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중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중점은 물질의 세 가지 상(고체, 액체, 기체)이 평형을 이루는 특정 온도와 압력 조건이다. 상평형 그림에서 세 상전이 곡선이 만나는 지점으로, 기브스 상률에 따라 순물질의 삼중점은 단 한 점으로 결정된다. 물, 황, 헬륨 등 다양한 물질이 삼중점을 가지며, 물의 삼중점은 국제 온도 눈금(ITS-90)의 온도 고정점으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문턱 온도 - 녹는점
녹는점은 고체가 액체로 변하는 온도로, 물질의 순도 확인 및 소재 개발에 활용되며, 압력, 불순물, 결정 구조 등의 영향을 받는다. - 문턱 온도 - 이슬점
이슬점은 기압이 일정할 때 공기 중 수증기가 액체 물로 응결되기 시작하는 온도로, 공기 중 수증기량에 따라 습도를 나타내며, 이슬, 서리, 안개, 구름 생성과 관련되고, 기상 예보, 공압 기기 성능 평가, 인간의 쾌적함에 영향을 미친다. - 온도 - 절대 영도
절대영도는 열역학적으로 정의된 최저 온도로, 물질 입자의 에너지가 최소 상태이며, 엔트로피가 0이 되지만, 양자역학적 영점 진동으로 인해 실험적으로 도달할 수 없고, 극저온에서 특이한 양자 현상이 나타나며, 열역학 제3법칙에 따라 유한 번의 조작으로 도달할 수 없다. - 온도 - 상온
상온은 분야에 따라 다르게 정의되며, 라이프 사이언스에서는 20℃, 미생물학에서는 25℃, 일본산업규격에서는 5~35℃, 일본약국방에서는 15~25℃의 온도 범위를 의미한다. - 상전이 - 녹는점
녹는점은 고체가 액체로 변하는 온도로, 물질의 순도 확인 및 소재 개발에 활용되며, 압력, 불순물, 결정 구조 등의 영향을 받는다. - 상전이 - 승화 (화학)
승화는 고체가 액체 상태를 거치지 않고 기체로 직접 변하는 물리적 변화 과정으로, 드라이아이스나 요오드와 같은 물질에서 나타나며 동결건조, 지문 검출, 고순도 물질 정제 등에 활용된다.
삼중점 |
---|
2. 삼중점의 형태와 원리
상평형 그림에서 세 상전이 곡선(융해 곡선, 증기 압력 곡선, 승화 곡선)이 만나는 점이 삼중점이다. 삼중점에서는 고체, 액체, 기체가 공존한다.
순물질은 삼중점에서 1성분 3상계이므로, 기브스 상률에 의해 자유도는 0이 된다. 따라서 끓는점이나 녹는점과 달리, 순물질의 삼중점은 온도와 압력이 단 하나로 결정된다. 즉, 삼중점은 그 물질에 고유한 값이다. 온도-압력 상태 그림에서는 증기압 곡선(파랑), 융해 곡선(녹색), 승화 곡선(빨강)이 만나는 점이 삼중점이다. 증기압 곡선과 승화 곡선을 보면, 액체와 고체의 증기압이 같은 온도가 삼중점 온도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증기압 곡선과 융해 곡선을 보면, 끓는점이 어는점과 같아지는 압력이 삼중점 압력임을 알 수 있다.
액체는 삼중점 압력보다 낮은 압력에서는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없지만, 준안정상으로는 존재할 수 있다. 과냉각수는 물의 준안정상이다. 과냉각수의 수증기압은 물의 삼중점 압력보다 낮으므로, 기액 평형을 유지하며 물을 과냉각하면 삼중점 압력보다 낮은 액체 상태를 만들 수 있다.
황은 대기압에서 안정한 동소체로 사방황과 단사황이 있다. 고체 상태가 두 가지이므로, 사방황-단사황-기체, 단사황-액체-기체, 사방황-단사황-액체, 사방황-액체-기체의 네 가지 삼중점이 가능하다. 이 네 삼중점은 모두 관측되었다.[33]
- 사방황의 승화 곡선(그림의 DA)과 단사황의 승화 곡선(AC)이 만나는 점 A는 사방황-단사황-기상 삼중점이다. 이 온도는 대기압에서 사방황과 단사황이 평형을 이루는 온도와 거의 같다.
- 단사황의 승화 곡선(AC)과 액체 황의 증기압 곡선(CF)이 만나는 점 C는 단사황-액상-기상 삼중점이다. 이 온도는 대기압에서 단사황의 녹는점과 거의 같다.
- 단사황은 사방황보다 밀도가 작으므로, 두 고체가 평형을 이루는 온도(깁스 자유 에너지가 같아지는 온도)는 압력이 높을수록 높아진다(그림의 AB). 이 곡선(AB)과 단사황의 용융 곡선(CB)이 만나는 점 B는 사방황-단사황-액상 삼중점이다. 이 압력은 1000기압이 넘는다.
- 사방황의 승화 곡선(DO)과 과냉각 액체 황의 증기압 곡선(OC)이 만나는 점 O는 사방황-액상-기상 삼중점이다. 이 삼중점 O는 단사황이 가장 안정한 영역(ABC) 안에 있다. 이 영역에서는 사방황, 액상, 기상 모두 준안정상이나, 사방황에서 단사황으로의 상전이 속도가 매우 느려 준안정한 삼중점을 관측할 수 있다. 이 온도는 대기압에서 사방황의 녹는점과 거의 같다.
