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생시르 사관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생시르 사관학교는 1802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명령으로 설립된 프랑스의 육군 사관학교이다. 퐁텐블로에서 시작하여 생시르로 이전하였으며, 1940년 이후 엑상프로방스, 알제리, 영국 등을 거쳐 현재는 코에키당에 위치해 있다. 생시르 사관학교는 프랑스 육군 장교를 양성하며, 다양한 군사 및 학문적 교육 과정을 제공한다. 졸업생들은 소위로 임관하여 육군 내 다양한 병과에서 복무하며, 역대 프랑스 대통령, 원수, 그리고 한국 전쟁 이후 한국군과의 교류를 통해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와도 관계를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르비앙주의 건축물 - 카르나크 열석
    카르나크 열석은 프랑스 브르타뉴 지방 카르나크 지역의 거석 유적군으로, 신석기 시대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되는 수많은 열석과 고분, 돌멘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대인의 천문 관측소였다는 설과 함께 박물관에서 유물들이 보존 및 전시되고, 유네스코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
생시르 사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생시르 사관학교 휘장
생시르 사관학교 휘장
모토그들은 정복하기 위해 공부한다
모토 (프랑스어)Ils s'instruisent pour vaincre
설립일1802년 5월 1일
종류군사학교 (사관학교) (일반 대학원 석사 과정과 동등)
소속프랑스 육군
총장(2019년) 제라르 마르코
니콜라 드 라르드멜 (Nicolas de Lardemelle) 소장
사령관제네랄 패트릭 콜레 (Général Patrick Collet)
위치코에퀴당, 게르, 모르비앙
별칭생-시리앙 (Saint-cyrien), 시라르 (cyrard)
학부생해당 사항 없음 (군사 또는 민간 예비 대학 학위가 필수 조건)
대학원생석사 학위와 동등
캠퍼스농촌
색상– – (삼색기)
웹사이트생시르 사관학교
위치 정보
기타 정보
주소해당 사항 없음

2. 역사

1802년 5월 1일 나폴레옹의 칙령에 의해 생시르 육군 특별 사관학교가 설립되었다. 처음에는 퐁텐블로에 위치했으나, 1808년 생시르레콜 (이블린)로 이전하여 프랑스 혁명 당시 해산된 프랑스 귀족 여성을 위한 학교였던 옛 ''생루이 왕립 학교'' 건물에 자리 잡았다.

이 학교는 나폴레옹 전쟁 동안 수많은 젊은 장교와 장군들을 양성했으며, 이후 나폴레옹 3세는 왕족을 위한 황태자 사단을 창설하기도 했다. 학교는 나폴레옹의 퇴위 후에도 1940년 프랑스 육군독일에 패배할 때까지 모든 정권 변화를 거치면서 생시르-레콜에 주둔했다.

1940년 학교는 자유 지대엑상프로방스로 이전했다. 1942년 독일의 자유 지대 침공 이후 학교는 해산되었지만, 프랑스 생도 장교 훈련은 셰르셸 (알제리)과 영국에서 드골 장군의 지휘 아래 계속되었다.

1944년 프랑스 해방 당시, 학교는 드 라트르 드 타시니 장군의 지휘 하에 재결합하여 모르비앙의 코에키당 기지에 정착했다. 이는 "''비유 바''"(옛 학교)가 연합군의 폭격으로 심하게 손상되었기 때문이었다.

1961년 개혁으로 학교는 ''생시르 육군 특별 사관학교''(ESM)와 ''육군 병과 간 학교''(EMIA)로 분리되었다. 1983년 처음으로 여성 생도를 받았으며, 2002년에는 모집의 다양성을 넓히기 위한 개혁을 겪었다.

2012년 10월 29일에는 훈련 중 생도 익사 사건이 발생하여, 관련 군인들이 과실치사죄로 기소되기도 했다.[11]

1802년 이후, 65,000명의 생시르 출신이 훈련을 받았으며, 그 중 9,639명이 전장에서 사망했다. 졸업생 중에는 11명의 ''프랑스 원수'', 세 명의 프랑스 대통령, 두 명의 에이스 파일럿, 여섯 명의 ''아카데미 프랑세즈'' 회원, 그리고 한 명의 성인인 가톨릭 교회의 성인이 있다.

