룹
유엔과 국가 USDOT 등에서 사용되는 화학 폭발물 호환 그룹은 다음과 같다.
국제연합 표시는 번호가 매겨진 위험 등급 및 구분(HC/D) 코드와 알파벳 호환성 그룹 코드를 포함한다. 두 가지는 관련이 있지만 별개이며 구분된다. 모든 호환성 그룹 지정자는 모든 위험 등급 및 구분에 할당될 수 있다. 이러한 혼합 표시의 예로는 1.4G 또는 1.4S로 표시된 소비자용 폭죽이 있다.[30]
호환성 그룹 코드는 HC/D 1류(폭발성) 물질의 저장 호환성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13개의 호환성 그룹을 나타내는 문자는 다음과 같다.
그룹 | 설명 | 예시 |
---|---|---|
A | 1차 폭발물질 (1.1A) | |
B | 1차 폭발물질을 포함하고 2개 이상의 효과적인 보호 기능을 포함하지 않는 물품 (1.1B, 1.2B, 1.4B) | 발파용 도폭선 조립체 및 뇌관(캡형) |
C | 추진제 폭발물질 또는 다른 급격히 연소하는 폭발물질, 또는 이러한 폭발물질을 포함하는 물품 (1.1C, 1.2C, 1.3C, 1.4C) | 대량의 추진제, 추진 장약, 점화 수단의 유무에 관계없이 추진제가 들어 있는 장치 (단일 기반 추진제, 이중 기반 추진제, 삼중 기반 추진제 및 복합 추진제, 고체 추진제 로켓 모터 및 불활성 발사체가 있는 탄약) |
D | 2차 폭발물질 또는 흑색화약, 또는 각각의 경우 점화 수단 없이 그리고 추진 장약 없이 2차 폭발물질을 포함하는 물품, 또는 1차 폭발물질을 포함하고 2개 이상의 효과적인 보호 기능을 포함하는 물품 (1.1D, 1.2D, 1.4D, 1.5D) | |
E | 점화 수단 없이, 추진 장약이 있는 2차 폭발물질을 포함하는 물품 (가연성 액체, 젤 또는 자발 발화성 액체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 (1.1E, 1.2E, 1.4E) | |
F | 점화 수단이 있는 2차 폭발물 물질을 포함하는 물품으로, 추진 장약이 있거나(가연성 액체, 젤 또는 자발 발화성 액체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 없음 (1.1F, 1.2F, 1.3F, 1.4F) | |
G | 화약류 또는 화약류를 포함하는 물품, 또는 폭발물질과 조명, 소이, 최루 또는 연막 물질을 모두 포함하는 물품 (수중 활성화 물품 또는 백린, 인화물 또는 가연성 액체 또는 젤 또는 자발 발화성 액체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 (1.1G, 1.2G, 1.3G, 1.4G) | 조명탄, 신호탄, 소이 또는 조명 탄약 및 기타 연막 및 최루 장치 |
H | 폭발물질과 백린을 모두 포함하는 물품 (1.2H, 1.3H) | |
J | 폭발물질과 가연성 액체 또는 젤을 모두 포함하는 물품 (1.1J, 1.2J, 1.3J) | 액체 또는 젤로 채워진 소이 탄약, 연료-공기 폭발물(FAE) 장치 및 가연성 액체 연료 미사일 |
K | 폭발물질과 독성 화학 작용제를 모두 포함하는 물품 (1.2K, 1.3K) | |
L | 폭발물질 또는 폭발물질을 포함하고 특별한 위험을 제기하는 물품(예: 수중 활성화 또는 자발 발화성 액체, 인화물 또는 인화성 물질의 존재로 인해)으로 각 유형의 격리를 필요로 함 (1.1L, 1.2L, 1.3L) | 손상되었거나 의심스러운 모든 그룹의 탄약 |
N | 매우 불감도 폭발물만 포함하는 물품 (1.6N) | |
S | 우발적인 작동으로 인한 위험 효과가 포장물의 즉각적인 인근에서 소방 또는 기타 응급 대응 노력을 상당히 방해하거나 금지하지 않는 정도로 제한되도록 포장되거나 설계된 물질 또는 물품 (1.4S) |
참조
[1]
서적
Weapons of Mass Destruction
APH Publishing Corporation
[2]
서적
Chemistry in Daily Life
Prentice-Hall
[3]
웹사이트
China's explosive history of gunpowder and fireworks
https://gbtimes.com/[...]