상 | 온도 / K | 압력 / Pa |
---|---|---|
사방황-단사황-기상 | 368.5 | 1.1 |
단사황-액상-기상 | 393.0 | 3.7 |
사방황-단사황-액상 | 424 | |
사방황-액상-기상 | 387.1 | 3.4 |
1기압에서 헬륨의 끓는점은 4.2 K이다. 이 온도에서 기체-액체 평형 상태의 헬륨을 천천히 배기하면, 증기압 곡선을 따라 4.2 K에서 냉각된다. 온도가 2.1768 K에 이르면, 액체 헬륨은 초유동 상태로 상전이한다. 이때 압력은 5042 Pa[34]이며, 이 온도와 압력을 헬륨-4의 λ점이라 한다. λ점은 상 그림에서 기체, 정상 유동상(He-I), 초유동상(He-II)에 둘러싸여 있어 헬륨의 삼중점 중 하나로 보기도 한다[35]。그러나 IUPAC 정의에 따르면 λ점은 삼중점이 아니다. 정상 유동상에서 초유동상으로의 상전이는 연속 상전이(2차 상전이)이므로, 두 상은 공존할 수 없기 때문이다.
정상 유동상에서 초유동상으로의 상전이 온도는 상 그림에서 He-I과 He-II의 경계선으로 나타나며, 이를 λ선이라 한다. λ선과 융해 곡선의 교점도 헬륨-4의 λ점이라 한다. 이 λ점의 온도와 압력은 1.762 K, 30.11 bar이다[36].
상 그림에서 보듯 헬륨은 25기압 이상으로 가압해야 결정화된다. 따라서 헬륨에는 기체-액체-고체 삼중점은 없다.
헬륨의 고체 상태로는 육방 밀집 구조(hcp)와 체심 입방 구조(bcc)가 있다. hcp는 저온 고압에서 안정하며, 그림에 표시된 고체 영역 대부분에서 안정하다. 반면 bcc는 λ선과 융해 곡선 교점 부근의 좁은 영역에서 안정하다. 이 두 고체는 액체와 함께 삼상 공존할 수 있으므로, 헬륨에는 고체-고체-액체 삼중점이 두 개 있다.
상 | 온도 / K | 압력 / Pa |
---|---|---|
He-I/He-II/기상[34] | 2.1768 | 5042 |
He-I/He-II/bcc[36] | 1.762 | |
hcp/bcc/He-I[36] | 1.772 | |
hcp/bcc/He-II[36] | 1.463 |
2. 1. 상평형 그림
삼중점은 상평형 그림에서 세 상전이 곡선, 즉 융해 곡선, 증기 압력 곡선, 승화 곡선이 만나는 점이다. 이 점에서 고체, 액체, 기체가 공존한다.
2019년 SI 단위 개정으로 물의 삼중점 값은 더 이상 정의점으로 사용되지 않지만, 여전히 중요한 경험적 값이다. 액체 물, 고체 얼음, 수증기가 안정적으로 평형을 이루는 압력과 온도의 고유한 조합은 약 이며, 증기압은 이다.
액체 물은 삼중점 이상의 압력에서만 존재할 수 있다. 이보다 낮은 압력(예: 우주의 진공)에서는 고체 얼음이 승화하여 바로 수증기로 변한다. 반대로, 삼중점 이상에서는 고체 얼음이 가열되면 먼저 액체 물로 녹고, 더 높은 온도에서 증발하여 수증기가 된다.
대부분의 물질에서 기체-액체-고체 삼중점은 액체가 존재할 수 있는 최저 온도이지만, 물은 예외이다. 일반 얼음의 녹는점은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기 때문이다.
고압에서 물은 15개의 알려진 얼음 상과 여러 삼중점을 갖는 복잡한 상 평형 그림을 보인다. 예를 들어, 251 K (−22 °C) 및 210 MPa (2070 atm)에서의 삼중점은 얼음 Ih (일반 얼음), 얼음 III 및 액체 물이 모두 평형 상태로 공존하는 조건이다.
안정 평형 상태의 상 | 압력 | 온도 |
---|---|---|
액체 물, 얼음 Ih, 및 수증기 | 611.657Pa | 273,160 (0.01 °C) |
액체 물, 얼음 Ih, 및 얼음 III | 209.9MPa | 251,000 (−22 °C) |
액체 물, 얼음 III, 및 얼음 V | 350.1MPa | −17.0 °C |
액체 물, 얼음 V, 및 얼음 VI | 632.4MPa | 0.16 °C |
얼음 Ih, 얼음 II, 및 얼음 III | 213MPa | −35 °C |
얼음 II, 얼음 III, 및 얼음 V | 344MPa | −24 °C |
얼음 II, 얼음 V, 및 얼음 VI | 626MPa | −70 °C |
순물질의 삼중점은 기브스 상률에 의해 자유도가 0이므로 단 한 점으로 결정된다. 즉, 그 물질에 고유한 온도 및 압력이다. 상태 그림에서 증기압 곡선(파랑), 융해 곡선(녹색), 승화 곡선(빨강)이 일치하는 점이 삼중점이다.
액체상은 삼중점 압력보다 낮은 압력에서는 열역학적으로 안정된 상으로 존재할 수 없지만, 준안정상으로는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냉각수는 물의 준안정상이다.
황은 대기압 하에서 안정한 동소체로 사방황과 단사황이 있다. 고상이 두 개이므로, 사방-단사-기, 단사-액-기, 사방-단사-액, 사방-액-기의 4가지 삼중점이 존재한다.