이 학교는 캐나다 왕립 군사 대학, 미국 육군사관학교(웨스트포인트), 영국 왕립 육군사관학교 (샌드허스트)와 학생 교환을 포함한 연계 관계를 맺고 있다.

2. 1. 설립 초기 (19세기)

나폴레옹는 1802년 5월 1일(프랑스 혁명력 11 플로레알)에 생시르 사관학교를 특별군사학교로 설립하였다.[11] 처음에는 퐁텐블로에 개교하였으나, 1808년 파리 남서쪽 이블린에 위치한 생시르로 이전하면서 생시르 사관학교로 불리게 되었다.

1804년 나폴레옹 대관식 이후에는 제국군사학교로 명명되었고, 1818년에 이르러서야 생도들의 입학이 연 1회 정기적으로 확립되었다.

연도사건
1802년 5월 1일나폴레옹에 의해 퐁텐블로에서 특별군사학교로 개교.
1805년 1월 7일제정 전환 이후 제국 특별군사학교로 개칭.
1805년 12월 2일최초의 생도 참전 전투, 아우스터리츠 전투. 이때부터 2S 전통 실시.
1808년 3월 24일베르사유 근교 생시르 학교로 이전. 650명의 생도가 1808년 7월 1일 퐁텐블로를 출발하여 7월 3일에 생시르로 이동. 1940년까지 이곳에 위치.
1818년동기회 제도 도입, 기수 부여 시작.
1830년영광의 3일(7월 혁명) 직후, 샤를 10세를 끝으로 부르봉 왕가가 막을 내렸고, 이후 루이 필리프가 왕위에 오르면서 삼색기가 국기로 지정. 생시르 특별군사학교로 개칭.
1851년나폴레옹 3세에 의해 제국특별군사학교로 재개칭.
1855년 8월 24일빅토리아 여왕의 프랑스 방문시 생도들의 예모에 영국을 상징하는 흰색과 하얀색의 깃털을 부착. 이후 예모를 화식조(까조아)를 닮았다하여 "까조아"라는 별칭으로 부르게 됨.
1815년~1870년11,000명의 졸업생 중 1,500명이 전사, 1,450명이 장군으로 진급, 4명의 원수 배출.



생시르 육군사관학교, 1808년부터 1940년까지 사관학교의 자리, 현재는 코에키당 기지(Camp Coëtquidan)에 위치


1886년 쥘 다비가 촬영한 생시르의 기숙사 "세바스토폴"

2. 2. 근현대사 (20세기~현재)

1940년, 생시르 사관학교와 생 맥스(보병 및 기갑 학교)는 자유지역인 액상프로방스로 이전했다. 1942년 11월 독일의 자유지역 침공 이후 두 학교는 강제 해산되었다. 그 후 일부 생도들은 프랑스를 탈출, 스페인을 거쳐 제국 식민기 알제리에 설립된 세셸 군사학교로 피난하였다. 동시에 1940년부터 드골 장군은 영국에 자유프랑스 사관학교를 설립하여 장교들을 양성하였다. 1944년 드 라트르 장군에 의해 세셸 군사학교는 합동군사학교로 명명되었고, 생시르(직접 장교 양성)와 생 맥스(부사관에서 장교 양성)의 역할을 통합하여 모든 육군 장교를 양성하는 임무를 맡게 되었다.[11]

1945년, 생시르 사관학교는 일시적으로 전쟁 이전 실습장소였던 코엣키당(모르비앙)으로 위치를 옮겼다. 기존 생시르 학교 건물이 1944년 7월 26일 연합군의 폭격으로 사용 불가능한 상태가 되었기 때문이다. 1947년, 합동군사학교는 합동특별군사학교로 명명되며 생시르 사관학교의 옛 이름인 특별군사학교를 계승하였다. 1957년, 정부는 생시르 군사학교 재건을 결정하였다. 그러나 과거와 달리, 생도들은 보행 훈련이나 마상 훈련보다 차량화된 교육을 더 필요로 했다. 따라서 생시르 지역은 코엣키당에 비해 규모상 기계화 및 보전합동전술 실습에 적합하지 않았기 때문에, 1959년 드골 장군은 생시르 복귀 계획을 철회하고 해당 위치에 생시르 군사 고등학교를 설립하였다. 1961년부터 다시 특별 군사학교(직접 양성)와 합동군사학교(부사관에서 양성)로 분리되었다. 1964년 군사 고등학교 설립을 위한 공사가 시작되었다. 1977년 코엣키당 지역에 두 학교 외에 기술행정군사학교를 추가로 설립하였다. 최근 프랑스와 독일의 굳건한 연합작전을 위해 프랑스 생도들은 독일군 간부 양성 과정에, 독일 간부 양성 과정생들은 생시르 사관학교에 상호 교환학생을 보내고 있다.[11]

