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각 함수의 덧셈 정리
"오늘의AI위키" 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 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목차 보기/숨기기
1. 개요
삼각 함수의 덧셈 정리는 삼각 함수의 합과 차를 삼각 함수의 곱으로 나타내는 공식이다. 사인, 코사인, 탄젠트 함수에 대한 덧셈 정리가 있으며, 이를 통해 삼각 함수의 값을 계산하고, 삼각 함수와 관련된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덧셈 정리는 사인 함수의 덧셈 정리, 코사인 함수의 덧셈 정리, 탄젠트 함수의 덧셈 정리 및 변형된 뺄셈 정리 등으로 구성되며, 유클리드 기하학, 행렬, 그리고 삼각함수의 성질들을 이용하여 유도할 수 있다.
2. 사인함수의 덧셈정리
예각삼각형 ABC 의 넓이를 두 가지 방법으로 계산하여 비교함으로써 사인 함수의 덧셈정리를 유도할 수 있다. [1] [2] 삼각형 ABC 의 넓이는 꼭짓점 A 에서 내린 수선 AH 에 의해 나뉜 두 삼각형 AHB 와 AHC 의 넓이의 합과 같다. 삼각형 ABC 의 넓이를 \angle BAC = \alpha + \beta 를 이용하여 표현하는 방식과, 두 작은 삼각형 넓이의 합을 각 변과 각도를 이용하여 표현하는 방식을 비교하면 다음의 사인 함수 덧셈정리 공식을 얻는다. : \sin(\alpha+\beta) = \sin \alpha \cos \beta + \sin \beta \cos \alpha
2. 1. 사인함수의 덧셈정리 공식 유도
예각 삼각형 ABC에서 높이 AH를 내려 삼각형의 넓이를 이용한 사인 덧셈정리 유도 예각삼각형 ABC 의 넓이 \triangle ABC 를 이용하여 사인 함수의 덧셈정리를 유도할 수 있다. [1] [2] 그림과 같이 삼각형 ABC 의 꼭짓점 A 에서 밑변 BC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라 하고, \angle BAH = \alpha , \angle CAH = \beta 라고 하자. 삼각형 ABC 의 넓이는 두 삼각형 AHB 와 AHC 의 넓이의 합과 같다. :\triangle ABC = \triangle AHB + \triangle AHC 삼각형의 넓이 공식 (\text{넓이} = \frac{1}{2}ab\sin C) 을 이용하면, \angle BAC = \alpha + \beta 이므로 삼각형 ABC 의 넓이는 다음과 같다. :\triangle ABC = {1 \over{2}} bc \sin(\alpha+\beta) 또한, 두 삼각형 AHB 와 AHC 의 넓이의 합은 다음 과정을 통해 계산할 수 있다. :\triangle AHB+\triangle AHC :={1 \over{2}}\; \overline{BH}\;\overline{AH} + {1 \over{2}}\; \overline{CH}\;\overline{AH} :={1 \over{2}}c \sin \alpha \; b \cos \beta + {1 \over{2}} b \sin \beta \; c \cos \alpha :={1 \over{2}}cb (\sin \alpha \cos \beta + \sin \beta \cos \alpha) 위에서 구한 두 넓이 식은 같아야 하므로, 다음 등식이 성립한다. : {1 \over{2}} bc \sin(\alpha+\beta) = {1 \over{2}}cb (\sin \alpha \cos \beta + \sin \beta \cos \alpha) 양변에서 {1 \over{2}} bc 를 소거하면 사인 함수의 덧셈정리 공식을 얻는다. : \sin(\alpha+\beta) = \sin \alpha \cos \beta + \sin \beta \cos \alpha
3. 코사인의 덧셈정리
코사인 함수의 덧셈정리는 주로 제2코사인법칙과 두 점 사이의 거리 공식을 이용하여 유도할 수 있다. [3] [4] [5]단위원 위의 두 점 P(\cos \alpha, \sin \alpha) 와 Q(\cos \beta, \sin \beta) 를 생각해보자. 두 점 사이의 거리 공식을 이용하여 선분 \overline{PQ} 의 길이를 \alpha 와 \beta 의 삼각함수로 나타내는 방법과, [6] 원점 O 와 두 점 P, Q 로 이루어진 삼각형 \triangle{OPQ} 에 제2코사인법칙을 적용하여 선분 \overline{PQ} 의 길이를 \cos(\alpha - \beta) 로 나타내는 방법이 있다. 이 두 가지 방법으로 계산된 선분 \overline{PQ} 의 길이 제곱(\overline{PQ}^2 )은 서로 같아야 한다. 두 결과를 비교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은 코사인 함수의 뺄셈에 대한 덧셈정리 공식을 얻는다. : \cos (\alpha-\beta) = \cos \alpha \cos \beta + \sin\alpha \sin \beta