상 | 온도 / K | 압력 / Pa |
---|---|---|
사방황-단사황-기상 | 368,500 | 1.1Pa |
단사황-액상-기상 | 393,000 | 3.7Pa |
사방황-단사황-액상 | 424,000 | |
사방황-액상-기상 | 387,100 | 3.4Pa |
헬륨은 25기압 이상으로 가압해야 결정화되므로, 기상-액상-고상의 삼중점은 존재하지 않는다. 헬륨의 λ점은 상 그림상에서 기상, 정상 유동상(He-I), 초유동상(He-II)에 둘러싸여 있어 삼중점으로 간주되기도 하지만, IUPAC 정의에 따르면 삼중점이 아니다.
헬륨에는 고상-고상-액상의 삼중점이 두 개 존재한다.
상 | 온도 / K | 압력 / Pa |
---|---|---|
He-I/He-II/기상[34] | 2,176.8 | 5042Pa |
He-I/He-II/bcc[36] | 1,762 | |
hcp/bcc/He-I[36] | 1,772 | |
hcp/bcc/He-II[36] | 1,463 |
2. 2. 상 변화
물질은 삼중점에 있을 때 세 가지 상이 공존한다. 상변화와 유사하게, 이 상들은 상호 평형을 이룬다. 고체, 액체, 기체가 공존하는 삼중점에서 냉각할 경우 기체가 점점 액체와 고체가 되며 가열할 경우 고체와 액체가 점점 기체가 된다. 또한 압력을 가하면 기체와 액체가 고체로 되며(물의 상황은 특별함) 압력을 낮추면 고체와 액체가 기체로 변한다.
2019년 SI 단위 개정 이후 물의 삼중점 값은 더 이상 정의점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경험적 값은 여전히 중요한데, 액체 물, 고체 얼음, 수증기가 안정적인 평형 상태로 공존하는 압력과 온도의 고유한 조합은 약 이며, 증기압은 이다.
액체 물은 삼중점과 같거나 그 이상의 압력에서만 존재할 수 있다. 이보다 낮은 압력, 즉 우주의 진공 상태에서는 고체 얼음이 승화하여, 일정한 압력에서 가열될 때 바로 수증기로 변한다. 반대로, 삼중점 이상에서는 고체 얼음이 일정한 압력에서 가열되면 먼저 액체 물로 녹고, 더 높은 온도에서 증발하거나 끓어 수증기를 형성한다.
대부분의 물질에서 기체-액체-고체 삼중점은 액체가 존재할 수 있는 최저 온도이다. 하지만 물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일반 얼음의 녹는점은 상평형 그림의 녹색 점선에서 볼 수 있듯이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 삼중점 바로 아래에서 일정한 온도에서 압축하면 수증기가 먼저 고체로, 그 다음 액체로 변한다.
삼중점에 있는 순물질은 1성분 3상계이므로, 기브스 상률에 의해 자유도는 0이 된다. 따라서 1성분 2상계인 끓는점이나 녹는점과는 달리, 순물질의 삼중점은 단 한 점으로 결정된다. 즉 삼중점은 그 물질에 고유한 온도 및 압력이 된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온도-압력으로 나타낸 상태 그림 위에서는 증기압 곡선(파랑), 융해 곡선(녹색), 승화 곡선(빨강)의 3개의 선이 일치하는 점이 삼중점이다.
액체상은 삼중점 압력보다 낮은 압력에서는 열역학적으로 안정된 상으로는 존재할 수 없다. 다만 준안정상으로는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냉각수는 물의 준안정상이다.
대기압 하에서 안정적인 황의 동소체로서 사방황과 단사황이 알려져 있다. 고상이 두 개 있으므로 공존하는 삼상으로 사방-단사-기, 단사-액-기, 사방-단사-액, 사방-액-기의 4가지가 생각할 수 있다. 그림과 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4개의 삼중점은 모두 관측되었다.
상 | 온도 / K | 압력 / Pa |
---|---|---|
사방황-단사황-기상 | 368.5 | 1.1 |
단사황-액상-기상 | 393.0 | 3.7 |
사방황-단사황-액상 | 424 | |
사방황-액상-기상 | 387.1 | 3.4 |
1기압에서의 헬륨의 끓는점은 4.2 K이다. IUPAC의 정의에 따르면, 헬륨-4의 λ점은 삼중점이 아니다. 왜냐하면 정상 유동상에서 초유동상으로의 상전이는 연속 상전이(2차 상전이)이므로, 정상 유동상과 초유동상은 상으로 공존할 수 없기 때문이다.
헬륨은 25기압 이상으로 가압하지 않으면 결정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헬륨에는 기상-액상-고상의 삼중점은 존재하지 않는다.
헬륨에는 고상-고상-액상의 삼중점이 두 개 알려져 있다.