프랑스 외인부대 사령관은 거의 대부분 생시르 사관학교 출신이다.[11]

1983년부터 여생도 선발을 시작했으며, 입학 기준이 bac+1에서 bac+2로 변경되었다. 이때부터 석사 및 엔지니어 학위를 수여하기 시작했다.[11][11][11]

바스티유의 날 군사 퍼레이드 중 생도들의 학업을 감독하는 대령
[11]

생시르의 군기(Color guard)
[11]

생도 제1대대의 첫 번째 중대 제1열
[11]

3. 교육 과정

생시르 육군사관학교는 여러 교육 과정을 운영한다. 일반 장교를 양성하는 '''ESM'''(''École Spéciale Militaire de Saint-Cyr''), 부사관 및 예비역 장교 대상의 '''EMIA'''(''École Militaire Interarmes''), 군정 전문 장교를 양성하는 '''EMCTA'''(''École Militaire du Corps Technique et Administratif'') 과정이 있다.

본과(ESM) 지원 자격은 학사 학위 소지자 또는 그랑제콜 졸업자에게 주어지며, 교양 시험, 적성 및 지능 테스트, 면접, 체력 측정을 거쳐 선발된다. 시험은 바칼로레아+2 수준이며, 매년 다수의 외국인 학생도 입학한다.

생도는 3년간 교양, 군사, 신체 단련, 지도력 발휘 훈련을 받는다. 1학년은 군사 훈련과 교양을 병행하고, 2, 3학년은 교양을 중심으로 1~3주간 군사 훈련을 받는다. 교육 과정은 9월에 시작하여 다음 해 7월까지이다.

본과생은 대대 단위로 편성된다. 1학년(사관 후보생)은 '''프랑스 제3대대''', 2학년(소위 후보생, rang d'aspirant)은 '''프랑스 제2대대''', 3학년(소위)은 '''프랑스 제1대대'''에 배속된다. 단기 교육을 받는 예비역 장교 등은 '''프랑스 제4대대'''에 배속된다.

졸업 후에는 중위로 임관하여 각자 선택한 전문 학교에서 1년을 더 교육받고 소대장으로 연대에 배치된다. 석사 학위도 함께 수여되며, 공학, 이학, 고전 문학, 현대사, 역사, 언어, 응용 언어, 지리학, 경제학, 법학, 컴퓨터 과학, 체육학, 정치학, 아시아학 등을 전공할 수 있다.

전통 행사로는 옛 병기와 제복을 사용한 전투 재현극, 식전 행사 등이 있으며, 파리 축제에서는 에콜 폴리테크니크, 프랑스 해군 사관학교 학생들과 함께 군사 퍼레이드를 진행한다.

3. 1. 생도 선발

생시르 사관생도는 국가적인 연례 경쟁 시험을 통해 선발된다. 프랑스 학생들은 일반 지식, 적성 및 지능에 대한 시험을 치르고, 면접을 보고, 체력 시험을 통과해야 한다.[1]

  • 표준 시험(''concours sur épreuves''): 그랑제콜 준비반 2년 수료 또는 대학교에서 3년의 ''licence''를 취득한 후에 선발된다. 시험에는 선택 과목이 있다. 전통적으로 수학/과학이 선호되는 입학 경로였지만, 오늘날에는 경제학 및 철학/문학도 흔하다.[1]
  • 면접 및 기록 시험(''concours sur titres''): 대학원 교육(석사 학위)을 받은 후 선발된다. 생시르 훈련의 마지막 1년만 이수한다.[1]


또한, 매년 다수의 외국 학생이 입학한다.[1]

3. 2. 주요 과정

생시르 사관학교는 다양한 과정을 운영한다. 크게 일반 장교를 양성하는 '''ESM''' 과정, 부사관 및 예비역 장교 대상의 '''EMIA''' 과정, 군정 전문 장교를 양성하는 '''EMCTA''' 과정이 있다.