3. 1. 제2코사인법칙을 이용한 유도
제2코사인법칙을 이용하여 코사인 함수의 덧셈정리를 유도할 수 있다. 반지름의 길이가 1인 단위원 위의 두 점 P= (\cos \alpha, \sin \alpha) 와 Q= (\cos \beta, \sin \beta) 를 생각하자. 두 점 사이의 거리 공식을 이용하면 선분 \overline{PQ} 의 길이 제곱은 다음과 같다. [6]\overline{PQ}^2 = (\cos \beta - \cos \alpha )^2 + ( \sin \beta - \sin \alpha)^2 = (\cos^2 \beta - 2\cos \alpha \cos \beta + \cos^2 \alpha ) + ( \sin^2 \beta -2 \sin\alpha \sin \beta + \sin^2 \alpha ) = (\cos^2 \beta + \sin^2 \beta ) + (\cos^2 \alpha + \sin^2 \alpha ) - 2\cos \alpha \cos \beta -2 \sin\alpha \sin \beta 삼각 함수 항등식 중 피타고라스 정리 에 의해 \sin^2{x} + \cos^2{x} = 1 이므로,= 1 + 1 - 2 (\cos \alpha \cos \beta + \sin\alpha \sin \beta ) \overline{PQ}^2= 2 - 2 (\cos \alpha \cos \beta + \sin\alpha \sin \beta ) 한편, 원점 O 와 두 점 P, Q 가 이루는 삼각형 \triangle{OPQ} 를 생각하자. \overline{OP} = \overline{OQ} = 1 이고 두 반지름이 이루는 각의 크기는 \angle{POQ} = \alpha - \beta (또는 \beta - \alpha )이다. 삼각형 \triangle{OPQ} 에 제2코사인법칙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다.\overline{PQ}^2= \overline{OP}^2 +\overline{OQ}^2 - 2 (\overline{OP} \cdot \overline{OQ} \cos (\alpha-\beta)) \overline{PQ}^2= 1^2 + 1^2 - 2 (1 \cdot 1 \cos (\alpha-\beta)) \overline{PQ}^2= 2 - 2 \cos (\alpha-\beta) 두 가지 방법으로 계산한 \overline{PQ}^2 의 식은 같아야 하므로,2 - 2 \cos (\alpha-\beta) = 2 - 2 (\cos \alpha \cos \beta + \sin\alpha \sin \beta ) 양변에서 2를 빼고 -2로 나누면 코사인 함수의 뺄셈에 대한 덧셈정리를 얻는다.\cos (\alpha-\beta) = \cos \alpha \cos \beta + \sin\alpha \sin \beta
3. 2. 두 점 사이의 거리를 이용한 유도
단위원 위의 두 점 P, Q의 좌표를 각각 P(\cos \alpha, \sin \alpha) , Q(\cos \beta, \sin \beta) 라고 하자. 두 점 사이의 거리 공식을 이용하여 선분 PQ의 길이 제곱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6] :\overline{PQ}^2 = (\cos \beta - \cos \alpha)^2 + (\sin \beta - \sin \alpha)^2 := (\cos^2 \beta - 2\cos \alpha \cos \beta + \cos^2 \alpha) + (\sin^2 \beta - 2\sin \alpha \sin \beta + \sin^2 \alpha) := (\cos^2 \beta + \sin^2 \beta) + (\cos^2 \alpha + \sin^2 \alpha) - 2(\cos \alpha \cos \beta + \sin \alpha \sin \beta) 삼각 함수 항등식 중 피타고라스 정리 에 의해 \sin^2 x + \cos^2 x = 1 이므로, := 1 + 1 - 2(\cos \alpha \cos \beta + \sin \alpha \sin \beta) :\overline{PQ}^2 = 2 - 2(\cos \alpha \cos \beta + \sin \alpha \sin \beta) 한편, 삼각형 POQ에 제2코사인법칙을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O는 원점이며, \overline{OP} = \overline{OQ} = 1 (단위원의 반지름)이고, 두 반지름 사이의 각은 \alpha - \beta 