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과천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과천선은 금정역에서 사당역을 잇는 철도 노선으로, 1989년 12월에 착공하여 1993년 1월 금정-인덕원 구간이, 1994년 4월 인덕원-사당 구간이 개통되었다. 안산선과 직통 운행을 시작했으며 서울 지하철 4호선과 상호 직통 운행한다. 2019년 노선 번호가 317로 변경되었고, 2020년부터 안산선과 시간표가 통합되었다. 과천선은 서울교통공사 4호선과 안산선으로 직결 운행되며,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전동차와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가 운행한다. 노선 정보는 복선 및 전철화되어 있으며, 남태령역 구내에는 직류 구간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도권 전철 4호선 - 진접선
    진접선은 서울 지하철 4호선의 연장 구간으로,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역에서 서울특별시 노원구 불암산역을 잇는 수도권 전철 노선이며, 2014년 12월 착공하여 2022년 3월 개통되었고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가 운행되며 2028년 풍양역이 개통될 예정이다.
  • 수도권 전철 4호선 - 안산선
    안산선은 금정역과 오이도역을 잇는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지선으로, 안산스마트허브 개발과 함께 건설되었으며, 서울 지하철 4호선 및 수인·분당선과 직결 운행한다.
  • 1994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은 부산광역시를 운행하는 도시철도 노선으로, 1985년 개통 이후 단계적 연장을 거쳐 노포역과 다대포해수욕장역을 잇는 40개 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000호대 전동차가 운행되고 시설 개선 사업이 진행 중이다.
  • 1994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은 수원시와 인천광역시를 잇는 수인선과 성남시와 서울특별시를 잇는 분당선을 2020년 9월 12일 통합 개통한 광역철도 노선으로, 수도권 서남부와 동남부를 연결하는 주요 교통축을 형성하며, 향후 학익역 개통 예정 및 인천역-경부고속철도 연결 계획 검토와 함께 소음 문제 및 콘크리트 도상 사용 등 논란도 존재한다.
  • 1993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수도권 전철 3호선
    수도권 전철 3호선은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고양시를 연결하는 49.6km 광역철도로, 1985년 개통 이후 일산선 직결, 구간 연장, 환승역 개통 등을 통해 확장되었으며 서울교통공사와 한국철도공사가 공동 운영하고 출퇴근 시간 혼잡이 심하다.
  • 1993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수도권 전철 4호선
    수도권 전철 4호선은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역에서 시흥시 오이도역을 잇는 노선으로, 진접선, 서울 지하철 4호선, 과천선, 안산선으로 구성되어 남양주도시공사, 서울교통공사, 한국철도공사가 구간별로 운영하며, 완행과 급행이 운행되고 통행 방식 및 전철화 방식이 구간별로 다르다는 특징이 있다.
과천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다른 이름
노선 정보
운행 정보
연혁
운영
기술 정보
선로 길이
기타 정보
웹사이트

2. 역사

과천선은 1989년 12월 착공되어,[2] 1993년 1월 15일 금정-인덕원 구간,[2] 1994년 4월 1일 인덕원-사당 구간이 순차적으로 개통되었다.

1996년 12월 16일 평촌역, 1998년 5월 15일 정부과천청사역(제2종합청사역), 2000년 1월 1일 경마공원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

2019년 4월 17일 노선번호가 '''317'''로 변경되었고,[3] 2020년 11월 27일 안산선과 시간표가 통합되어 안산과천선으로 운영되고 있다.[4]

2. 1. 건설 및 개통

과천선은 1990년대1기 신도시 개발의 일환으로, 산본신도시, 평촌신도시과천시, 서울특별시를 이을 목적으로 대한민국 철도청(현 한국철도공사)의 주도 하에 건설된 노선이다. 1994년 4월 1일 전 구간 개통 이후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일부로서 운행되고 있다.

과천선 건설 및 개통 과정은 다음과 같다.

날짜내용
1989년 12월착공
1993년 1월 15일금정 - 인덕원 구간 개통[2], 안산선과 직통 운행 개시.
1994년 4월 1일인덕원 - 사당 구간 개통, 서울교통공사 4호선과 상호 직통 운행 개시.
1996년 12월 16일평촌역으로 역명 변경
1998년 5월 15일제2종합청사역에서 정부과천청사역으로 역명 변경
2000년 1월 1일경마공원역으로 역명 변경
2019년 4월 17일철도 노선번호 변경에 따라 317로 변경[3]
2020년 11월 27일안산선과 시간표 통합(안산과천선)[4]


2. 2. 역명 변경

1996년 12월 16일 평촌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2] 1998년 5월 15일에는 제2종합청사역에서 정부과천청사역으로, 2000년 1월 1일에는 경마공원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2]

2. 3. 기타

과천선은 1989년 12월에 착공되었다.[2] 1993년 1월 15일 금정 - 인덕원 구간이 개통되었고,[2] 1994년 4월 1일 인덕원 - 사당 구간이 개통되었다.

