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삼성E&A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성E&A는 1970년 코리아엔지니어링으로 설립되어 1978년 삼성그룹에 인수된 대한민국 엔지니어링 회사이다. 1991년 삼성엔지니어링으로 사명을 변경했다가 2024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했다. 1970년대부터 국내 중화학 공업 발전에 기여했으며, 1990년대부터 해외 시장으로 진출하여 발전소, 제철소 등 사업 분야를 확장했다. 2020년대에는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기술 개발과 투자를 통해 수소, 탄소 중립 관련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0년 설립된 기업 - 한샘
    한샘은 1970년 조창걸 명예회장이 설립하여 대한민국 부엌 문화를 현대식으로 바꾸는 데 기여한 부엌 및 실내 가구 제조, 유통 기업으로, 2021년 IMM PE에 인수된 후 2023년부터 전문경영인 체제로 운영되고 있으며, 과거 사내 성폭력 사건과 인스타그램 이벤트 논란으로 사회적 비판을 받기도 했다.
  • 1970년 설립된 기업 - 롯데쇼핑
    롯데쇼핑은 1970년 협우실업으로 설립되어 롯데백화점, 롯데마트 등을 운영하며 롯데하이마트 등을 자회사로 두고 있으며, 한국 증시에 상장되어 있다.
  • 1978년 설립된 기업 - 베르사체
    베르사체는 1978년 잔니 베르사체가 설립한 이탈리아 명품 브랜드로, 의류, 액세서리, 향수, 홈 인테리어 등 다양한 제품을 선보이며, 2018년 마이클 코어스에 인수되었다.
  • 1978년 설립된 기업 - 이랜드리테일
    이랜드리테일은 이랜드 그룹의 계열사이자 의류에서 유통 사업으로 확장한 국내 기업으로, 사업 내용, 재무 현황, 경영진, 사회적 책임, 주주 현황이 주요 내용이며 노동 환경 문제 등 사회적 논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 대한민국의 건설 기업 - HDC현대산업개발
    HDC현대산업개발은 1976년 현대그룹의 자회사로 설립되어 주택, 토목, 플랜트 등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며, 2001년 IPARK 아파트 브랜드를 론칭하고 HDC그룹의 모회사로 성장했으나, 2021년과 2022년 건물 붕괴 사고로 사회적 비판을 받았다.
  • 대한민국의 건설 기업 - GS건설
    GS건설은 1969년 락희개발로 설립되어 2005년 현재의 상호로 변경된 GS그룹 계열의 대한민국 건설 회사로, 주택, 토목, 플랜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을 영위하며 '자이' 아파트 브랜드로 알려져 있고, 국내외 주요 건설 프로젝트 참여와 신사업 분야 확장을 통해 성장해 왔다.
삼성E&A - [회사]에 관한 문서
회사 개요
회사명삼성E&A 주식회사
로마자 표기SAMSUNG E&A Co., Ltd.
이전 회사명코리아엔지니어링㈜ (1970~1991)
종류주식회사
상장일1996년 12월 24일
산업건축기술, 엔지니어링 및 관련기술 서비스업
설립일1970년 1월 20일
국가대한민국
본사 위치서울특별시 강동구 상일로6길 26 (상일동)
링크삼성엔지니어링 웹사이트
경영진
대표이사 사장남궁 홍
CEO최성안
재무 정보 (2023년)
자본금9,800억 원
매출액106,249억 원
영업이익9,931억 원
순이익6,959억 원
자산총액 (2023년 12월)78,014억 원
주주 구성
주요 주주삼성SDI주식회사 외 특수관계인: 20.65%
삼성물산6.97%
고용
직원 수 (2023년 12월)6,500명
모기업
모기업삼성그룹
주식 정보
사업 영역
주요 사업수력 탄화수소, 산업, 환경, 인프라 관련 플랜트 및 시설 프로젝트 관리, 엔지니어링, 조달, 건설 및 시운전

2. 역사

1970년 1월 20일 '코리아엔지니어링'이라는 이름으로 출범했다.[5] 1978년 삼성그룹에 인수되었다.[5] 1970년대와 80년대 동안 한국 정부는 중화학 공업 발전을 우선시했으며 한국엔지니어링은 한국석유공사 정유 공장, 남해화학 비료 공장, 호남석유화학 공장 등과 같은 프로젝트 설계를 담당했다.