2017-01-17
[4]
웹사이트
China and Europe, 1500–2000 and Beyond: What is Modern?
http://afe.easia.col[...]
Columbia University Press
[5]
서적
A Short History of China
No Exit Press
[6]
서적
The Ancient World
Routledge
[7]
서적
Australian History Series: The ancient world
Ready-Ed Publications
[8]
서적
Lurps: A Ranger's Diary of Tet, Khe Sanh, A Shau, and Quang Tri
Rowman & Littlefield Publishing Group
[9]
웹사이트
Emulsion Explosives - Ideal Industrial Explosives Ltd.
https://www.idealexp[...]
2024-06-06
[10]
웹사이트
Slurry Explosives -Manufacturer & Suppliers-IDEAL INDUSTRIAL EXPLOSIVES
https://www.idealexp[...]
2024-06-06
[11]
학술지
High-velocity micro-projectile impact testing
https://doi.org/10.1[...]
2021-03-01
[12]
서적
Inorganic Chemistry: A Unified Approach
Academic Press, Inc.
[13]
웹사이트
2.1 Deflagration
http://www.chem-page[...]
2017-02-05
[14]
웹사이트
2.2 Detonation
http://www.chem-page[...]
2017-02-05
[15]
서적
History of Shock Waves, Explosions and Impact: A Chronological and Biographical Reference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8-09-24
[16]
서적
History of Shock Waves, Explosions and Impact: A Chronological and Biographical Referenc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17]
잡지
Green explosive is a friend of the Earth
https://www.newscien[...]
2006-03-27
[18]
서적
Theory of Detonation
Academic Press
[19]
서적
Chemical Process Principles
John Wiley & Sons
[20]
서적
Chemical Calculations
McGraw-Hill
[21]
서적
Explosives
Wiley VCH
[22]
웹사이트
Nitrogen triiodide
https://en.m.wikiped[...]
2024-06-08
[23]
웹사이트
Nitrogen Triiodide (NI3)
https://www.ucl.ac.u[...]
2020-06-23
[24]
웹사이트
Can't Stop the Nitro Groups
https://www.science.[...]
2019-08-15
[25]
웹사이트
PowerLabs Lead Picrate Synthesis
http://www.powerlabs[...]
[26]
서적
Primary Explosives
Springer-Verlag Berlin Heidelberg
2013
[27]
서적
Read "Containing the Threat from Illegal Bombings: An Integrated National Strategy for Marking, Tagging, Rendering Inert, and Licensing Explosives and Their Precursors" at NAP.edu
https://nap.national[...]
1998
[28]
학술지
The initiation of explosion by neutrons, α -particles and fission products
https://royalsociety[...]
1958-07-29
[29]
서적
Explosives Engineering
Wiley-VCH
[30]
웹사이트
Table 12-4. – United Nations Organization Hazard Classes
http://www.tpub.com/[...]
2010-02-11
[31]
웹사이트
wetten.nl – Wet- en regelgeving – Wet explosieven voor civiel gebruik – BWBR0006803
http://wetten.overhe[...]
[32]
웹사이트
wetten.nl – Wet- en regelgeving – Wet wapens en munitie – BWBR0008804
http://wetten.overhe[...]
[33]
웹사이트
The Explosives Regulations 2014
http://www.legislati[...]
[34]
웹사이트
HSE Explosives – Licensing
http://www.hse.gov.u[...]
[35]
웹사이트
1913–1919
https://www.ime.org/[...]
[36]
웹사이트
1940–1949
https://www.ime.org/[...]
[37]
웹사이트
1970–1979
https://www.ime.org/[...]
[38]
웹사이트
Federal Explosives Laws
http://www.gpo.gov/f[...]
U.S. Department of Justice, Bureau of Alcohol, Tobacco, Firearms and Explosives
2016-02-01
[39]
웹사이트
Regulations for Alcohol, Tobacco, Firearms and Explosives | Bureau of Alcohol, Tobacco, Firearms and Explosives
http://www.atf.gov/c[...]
2014-12-13
[40]
웹사이트
鉄道:鉄道のテロ対策 - 国土交通省
https://www.mlit.go.[...]
2024-10-01
[41]
웹사이트
e-Gov 法令検索
https://laws.e-gov.g[...]
2024-10-01
[42]
서적
세계を変えた火薬の歴史
원서방
2013-04-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