이다. :\overline{PQ}^2 = \overline{OP}^2 + \overline{OQ}^2 - 2 \cdot \overline{OP} \cdot \overline{OQ} \cos(\alpha - \beta) := 1^2 + 1^2 - 2 \cdot 1 \cdot 1 \cos(\alpha - \beta) :\overline{PQ}^2 = 2 - 2 \cos(\alpha - \beta) 두 가지 방법으로 구한 \overline{PQ}^2 는 같아야 하므로, :2 - 2 \cos(\alpha - \beta) = 2 - 2(\cos \alpha \cos \beta + \sin \alpha \sin \beta) 양변에서 2를 빼고 -2로 나누면 코사인 덧셈정리 공식을 얻는다. :\cos(\alpha - \beta) = \cos \alpha \cos \beta + \sin \alpha \sin \beta
4. 탄젠트의 덧셈정리
사인 함수와 코사인 함수의 덧셈정리를 이용하여 탄젠트 함수의 덧셈정리를 유도할 수 있다. 탄젠트 함수의 덧셈정리 공식은 다음과 같다. :\tan \left(x + y \right) = \frac{\tan x + \tan y}{1 - \tan x \tan y} 자세한 유도 과정은 아래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탄젠트함수의 덧셈정리 공식 유도
탄젠트 함수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tan x= 이를 이용하여 탄젠트 함수의 덧셈정리를 유도할 수 있다. 먼저, \tan(x+y) 를 사인 과 코사인 함수로 표현한다. :\tan \left(x + y \right)= 여기에 사인 과 코사인 함수의 덧셈정리 공식을 적용한다. :\tan \left(x + y \right)={ {\sin x \cos y + \cos x \sin y } \over{\cos x \cos y - \sin x \sin y} } 분자와 분모를 각각 \cos x \cos y 로 나눈다. :\tan \left(x + y \right)={ { { {\sin x \cos y}\over{\cos x \cos y} } + { { {\cos x \sin y} \over{\cos x \cos y}} } } \over { { {\cos x \cos y} \over{\cos x \cos y}} -{ {\sin x \sin y} \over{\cos x \cos y}} } } 각 항을 탄젠트 함수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은 탄젠트 함수의 덧셈정리 공식을 얻을 수 있다. :\tan \left(x + y \right)={ { { \tan x} + { \tan y } } \over { 1 -{ \tan x \tan y } } }
5. 덧셈정리의 변형
삼각 함수의 덧셈정리는 각 항의 부호를 바꾸는 간단한 변형을 통해 삼각함수의 뺄셈 정리와 같은 다른 유용한 공식들을 유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은 주로 삼각함수의 음각 공식 을 활용하여 이루어진다. 음각 공식을 덧셈정리에 적용하면, 각 삼각함수에 대한 뺄셈 정리 또는 다른 형태의 공식을 얻을 수 있다. 상세한 유도 과정은 아래의 뺄셈 정리 유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주요 변형 공식은 다음과 같다.
:\sin(x - y) = \sin x \cos y - \cos x \sin y 코사인(cosine) 함수의 덧셈 정리 (다른 유도 방식): :\cos(x + y) = \cos x \cos y - \sin x \sin y :\tan(x - y) = \frac{\tan x - \tan y}{1 + \tan x \tan y}
5. 1. 뺄셈 정리 유도
삼각함수의 음각 공식 삼각함수의 각 \theta 에 음의 부호를 대입하면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 이를 음각 공식 이라고 한다. :\sin (-\theta) = -\sin \theta :\cos (-\theta)= \cos \theta :\tan (-\theta)=={-{\sin \theta} \over{\cos \theta}}=- \tan \theta 이 음각 공식을 삼각 함수의 덧셈정리에 적용하여 삼각함수의 뺄셈 정리 또는 다른 형태의 덧셈 공식을 유도할 수 있다. '''사인(sine)''' 사인 함수의 덧셈정리 \sin(x+y) = \sin x \cos y + \cos x \sin y 에 y 대신 -y 를 대입하고 음각 공식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이 사인 함수의 뺄셈 정리를 얻는다. :\sin \left(x + (-y )\right)=\sin x \cos (-y) + \cos x \sin (-y) :\sin \left(x - y\right)=\sin x \cos y - \cos x \sin y '''코사인(cosine)''' 코사인 함수의 덧셈정리 유도 과정 중 하나로, \cos \left(x - (-y)\right) 형태에 음각 공식을 적용할 수 있다. (주어진 원본 소스는 이 과정을 포함한다.) :\cos \left(x - (-y)\right)=\cos x \cos (-y) + \sin x \sin (-y) 위 식을 정리하면 코사인 함수의 덧셈 정리 \cos \left(x + y\right)=\cos x \cos y - \sin x \sin y 를 얻는다. '''탄젠트(tangent)''' 탄젠트 함수의 덧셈정리 \tan(x+y) = \frac{\tan x + \tan y}{1 - \tan x \tan y} 에 y 대신 -y 를 대입하고 음각 공식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이 탄젠트 함수의 뺄셈 정리를 얻는다. :\tan (x+(-y))={ { { \tan x} + { \tan(-y)} } \over { 1 -{ \tan x \tan (-y) } } } :\tan (x-y)={ { { \tan x} -{\tan y} } \over { 1 +{ \tan x \tan y } } }
6. 유클리드 기하학 원론을 이용한 정리
유클리드의 기하학 원론 2권 법칙 9 [7] [8] 에 나타난 도형과 공리들을 활용하여 삼각 함수 의 덧셈 정리를 기하학 적으로 증명 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특정 도형을 설정하고, 그 안에서 선분들의 길이를 사인 과 코사인 함수를 이용해 표현한 뒤, 도형의 기하학적 관계를 통해 각의 합(α + β)에 대한 사인과 코사인 값을 유도하는 과정을 따른다. 예를 들어, 특정 도형에서 기준이 되는 선분의 길이를 1로 설정하고 각 α와 β를 정의하면, 도형을 구성하는 다른 선분들의 길이를 sin α, cos α, sin β, cos β 등의 삼각함수 값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렇게 표현된 선분들의 길이 관계를 분석하여 sin(α + β)와 cos(α + β)를 기존 삼각함수 값들의 식으로 유도해낼 수 있다. 구체적인 도형 설정과 자세한 유도 과정은 아래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6. 1. 사인함수의 덧셈정리 유도
정삼각형을 이용한 삼각함수 덧셈정리 유도 : 정삼각형 에서 \overline{AE}= 1 로 가정한다. [7] : \over {1}}= { \cos \alpha} : \over {1}} = { \sin \alpha} : \over{AF}}= :: {\overline{FD}}= {\overline{GC}} = {\sin \beta {\overline{AF}}}={\sin \beta \cos \alpha} : \over{\overline{EF}}}= :: {\overline{EG}} = {\overline{EF}} ={\cos \beta} { \sin \alpha} : {\sin(\alpha + \beta)}= +{\overline{GC}} }\over {1}} : {\sin(\alpha + \beta)}= + : 따라서 사인 함수의 덧셈정리는 다음과 같이 유도된다. : {\sin(\alpha + \beta)}= {\sin \alpha \cos \beta} + {\cos \alpha \sin \beta}
6. 2. 코사인의 덧셈정리 유도
:한편, 예약된 정삼각형 에서, [8] : \overline{AE}= 1 , \angle A = \angle E = \angle B, \angle A = \angle \alpha + \angle \beta , \angle \alpha = \angle \beta : \over {1}} = { \sin \alpha} : \over {1}} = { \cos \alpha} : \over{AF}}= :: {\overline{AD}}= { \cos \beta} {\overline{AF}} :: {\overline{AD}}= { \cos \beta} { \cos \alpha} : \over{\overline{EF}}}= : }= {\overline{EF}} : }= {\sin \alpha} :: {\overline{GF}} ={\overline{CD}} ={ \sin \beta} { \sin \alpha} : {\cos(\alpha + \beta)}= }\over {1}} : {\cos(\alpha + \beta)}= }-{\overline{CD}}} : {\cos(\alpha + \beta)}= - :이것은 코사인함수이다.