상 | 온도 / K | 압력 / Pa |
---|---|---|
He-I/He-II/기상[34] | 2.1768 | 5042 |
He-I/He-II/bcc[36] | 1.762 | |
hcp/bcc/He-I[36] | 1.772 | |
hcp/bcc/He-II[36] | 1.463 |
물은 강한 수소 결합 때문에 얼면서 부피가 늘어나고, 다른 물질들과 달리 융해 곡선이 온도와 압력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다.[37] 이는 얼음판 위에서 스케이트를 탈 수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스케이트 날에 의해 체중이 얼음에 실려 압력을 받으면 어는점이 낮아져 얼음 표면이 녹아 스케이트 날이 미끄러지게 된다. 물의 고체상인 얼음은 다양한 형태가 있어 다른 삼중점들도 존재한다. 물의 고체, 액체, 기체가 모두 존재하는 삼중점은 273.16K(0.01 °C, 32.02 °F), 611.657Pa (6.11657 mbar, 0.00603659 atm)이다. 물을 이루는 수소와 산소는 동위 원소를 가지므로, 실제로는 빈 표준 평균 바닷물이라는 정해진 동위원소 비율을 가진 물의 삼중점을 기준으로 한다.
3. 물의 삼중점
2019년까지 물의 삼중점은 국제단위계(SI)에서 켈빈을 정의하는 데 사용되었다. 켈빈(K)은 물의 삼중점의 열역학적 온도의 1/273.16으로 정의되었다. 이때 압력은 611.657 ± 0.010 Pa (약 0.006 기압)이다.[24] 이 정의에 사용되는 물은 동위 원소 조성이 정해진 빈 표준 평균 해수(VSMOW)이다.[25]
삼중점 셀이라는 유리 용기에 고순도 물을 넣어 밀봉하면 물의 삼중점을 재현할 수 있다. 산업기술종합연구소 계량표준종합센터의 연구에 따르면, 물의 삼중점 온도의 불확도는 0.1 mK이다.[26]
화성의 "고도 0 m"는 물의 삼중점 압력과 같은 기압을 나타내는 고도로 정해져 있다.
3. 1. 기체-액체-고체 삼중점
삼중점은 상평형 그림에서 세 상전이 곡선이 만나는 점이다. 고체, 액체, 기체가 공존하는 삼중점에서는 융해 곡선, 증기 압력 곡선, 승화 곡선이 만나는 점이 된다.
물질은 삼중점에 있을 때 세 상이 공존한다. 상변화와 유사하게, 이 상들은 상호 평형을 이룬다. 고체, 액체, 기체가 공존하는 삼중점에서 냉각할 경우 기체가 점점 액체와 고체가 되며 가열할 경우 고체와 액체가 점점 기체가 된다. 또한 압력을 가하면 기체와 액체가 고체로 되며(물의 상황은 특별하므로 아래 내용 참조) 압력을 낮추면 고체와 액체가 기체로 변한다. 상평형을 이루는 곡선들은 대개 압력이나 온도축에 평행하지 않은 각도로 삼중점에 접하기 때문에 압력이나 온도만 변화시켜서는 곧 하나의 상만 얻을 수 있으나, 압력과 온도를 적당히 동시에 변화시킨다면 두 상에 있는 물질을 얻을 수 있다. 반대로 상태 변화 중에 있는 물질을 그에 해당하는 곡선에 따라 이동시킨다면 나머지 하나의 상이 생기는데, 삼중점에 다다른 것이다.
물은 강한 수소 결합을 이루기 때문에 응고하면서 부피가 증가하며, 다른 물질들과 달리 융해 곡선이 온도-압력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기울어 있다.[37] 얼음판 위에서 스케이트를 탈 수 있는 까닭이기도 하다(날에 의해 체중이 얼음에 실리면서 압력을 받았을 때 어는점이 현재 온도보다 낮아지면 표면의 얼음이 녹게 되고 스케이트 날이 미끄러진다). 물의 고체상인 얼음은 다양한 형태가 존재하여, 다른 삼중점들도 있다. 물의 고체, 액체, 기체가 공존하는 삼중점은 273.16K(0.01 °C, 32.02 °F), 611.657Pa (6.11657 mbar, 0.00603659 atm)이다. 물을 구성하는 수소와 산소는 동위 원소를 가지므로, 실제로는 빈 표준 평균 바닷물이라는 정해진 동위원소 비율을 가지는 물의 삼중점을 기준으로 한다.
2019년 SI 단위 개정 이후 물의 삼중점 값은 더 이상 정의점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경험적 값은 여전히 중요한데, 액체 물, 고체 얼음, 수증기가 안정적인 평형 상태로 공존하는 압력과 온도의 고유한 조합은 약 273.16K이며, 증기압은 611.657Pa이다.
액체 물은 삼중점과 같거나 그 이상의 압력에서만 존재할 수 있다. 이보다 낮은 압력, 즉 우주의 진공 상태에서는 고체 얼음이 승화하여, 일정한 압력에서 가열될 때 바로 수증기로 변한다. 반대로, 삼중점 이상에서는 고체 얼음이 일정한 압력에서 가열되면 먼저 액체 물로 녹고, 더 높은 온도에서 증발하거나 끓어 수증기를 형성한다.
대부분의 물질에서 기체-액체-고체 삼중점은 액체가 존재할 수 있는 최저 온도이다. 하지만 물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일반 얼음의 녹는점은 상평형 그림의 녹색 점선에서 볼 수 있듯이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 삼중점 바로 아래에서 일정한 온도에서 압축하면 수증기가 먼저 고체로, 그 다음 액체로 변한다.
역사적으로 화성으로의 마리너 9호 임무 동안 물의 삼중점 압력은 "해수면"을 정의하는 데 사용되었다. 현재는 레이저 고도계 및 중력 측정을 통해 화성 고도를 정의하는 것을 선호한다.