1991년 삼성엔지니어링으로 사명을 변경했다.[5] 1993년, 태국에서 첫 해외 프로젝트인 천연 가스 분리 플랜트를 수주했다.[5] 1990년대와 2000년대에 걸쳐 삼성엔지니어링은 국제적 확장을 지속했으며 현재 해외 프로젝트가 회사 사업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2010년대에 삼성엔지니어링은 발전소, 제철소 등 새로운 사업 분야로 확장하는 동시에 사우디아라비아아랍에미리트에서 수십억 달러 규모의 복잡한 프로젝트를 수주했다. 회사는 이러한 프로젝트 실행에 대한 준비가 미흡하여 2015년에 13억 미국 달러의 손실을 기록했다.[6] 2024년, 사명을 삼성E&A로 변경하였다.

2. 1. 1970년대: 대한민국 엔지니어링 산업의 태동

1970년 대한석유공사 제3상압증류탑을 수주하고, 기술용역회사 '코리아 엔지니어링'이 설립되었다. 1973년 한국종합화학 비료 프로젝트를 수주하고, 1974년 플랜트엔지니어링 용역업으로 등록하였다. 1975년 서울시 도시가스 프로젝트를 수주하고, 1976년 호남석유화학 에틸렌 프로젝트를 수주하였다. 1977년 일본 TEC와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 1978년 대한석유공사 LUBE OIL 프로젝트를 수주하였고, 삼성그룹이 코리아 엔지니어링을 인수하였다. 1979년에는 당시 동양 최대 규모였던 남해화학 프로젝트를 독자적으로 수행하였다.

2. 2. 1980년대: 기술 자립과 성장

1981년 온산의 쌍용오일 정유 공장 프로젝트를 수주했다. 1982년에는 고려화학의 폐열 회수 프로젝트를 수주했다. 1983년에는 컴퓨터 지원 설계 시스템(CAD)을 도입하고 삼성그룹 내 엔지니어링 기술 센터로 지정되었다. 1984년 삼성반도체통신 기흥 반도체 프로젝트를 완료했다. 1985년에는 종합 환경 기술 서비스 제공업체로 등록되었다.

1986년 삼성석유화학으로부터 TA/PTA 프로젝트를 수주했다. 1987년에는 기술연구소를 설립했다. 1988년 삼성종합화학으로부터 대산 석유화학 단지 프로젝트(최초의 EPC 턴키 프로젝트)와 인도네시아 EO/EG 프로젝트(회사 최초의 해외 EPC 턴키 프로젝트)를 수주했다.

2. 3. 1990년대: 해외 진출과 도약

1991년, 국내 엔지니어링 업계 최초로 환경기술연구소를 개소하고, 삼성엔지니어링주식회사로 상호를 변경했다. 1992년에는 진로쿠어스 맥주공장 프로젝트를 수주했다. 1994년에는 품질경영시스템 ISO9001 인증을 획득하고, 중국의 Jilin EOEG 프로젝트와 태국의 TPI Ethylene 프로젝트를 수주하며 동남아시아 시장에 진출했다. 1995년에는 삼성SDI 천안공장 프로젝트를 수주했다. 1996년에는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되었고, 업계 최초로 수주 및 매출 1조 원을 돌파했다. 1999년에는 멕시코 PEMEX Refinery 프로젝트를 수주하며 중남미 시장에 진출했고, 지산 하수종말처리시설을 수주했다.

2. 4. 2000년대: 글로벌 경쟁력 강화

삼성E&A는 2000년대에 들어서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했다. 2001년 사우디아라비아 시장에 진출하여 SPC PDH/PP 프로젝트를 수주하고, 베트남에서 Phu My Fertilizer 프로젝트, 동해-1 가스전 공사를 수주하며 해외 사업을 확장했다. 2002년에는 2002년 FIFA 월드컵 주경기장을 완공하고, 삼성SDI PDP 프로젝트를 수주했으며, 서울 도곡동에 신사옥을 건립했다.

2005년에는 멕시코에서 Minatitlan Package6, 사우디아라비아에서 TASNEE Ethylene 프로젝트, SHARQ EG 프로젝트, APPC PDH/PP 프로젝트를 수주하고, 용인시 민자 하수처리 사업을 수주했다. 2006년에는 인도, 미국, 사우디아라비아에 법인을 설립하며 글로벌 설계 역량을 강화했다.