7. 행렬을 이용한 정리
회전 변환 행렬을 이용한 덧셈정리 유도 좌표평면 위의 점 (x, y) 를 원점을 중심으로 각도 \theta 만큼 회전 변환시키는 것은 다음 행렬 을 이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이 행렬을 회전 행렬이라고 한다. \begin{pmatrix} x' \\ y' \end{pmatrix} = \begin{pmatrix} \cos \theta & -\sin\theta \\ \sin \theta & \cos \theta \end{pmatrix} \begin{pmatrix} x \\ y \end{pmatrix} 이 회전 행렬의 성질을 이용하면 삼각함수의 덧셈정리를 유도할 수 있다. 단위원 위의 점 (\cos x, \sin x) 를 각도 y 만큼 회전시키면 점 (\cos(x+y), \sin(x+y)) 가 되는데, 이를 회전 행렬을 이용하여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9] [10] \begin{pmatrix} \cos(x+y) \\ \sin(x+y) \end{pmatrix} = \begin{pmatrix} \cos y & -\sin y \\ \sin y & \cos y \end{pmatrix} \begin{pmatrix} \cos x \\ \sin x \end{pmatrix} 위 행렬 곱셈을 계산하면, 각 성분은 삼각함수의 덧셈정리 공식과 일치한다.\cos(x+y) = \cos x \cos y - \sin x \sin y \sin(x+y) = \sin x \cos y + \cos x \sin y
7. 1. 회전 변환 행렬 유도
2차원 평면 위의 점 P(x, y)를 원점을 중심으로 각도 θ만큼 회전 변환시킨 점을 P'(x', y')라고 하자. 삼각함수의 정의에 따라, 원점으로부터의 거리가 1인 단위원 위의 점은 각도 α에 대해 (\cos \alpha, \sin \alpha) 로 나타낼 수 있다. 만약 점 P가 단위원 위의 점이라면, x = \cos \alpha , y = \sin \alpha 로 놓을 수 있다. 점 P를 θ만큼 회전시킨 점 P'의 좌표는 (\cos(\alpha+\theta), \sin(\alpha+\theta)) 가 된다. 즉,x' = \cos(\alpha+\theta) y' = \sin(\alpha+\theta) 삼각함수의 덧셈정리를 이용하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x' = \cos \alpha \cos \theta - \sin \alpha \sin \theta y' = \sin \alpha \cos \theta + \cos \alpha \sin \theta 여기에 x = \cos \alpha , y = \sin \alpha 를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9] [10]x' = x \cos \theta - y \sin \theta y' = y \cos \theta + x \sin \theta = x \sin \theta + y \cos \theta 이 관계를 행렬 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begin{pmatrix} x' \\ y' \end{pmatrix} = \begin{pmatrix} \cos \theta & -\sin\theta \\ \sin \theta & \cos \theta \end{pmatrix} \begin{pmatrix} x \\ y \end{pmatrix} 따라서 2차원 평면에서 원점을 중심으로 각도 θ만큼 회전시키는 회전 변환을 나타내는 행렬은 다음과 같다. R(\theta) = \begin{pmatrix} \cos \theta & -\sin\theta \\ \sin \theta & \cos \theta \end{pmatrix} 이 회전 변환 행렬을 이용하여 삼각함수의 덧셈 정리를 유도할 수도 있다. 각도 x만큼 회전된 점 (\cos x, \sin x) 를 다시 각도 y만큼 회전시키면, 총 x+y 만큼 회전한 점 (\cos(x+y), \sin(x+y)) 가 된다. 이를 행렬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begin{pmatrix} \cos(x+y) \\ \sin(x+y) \end{pmatrix} = \begin{pmatrix} \cos y & -\sin y \\ \sin y & \cos y \end{pmatrix} \begin{pmatrix} \cos x \\ \sin x \end{pmatrix} 행렬 곱셈을 계산하면, \begin{pmatrix} \cos(x+y) \\ \sin(x+y) \end{pmatrix} = \begin{pmatrix} \cos y \cos x - \sin y \sin x \\ \sin y \cos x + \cos y \sin x \end{pmatrix} 따라서 다음의 삼각함수의 덧셈정리를 얻는다.\cos(x+y) = \cos x \cos y - \sin x \sin y \sin(x+y) = \sin x \cos y + \cos x \sin y
7. 2. 덧셈정리 공식 유도
좌표평면 위의 단위원 상의 점 P(\cos x, \sin x) 를 원점을 중심으로 각도 y 만큼 회전 변환시킨 점을 P'(\cos(x+y), \sin(x+y)) 라고 하자. 회전 변환 행렬 을 이용하여 점 P'의 좌표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9] [10] \begin{pmatrix} \cos(x+y) \\ \sin(x+y) \end{pmatrix} = \begin{pmatrix} \cos y & -\sin y \\ \sin y & \cos y \end{pmatrix} \begin{pmatrix} \cos x \\ \sin x \end{pmatrix} 위 행렬 곱셈을 계산하면 각 성분은 다음과 같다.\cos(x+y) = \cos x \cos y - \sin x \sin y \sin(x+y) = \sin x \cos y + \cos x \sin y 이 두 등식은 각각 코사인과 사인 함수의 덧셈정리 공식을 나타낸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