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샤를 망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샤를 망쟁은 프랑스의 군인으로, 초기에는 식민지에서 복무하며 군 경력을 쌓았고,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제10군 사령관으로 활약했다. 그는 1910년 프랑스 식민군 사용을 촉구하는 저서를 출간했으며, 제2차 마른 전투에서 연합군의 승리에 기여하여 명성을 얻었다. 하지만, '도살업자'라는 별명으로 불릴 만큼 과감한 공격 성향을 보였으며, 1917년 니벨 공세의 실패로 명성이 실추되기도 했다. 전후에는 라인란트 점령을 지휘하며 논란의 중심에 섰고, 최고 군사 회의 위원과 프랑스 식민지 군대 감찰관을 역임했다. 1925년 사망했으며, 그의 기념비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파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장군 - 샤를 드골
    샤를 드골은 프랑스의 장군이자 정치가로서, 제2차 세계 대전 중 자유 프랑스 운동을 이끌고 전후 제5공화국 초대 대통령을 역임하며 프랑스 해방과 재건에 기여했으나, 독단적인 성격과 국수주의적 경향으로 논쟁을 일으키기도 했다.
  • 프랑스의 장군 - 아당 필리프 드 퀴스틴 백작
    아당 필리프 드 퀴스틴 백작은 프랑스의 귀족 장군이자 정치인으로, 7년 전쟁과 미국 독립 전쟁에서 활약하고 프랑스 혁명 기간 라인란트 지역을 점령하는 등 활약했으나, 반역죄로 기소되어 단두대에서 처형되었으며, 그의 군사적 재능과 인간적인 면모, 허영심과 독선적인 태도, 혁명 정부와의 복잡한 관계, 그리고 니더빌러 파이앙스 공장 투자는 그의 삶의 특징을 보여준다.
  • 프랑스의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 - 뤼시앵 페브르
    뤼시앵 페브르는 마르크 블로크와 함께 아날 학파를 창시하여 총체적 역사와 심성사를 개척하고 다양한 사료 활용 및 학문 간 협력을 강조하며 20세기 역사학에 큰 영향을 미친 프랑스의 역사학자이다.
  • 프랑스의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 - 샤를 드골
    샤를 드골은 프랑스의 장군이자 정치가로서, 제2차 세계 대전 중 자유 프랑스 운동을 이끌고 전후 제5공화국 초대 대통령을 역임하며 프랑스 해방과 재건에 기여했으나, 독단적인 성격과 국수주의적 경향으로 논쟁을 일으키기도 했다.
  • 레지옹 도뇌르 그랑크루아 훈장 수훈자 - 폴 랑주뱅
    폴 랑주뱅은 프랑스의 물리학자로서 상자성 및 반자성 연구, 초음파 발생, 상대성 이론 전파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으며, 반파시즘 운동에 참여하고 프랑스 인권연맹 회장을 역임하다가 1946년 사망하여 1948년 파리의 팡테옹에 안장되었다.
  • 레지옹 도뇌르 그랑크루아 훈장 수훈자 - 아키히토
    아키히토는 1933년 쇼와 천황의 장남으로 태어나 1989년 일본 천황으로 즉위하여 2019년 퇴위하고 상황이 되었으며, 어류학자로 활동하며 아시아 국가에 대한 사죄와 국민과의 소통에 힘썼다.
샤를 망쟁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샤를 망쟁 장군
샤를 망쟁 장군
별칭도살업자
개인 정보
출생일1866년 7월 6일
출생지프랑스 모젤주 사르부르
사망일1925년 5월 12일
사망지파리
군사 정보
소속 국가프랑스
복무 기간1889년 – 1925년
최종 계급장군
지휘제11군단
제3군
제6군
제10군
주요 참전프랑스 식민지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베르됭 전투
엔 강 전투
제2차 마른 강 전투
엘리트 강 전투
서훈
훈장레지옹 도뇌르 훈장
미국 특무 훈장
식민지 훈장
산티 모리치오 에 라자로 훈장
바스 훈장