2007년에는 태국에서 PTT ESP, GSP-6 프로젝트, 사우디아라비아에서 Ma’aden Ammonia 프로젝트와 Aramco DHT 프로젝트, 아랍에미리트(UAE)에서 BOROUGE-2 OCU 프로젝트를 수주했다. 2008년에는 바레인에서 Bapco 윤활기유 프로젝트를 수주했다. 2009년에는 아랍에미리트(UAE)에서 ADNOC Refining U&O 프로젝트와 ICAD 폐수처리 프로젝트, 알제리에서 Skikda Refinery 프로젝트를 수주하며 중동 지역에서의 사업을 확장했다.

2. 5. 2010년대: 사업 다각화와 혁신

삼성E&A는 2010년 한국타이어 No.2 프로젝트(헝가리)와 SULB Steel Mill Project(바레인)를 수주하며 사업 다각화를 시작했다. 같은 해, 미국 시장에 진출하여 다우(Dow)사로부터 팔콘(Falcon) 프로젝트를 수주하고, 국내 엔지니어링 회사 최초로 AA− 기업 신용 등급을 획득했다. 2011년에는 DJSI 코리아 지수에 편입되었고, 삼성바이오로직스 EDISON Ⅱ 프로젝트, Muharraq 하수처리 프로젝트(바레인), Shaybah NGL 프로젝트(사우디아라비아) 등 다수의 해외 프로젝트를 수주했다.

2012년에는 Material Management System을 구축하고, 동아제약 DM Bio 프로젝트를 수주했으며, GEC 신사옥으로 입주했다. 또한, ADNOC Refining Carbon Black & Delayed Coker(CBDC) 프로젝트(UAE)를 수주했다. 2013년에는 Petronas TGAST Development 프로젝트(말레이시아)를 수주하고, 설계 산출물 관리 시스템인 Engineering Work Place를 구축했으며, 삼성전기 SEMV 프로젝트(베트남)를 수주했다.

2014년에는 KNPC Clean Fuel Project MAB#1 PKG 프로젝트(쿠웨이트)를 수주했다. 2015년에는 Petronas RAPID Package #11 EO/EG 프로젝트(말레이시아), Petronas RAPID Package #6A LLDPE 프로젝트(말레이시아), Lotte Chemical LA MEG 프로젝트(미국, Off-site Module 본격 적용)를 수주하고, 삼성전자 평택 반도체 프로젝트(초순수, 폐수, 정수, 배기 154kv 등)를 수주했다.

2016년에는 삼성전자 SEHC 프로젝트(베트남)를 수주하고, 기준정보 기반 전사 ERP 구축 (CUBE ERP) 및 SP3D 기반 설계업무 자동화 시스템을 개발했다. 또한 한미약품 평택 Bio Plant, 넥센타이어 프로젝트(체코), 삼성SDI 자동차배터리 프로젝트(헝가리)를 수주했다. 2017년에는 GC Oxirane PO 프로젝트(태국)를 수주하고, S&P Global Platts Awards CSR 부문을 수상했으며, 삼성전자 화성 반도체 E 프로젝트(초순수, 폐수, 배기) 및 BAPCO Modernization Program(바레인), 삼성전자 Xian X2 Utility 프로젝트(중국)를 수주했다.

2018년에는 MEED지 선정 Top EPC contractor Oil & Gas 부문 3위에 선정되었고, ADNOC Refining Crude Flexibility 프로젝트(UAE), Thai Oil CF 프로젝트(태국), PTTGC ORP 프로젝트(태국)를 수주했다. 2019년에는 Saudi Aramco HUGRS 프로젝트(사우디아라비아), Sarawak Methanol 프로젝트(말레이시아), Volta 전지박 Phase 1, 2 프로젝트(헝가리)를 수주했다.

2. 6. 2020년대: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도약

2020년, 삼성E&A는 AWP 기반 사업관리 시스템(S-AWP)을 구축하고, 3D 모델 기반 설계 업무 플랫폼인 Smart Work Place 3D를 구축하였다. 또한, 창사 이래 최대 규모인 4.5조원 규모의 멕시코 Pemex Dos Bocas Refinery 프로젝트를 수주하였으며, 창립 50주년을 맞이했다.

