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천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과천선은 금정역에서 사당역을 잇는 철도 노선으로, 1989년 12월에 착공하여 1993년 1월 금정-인덕원 구간이, 1994년 4월 인덕원-사당 구간이 개통되었다. 안산선과 직통 운행을 시작했으며 서울 지하철 4호선과 상호 직통 운행한다. 2019년 노선 번호가 317로 변경되었고, 2020년부터 안산선과 시간표가 통합되었다. 과천선은 서울교통공사 4호선과 안산선으로 직결 운행되며,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전동차와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가 운행한다. 노선 정보는 복선 및 전철화되어 있으며, 남태령역 구내에는 직류 구간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도권 전철 4호선 - 진접선
진접선은 서울 지하철 4호선의 연장 구간으로,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역에서 서울특별시 노원구 불암산역을 잇는 수도권 전철 노선이며, 2014년 12월 착공하여 2022년 3월 개통되었고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가 운행되며 2028년 풍양역이 개통될 예정이다. - 수도권 전철 4호선 - 안산선
안산선은 금정역과 오이도역을 잇는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지선으로, 안산스마트허브 개발과 함께 건설되었으며, 서울 지하철 4호선 및 수인·분당선과 직결 운행한다. - 1994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은 부산광역시를 운행하는 도시철도 노선으로, 1985년 개통 이후 단계적 연장을 거쳐 노포역과 다대포해수욕장역을 잇는 40개 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000호대 전동차가 운행되고 시설 개선 사업이 진행 중이다. - 1994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은 수원시와 인천광역시를 잇는 수인선과 성남시와 서울특별시를 잇는 분당선을 2020년 9월 12일 통합 개통한 광역철도 노선으로, 수도권 서남부와 동남부를 연결하는 주요 교통축을 형성하며, 향후 학익역 개통 예정 및 인천역-경부고속철도 연결 계획 검토와 함께 소음 문제 및 콘크리트 도상 사용 등 논란도 존재한다. - 1993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수도권 전철 3호선
수도권 전철 3호선은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고양시를 연결하는 49.6km 광역철도로, 1985년 개통 이후 일산선 직결, 구간 연장, 환승역 개통 등을 통해 확장되었으며 서울교통공사와 한국철도공사가 공동 운영하고 출퇴근 시간 혼잡이 심하다. - 1993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수도권 전철 4호선
수도권 전철 4호선은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역에서 시흥시 오이도역을 잇는 노선으로, 진접선, 서울 지하철 4호선, 과천선, 안산선으로 구성되어 남양주도시공사, 서울교통공사, 한국철도공사가 구간별로 운영하며, 완행과 급행이 운행되고 통행 방식 및 전철화 방식이 구간별로 다르다는 특징이 있다.
과천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다른 이름 | |
노선 정보 | |
운행 정보 | |
연혁 | |
운영 | |
기술 정보 | |
선로 길이 | |
기타 정보 | |
웹사이트 | |
2. 역사
과천선은 1989년 12월 착공되어,[2] 1993년 1월 15일 금정-인덕원 구간,[2] 1994년 4월 1일 인덕원-사당 구간이 순차적으로 개통되었다.
1996년 12월 16일 평촌역, 1998년 5월 15일 정부과천청사역(제2종합청사역), 2000년 1월 1일 경마공원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
2019년 4월 17일 노선번호가 '''317'''로 변경되었고,[3] 2020년 11월 27일 안산선과 시간표가 통합되어 안산과천선으로 운영되고 있다.[4]
2. 1. 건설 및 개통
과천선은 1990년대 초 1기 신도시 개발의 일환으로, 산본신도시, 평촌신도시와 과천시, 서울특별시를 이을 목적으로 대한민국 철도청(현 한국철도공사)의 주도 하에 건설된 노선이다. 1994년 4월 1일 전 구간 개통 이후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일부로서 운행되고 있다.과천선 건설 및 개통 과정은 다음과 같다.
날짜 | 내용 |
---|---|
1989년 12월 | 착공 |
1993년 1월 15일 | 금정 - 인덕원 구간 개통[2], 안산선과 직통 운행 개시. |
1994년 4월 1일 | 인덕원 - 사당 구간 개통, 서울교통공사 4호선과 상호 직통 운행 개시. |
1996년 12월 16일 | 평촌역으로 역명 변경 |
1998년 5월 15일 | 제2종합청사역에서 정부과천청사역으로 역명 변경 |
2000년 1월 1일 | 경마공원역으로 역명 변경 |
2019년 4월 17일 | 철도 노선번호 변경에 따라 317로 변경[3] |
2020년 11월 27일 | 안산선과 시간표 통합(안산과천선)[4] |
2. 2. 역명 변경
1996년 12월 16일 평촌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2] 1998년 5월 15일에는 제2종합청사역에서 정부과천청사역으로, 2000년 1월 1일에는 경마공원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2]2. 3. 기타
과천선은 1989년 12월에 착공되었다.[2] 1993년 1월 15일 금정 - 인덕원 구간이 개통되었고,[2] 1994년 4월 1일 인덕원 - 사당 구간이 개통되었다.이후 역명이 변경되었는데, 1996년 12월 16일 평촌역으로, 1998년 5월 15일 제2종합청사역에서 정부과천청사역으로, 2000년 1월 1일 경마공원역으로 변경되었다.
2019년 4월 17일 철도 노선번호가 317로 변경되었고,[3] 2020년 11월 27일 안산선과 시간표가 통합되어 안산과천선으로 운영되고 있다.[4]
3. 운영
2006년 7월부터 2009년 9월까지는 대공원역이 과천선 상의 역을 관리하였으나, 2009년 이후 대공원역이 보통역으로 격하되면서 모든 역을 경부선 안양역이 관리하게 되었다.
노선 내에서 운행이 완결되는 열차는 없고, 모든 열차가 서울 지하철 4호선과 안산선으로 직결 운행된다. 서울 지하철 4호선과 연결되기 전인 1993년 1월 15일부터 1994년 3월 31일까지는 인덕원역과 안산선의 산본역, 안산역 구간을 반복 운행하였다. 운행 횟수는 서울교통공사 소속 104회, 한국철도공사 소속 160회로 총 264회이다. 치안 서비스는 대한민국 국토교통부 산하의 철도특별사법경찰대에서 전담하며, 관할 사무소는 광역철도 수사과인 안양역에 있다.
3. 1. 차량
과천선에서 운행되는 차량은 다음과 같다.-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 (450~470, 481~485편성)
-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
4. 노선 정보
과천선은 1990년대 초 1기 신도시 개발의 일환으로, 산본신도시, 평촌신도시와 과천시, 서울특별시를 이을 목적으로 대한민국 철도청(현 한국철도공사)의 주도 하에 건설된 노선이다. 1994년 4월 1일 전 구간 개통 이후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일부로서 운행되고 있다.
5. 역 목록
거리
거리
(개통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