2. 초기 경력

샤를 망쟁은 생시르 사관학교 입학 시험에 재도전하여 1886년에 합격했고, 1888년 소위로 임관하였다. 셰르부르에 주둔한 제1해병보병연대에 배속된 후 수단으로 파견되어 장바티스트 마르샹 휘하에서 복무하였다. 프랑스령 북아프리카의 일부였던 말리에서 군 경력을 쌓으며, 밤바라어를 익혔다. 1892년 3번 부상을 입고 프랑스로 귀국했으며, 이듬해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았다.[9]

1898년, 망쟁은 마르샹을 따라 파쇼다 원정에 참여했다.[9] 1900년 레지옹 도뇌르 훈장 등급이 격상되었고, 앙투아네트 샤를로트 망쟁과 결혼했다. 1901년부터 1904년까지 통킹 주둔 대대를 지휘했다. 1905년 중령으로 진급, 1906년부터 1908년까지 오데오 장군 휘하에서 세네갈에서 복무했다. 1910년 유럽에서의 전쟁에 대비해 프랑스 식민군의 사용을 촉구하는 "라 포스 누아르"를 출간했다.[9]

2. 1. 출생과 군 입대

샤를 망쟁은 1866년 7월 6일 자르부르에서 태어났다. 생시르 사관학교 입학에 처음에는 실패하였으나, 1885년 제77보병연대에 입대했다.[9] 1886년 생시르 사관학교에 다시 지원하여 사관생도가 되었고, 1888년 소위로 진급했다.[9] 그는 셰르부르에 있는 제1해병보병연대에 배속되었다.[9] 이후 수단으로 파견되어 장바티스트 마르샹의 지휘 아래 복무했다.[9] 그는 프랑스령 북아프리카의 일부였던 말리에서 군 경력을 쌓았으며, 말리의 링구아 프랑카였던 밤바라어를 습득했다.[9] 1892년 3번 부상을 입고 프랑스로 귀국했으며, 이듬해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았다.[9]

2. 2. 생시르 사관학교 입학 및 초기 군 생활

샤를 망쟁은 1866년 7월 6일 자르부르에서 태어났다. 생시르 사관학교 입학에 실패한 그는 1885년 제77보병연대에 입대했다. 1886년 생시르 사관학교에 재지원하여 사관생도가 되었고, 1888년 소위로 임관했다. 그는 셰르부르에 있는 제1해병보병연대에 배속되었다. 이후 수단으로 파견되어 장바티스트 마르샹 휘하에서 복무했으며, 프랑스령 북아프리카의 일부였던 말리에서 경험을 쌓았다. 그는 말리의 링구아 프랑카였던 밤바라어를 배웠다. 1892년 3번 부상을 입고 프랑스로 귀국했으며, 이듬해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았다.[9]

2. 3. 파쇼다 사건과 통킹 주둔

1898년, 망쟁은 마르샹을 따라 파쇼다 원정에 참여했다.[9] 1900년 그는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한 등급 높은 것으로 받았다. 1901년부터 1904년까지 그는 통킹에 주둔한 대대의 지휘를 맡았다. 1905년 중령으로 진급한 이후 1906년부터 1908년까지 오데오 장군 휘하에서 세네갈에서 복무했다. 1910년 그는 유럽에서의 전쟁에 대비해 프랑스 식민군의 사용을 촉구하는 《검은 군대(La force noire)》를 출간했다.[9]

2. 4. 세네갈 복무와 '검은 군대' 구상

1905년 중령으로 진급한 샤를 망쟁은 1906년부터 1908년까지 오데오 장군 휘하에서 세네갈 점령 기간 동안 복무했다.[9] 1910년 유럽 전쟁이 발발할 경우 프랑스 식민지군을 사용할 것을 촉구하는 《검은 군대(La force noire)》를 출판했다.[9]