이후 역명이 변경되었는데, 1996년 12월 16일 평촌역으로, 1998년 5월 15일 제2종합청사역에서 정부과천청사역으로, 2000년 1월 1일 경마공원역으로 변경되었다.

2019년 4월 17일 철도 노선번호가 317로 변경되었고,[3] 2020년 11월 27일 안산선과 시간표가 통합되어 안산과천선으로 운영되고 있다.[4]

3. 운영

2006년 7월부터 2009년 9월까지는 대공원역이 과천선 상의 역을 관리하였으나, 2009년 이후 대공원역이 보통역으로 격하되면서 모든 역을 경부선 안양역이 관리하게 되었다.

노선 내에서 운행이 완결되는 열차는 없고, 모든 열차가 서울 지하철 4호선안산선으로 직결 운행된다. 서울 지하철 4호선과 연결되기 전인 1993년 1월 15일부터 1994년 3월 31일까지는 인덕원역안산선산본역, 안산역 구간을 반복 운행하였다. 운행 횟수는 서울교통공사 소속 104회, 한국철도공사 소속 160회로 총 264회이다. 치안 서비스는 대한민국 국토교통부 산하의 철도특별사법경찰대에서 전담하며, 관할 사무소는 광역철도 수사과인 안양역에 있다.

3. 1. 차량

과천선에서 운행되는 차량은 다음과 같다.

4. 노선 정보

과천선은 1990년대1기 신도시 개발의 일환으로, 산본신도시, 평촌신도시과천시, 서울특별시를 이을 목적으로 대한민국 철도청(현 한국철도공사)의 주도 하에 건설된 노선이다. 1994년 4월 1일 전 구간 개통 이후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일부로서 운행되고 있다.

5. 역 목록

거리영업
거리소재지↑ 서울 지하철 4호선 사당역 방면434남태령Namtaeryeong南泰嶺2.014.4서울특별시서초구435선바위Seonbawi-1.012.4경기도과천시436경마공원Seoul Racecourse park競馬公園0.911.4경기도과천시437대공원(서울랜드)Seoul Grand park大公園1.010.5경기도과천시438과천Gwacheon果川1.09.5경기도과천시439정부과천청사Government Complex Gwacheon政府果川廳舍3.08.5경기도과천시440과천정보타운
(개통예정)Gwacheon Information Town果川정보타운2.16.5경기도과천시441인덕원Indeogwon仁德院1.65.5경기도안양시 동안구442평촌(한림대성심병원)Pyeongchon坪村1.33.9경기도안양시 동안구443범계Beomgye-2.62.6경기도안양시 동안구444금정Geumjeong衿井수도권 전철 1호선-0.0경기도군포시안산선 산본역 방면


6. 미래

과천시 갈현동 일대에 조성되는 주거복합산업단지인 과천정보타운역의 교통 대책으로서, 인덕원역 - 정부과천청사역 구간에 역 신설이 추진되고 있으며, 2027년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다.[1]

4호선 급행 연장 추진으로 정부과천청사역과 대공원역에 대피선로를 설치하는 것을 추진 중이라고 한다.[1]

7. 문제점 및 비판

과천선은 건설 및 운영 과정에서 여러 문제점과 비판에 직면했다. 주요 문제점으로는 소음, 잦은 운행 중단, 절연 구간 문제 등이 지적되었다.

7. 1. 소음 및 잦은 운행 중단

1994년에 개통된 과천선은 한국철도공사 주도로 건설되었으며, 같은 시기에 개통된 분당선과 함께 잘못된 콘크리트 시공법으로 인해 '소음선'이라는 별명을 얻게 되었다. 서울특별시 지하철공사(현 서울교통공사)는 기관사와 열차의 적응을 위해 과천선과 안산선에서 시운전 및 절연구간 대응 훈련을 실시하였다.[5] 그러나 시운전 기간 동안 전기 공급 방식 혼선 문제 등으로 운행 중단이 잦았다.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는 일본 도시바 사의 VVVF 인버터를 채용한 신형 전동차였고,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전동차 역시 GEC 초퍼제어 전동차2호선3호선으로 보내고 새로 도입한 VVVF 인버터 방식의 신형 전동차였기 때문에 충분한 시운전 기간이 필요했다. 하지만 두 회사는 충분한 시운전 기간을 거치지 않고 회로가 부실하다는 것을 모른 채 개통하였다. 서울지하철공사(현 서울교통공사)는 이러한 절차를 무시했고,[6] 결국 개통 6일 만에 15건 이상의 사고가 발생하였으며, 서울특별시 지하철공사 역시 개통 1개월 내에 3건 정도의 사고가 발생하였다.[7] 사고가 계속 발생하자 철도청(현 한국철도공사)은 일부 열차 운행을 중단하고 모든 부품을 교체하였고, 서울특별시 지하철공사 역시 3편성에 대한 부품 교체를 실시하였다.[8][9][10][11][12][13][14]

7. 2. 절연 구간 및 X형 교차 터널

서울 지하철 4호선은 도시철도법에 따라 직류 1500V 전철화에 우측 통행으로 건설되었고, 과천선은 기존 국유철도의 체계에 맞추어 교류 에 좌측 통행으로 건설되었다. 이처럼 특성이 다른 두 노선을 직결 운행하기 위해 남태령 - 선바위 구간에서는 두 선로가 지하에서 입체 교차되며, 같은 구간에 절연 구간이 설치되어 전력 방식의 변경 또한 함께 이루어진다.

