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성북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북구는 서울특별시의 북부에 위치한 자치구로, 1949년 동대문구 일부와 고양군 숭인면을 통합하여 설치되었다. 북한산 자락에 위치하여 서울성곽, 북한산성 등 유적지가 많으며, 고려대학교, 국민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등 여러 대학교가 위치해 있다. 39개의 법정동과 20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988년 자치구로 승격되었다. 1970년대 인구가 정점을 찍은 후 감소하였으나, 2010년 이후 소폭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서울 지하철 4호선, 6호선, 우이신설경전철이 지나며, 삼척시 등 대한민국 자매 도시와 중화인민공화국 순이구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성북구 - 대한화학회
    대한화학회는 1946년 창립되어 화학 및 응용 기술 발전을 목표로 학술대회 개최, 학술지 발간, 한국화학올림피아드 주관 등 다양한 활동을 하는 대한민국의 화학 분야 학술 단체이다.
  • 서울 성북구 - 의릉 (조선 경종)
    의릉은 조선 20대 왕 경종과 계비 선의왕후 어씨의 능으로, 서울 성북구 천장산에 쌍릉 형태로 조성되었으며, 특이하게 능의 배치가 위아래로 되어 있고 왕릉과 왕비릉 모두 병풍석 없이 난간석을 둘렀다는 특징이 있다.
  • 서울 성북구의 행정 구역 - 안암동
    안암동은 서울 성북구에 위치한 행정동으로, 앉일바위에서 유래된 이름과 조선시대부터의 역사를 가지며, 고려대학교를 중심으로 대학가와 사찰, 성북천 등의 자연환경이 어우러지고 안암역으로 교통이 편리한 지역이다.
  • 서울 성북구의 행정 구역 - 돈암동
    돈암동은 서울특별시 성북구에 위치한 동으로, '되너미고개'의 한자 표기인 '돈암현'에서 유래되었으며, 조선시대 한성부에 속했고 일제강점기에는 돈암정으로 불리다 해방 후 돈암동으로 개칭되었으며, 현재 지하철 4호선과 여러 학교, 성신여자대학교가 위치해 있다.
  • 서울특별시의 구 - 노원구
    노원구는 서울특별시 북동부에 위치한 자치구로, 주변 도시와 접하며 갈대밭 또는 여관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불리고, 수락산, 불암산 등의 자연환경과 여러 전철 노선 및 교육기관이 위치해 있다.
  • 서울특별시의 구 - 종로구
    종로구는 서울특별시 중심에 위치한 자치구로서, 조선 시대 한양의 중심지이자 대한민국 정치·행정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며, 구 이름은 종루가 있던 종로에서 유래했고, 청와대, 정부서울청사, 경복궁, 창덕궁 등 주요 기관과 유적지가 위치한 "한국 정치 1번지"로 불리는 지역이다.
성북구
지도 정보
정릉
정릉
기본 정보
공식 명칭성북구 (城北區)
로마자 표기Seongbuk-gu
한자 표기城北區
행정 구역 종류자치구
국가대한민국
광역 자치 단체서울특별시
지역수도권
하위 행정 구역30개 행정동
우편 번호02700~02999
지역 번호02-700, 900
공식 웹사이트성북구청 공식 웹사이트
구청 소재지서울특별시 성북구 보문로 168
구 상징 나무감나무
구 상징 꽃진달래
구 상징 새참새
정치
구청장이승로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김영배 (더불어민주당)
기동민 (더불어민주당)
면적 및 인구
면적24.57 km²
총 인구423,439명
인구 조사 기준일2024년 9월
인구 밀도자동 계산
기타
행정 구역 코드11080

2. 역사

1949년 이전 성북구는 동대문구의 일부였다. 1949년 이후 성북구의 행정구역 변천사는 다음과 같다.[8][9]


  • 1949년 8월 13일: 동대문구 일부(돈암동, 안암동, 종암동, 성북동)와 경기도 고양군 숭인면(석관리, 장위리, 번리, 우이리, 수유리, 월곡리, 미아리, 정릉리)을 합쳐 성북구를 설치했다. 고양군 숭인면에서 편입된 지역을 관할하는 성북구 숭인출장소도 같은 날 설치되었으며, 관할 구역은 석관리, 장위리, 번리, 우이리, 수유리, 상월곡리, 하월곡리, 미아리, 정릉리였다. 법정동 안암동을 1·2·3·4·5가로 나누고, 돈암동 일부를 동소문동, 동선동, 삼선동으로 분리했다.
  • 1950년: 숭인출장소 소속 "리"를 모두 "동"으로 변경했다.
  • 1962년 12월 12일: 경기도 양주군 노해면을 편입했다.
  • 1963년 1월 1일: 돈암동 일부를 동소문동 1·2·3·4·5·6·7가, 동선동 1·2·3·4·5가, 삼선동 1·2·3·4·5가로 분리했다.
  • 1973년 7월 1일: 일부 지역을 도봉구로 분리했다.
  • 1975년 10월 1일: 일부 지역을 성북구로 편입했다.
  • 2007년 12월 30일: 성북1동과 성북2동, 동소문동 일부를 성북동으로, 삼선1동과 삼선2동, 동소문동 일부를 삼선동으로, 동선1동과 동선2동을 동선동으로, 길음2동을 길음1동으로, 종암1동과 종암2동을 종암동으로, 석관1동과 석관2동을 석관동으로, 월곡3동과 4동을 월곡1동으로, 상월곡동을 월곡2동으로 합치고 길음3동을 길음2동으로 바꾸었다.