3. 제1차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망쟁은 제2차 마른 전투에서 제10군 사령관으로 승진하여 프랑스군과 미군을 모두 지휘했다. 망쟁은 무제한 전쟁(la guerre à outrance)을 지지하고 북아프리카 티레르의 공격 적합성에 대한 믿음 때문에 "도살자"라는 별명을 얻었지만, 프랑스군 내에서 망쟁이 두려움이 없다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었다. 전선을 방문하지 않은 많은 프랑스 장군들과 달리 망쟁은 샹파뉴 전투에서 부하들에게 추가 공격을 독려하다가 가슴에 총을 맞았지만, 10일 후에 다시 임무에 복귀했다.[2]

프랑스군에서 아프리카 병력의 모집에 대한 많은 반대가 있었으나, 이는 주로 망쟁의 옹호 덕분이었다. 프랑스 제국의 모든 지역에 대한 정치적 자치와 군사적 의무를 기반으로 하는 그의 "더 위대한 프랑스" 개념은 그의 저서 ''전쟁은 어떻게 끝나는가''의 결론 부분에서 제시된다.[3]

3. 1. 주요 전투 활약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망쟁은 샤를루아 전투베르됭 전투에서 승리하였으나, 극단적인 공격 성향으로 인해 "도살자"라는 별명을 얻었다.[10] 로베르 니벨의 전략을 지지했기 때문에 니벨 공세에서 큰 피해를 입으며 명성이 실추되었다.

1918년 11월 2일, 파리 국방부 청사 밖에서 페르디낭 포슈(왼쪽)와 샤를 망쟁 장군이 대화하고 있다.


망쟁의 제6군은 니벨 공세의 주 공격을 맡았으나, 작전 실패 후 해임되었다. 그러나 페르디낭 포슈가 연합군 최고사령관으로 진급하면서, 조르주 클레망소의 명령으로 복귀하여 제10군을 지휘하게 되었다.[10]

제2차 마른 전투에서 망쟁의 제10군은 연합군의 반격을 이끌며 그의 명성을 회복시켰다. 그는 "당신이 무엇을 하든, 당신은 수많은 병력을 잃는다"는 말로도 유명하다. 전쟁 말기에는 카스텔노 장군의 동부군 집단 소속으로 메스 진격에 참여했다.[10]

샹파뉴 전투에서 부상당했음에도 불구하고, 망쟁은 10일 만에 임무에 복귀하는 등 강인한 모습을 보였다.[2]

3. 2. '도살자'라는 별명과 니벨 공세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망쟁은 극히 호전적인 성향으로 인해 아군과 적군 모두에게 "도살자"라는 별명을 얻었다. 그의 명성은 1917년 니벨 공세에서 재앙 수준의 피해를 보면서 크게 실추되었는데, 이는 그가 로베르 니벨의 전략을 지지한 고위급 장교 중 한 명이었기 때문이다.[10]

망쟁의 제6군은 니벨 공세에서 주요 공세의 예봉을 맡았고, 로베르 니벨이 주도한 공세의 주요 병력이었다. 니벨 공세 이후 프랑스의 참패 책임을 지고 잠시 해임되기도 하였으나, 페르디낭 포슈필리프 페탱을 제치고 연합군 최고사령관으로 진급한 이후, 망쟁은 조르주 클레망소의 명령으로 소환되어 서부 전선에서 프랑스 제10군의 지휘권을 인계받았다.[10]

3. 3. 제10군 사령관 복귀와 제2차 마른 전투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망쟁은 제2차 마른 전투에서 제10군 사령관으로 진급해 미군과 프랑스군 모두를 지휘했다.[10] 북아프리카 척후병의 적합성에 대한 신뢰를 통해, 프랑스군은 망쟁이 두려움이 없다고 믿었다.[2] 그는 1914년 샤를루아 전투와 1916년 베르됭 전투에서 주목할 만한 승리를 거두었지만, 극히 호전적인 성향으로 적과 아군 모두에게 가혹했기에 "도살업자"라는 별명을 얻었다.[10] 그의 유능한 장교로서의 명성은 1917년 니벨 공세에서 재앙 수준의 피해를 보면서 크게 실추되었는데, 이는 그가 로베르 니벨의 전략을 지지한 고위급 장교 중 한 명이었기 때문이다.[10]