당시 이 공사에는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었고, 개통 초기에는 이 구간에 대해 충분히 숙지하지 못한 채 수도권 광역철도 운전 경험이 전혀 없는 기관사들의 혼선 문제로 열차 운행 사고가 잦았다. 특히 절연 구간에서 사고가 많이 발생하여 일부 시민들은 이 구간을 '죽음의 구간'이라는 뜻으로 '사구간'(死區間)이라고 부르며 비난하기도 하였다.[15] 또한, 운행 차량이 모두 VVVF 인버터 제어 차량이었기 때문에, 당시 철도청의 1호선용 VVVF 인버터 제어 차량 도입도 늦춰졌다. 이는 나중에 대한민국 감사원의 지적을 받아, 1996년 1월 30일에 개통된 일산선의 경우 서울 지하철 3호선과 동일하게 도시철도법을 적용하여 건설하게 되었다. 한편 서울 지하철 1호선경부선, 경원선직결 운행할 당시에도 절연 구간을 설치하였으나, 동일하게 좌측 통행을 시행하였다.[16][17][18][19][20][21][22][23][24]

참조

[1] text
[2] 뉴스 지하철 과천선 개통 https://mn.kbs.co.kr[...] KBS
[3]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173호 http://gwanbo.mois.g[...] 2019-04-17
[4] 웹사이트 레츠코레일(열차운임 및 시간표) http://www.letskorai[...] 2020-11-27
[5] 뉴스 불안한 果川線(과천선)"무작정 질주" 동아일보 1994-04-07
[6] 뉴스 "果川線(과천선) 컨버터회로 결함" 경향신문 1994-04-07
[7] 뉴스 果川線(과천선) 잇달아 停車(정차)사고 경향신문 1994-04-04
[8] 뉴스 과천선 지하철 전원 보조장치 결함 http://news.kbs.co.k[...] KBS 뉴스 9 1994-04-05
[9] 뉴스 지하철 과천선 오늘 또 사고 http://news.kbs.co.k[...] KBS 뉴스 9 1994-04-06
[10] 뉴스 지하철 승객이 시험 대상 http://news.kbs.co.k[...] KBS 뉴스 9 1994-04-07
[11] 뉴스 이 시간 현장 - 지하철 과천선 사고 원인 발표 http://news.kbs.co.k[...] KBS 뉴스 9 1994-04-07
[12] 뉴스 지하철 과천선 사고로 승객들 불편.불안 http://news.kbs.co.k[...] KBS 뉴스 9 1994-04-08
[13] 뉴스 지하철 과천선 아직도 불안 http://news.kbs.co.k[...] KBS 뉴스 9 1994-06-03
[14] 뉴스 과천선 불안, 사고 오늘3건 발생 http://imnews.imbc.c[...] MBC 뉴스데스크 1994-04-05
[15] 뉴스 電流(전류)직·교류 2元化(원화)…「死(사)구간」자초 동아일보 1994-04-03
[16] 뉴스 지하철 과천선 불안하다 http://news.kbs.co.k[...] KBS 뉴스 9 1994-04-03
[17] 뉴스 과천선 지하철 사고 잇따라 http://news.kbs.co.k[...] KBS 뉴스 9 1994-04-04
[18] 뉴스 지하철 과천선 사고 첨단기술 미숙 http://news.kbs.co.k[...] KBS 뉴스 9 1994-04-07
[19] 뉴스 수도권 지하철 일원화 시급 http://news.kbs.co.k[...] KBS 뉴스 9 1994-04-07
[20] 뉴스 지하철 과천선 오늘도 사고 http://news.kbs.co.k[...] KBS 뉴스 9 1994-04-08
[21] 뉴스 지하철 과천선 선로 잘못 설치 http://news.kbs.co.k[...] KBS 뉴스 9 1995-05-25
[22] 뉴스 지하철 과천선, 전기공급 방식 달라 정지사고 http://imnews.imbc.c[...] MBC 뉴스데스크 1994-04-02
[23] 뉴스 과천선, 개통 6일만에 15번째 사고 http://imnews.imbc.c[...] MBC 뉴스데스크 1994-04-06
[24] 뉴스 지하철 과천선, 한달만에 사고 20건이 넘는 사고선 http://imnews.imbc.c[...] MBC 뉴스데스크 1995-06-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