2. 1. 1949년 이전

현재 성북구 지역은 조선시대 한성부의 일부였으며, 특히 북한산 자락은 도성 방어를 위한 중요한 군사적 요충지였다.[8]

2. 2. 1949년 이후

1949년 8월 13일 동대문구 일부(돈암동, 안암동, 종암동, 성북동)와 경기도 고양군 숭인면(석관리, 장위리, 번리, 우이리, 수유리, 월곡리, 미아리, 정릉리)을 관할로 하여 성북구가 설치되었고[8], 같은 날 고양군 숭인면에서 편입된 지역을 관할하는 성북구 숭인출장소도 설치되었다.[9] 숭인출장소는 석관리, 장위리, 번리, 우이리, 수유리, 상월곡리, 하월곡리, 미아리, 정릉리를 관할하였다.[9]

1950년 숭인출장소 소속 "리"가 모두 "동"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1962년 12월 12일 경기도 양주군 노해면을 편입하였다.[10]

1973년 7월 1일 노해면 지역이 도봉구로 분리되었다.[12]

1975년 10월 1일 중구(구 종로구) 일부와 도봉구 미아동 일부가 성북구로 편입되었다.[13]

2007년 12월 30일 대대적인 행정동 통폐합이 이루어졌다.[14]

3. 지리

성북구는 서울특별시 중북부에 위치하며, 북한산을 비롯한 여러 산과 정릉천, 우이천, 중랑천 등의 하천이 흐르는 자연환경을 갖추고 있다. 북한산 아래에 위치하며, 대일외국어고등학교, 국민대학교, 고려대학교 등 명문 학교가 자리하고 있어 지성과 교양이 가득한 고장으로 평가받고 있다. 수도권 전철 4호선, 서울 지하철 6호선 개통과 함께 도시의 다양화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 의정부 등 서울 북부 외곽지역과 도심을 연결하는 부도심권으로서 발전이 기대되는 지역이다.[15]

3. 1. 자연환경

성북구는 서울특별시 중북부에 위치한다. 성북구의 자연환경은 다음과 같다.[15]

3. 2. 문화 유적

성북에는 서울성곽, 북한산성과 같은 방위시설 유적지가 많고, 북한산 진흥왕 순수비에서 보듯이 신라고구려의 접경지로 각종 문화유산이 많다.[15] 특히 병자호란 때 여진족이 한성의 부녀자를 붙잡아 갔다는 미아리고개(수유령)는 한국전쟁 때에도 많은 시민이 끌려간 곳으로 “단장의 미아리고개”라는 노래말로 더욱 유명하다.[15]

4. 행정 구역

성북구는 1949년 8월 13일 설치되었으며[16], 1988년 5월 1일 구 단위 지방자치단체를 시행하여 자치구로 승격되었다. 2011년 12월 31일 기준으로 성북구의 면적은 24.57km2이고, 서울시 전체 면적의 4.05%를 차지한다. 인구는 199,398세대, 494,422명이다.[17]

성북구는 20개의 행정동과 39개의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4. 1. 행정동 목록

행정구역도


성북구의 행정 구역은 39개의 법정동과 20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16] 1988년 5월 1일 구 단위 지방자치단체를 시행하여 자치구로 승격되었다.