망쟁의 제6군은 니벨 공세에서 주요 공세의 선봉을 맡았고, 로베르 니벨이 주도한 공세의 주요 병력이었다. 니벨 공세 이후 프랑스군의 참패에 대한 책임을 지고 잠시 해임되기도 하였으나, 페르디낭 포슈필리프 페탱을 제치고 연합군 최고사령관으로 진급한 이후, 망쟁은 조르주 클레망소의 명령으로 소환되어 서부 전선에서 프랑스 제10군의 지휘권을 인계받았다.[10]

망쟁의 제10군은 제2차 마른 전투에서 연합군의 중요한 반격 임무를 지휘했으며,[10] 이 전투에서의 성공으로 그는 명예를 크게 회복했다. 그는 또한 "당신이 무엇을 하든, 당신은 수많은 병력을 잃는다"라는 구절로도 유명해졌다.[10] 전쟁이 끝나갈 무렵, 그는 카스텔노 장군의 동부군 집단의 일원으로 메스로 진격했다.[10]

3. 4. 종전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망쟁은 제2차 마른 전투에서 제10군 사령관으로 승진하여 미군과 프랑스군을 모두 지휘했다.[10] 북아프리카 척후병의 적합성에 대한 신뢰를 통해, 프랑스군은 망쟁이 두려움이 없다고 믿었다. 전쟁 동안 망쟁은 1914년 샤를루아 전투와 1916년 베르됭 전투에서 주목할 만한 승리를 거두었지만, 극히 호전적인 성향으로 적군과 아군 모두에게 가혹하였기에 "도살업자"라는 별명을 얻었다.[10] 유능한 장교로서의 그의 명성은 1917년 개시한 니벨 공세에서 재앙 수준의 피해를 봄으로써 크게 실추되었다. 이는 그가 로베르 니벨의 전략을 지지한 고위급 장교 중 한 명이었기 때문이다.

망쟁의 제6군은 니벨 공세에서 주요 공세의 예봉을 맡았고, 로베르 니벨이 주도한 공세의 주요 병력이었다. 니벨 공세 이후 프랑스의 참패의 책임을 지고 잠시 해임되기도 하였으나, 페르디낭 포슈필리프 페탱을 제치고 연합군 최고사령관으로 진급한 이후, 망쟁은 조르주 클레망소의 명령으로 소환되었고 서부 전선에서 프랑스 제10군의 지휘권을 인계받았다.[10]

제10군은 제2차 마른 전투에서 연합군의 중요한 반격임무를 지휘하였으며,[10] 이 전투에서의 성공으로 그는 명예를 크게 회복했다. 그는 또한 "당신이 무엇을 하든, 당신은 수많은 병력을 잃는다"는 구절로도 유명해졌다. 전쟁이 끝나갈 무렵 그는 노엘 에두아르 장군의 동부 집단군 휘하에서 복무하며 메스를 향해 진격했다.[10]

4. 전후 활동

망쟁은 최고 군사 회의 위원 및 프랑스 식민지 군대 감찰관을 역임했다. 1925년 5월 9일, 파리 자택에서 심각한 병에 걸려 고통 속에 의식을 잃고 부분 마비 증세를 보였다. 다음 날 충수염뇌졸중 진단을 받았으나, 독살설이 제기되기도 했다. 그는 이틀 뒤인 5월 12일에 사망했다.[6] 1932년 앵발리드에 안치되었으며, 막심 레알 델 사르트가 제작한 청동 조각상이 1928년 파리 데니 코샹 광장에 세워졌다.[7]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이 파리를 점령한 지 이틀 후인 1940년 6월 16일, 망쟁의 기념비는 파괴되었다.[1] 아돌프 히틀러는 파리 방문 중 나폴레옹의 묘를 방문했는데, 라인란트에서 망쟁의 책략을 상기시키는 이 동상은 히틀러가 파괴를 명령한 두 기념물 중 하나였다. 다른 하나는 에디스 카벨의 것이었다. 독일 철거 부대가 동상에 다이너마이트를 설치했고, 대부분의 청동은 녹여졌다.[1] 1957년, 새로운 동상이 인근 브르트유 가에 세워졌다.[8]

