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진여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진여객은 1980년 2월 25일 대원여객으로 설립되어 1985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된 부산광역시의 버스 운송 업체이다. 1990년대 삼진교통을 계열사로 설립, 2000년대 후반 흡수합병하였다. 2010년 6월 천연가스버스를 운용하기 시작했다. 금곡주차장과 화명영업소를 운영하며, 시내버스, 급행버스, 마을버스를 운행한다. 현재 현대 그린시티, 뉴 슈퍼 에어로시티,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일렉시티, 유니버스 스페이스 엘레강스를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광역시의 마을버스 기업 - 태진여객
태진여객은 1980년 현대여객으로 설립되어 1984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되었으며, 부산광역시 북구에 본사를 두고 시내버스 및 마을버스 노선을 운행하는 회사이다. - 부산광역시의 마을버스 기업 - 동진여객 (부산)
부산 사하구에 본사를 둔 동진여객은 1980년 신아여객으로 설립되어 안전여객, 광진여객 합병을 거쳐 현재 사명으로 변경되었으며 부산 주요 지역을 연결하는 시내버스와 거제도를 잇는 급행버스를 운행하는 운송 업체이다. - 부산 북구의 교통 - 구포역 (한국철도공사)
구포역은 한국철도공사와 부산교통공사가 운영하는 철도역으로, KTX,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남도해양열차 등이 정차하며 부산 도시철도 3호선도 운행된다. - 부산 북구의 교통 - 남해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는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부산광역시를 잇는 총 연장 273.17km의 고속도로 10호선으로, 1973년 개통 이후 확장 공사와 노선 변경을 거쳐 현재 전 구간 4차선 이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구간별로 차로 수와 제한속도가 다르다. - 1980년 설립된 교통 기업 - 한국공항공사
한국공항공사는 대한민국의 공항 시설을 관리·운영하는 공기업으로, 인천국제공항공사가 관리하는 인천국제공항을 제외한 대한민국의 모든 공항을 관리 및 운영한다. - 1980년 설립된 교통 기업 - 함양지리산고속
함양지리산고속은 경상남도 함양군을 중심으로 농어촌버스와 시외버스를 운행하는 운수 업체로, 1980년 함양교통으로 설립되어 2001년 현재의 상호로 변경되었으며, 2018년 기준 28개의 시외버스 노선을 운행하고 있고, 백무동에서 출발하여 동서울, 서울남부 등으로 향하는 노선이 주요 노선이다.
삼진여객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삼진여객자동차 주식회사 |
원어 | samjinyoegaek |
국가 | 대한민국 |
장소 | 부산광역시 북구 금곡대로 692 (금곡동) 《본사》 |
사업 지역 | 금곡동차고지: 부산광역시 북구 효열로 282 (금곡동) 화명동차고지: 부산광역시 북구 산성로 29 (화명동) |
창립 | 1980년 2월 25일 |
인물 | 곽재우, 박성흠 (대표이사) |
산업 | 운수업 |
제품 | 시내버스, 마을버스 |
자본금 | 100,000,000원 (2020.12) |
매출액 | 25,081,467,445원 (2020) |
영업이익 | -3,061,709,050원 (2020) |
순이익 | -2,591,611,615원 (2020) |
자산총액 | 18,434,341,514원 (2020.12) |
주주 | 손효상: 66.67% 기타: 33.33% |
종업원 | 289명 (2020.12) |
2. 역사 및 현황
1980년 2월 25일 '''대원여객'''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설립되었으며, 1985년에 현재의 상호인 '''삼진여객'''으로 변경하였다. 이후 1990년대에 계열사로 마을버스 회사인 삼진교통을 세웠으나, 2000년대 후반에 이를 흡수 합병하였다. 2010년 6월 말에는 부산의 시내버스 회사 중에서는 비교적 늦게 천연가스버스를 도입하여 운행하기 시작했다.
2. 1. 1980년대
1980년 2월 25일에 '''대원여객'''으로 설립하였으며, 1985년에 사명을 '''대원여객'''에서 '''삼진여객'''으로 변경하였다.2. 2. 1990년대 ~ 2000년대
1990년대에 정확한 연도는 알 수 없으나, 계열사로 같은 지역 내 마을버스 회사인 삼진교통을 설립하였다. 이후 2000년대 후반에 삼진교통을 흡수 합병하였다.2. 3. 2010년대 이후
2010년 6월 말, 부산에 면허를 둔 버스 운송 업체 중 가장 늦게 천연가스버스를 운용하기 시작했으며, 인근에 CNG 충전소도 건설되었다.3. 차고지
삼진여객은 부산광역시 북구에 다음 두 곳의 차고지를 운영하고 있다.
차고지 명칭 | 위치 | 관리 노선 |
---|---|---|
금곡주차장 | 부산광역시 북구 효열로 282 (금곡동) | 15번, 111번, 121번, 1012번, 북구 3번 |
화명영업소 | 부산광역시 북구 산성로 29 (화명동) | 59번, 126번 |
3. 1. 금곡주차장
부산광역시 북구 효열로 282 (금곡동)에 위치한다. 15번, 111번, 121번, 1012번, 북구 3번 노선이 이곳에서 시종착하며 관리된다.3. 2. 화명영업소
4. 운행 노선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운행 업체인 삼진여객은 시내버스, 급행버스, 마을버스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상세한 노선 정보는 아래와 같다.
4. 1. 시내버스
- 15번 : 금곡동 ↔ 구포역 ↔ 신모라 ↔ 서부터미널 ↔ 새벽시장 ↔ 구덕터널 ↔ 구덕운동장 ↔ 동아대 부민캠퍼스 ↔ 남포동
- 59번 : 금곡동 ↔ 구포역 ↔ 모덕역 ↔ 서부터미널 ↔ 새벽시장 ↔ 가야역 ↔ 범천동(신암) ↔ 범곡교차로 ↔ 부산진역 ↔ 부산역 ↔ 남포동 ↔ 충무동
- 111번 : 금곡동 ↔ 덕천역 ↔ 만덕역 ↔ 제2만덕터널 ↔ 사직운동장 ↔ 거제해맞이역 ↔ 서면역 ↔ 부산진시장
- 121번 : 금곡동 ↔ 덕천역 ↔ 만덕역 ↔ 제2만덕터널 ↔ 동래역 ↔ 장전역
- 126번 : 금곡동 ↔ 덕천역 ↔ 북구청 ↔ 괘법르네시떼역 ↔ 동아대 승학캠퍼스 ↔ 구덕운동장 ↔ 동아대 부민캠퍼스 ↔ 국제시장 ↔ 남포동
4. 2. 급행버스
4. 3. 마을버스
5. 차종
(내용 없음)
5. 1. 현재 보유 차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