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계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상계동은 중랑천 상류에 위치한 서울특별시 노원구의 법정동 및 행정동이다. 조선 시대에는 양주목 노원면에 속했으며, 일제강점기인 1914년 상계라는 명칭이 유래되었다. 1963년 상계동으로 개칭되었으며,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주요 시설로는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롯데백화점 노원점, 도로교통공단 도봉운전면허시험장이 있으며, 서울 지하철 4호선과 7호선이 지나간다. 1988년 상계주공아파트 1단지부터 16단지가 조성되었으며, 은빛, 수락, 청암, 수락산 벨리체, 상계 불암현대, 상계 불암대림 등의 아파트 단지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노원구의 행정 구역 - 공릉동
공릉동은 서울 노원구의 행정동으로, 태릉과 공덕리 지명을 합쳐 만들어졌으며, 여러 대학교와 시설이 위치하여 교육, 체육, 관광 중심지이며 편리한 교통과 편의시설을 갖추고 있다. - 서울 노원구의 행정 구역 - 하계동
하계동은 서울특별시 노원구에 속한 동으로, 1980년 공릉동에서 분동되었으며 서울 지하철 7호선 하계역, 세이브존, 을지병원 등이 위치해 있다. - 서울 노원구의 법정동 - 공릉동
공릉동은 서울 노원구의 행정동으로, 태릉과 공덕리 지명을 합쳐 만들어졌으며, 여러 대학교와 시설이 위치하여 교육, 체육, 관광 중심지이며 편리한 교통과 편의시설을 갖추고 있다. - 서울 노원구의 법정동 - 하계동
하계동은 서울특별시 노원구에 속한 동으로, 1980년 공릉동에서 분동되었으며 서울 지하철 7호선 하계역, 세이브존, 을지병원 등이 위치해 있다. - 1963년 설치 - 반포동
반포동은 대한민국의 서울특별시 서초구에 위치하며, 1970년대 강남 개발과 함께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면서 현대적인 주거 지역으로 변모하였고, 서울고속버스터미널, 국립중앙도서관,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등의 주요 시설과 반포한강공원, 서래섬 등 다양한 공원 및 녹지가 조성되어 있다. - 1963년 설치 - 신림동
신림동은 서울특별시 관악구에 속하는 법정동으로, 관악산 아래에 위치하여 숲이 무성하다는 의미에서 유래되었으며, 서울 지하철 2호선 신림역 주변 상업지역 발달로 번화한 지역으로 발전했다.
상계동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리 | |
면적 | 15.68 km² |
기본 정보 | |
한글 표기 | 상계동 |
한자 표기 | 上溪洞 |
로마자 표기 | Sanggye-dong |
맥큔-라이샤워 표기 | Sanggye-dong |
행정 구역 | |
국가 | 대한민국 |
특별/광역시 | 서울특별시 |
자치구 | 노원구 |
하위 행정 구역 | 상계1동 상계2동 상계3.4동 상계5동 상계6.7동 상계8동 상계9동 상계10동 |
인구 정보 | |
인구 (2001년) | 261,479 명 |
상계1동 정보 | |
![]() | |
면적 | 5.62 km² |
세대 (2021년 12월) | 15,601 |
인구 (2022년 2월) | 37,927 |
법정동 | 상계동 |
통 | 47 |
반 | 377 |
동주민센터 주소 | 서울특별시 노원구 동일로 1697 |
홈페이지 | 노원구 상계1동 주민센터 |
상계2동 정보 | |
![]() | |
면적 | 0.61 km² |
세대 (2021년 12월) | 8,657 |
인구 (2022년 2월) | 19,921 |
법정동 | 상계동 |
통 | 28 |
반 | 206 |
동주민센터 주소 |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로 118 |
홈페이지 | 노원구 상계2동 주민센터 |
상계3.4동 정보 | |
![]() | |
면적 | 5.05 km² |
세대 (2021년 12월) | 11,999 |