4. 1. 라인란트 점령과 논란

연합군의 승리 이후 망쟁의 제10군은 라인란트를 점령하기 위해 파견되었다. 그곳에서 그는 프랑스에 우호적인 라인 공화국 수립을 장려하여 독일로부터 분리하고, 결과적으로 독일이 라인강 서쪽 강변을 갖지 못하게 하려는 시도로 인해 논란의 중심이 되었다.

망쟁의 제10군에는 그의 요청에 따라 특별히 파견된 세네갈 티레일러가 포함되어 있었다.[4] 이로 인해 라인강의 흑색 공포로 알려진 도덕적 공황이 뒤따랐다. "모든 독일인들은 그가 독일 시장들에게 자신의 병사들을 위한 매춘 시설을 제공하라고 명령했고, 시장들이 '독일 여성들을 세네갈인들에게 제공하는 것'에 항의하자 망쟁이 '독일 여성들은 나의 세네갈인들에게도 과분하다'고 대답했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고 한다.[5]

4. 2. 최고 군사 회의 위원 및 사망

연합군의 승리 이후 망쟁의 제10군은 라인란트를 점령하기 위해 파견되었다. 그곳에서 그는 프랑스에 우호적인 라인 공화국 수립을 장려하여 독일로부터 분리하고, 결과적으로 독일이 라인강 서쪽 강변을 갖지 못하게 하려는 시도로 인해 논란의 중심이 되었다.

망쟁의 제10군에는 그의 요청에 따라 특별히 파견된 세네갈 티레일러가 포함되어 있었다.[4] 이후 라인강의 흑색 공포로 알려진 도덕적 공황이 뒤따랐다. "모든 독일인들은 그가 독일 시장들에게 자신의 병사들을 위한 매춘 시설을 제공하라고 명령했고, 시장들이 '독일 여성들을 세네갈인들에게 제공하는 것'에 항의하자 망쟁이 '독일 여성들은 나의 세네갈인들에게도 과분하다'고 대답했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고 한다.[5]

망쟁은 최고 군사 회의의 위원이 되었고, 프랑스 식민지 군대의 감찰관이 되었다. 1925년 5월 9일, 그는 파리 자택에서 심각한 병에 걸렸다. 고통에 시달리며 의식을 잃고 부분적으로 마비되었다. 다음날 충수염뇌졸중을 앓고 있다는 진단을 받았지만, 독살되었을 수도 있다는 소문이 돌았다. 그는 이틀 후인 5월 12일에 사망했다.[6] 그의 유해는 1932년 앵발리드에 안치되었고, 막심 레알 델 사르트가 제작한 청동 조각상이 1928년 파리의 데니 코샹 광장에 그의 명예를 기려 세워졌다.[7]

5. 가족 관계

망쟁은 상인 임무를 마치고 돌아와 은행가의 딸인 마들렌 자게르슈미트(Madeleine Jagerschmidt)를 만났다. 그들은 10일 만에 약혼했고 1900년 5월에 결혼했지만, 1년 후 마들렌은 사산된 아이를 낳다가 사망했다. 망쟁은 큰 충격을 받았고, 3년 동안 마들렌의 어머니가 보낸 편지에만 답장을 했다.

1905년 1월, 망쟁은 국민주의 운동가이자 전직 장관인 고드프루아 카비냐크와 통킹에 대해 논의하고자 했다. 이 만남은 그의 죽은 아내의 여동생인 마리 자게르슈미트의 남편이자 에콜 폴리테크니크의 수학 교수인 마리 조르주 옴베르를 통해 주선되었다. 마리는 카비냐크의 딸인 안투아네트에게 개인 교습을 하고 있었다. 면담 후, 카비냐크는 망쟁을 정기적으로 자신의 집에 초대하여 25세의 딸 안투아네트와 함께 식사를 하도록 했다. 망쟁은 안투아네트의 지성에, 안투아네트는 그의 식민지에서의 활약상에 감명을 받았다. 1905년 6월, 망쟁은 청혼했고, 부부는 1905년 7월 31일에 결혼했다.

