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록수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상록수역은 심훈의 소설 《상록수》에서 유래한 역명으로, 소설의 배경이자 주인공 최용신 선생의 묘가 인근에 위치해 있다. 1988년 안산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1994년 서울 지하철 4호선과 과천선, 안산선이 직결 운행되었다. 2면 4선의 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춘 고가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주변에는 학교, 체육관, 기념관 등과 주택가가 위치해 있으며, 안산시내 버스 노선의 거점이기도 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안산시의 전철역 - 달미역
달미역은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서해선 역으로, 석수골역으로 명명되었다가 지역 주민 의견을 반영하여 달미역으로 변경되었으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선부3동 행정복지센터, 안산운전면허시험장, 안산제1종합시장 등이 인근에 위치해 있다. - 안산시의 전철역 - 초지역
초지역은 경기도 안산시 초지동에 위치한 4호선, 수인분당선, 서해선의 환승역으로, 1994년 공단역으로 개통 후 2012년 역명 변경, 2018년 서해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단원구청, 화랑유원지, 안산스마트허브 등과 인접한 주요 지역에 위치한다. -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역 - 삼각지역
삼각지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과 6호선이 환승하는 지하철역이며,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00년 6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역명은 삼각지 고가도로에서 유래하고 "베호 만남의 광장"이 있으며, 국방부, 전쟁기념관 등 주요 국가기관과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 -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역 - 신용산역
신용산역은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용산역 인근에 위치한 지하철역이다. - 1988년 개업한 철도역 - 양원역 (봉화)
양원역은 경상북도 봉화군에 위치한 영동선 철도역으로, 지역 주민들의 노력으로 설치된 임시승강장에서 시작하여 백두대간협곡열차 등이 정차하는 지상역이 되었으며, 역명은 마을 이름에서 유래했고, 2021년에는 역 설치 과정을 다룬 영화가 제작되기도 했다. - 1988년 개업한 철도역 - 금정역
금정역은 1988년에 개통하여 수도권 전철 1호선과 4호선이 지나는 환승역이며, 안산선, 과천선, 경부선이 지나가고, 4호선 및 1호선 급행과 완행 열차가 정차하며, 2019년 12월 30일부터 1호선 급행열차가 추가 정차한다.
| 상록수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역 정보 | |
![]() | |
| 역 이름 (한국어) | 상록수 |
| 역 이름 (한자) | 常綠樹驛 |
| 역 이름 (로마자 표기) | Sangnoksu-yeok |
| 부역명 | 안산대학교 |
| 주소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상록수로 61 (본오동 409) |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코레일) |
| 승강장 | 2면 4선 (쌍섬식 승강장) |
| 구조 | 고가역 |
| 개업일 | 1988년 10월 25일 |
| 역 번호 | 448 |
| 전철 AFC 코드 | 1754 |
| 노선 정보 | |
| 노선 | (안산선) |
| 영업 거리 (기점: 진접(경복대)) | 71.4km |
| 이전 역 | 448 반월 |
| 이전 역 거리 | 3.7km |
| 다음 역 | 450 한대앞 |
| 다음 역 거리 | 1.5km |
| 기타 정보 | |
| 역 등급 | 3급 |
| 관리역 | 코레일 수도권서부본부 안산관리역 |
| 전보 약호 | 수도권 전철 AFC: 1754 |
| 승차 인원 (2009년) | 19,590명 |
| 위치 정보 (지도) | |
2. 역명 유래
역명은 일제강점기에 출판된 심훈의 소설 《상록수》에서 유래하였으며, 문학 작품명을 최초로 사용한 역이다. 소설의 배경이자 주인공 채영신의 모델인 최용신 선생이 항일운동과 농촌 계몽운동에 헌신한 곳이며 선생의 묘가 역 주변에 위치하여 '''상록수역'''으로 명명되었다.
1988년 10월 25일 안산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6] 1993년 1월 15일 과천선 개통 및 안산선-과천선 직결 열차 운행 시작과 함께 부역명으로 '안산1대학'을 사용하였다. 1994년 4월 1일 서울 지하철 4호선-과천선-안산선 직결 열차 운행이 시작되었고, 2009년 12월 1일 철도승차권 단말기가 철거되었다. 2012년 1월 1일 안산1대학이 안산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면서 부역명도 안산대학교로 변경되었다.
3. 역사
3. 1. 연혁
3. 2. 역명 변천사
1988년 10월 25일 : 안산선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6]
1993년 1월 15일 : 과천선 개통 및 안산선-과천선 직결 열차 운행 시작 (당시 부역명: 안산1대학)
1994년 4월 1일 : 서울 지하철 4호선-과천선-안산선 직결 열차 운행 시작
2009년 12월 1일 : 철도승차권 단말기 철거
2012년 1월 1일 : 안산1대학이 안산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면서 부역명도 안산대학교로 변경
역명은 일제강점기에 출판된 심훈의 소설 '''상록수'''에서 유래했다.
4. 역 구조
상록수역은 2면 4선의 고가역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1번과 2번 두 곳이 있으며, 역 안과 밖에 화장실이 있다.
| 층 | 시설 |
|---|---|
| L2 | 승강장 |
| L1 | 대합실, 로비, 고객 서비스 센터, 상점, 자동 판매기, 현금 자동 입출금기 |
| G | 지상층, 출구 |
4. 1. 승강장
섬식 승강장 2면 4선을 갖춘 고가역이다. 평일에 운행되는 아침 상행 급행 열차는 이 역에서 각역 정차 열차와 연결된다.
5. 역 주변
역 주변에는 매화초등학교, 상록초등학교, 상록중학교, 안산대학교, 안산식물원, 단원조각공원 등이 있다.[4] 상록고등학교, 상록수체육관 (프로배구 V-리그 남자부 OK저축은행 읏맨 홈구장), 안산디자인문화고등학교, 최용신 기념관 및 묘소, 본오3동행정복지센터, 뉴라손 관광호텔, 이동 주민센터, 안산여자정보등학교, 우리요양병원, 안산상록수우체국, 구룡공원, 본오공원, 상록수공원 등도 있다. 역 주변은 아파트가 즐비한 주택가이며, 음식점도 많아 비교적 번화하다. 안산시내를 운행하는 버스 노선의 거점이기도 하다.
6. 이용객 변동
| 역 노선 | 승차 인원 | 주석 |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
| 4호선 | 20475 | 20412 | 20020 | 13608 | 14175 | 11088 | 11907 | 11928 | 11421 | 12096 | 20275 | 28278 | 28705 | 22145 | 29282 | 21437 | 28428 | 21230 | 20864 | 20735 | 14568 | 13375 | 14566 | [7] |
| 안산선 | 20700 | 20834 | 22973 | 23678 | 18568 | 17939 | 17939 | 18581 | 19518 | 19590 | [5] | |||||||||||||
안산선|한국어 부분은 제거되어야 하는 템플릿이 아니므로 제거하지 않고 유지했다.
7. 기타
상록수역과 반월역 사이 거리는 수도권 전철 4호선 역간 거리 중 진접선 구간을 제외하면 가장 길며, 터널도 세 곳이나 있다. 상록수역과 반월역 사이 구간은 경부고속철도가 위로, 서해안고속도로가 아래로 지나간다.
8. 인접한 역
완행
급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