인구 (2022년 2월) | 25,987 |
법정동 | 상계동 |
통 | 51 |
반 | 385 |
동주민센터 주소 | 서울특별시 노원구 덕릉로 859 |
홈페이지 | 노원구 상계3·4동 주민센터 |
상계5동 정보 | |
![]() | |
면적 | 1.01 km² |
세대 (2021년 12월) | 10,926 |
인구 (2022년 2월) | 23,856 |
법정동 | 상계동 |
통 | 37 |
반 | 304 |
동주민센터 주소 | 서울특별시 노원구 한글비석로 434 |
홈페이지 | 노원구 상계5동 주민센터 |
상계6.7동 정보 | |
![]() | |
면적 | 1.11 km² |
세대 (2021년 12월) | 13,894 |
인구 (2022년 2월) | 32,525 |
법정동 | 상계동 |
통 | 49 |
반 | 405 |
동주민센터 주소 | 서울특별시 노원구 노원로 429 |
홈페이지 | 노원구 상계6·7동 주민센터 |
상계8동 정보 | |
![]() | |
면적 | 0.67 km² |
세대 (2021년 12월) | 9,219 |
인구 (2022년 2월) | 22,401 |
법정동 | 상계동 |
통 | 28 |
반 | 226 |
동주민센터 주소 | 서울특별시 노원구 동일로227길 97 |
홈페이지 | 노원구 상계8동 주민센터 |
상계9동 정보 | |
![]() | |
면적 | 0.81 km² |
세대 (2021년 12월) | 8,378 |
인구 (2022년 2월) | 20,345 |
법정동 | 상계동 |
통 | 27 |
반 | 258 |
동주민센터 주소 | 서울특별시 노원구 한글비석로 487 |
홈페이지 | 노원구 상계9동 주민센터 |
상계10동 정보 | |
![]() | |
면적 | 0.80 km² |
세대 (2021년 12월) | 7,653 |
인구 (2022년 2월) | 18,593 |
법정동 | 상계동 |
통 | 26 |
반 | 218 |
동주민센터 주소 | 서울특별시 노원구 노원로 530 |
홈페이지 | 노원구 상계10동 주민센터 |
2. 역사
상계동의 행정 구역 변천사는 다음과 같다.
시기 | 내용 |
---|---|
조선시대 | 조선시대 양주목 노원면에 속했다. |
1914년 4월 1일 | 노원면과 해등촌면을 합해 노해면이 설치되었고, 상계동은 상계리로서 이 면에 속했다. |
1962년 12월 12일 | 서울특별시 성북구에 편입되었다.[6] |
1963년 1월 1일 | 상계동으로 개칭되었고, 중계동과 함께 행정동 노원동(蘆原洞) 관할이 되었다. |
1970년 5월 5일 | 행정동 노원동이 폐지되고 상계1·2·3동과 중계동이 각각 설치되었다. |
1973년 7월 1일 | 도봉구가 성북구에서 분리되면서 도봉구 관할이 되었다. |
1975년 10월 1일 | 상계3동에서 상계4동이 분동되었다. |
1985년 9월 1일 | 상계2동에서 상계5동이 분동되었다. |
1988년 1월 1일 | 노원구가 도봉구에서 분리되면서 노원구 관할이 되었다. |
1988년 7월 1일 | 상계2동에서 상계6동과 상계7동이 분동되었다. |
1989년 6월 1일 | 상계1동과 상계6동 일부를 합쳐 상계8동이 분동되었다. |
1989년 9월 1일 | 상계1·2·5·6동의 경계를 조정하여 상계9동과 상계10동이 분동되었다. |
2008년 1월 1일 | 상계3·4동, 상계6·7동이 각각 상계3·4동, 상계6·7동으로 통합되었고, 법정동 상계동을 관할하는 행정동에서 제 구분이 삭제되었다. |
2. 1. 조선시대 ~ 일제강점기
상계동은 한천(중랑천)의 맨 위쪽 부분에 자리 잡은 계곡이라 하여 상계(上溪)라는 명칭이 유래됐다고 전한다.조선시대에는 경기도 양주목 노원면에 속하였는데, 1914년 일제가 행정구역을 정리하면서 이 일대에 위치한 자연촌(중원터 · 간촌 · 당고개 · 온숫골 · 갈월 · 샘말)이 한천의 상류부에 있다고 해서 상계라 한데서 지명이 유래한 것이다.[5] 현재는 상계동, 중계동, 하계동으로 나눠있다. 노원면은 당시 한성부로부터 40리에서 50리 거리에 해당하였다.[5]
2. 2. 해방 이후 ~ 현재
- 1962년 12월 12일 성북구에 편입되었다.[6]
- 1963년 1월 1일 상계동으로 개칭되었다. 이와 동시에 중계동과 함께 행정동 노원동(蘆原洞) 산하로 편제되었다.