망쟁과 그의 여덟 자녀, 1919년 마인츠. 그는 자녀들이 라인란트 점령 기간 동안 그와 함께 하기를 열망했다.


이들 부부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레지스탕스 운동가였던 스타니슬라스 망쟁을 포함하여 여덟 명의 자녀를 두었다.[1]

6. 서훈

훈장등급수여 일자
레지옹 도뇌르 훈장기사1891년 12월 30일
레지옹 도뇌르 훈장장교1899년 10월 1일
레지옹 도뇌르 훈장사령관1912년 9월 13일
레지옹 도뇌르 훈장고급 장교1916년 11월 2일
레지옹 도뇌르 훈장대십자 기사1919년 7월 6일
군공훈장1925년 5월 12일
1914-1918 전쟁 십자 훈장
연합국 승전 기념 메달
1914-1918 전쟁 기념 메달
식민지 훈장"세네갈과 수단" 버클 포함
성 마우리치오 라자로 기사단대십자 기사
공로 훈장
바스 훈장훈작 기사


7. 저서


  • La force noire프랑스어, 아셰트, 파리, 1910 (이 책에서 망쟁은 유럽 전쟁 발발 시 식민지 군대를 신속하고 대규모로 투입하는 방안, 이른바 '흑인 부대'(Black Force)를 옹호했다.)
  • La Mission des troupes noires. Compte-rendu fait devant le comité de l'Afrique française프랑스어, 프랑스 아프리카 위원회, 1911, 44쪽.
  • Comment finit la guerre프랑스어, 플롱-누리, 파리, 1920, 330쪽.
  • Des Hommes et des faits. I. Hoche. Marceau. Napoléon. Gallieni. La Marne. Laon. La Victoire. Le Chef. La Discipline. Le Problème des races. Paul Adam : A la jeunesse. Réponse à M. P. Painlevé프랑스어, 플롱-누리, 1923, 275쪽.
  • Autour du continent latin avec le "Jules-Michelet"프랑스어, J. 두물랭, 파리, 1923, 381쪽.
  • Regards sur la France d'Afrique프랑스어, 플롱-누리, 파리, 1924, 315쪽.
  • Lettres du Soudan프랑스어, 레 제디시옹 데 포르티크, 파리, 1930, 253쪽.
  • Un Régiment lorrain. Le 7-9. Verdun. La Somme프랑스어, 플로흐, 마옌; 파요, 파리, 1935, 254쪽.
  • Souvenirs d'Afrique : Lettres et carnets de route프랑스어, 드노엘 에 스틸, 파리, 1936, 267쪽.
  • Les Chasseurs dans la bataille de France. 47e division (juillet-novembre 1918)프랑스어, 플로흐, 마옌; 파요, 파리, 1935, 212쪽.
  • Histoire de la nation française프랑스어 (가브리엘 아노토가 편집), 8권, Histoire militaire et navale프랑스어, 2부, De la Constituante au Directoire프랑스어, 플롱, 파리, 1937
  • Lettres de guerre : [à sa femme] ''1914-1918''프랑스어, 파야르, 1950, 323쪽.

참조

[1] 문서 La force noire
[2] 서적 1998
[3] 웹사이트 Mangin, Charles Marie Emmanuel
[4] 학술지 The "Black Horror on the Rhine": Race as a Factor in Post-World War I Diplomacy 1970-12
[5] 서적 The Week France Fell Stein & Day 1976
[6] 서적 Le Général Mangin Privately Published 1990
[7] 서적 Le Général Mangin Privately Published 1990
[8] 서적 Le Général Mangin Privately Published 1990
[9] 문서 La force noire
[10] 웹사이트 Mangin, Charles Marie Emmanue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