삼중점에 있는 순물질은 1성분 3상계이므로, 기브스 상률에 의해 자유도는 0이 된다. 따라서 1성분 2상계인 끓는점이나 녹는점과는 달리, 순물질의 삼중점은 단 한 점으로 결정된다. 즉 삼중점은 그 물질에 고유한 온도 및 압력이 된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온도-압력으로 나타낸 상태 그림 위에서는 증기압 곡선(파랑), 융해 곡선(녹색), 승화 곡선(빨강)의 3개의 선이 일치하는 점이 삼중점이다. 증기압 곡선과 승화 곡선에 주목하면, 액체와 고체의 증기압이 일치하는 온도가 삼중점의 온도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증기압 곡선과 융해 곡선에 주목하면, 끓는점이 어는점과 같아지는 압력이 삼중점의 압력임을 알 수 있다.
액체상은 삼중점 압력보다 낮은 압력에서는 열역학적으로 안정된 상으로는 존재할 수 없다. 다만 준안정상으로는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냉각수는 물의 준안정상이다. 과냉각수의 수증기압은 물의 삼중점 압력보다 낮으므로, 기액 평형을 유지한 채 물을 과냉각함으로써 삼중점 압력보다 저압의 액상을 준안정상으로 실현할 수 있다.
2019년까지, 물의 삼중점은 국제단위계(SI)에서 켈빈의 정의에 사용되었다. 켈빈(K)은 물의 삼중점의 열역학적 온도의 1/273.16으로 정의되었다. 이 정의에 따라 물의 삼중점은 엄밀히 0.01 °C (273.16 K)이다. 이때의 압력은 611.657 ± 0.010 Pa (약 0.006 기압)이다[24]。이 정의에 사용되는 물은 엄밀히 동위 원소 조성이 정해진 빈 표준 평균 해수(VSMOW)이다.[25]
산업기술종합연구소 계량표준종합센터의 연구에 따르면, 물의 삼중점 온도의 불확도는 0.1 mK이다.[26]
한편 화성의 "고도 0 m"는 물의 삼중점에서의 압력과 동일한 기압을 나타내는 고도로 정해져 있다.
대기압 하에서 안정적인 황의 동소체로서 사방황과 단사황이 알려져 있다. 고상이 두 개 있으므로 공존하는 삼상으로 사방-단사-기, 단사-액-기, 사방-단사-액, 사방-액-기의 4가지가 생각할 수 있다. 그림과 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4개의 삼중점은 모두 관측되었다.
상 | 온도 / K | 압력 / Pa |
---|---|---|
사방황-단사황-기상 | 368.5 | 1.1 |
단사황-액상-기상 | 393.0 | 3.7 |
사방황-단사황-액상 | 424 | |
사방황-액상-기상 | 387.1 | 3.4 |
1기압에서의 헬륨의 끓는점은 4.2 K이다. 이 온도에서 기액 평형에 있는 헬륨을 서서히 배기하면, 증기압 곡선을 따라 헬륨은 4.2 K에서 서서히 냉각된다. 온도가 2.1768 K에 도달하면, 액체 헬륨은 초유동 상으로 상전이한다. 이때의 압력은 5042 Pa[34]이며, 이 온도와 압력을 헬륨-4의 λ점이라고 한다. 이 λ점은 상 그림상에서 기상과 정상 유동상(He-I)과 초유동상(He-II)의 삼상에 둘러싸여 있으므로, 헬륨의 삼중점 중 하나로 간주되기도 한다.[35]
상 | 온도 / K | 압력 / Pa |
---|---|---|
He-I/He-II/기상[34] | 2.1768 | 5042 |
He-I/He-II/bcc[36] | 1.762 | |
hcp/bcc/He-I[36] | 1.772 | |
hcp/bcc/He-II[36] | 1.463 |
3. 2. 고압 상
고압에서 물은 15개의 알려진 얼음 상과 여러 삼중점을 갖는 복잡한 상 평형 그림을 가진다. 그림에는 이 중 10개의 좌표가 나와 있다. 예를 들어 251,000 (−22 °C) 및 210MPa (2070 atm)에서의 삼중점은 얼음 Ih (일반 얼음), 얼음 III 및 액체 물이 모두 평형 상태로 공존하는 조건이다. 또한 218,000 (−55 °C) 및 620MPa (6120 atm)에서 얼음 II, 얼음 V 및 얼음 VI와 같은 세 개의 고체 상이 공존하는 삼중점도 있다.액체와 평형 상태로 존재할 수 있는 이러한 고압 얼음 형태의 경우, 그림에서 용융점이 압력에 따라 증가한다. 273,000 (0 °C) 이상의 온도에서 수증기에 압력을 가하면 먼저 액체 물이 되고, 그 다음 고압 형태의 얼음이 된다. 이 범위에서는 먼저 얼음 I이 형성된 후 액체 물이 형성되고, 그 다음 얼음 III 또는 얼음 V가 형성되며, 그 다음 다른 더 조밀한 고압 형태가 형성된다.