- 1970년 5월 5일 노원동이 폐지되고 상계제1·2·3동과 중계동이 각각 설치되었다.
- 1973년 7월 1일 도봉구가 성북구로부터 분리되면서 도봉구 관할이 되었다.
- 1975년 10월 1일 상계제3동에서 상계제4동이 분동되었다.
- 1985년 9월 1일 상계제2동에서 상계제5동이 분동되었다.
- 1988년 1월 1일 노원구가 도봉구로부터 분리되면서 노원구 관할이 되었다.
- 1988년 7월 1일 상계제2동에서 상계제6동과 상계제7동이 분동되었다.
- 1989년 6월 1일 상계제1동과 상계제6동의 각 일부가 상계제8동으로 분동되었다.
- 1989년 9월 1일 상계제1동, 상계제2동, 상계제5동, 상계제6동의 경계를 조정하여 상계제9동과 상계제10동이 분동되었다.
- 2008년 1월 1일 상계제3동과 상계제4동, 상계제6동과 상계제7동이 각각 상계3·4동, 상계6·7동으로 합동되었고, 이와 동시에 법정동 상계동을 관할하는 행정동에서 '제' 구분을 삭제하였다.
3. 행정 구역 변천
- 조선 양주목 노원면에 속했다.
- 1914년 4월 1일 노원면과 해등촌면을 합해 노해면을 만들었으며, 상계동은 이 면에 속해 상계리라고 하였다.
- 1962년 12월 12일 성북구에 편입되었다.[6]
- 1963년 1월 1일 상계동으로 개칭하였다. 이와 동시에 중계동과 함께 행정동 노원동(蘆原洞) 산하로 편제되었다.
- 1970년 5월 5일 노원동이 폐지되고 상계제1·2·3동과 중계동이 각각 설치되었다.
- 1973년 7월 1일 도봉구가 성북구로부터 분리하여 도봉구 관할이 되었다.
- 1975년 10월 1일 상계제3동에서 상계제4동이 분동되었다.
- 1985년 9월 1일 상계제2동에서 상계제5동이 분동되었다.
- 1988년 1월 1일 노원구가 도봉구로부터 분리하여 노원구 관할이 되었다.
- 1988년 7월 1일 상계제2동에서 상계제6동과 상계제7동이 분동되었다.
- 1989년 6월 1일 상계제1동과 상계제6동의 각 일부가 상계제8동으로 분동되었다.
- 1989년 9월 1일 상계제1동, 상계제2동, 상계제5동, 상계제6동의 경계를 조정하여 상계제9동과 상계제10동이 분동되었다.
- 2008년 1월 1일 상계제3동과 상계제4동, 상계제6동과 상계제7동이 각각 상계3·4동, 상계6·7동으로 합동되었고, 이와 동시에 법정동 상계동을 관할하는 행정동에서 '제' 구분을 삭제하였다.