2021년에는 AR기반 품질관리 시스템(S-ARMS)을 구축하고, 암모니아 기반 청정수소 생산기술 플랜트 실증사업에 참여하였다. 사우디아라비아에서 Saudi Aramco Jafurah GPF 프로젝트와 APOC PDH & UTOS 프로젝트를 수주하였고, 혁신솔루션 대외사업화(EP+F / S-Hub)를 추진하였다. 또한, 세계 최초로 배관 로봇 자동화 기술(Smart Piping Shop)을 개발하였고, Baker Hughes롯데케미칼과 각각 탄소 포집·활용·저장 기술(CCUS) 및 수소 이용 분야, 탄소중립 및 친환경사업 관련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수소 및 탄소중립 사업화와 기술확보를 위해 SVIC 친환경 신기술 펀드를 신규 조성하였다.

2022년, 프로젝트 분야 ISO 통합 인증(ISO 21502-21505)을 세계 최초로 취득하였고, 서해권역 청정 암모니아 공급망 구축 MOU를 체결하였다. 삼성바이오로직스 EDISON IV 프로젝트를 통해 건설업 최초로 폐기물 매립제로 등급을 획득하였다. 말레이시아에서는 Sarawak H2biscus Hydrogen 프로젝트와 Shepherd CCS 프로젝트 MOU를 체결하였고, Sarawak Shell OGP 프로젝트를 수주하였다. 또한, 사우디 아람코와 National EPC Champion 협약을 체결하고, 베트남 수처리회사 DNP Water 지분을 인수하였다. Engineering Data Platform을 구축하고 건설용 3D 프린터를 개발하였으며, 러시아에서 BCC Ethane Cracker 프로젝트를 수주하였다. SP3D를 통한 업무 자동화(Rule Check 자동화, Civil Inform. 자동화, 도면 Touch-up 최소화, 무도면화, ARS 등)를 이루어냈다.

2023년, 삼성E&A 등 글로벌 컨소시엄은 오만에서 그린수소 독점 개발 사업권을 확보하였다. 오스트리아 OMV 및 미국 SHAW와 각각 Module 및 Energy Transition 분야, 프로젝트 개발 및 Module 분야 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하였다. 카타르 RLP 에틸렌 프로젝트 계약을 체결하고, 캐나다 SVANTE와 MOU를 체결하였다.[7]

2024년, 창사 이래 최대 규모의 프로젝트인 사우디 아람코 Fadhili Gas Increment Program #1, #4를 수주하였고, 사명을 삼성E&A로 변경하였다. 미국 Shaw社 Smart Piping Shop 상업 생산을 시작하고, 제 1회 E&Able Tech Forum 2024를 개최하였다. 카타르 라스라판 석유화학 플랜트를 수주하고, 말레이시아 바이오 정유 플랜트 수주로 SAF 시장에 최초로 진출하였으며, 셰퍼드 CCS Summit을 개최하였다.

3. 사업 분야

3. 1. 화공

3. 2. 비화공

4. 기술 혁신

4. 1. 주요 기술

5. ESG 경영

5. 1. 주요 활동

5. 2. 외부 기관 평가

삼성E&A는 세계 각지의 1,000여개가 넘는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으며, 끊임없는 고객 가치 향상 노력과 완벽한 품질 구현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다. 공신력을 갖춘 해외 유수의 평가 기관 및 언론매체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아오고 있는데, 다우 존스 지속가능경영 지수(Dow Jones Sustainability Indices) Asia Pacific 건설 및 엔지니어링 부문에 12년 연속 편입되고 있으며, 2009년부터 참여한 탄소 정보 공개 프로젝트(Carbon Disclosure Project) 평가 결과 Management 부문 B 등급을 부여 받았고, 한국ESG기준원(KCGS)으로부터 8년 연속 ESG 통합등급 A 등급을 받았다.

참조

[1] 웹사이트 Income https://www.samsunge[...] 2021-08-24
[2] 웹사이트 2020 Sustainably Report http://www.samsungen[...] 2021-08-24
[3] 웹사이트 지분현황 – 삼성엔지니어링 https://comp.wiserep[...] 2021-07-10
[4] 웹사이트 Samsung Engineering stock http://data.krx.co.k[...] 2021-08-24
[5] 웹사이트 History https://www.samsunge[...] 2019-11-26
[6] 뉴스 Samsung Engineering in $1 bln rights issue after huge loss; shares dive https://www.reuters.[...] 2019-11-26
[7] 웹사이트 Samsung Engineering https://samsungengin[...] 2023-11-01
[8] 웹인용 삼성엔지니어링 https://samsungengin[...] 2023-1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