안정 평형 상태의 상 | 압력 | 온도 |
---|---|---|
액체 물, 얼음 Ih, 및 수증기 | 611.657Pa[8] | 273,160 (0.01 °C) |
액체 물, 얼음 Ih, 및 얼음 III | 209.9MPa | 251,000 (−22 °C) |
액체 물, 얼음 III, 및 얼음 V | 350.1MPa | -17°C |
액체 물, 얼음 V, 및 얼음 VI | 632.4MPa | 0.16°C |
얼음 Ih, 얼음 II, 및 얼음 III | 213MPa | -35°C |
얼음 II, 얼음 III, 및 얼음 V | 344MPa | -24°C |
얼음 II, 얼음 V, 및 얼음 VI | 626MPa | -70°C |
3. 3. 삼중점 셀
삼중점 셀은 온도계의 교정에 사용된다. 정밀한 작업을 위해 삼중점 셀은 일반적으로 수소, 아르곤, 수은, 물과 같은 고순도 화학 물질로 채워진다(원하는 온도에 따라 다름). 이러한 물질의 순도는 백만 분의 1만이 오염 물질일 정도로 높을 수 있으며, 이는 99.9999% 순수하기 때문에 "식스 나인스"라고 불린다. 특정 동위원소 조성(물의 경우 VSMOW)이 사용되는데, 이는 동위원소 조성의 변화가 삼중점에 작은 변화를 일으키기 때문이다. 삼중점 셀은 매우 정확하고 재현 가능한 온도를 얻는 데 매우 효과적이어서, ITS–90이라고 하는 온도계에 대한 국제 교정 표준은 수소, 네온, 산소, 아르곤, 수은, 물의 삼중점 셀을 이용하여 6개의 기준 온도점을 정의한다.2019년까지, 물의 삼중점은 국제단위계(SI)에서 켈빈의 정의에 사용되었다. 켈빈(K)은 물의 삼중점의 열역학적 온도의 1/273.16으로 정의되었다. 이 정의에 따라 물의 삼중점은 엄밀히 0.01 °C (273.16 K)이다. 이때의 압력은 611.657 ± 0.010 Pa (약 0.006 기압)이다[24]。이 정의에 사용되는 물은 엄밀히 동위 원소 조성이 정해진 빈 표준 평균 해수(VSMOW)이다[25]。
삼중점 셀이라고 불리는 유리 용기에 고순도 물을 봉입한 셀을 사용하면 물의 삼중점을 재현성 있게 구현할 수 있다. 산업기술종합연구소 계량표준종합센터의 연구에 따르면, 물의 삼중점 온도의 불확도는 0.1 mK이다[26]。
한편 화성의 "고도 0 m"는 물의 삼중점에서의 압력과 동일한 기압을 나타내는 고도로 정해져 있다.
4. 다른 물질의 삼중점
여러 물질의 기체-액체-고체 삼중점에 대한 정보는 표에 나열되어 있다.
대기압 하에서 안정적인 황의 동소체로서 사방황과 단사황이 알려져 있는데, 고상이 두 개이므로 사방황-단사황-기상, 단사황-액상-기상, 사방황-단사황-액상, 사방황-액상-기상의 4가지 삼중점이 존재하며, 이들은 모두 관측되었다.[33]
1기압에서 헬륨의 끓는점은 4.2 K이며, 이 온도에서 헬륨을 서서히 냉각시키면 2.1768 K에서 액체 헬륨이 초유동 상으로 상전이한다. 이 지점을 헬륨-4의 λ점이라고 하며, 삼중점 중 하나로 간주되기도 하지만, IUPAC의 정의에 따르면 삼중점이 아니다.[34][35] 헬륨은 25기압 이상으로 가압해야 결정화되므로, 기상-액상-고상의 삼중점은 존재하지 않는다. 헬륨의 고상으로는 육방 밀집 구조(hcp)와 체심 입방 구조(bcc)가 있으며, hcp/bcc/He-I, hcp/bcc/He-II와 같이 고상-고상-액상 삼중점이 두 개 존재한다.
4. 1. 주요 물질의 삼중점
다음 표는 여러 물질의 기체-액체-고체 삼중점을 나열한 것이다. 별도로 명시하지 않는 한, 데이터는 미국 국립표준국(현재 NIST, 국립 표준 기술 연구소)에서 가져온 것이다.[9]물질 | T [K] (°C) | p [kPa]* (atm) |
---|---|---|
아세틸렌 | 192.4 | 120kPa |
암모니아 | 195.4 | |
아르곤 | 83.8058 | 68.9kPa |
비소 | 1090 | 3628kPa |
부탄[10] | 134.6 | |
탄소 (흑연) | 4765 | 10132kPa |
이산화 탄소 | 216.55 | 517kPa |
일산화 탄소 | 68.10 | 15.37kPa |
클로로포름[11][12] | 209.61 | ? |
중수소 | 18.63 | 17.1kPa |
에테인 | 89.89 | |
에탄올[13] | 150 | 4.3e-7kPa |
에틸렌 | 104.0 | 0.12kPa |
개미산[14] | 281.40 | 2.2kPa |
헬륨-4 (증기−He-I−He-II)[15] | 2.1768 | 5.048kPa |
헬륨-4 (hcp−bcc−He-II)[16] | 1.463 | 26.036kPa |
헬륨-4 (bcc−He-I−He-II)[16] | 1.762 | 29.725kPa |
헬륨-4 (hcp−bcc−He-I)[16] | 1.772 | 30.016kPa |
육플루오로에탄[17] | 173.08 | |
수소 | 13.8033 | 7.04kPa |
수소-1 (Protium)[18] | 13.96 | 7.18kPa |
염화 수소 | 158.96 | 13.9kPa |
요오드[19] | 386.65 | 12.07kPa |
아이소부탄[20] | 113.55 | |
크립톤 | 115.76 | 74.12kPa |
수은 | 234.3156 | 1.65e-7kPa |
메테인 | 90.68 | 11.7kPa |
네온 | 24.5561 | 43.332kPa |
산화 질소 | 109.50 | 21.92kPa |
질소 | 63.18 | 12.6kPa |
아산화 질소 | 182.34 | 87.85kPa |
산소 | 54.3584 | 0.14625kPa |
팔라듐 | 1825 | |
백금 | 2045 | |
라돈 | 202 | 70kPa |
(모노)실레인[21] | 88.48 | 0.019644kPa |
이산화 황 | 197.69 | 1.67kPa |
티타늄 | 1941 | |
육플루오린화 우라늄 | 337.17 | 151.7kPa |
물[5][6] | 273.16 | 0.611657kPa |
제논 | 161.3 | 81.5kPa |
아연 | 692.65 | 0.065kPa |
- 비교를 위해, 일반적인 대기압은 101.325 kPa (1 atm)이다.