4. 교통
상계동은 대중교통이 편리한 지역으로, 4호선과 7호선이 지난다.
4. 1. 지하철
4호선 (노원역, 상계역, 당고개역)과 7호선 (노원역, 마들역, 수락산역)이 지난다.5. 교육 기관
상계동에는 여러 고등학교, 중학교, 초등학교가 있다.
학교 종류 | 학교 이름 |
---|---|
고등학교 | 노원고등학교, 불암고등학교, 상계고등학교, 상명고등학교, 수락고등학교, 영신여자고등학교, 용화여자고등학교, 청원고등학교, 재현고등학교 |
중학교 | 신상중학교, 상계중학교, 온곡중학교, 상경중학교, 청원중학교, 상원중학교, 수락중학교, 노원중학교, 노일중학교, 상계제일중학교, 재현중학교 |
초등학교 | 상계초등학교, 상수초등학교, 상명초등학교, 상천초등학교, 상월초등학교, 서울상원초등학교, 계상초등학교, 노일초등학교, 당현초등학교, 온곡초등학교, 신상계초등학교, 수락초등학교, 덕암초등학교, 서울동일초등학교, 청원초등학교, 원광초등학교 |
5. 1. 고등학교
5. 2. 중학교
5. 3. 초등학교
6. 편의 시설
- --
수정된 부분은 없으며, 주어진 지시사항 및 허용된 문법을 모두 준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7. 주거 시설
상계동에는 1988년에 상계주공 1단지부터 16단지까지의 아파트가 조성되었다. 다만 상계5동, 상계2동, 상계3.4동에는 다세대 주택이 많다.
7. 1. 주요 아파트 단지
상계동에는 1988년에 조성된 상계주공 1단지부터 16단지까지의 아파트가 있다. 다만 상계5동과 상계2동, 그리고 상계3.4동에는 다세대 주택이 많다.단지명 | 건설사 | 시행사 | 주소 | 입주 | 비고 |
---|---|---|---|---|---|
은빛 3단지 | ㈜한진건설 | 서울주택도시공사 | 동일로250길 17 | 1998년 9월 | 공공임대 |
은빛 2단지 | 한신공영 | 동일로245가길 41 | 1998년 10월 | ||
은빛 1단지 | 국제종합토건㈜ | 동일로245길 162 | 1998년 11월 | ||
수락파크빌 | 백일건설㈜ 우영토건㈜ 요진산업㈜ | 동일로248길 16 | 2001년 5월 | ||
청암 1단지 | 대림산업 | 덕릉로112길 24 | 2001년 6월 | ||
청암 2단지 | 덕릉로94가길 20 | ||||
수락리버시티 3단지 | 한신공영 | 누원로 28 | 2009년 11월 | ||
수락리버시티 4단지 | 누원로 18 | ||||
수락산 벨리체 | 동방티앤씨㈜, 미주실업㈜ | 동일로250길 18 | 2000년 6월 | ||
상계 불암현대 | 현대산업개발 | 덕릉로118길 29 | 1999년 12월 | ||
상계 불암대림 | 대림산업 | 상계7구역재개발조합 | 덕릉로94길 21 | 2000년 3월 | 상계7구역 재개발 |
8. 사진
참조
[1]
웹사이트
ko:상계동 (Sanggye-dong 上溪洞)
http://www.encyber.c[...]
Doosan Encyclopedia
2008-04-26
[2]
웹사이트
Origins: Dong Name Origins
http://english.nowon[...]
Nowon District official site
2008-04-26
[3]
서적
Evictions and the right to housing: Experience from Canada, Chile, the Dominican Republic, South Africa, and South Korea
International Development Research Centre
1998
[4]
텍스트
[5]
뉴스
우리 동네 이야기, 상계1동
https://news.naver.c[...]
서울신문(네이버)
2018-03-24
[6]
법률
서울특별시·도·군·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http://www.law.go.kr[...]
1962-12-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