행정동한자면적 (km2)세대인구 (명)
성북동城北洞2.858,71819,868
삼선동三仙洞0.8912,27228,027
동선동東仙洞0.728,29216,641
돈암제1동敦岩第1洞0.496,34016,891
돈암제2동敦岩第2洞0.558,22124,140
안암동安岩洞1.328,84518,521
보문동普門洞0.556,89314,969
정릉제1동貞陵第1洞0.487,71021,170
정릉제2동貞陵第2洞1.239,67824,806
정릉제3동貞陵第3洞3.587,98918,651
정릉제4동貞陵第4洞3.1810,93328,253
길음제1동吉音第1洞0.7412,97437,481
길음제2동吉音第2洞0.589,02820,670
종암동鍾岩洞1.4617,49543,981
월곡제1동月谷第1洞0.8311,07629,408
월곡제2동月谷第2洞1.348,75221,823
장위제1동長位第1洞0.7210,55627,060
장위제2동長位第2洞0.829,56323,412
장위제3동長位第3洞0.568,05719,718
석관동石串洞1.6816,00638,932


4. 2. 법정동과 행정동의 관계

성북구는 39개의 법정동과 20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16] 하나의 행정동이 여러 법정동을 관할하기도 하고, 하나의 법정동이 여러 행정동으로 나뉘어 있기도 하다.


5. 인구

서울특별시 성북구의 인구는 1970년 979,584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감소하여 2005년에는 440,254명까지 감소하였다. 그러나 2010년부터 다시 소폭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1]

5. 1. 연도별 인구 추이 (내국인)

연도총인구
1966년519,510명
1970년979,584명
1975년604,359명
1980년588,347명
1985년583,281명
1990년551,017명
1995년489,626명
2000년459,011명
2005년440,254명
2010년452,704명
2015년456,844명


6. 교통

성북구는 서울 지하철 4호선, 서울 지하철 6호선,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이 지나는 교통 요지이다. 4호선은 길음역, 성신여대입구역, 한성대입구역을 지나며, 6호선은 보문역, 안암역, 고려대역, 월곡역, 상월곡역, 돌곶이역을 지난다. 우이신설선북한산보국문역, 정릉역, 성신여대입구역, 보문역을 지난다.

6. 1. 철도

서울 지하철 4호선: 길음역 - 성신여대입구역 - 한성대입구역

서울 지하철 6호선: 보문역 - 안암역 - 고려대역 - 월곡역 - 상월곡역 - 돌곶이역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북한산보국문역 - 정릉역 - 성신여대입구역 - 보문역

7. 교육 기관

성북구는 여러 대학교와 초, 중, 고등학교가 밀집해 있어 교육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다하고 있다.


7. 1. 대학교

8. 정치



성북구는 다음과 같은 도시들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8. 1. 역대 구청장

현재 구청장은 김영배이다.

8. 2. 자매 도시


9. 문화

성북구에는 다양한 문화 시설과 행사가 있다.

9. 1. 관광 명소

관광지로는 서울 성곽, 북한산성, 정릉 등이 있다. 축제로는 조선 시대의 제사를 재현한 선잠제가 유명하다.

10. 저명한 출신 인물


  • 엄기준: 대한민국 배우이다.
  • 범키 (본명 권기범): 대한민국 R&B 가수 겸 작곡가이다.
  • 웬디 (본명 손승완): 가수, 무용가, 모델이자 MC이며, K팝 걸그룹 레드벨벳의 멤버이다.
  • 이진혁: 가수, 래퍼, 배우이며, 업텐션의 멤버이다.
  • 윤석열: 제13대 대한민국 대통령이다.
  • 황윤성: 가수, 무용가, 아이돌이며, 드리핀의 멤버이다.
  • 심재윤 (제이크): 가수, 래퍼, 무용가, 작곡가이며, 엔하이픈의 멤버이다.
  • 연준 (본명 최연준): 래퍼, 가수 겸 작곡가, 무용가, 홍보대사, MC이며, TXT의 멤버이다.

참조

[1] 간행물 https://jumin.mois.g[...]
[2] 웹사이트 성북구 (Seongbuk District 城北區) https://archive.toda[...] Doosan Encyclopedia 2008-04-18
[3] 뉴스 13 things you've got to do in Seoul http://travel.cnn.co[...] 2013-02-26
[4]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2
[5] 웹인용 2022년 11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6] 웹인용 2022년 11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7] 서적
[8] 법률 대통령령 제159호 시·도의관할구역및구·군의명칭·위치·관할구역변경의건 1949-08-13
[9] 법률 대통령령 제160호 서울시구출장소설치에관한건 1949-08-13
[10] 법률 법률 제1172호 서울특별시·도·군·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62-11-21
[11] 법률 서울특별시조례 제274호
[12] 법률 대통령령 제6548호 서울특별시의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73-03-12
[13] 법률 대통령령 제7816호 구의증설및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75-09-23
[14] 웹인용 구조례 제698호 동 명칭 등에 관한 조례 (2007년 10월 12일) https://web.archive.[...] 성북구청 2008-04-22
[15] 웹사이트 성북동 지역특성 http://www.seongbuk.[...] 2014-06-06
[16] 법률 대통령령 제159호
[17] 웹사이트 제27회 성북통계연보 http://www.seongbuk.[...] 2014-02-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