- SI 단위의 새로운 정의가 있기 전에는 물의 삼중점인 273.16 K가 정확한 숫자였다.
2019년까지, 물의 삼중점은 국제단위계(SI)에서 켈빈의 정의에 사용되었다. 켈빈(K)은 물의 삼중점의 열역학적 온도의 1/273.16으로 정의되었다. 이 정의에 따라 물의 삼중점은 엄밀히 0.01 °C (273.16 K)이다. 이때의 압력은 611.657 ± 0.010 Pa (약 0.006 기압)이다[24]。이 정의에 사용되는 물은 엄밀히 동위 원소 조성이 정해진 빈 표준 평균 해수(VSMOW)이다[25]。
삼중점 셀이라고 불리는 유리 용기에 고순도 물을 봉입한 셀을 사용하면 물의 삼중점을 재현성 있게 구현할 수 있다. 산업기술종합연구소 계량표준종합센터의 연구에 따르면, 물의 삼중점 온도의 불확도는 0.1 mK이다[26]。
한편 화성의 "고도 0 m"는 물의 삼중점에서의 압력과 동일한 기압을 나타내는 고도로 정해져 있다.
물질 | 온도 / K | 압력 / Pa |
---|---|---|
평형 수소[27] | 13.8033 | 7041[28] |
네온 | 24.5561 | 43380[29] |
산소 | 54.3584 | 146.33[30] |
아르곤 | 83.8058 | 68891[31] |
수은 | 234.3156 | 0.0003[32] |
물 | 273.16 | 611.657 |
4. 2. 황의 삼중점
대기압 하에서 안정적인 황의 동소체로서 사방황과 단사황이 알려져 있다. 고상이 두 개 있으므로 공존하는 삼상으로 사방-단사-기, 단사-액-기, 사방-단사-액, 사방-액-기의 4가지가 생각할 수 있다. 그림과 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4개의 삼중점은 모두 관측되었다.[33]
- 사방황의 승화 곡선(그림 중 DA)과 단사황의 승화 곡선 AC가 교차하는 점 A가 사방황-단사황-기상 삼중점이다. 이 삼중점 온도는 대기압 하에서 사방황과 단사황이 이상 평형이 되는 온도와 거의 같다.
- 단사황의 승화 곡선 AC와 액체 황의 증기압 곡선 CF가 교차하는 점 C가 단사황-액상-기상 삼중점이다. 이 삼중점 온도는 대기압 하에서의 단사황의 융점과 거의 같다.
- 단사황의 밀도는 사방황의 밀도보다 작으므로 이 두 고상이 상 평형이 되는 온도(두 상의 깁스 자유 에너지가 같아지는 온도)는 고압일수록 높아진다(그림 중 AB). 이 곡선 AB와 단사황의 용융 곡선 CB가 교차하는 점 B가 사방황-단사황-액상 삼중점이다. 이 삼중점 압력은 1000기압을 넘는 고압이다.
- 사방황의 승화 곡선 DO와 과냉각 액체 황의 증기압 곡선 OC가 교차하는 점 O가 사방황-액상-기상 삼중점이다. 이 삼중점 O는 단사황이 가장 안정적인 상이 되는 온도·압력 영역 ABC 안에 있다. 이 영역 내에서는 사방황, 액상, 기상 모두 준안정상이지만, 사방황에서 단사황으로의 상 전이 속도가 매우 느리므로 준안정한 삼상 사이의 삼중점을 관측할 수 있다.[33] 이 삼중점 온도는 대기압 하에서의 사방황의 융점과 거의 같다.
상 | 온도 / K | 압력 / Pa |
---|---|---|
사방황-단사황-기상 | 368.5 | 1.1 |
단사황-액상-기상 | 393.0 | 3.7 |
사방황-단사황-액상 | 424 | 137000000 |
사방황-액상-기상 | 387.1 | 3.4 |
4. 3. 헬륨의 λ점과 삼중점
1기압에서 헬륨의 끓는점은 4.2 K이다. 이 온도에서 기액 평형에 있는 헬륨을 서서히 배기하면, 증기압 곡선을 따라 4.2 K에서 서서히 냉각된다. 온도가 2.1768 K에 도달하면, 액체 헬륨은 초유동 상으로 상전이한다. 이때의 압력은 5042 Pa[34]이며, 이 온도와 압력을 헬륨-4의 λ점이라고 한다. 이 λ점은 상 그림상에서 기상과 정상 유동상(He-I)과 초유동상(He-II)의 삼상에 둘러싸여 있으므로, 헬륨의 삼중점 중 하나로 간주되기도 한다[35]。그러나 IUPAC의 정의에 따르면, λ점은 삼중점이 아니다. 왜냐하면 정상 유동상에서 초유동상으로의 상전이는 연속 상전이(2차 상전이)이므로, 정상 유동상과 초유동상은 상으로 공존할 수 없기 때문이다.
정상 유동상에서 초유동상으로의 상전이 온도는 상 그림에서 He-I과 He-II의 경계선으로 표시된다. 이를 λ선이라고 한다. λ선과 융해 곡선의 교점도 헬륨-4의 λ점이라고 한다. 이 λ점의 온도와 압력은 1.762 K, 30.11 bar이다[36].
헬륨은 25기압 이상으로 가압하지 않으면 결정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헬륨에는 기상-액상-고상의 삼중점은 존재하지 않는다.
헬륨의 고상으로는 육방 밀집 구조(hcp)의 상과 체심 입방 구조(bcc)의 상이 알려져 있다. hcp는 저온 고압에서 안정된 상이며, 그림에 표시된 고상의 대부분의 영역에서 안정된 상이다. bcc는 λ선과 융해 곡선의 교점 부근의 좁은 온도 압력 영역에서 안정된 상이다. 이 두 개의 고상은 액상과 함께 삼상 공존할 수 있으므로, 헬륨에는 고상-고상-액상의 삼중점이 두 개 알려져 있다.
상 | 온도 (K) | 압력 (Pa) |
---|---|---|
He-I/He-II/기상[34] | 2.1768 | 5042 |
He-I/He-II/bcc[36] | 1.762 | 3.011MPa |
hcp/bcc/He-I[36] | 1.772 | 3.041MPa |
hcp/bcc/He-II[36] | 1.463 | 2.638MPa |
5. 한국의 관점과 활용
한국에서는 산업기술종합연구소 계량표준종합센터에서 물의 삼중점 구현 및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이 연구소의 연구에 따르면, 물의 삼중점 온도의 불확도는 0.1mK 수준으로 매우 정밀하게 제어되고 있다.[26]
5. 1. 산업 및 연구
2019년까지, 물의 삼중점은 국제단위계(SI)에서 켈빈의 정의에 사용되었다. 켈빈(K)은 물의 삼중점의 열역학적 온도의 1/273.16으로 정의되었다. 이 정의에 따라 물의 삼중점은 엄밀히 0.01 °C (273.16 K)이다. 이때의 압력은 611.657 ± 0.010 Pa (약 0.006 기압)이다[24]。이 정의에 사용되는 물은 엄밀히 동위 원소 조성이 정해진 빈 표준 평균 해수(VSMOW)이다[25]。삼중점 셀이라고 불리는 유리 용기에 고순도 물을 봉입한 셀을 사용하면 물의 삼중점을 재현성 있게 구현할 수 있다. 산업기술종합연구소 계량표준종합센터의 연구에 따르면, 물의 삼중점 온도의 불확도는 0.1 mK이다[26]。
한편 화성의 "고도 0 m"는 물의 삼중점에서의 압력과 동일한 기압을 나타내는 고도로 정해져 있다.
참조
[1]
간행물
Triple point
[2]
간행물
A quantitative investigation of certain relations between the gaseous, the liquid, and the solid states of water-substance
https://babel.hathit[...]
James Thomson
1873
[3]
웹사이트
Definition of the kelvin
http://www1.bipm.org[...]
BIPM
[4]
웹사이트
SI Brochure: The International System of Units (SI) – 9th edition
https://www.bipm.org[...]
BIPM
2022-02-21
[5]
논문
International Equations for the Pressure along the Melting and along the Sublimation Curve of Ordinary Water Substance
https://www.nist.gov[...]
1994
[6]
학술지
Review of the vapour pressures of ice and supercooled water for atmospheric applications
https://zenodo.org/r[...]
[7]
서적
The Surface of Mar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학술지
Review of the vapour pressures of ice and supercooled water for atmospheric applications
https://zenodo.org/r[...]
[9]
서적
Fundamentals of thermal-fluid sciences
McGraw-Hill
[10]
문서
Butane (data page)
[11]
문서
Chloroform (data page)
[12]
웹사이트
Trichloromethane
https://webbook.nist[...]
NIST (National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2024-05-11
[13]
문서
Ethanol (data page)
[14]
문서
Formic acid (data page)
[15]
학술지
The Observed Properties of Liquid Helium at the Saturated Vapor Pressure
[16]
학술지
Thermodynamic properties of 4He. II. The bcc phase and the P-T and VT phase diagrams below 2 K
1976-04
[17]
문서
Hexafluoroethane (data page)
[18]
웹사이트
Protium | isotope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1-27
[19]
서적
Chemical Process Equipment – Selection and Design
Elsevier
[20]
문서
Isobutane (data page)
[21]
웹사이트
Silane-Gas Encyclopedia
https://encyclopedia[...]
Air Liquide
[22]
간행물
triple point
GoldBook
[23]
서적
Atkins
[24]
간행물
R10-06(2009)
[25]
간행물
SI第8版
[26]
간행물
山澤, 丹波(2013)
[27]
문서
オルト水素とパラ水素
[28]
간행물
Leachman et al. (2009)
[29]
간행물
Katti et al. (1986)
[30]
간행물
Stewart et al. (1991)
[31]
간행물
Tegeler et al. (1999)
[32]
간행물
Huber et al. (2006)
[33]
서적
ムーア第4版
[34]
간행물
Donnelly et al. (1997)
[35]
서적
Atkins
[36]
논문
Hoffer et al. (1975) Table V
[37]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