ESM 과정은 매년 국가 시험을 통해 선발되며, 3년 동안 교양, 군사, 신체 훈련 및 지도력 발휘 훈련을 받는다. 1학년은 군사 훈련과 학업을 병행하고, 2, 3학년은 학업에 집중하며 1~3주간의 군사 훈련을 받는다. 생도들은 9월부터 7월까지 학교에 다니며, 각 학년은 대대 단위로 편성된다. 1학년은 프랑스 제3대대, 2학년은 프랑스 제2대대, 3학년은 프랑스 제1대대에 소속된다. 예비역 장교, 특별 임무 장교, 견습 사관은 프랑스 제4대대에서 단기 교육을 받는다.

졸업 시에는 전공에 따라 '전략 및 국제 관계', '경영학' 석사 학위 또는 군사 학위인 생시르 졸업장을 수여받는다. 전공 분야는 공학, 과학, 고전, 역사, 언어, 안보, 경제학, 법학, 컴퓨터 과학, 체육, 정치학 등 다양하다. 졸업생들은 소위 계급으로 임관하여, 선택한 병과의 전문 학교에서 1년을 더 교육받은 후 소대장으로 배치된다.

EMIA 과정은 부대 내 선발 과정을 통해 추천받은 하사관이나 예비역 장교가 장교 후보생이 되는 과정이다.

EMCTA 과정은 군정 전문 장교를 양성하는 과정이다.

본과(ESM) 지원 자격은 학사 학위 소지자 또는 그랑제콜 졸업자에게 주어진다. 이들은 교양 시험, 적성 및 지능 테스트, 면접 심사, 체력 측정을 거쳐 선발된다. 프랑스인뿐만 아니라 매년 다수의 외국인 학생도 입학한다.

전공 과정은 다음과 같다.

  • 일반학 과정
  • 군사학 과정: 공수훈련, 코만도 유격훈련, 열대우림 유격훈련, 산악지형극복훈련 등


전체 과정은 6학기(2년은 석사학위를 위한 일반학 과정)이며, 이과 전공자들에 한하여 국가 공인 엔지니어 자격을 부여한다.

졸업 이후, 중위로 진급하게 되며, 성적순으로 육군 내 병과 또는 헌병으로의 전과를 선택하고, 보수교육(초군반, 1년)으로 전속된다. 선택 가능한 병과는 다음과 같다.

4. 전통

생시르 사관학교의 교가는 라 걀레트(La Galette)이다. 피에르 레옹 뷔세(이슬리 기수, 1843년~1845년) 중령이 1845년 재학 시절에 작곡하였다.[6]

나폴레옹 시대의 원래 모토인 "''Ils s'instruisent pour vaincre''"(그들은 정복/승리하기 위해 배운다)는 복고 왕정 시대의 루이 18세에 의해 "''Ils s'instruisent pour la Défense de la Patrie''"(그들은 조국 방어를 위해 배운다)로 변경되었다. 나폴레옹 버전은 1848년부터 1870년까지 다시 사용되었다. 그 다음 모토는 1918년까지 "''Honneur et Patrie''"(명예와 조국)로 변경되었고, 이후 다시 원래의 나폴레옹식 문구로 돌아갔다.[6]

1829년 이래로, 생시르의 모든 기수(''프로모션'')는 이름을 선택한다. 이 이름은 별명(최초 기수의 경우 ''뒤 페르미망'', "별들의")일 수도 있고, 세바스토폴(1855-56 기수), 바야르(1923-25 기수), 포슈(1928-30 기수)와 같이 유명한 전투나 군인 또는 장군의 이름일 수도 있다. 1934년 이후, 모든 기수는 특별한 휘장 또한 선택한다.[6]

생시르 사관학교 생도들은 정장(''그랑 유니폼 또는 GU'')으로 1845년 규정 보병 장교 복장에서 파생된 특별한 제복을 착용한다. 이 제복은 짙은 파란색 튜닉, 빨간색 바지(여생도의 경우 빨간색 치마)와 빨간색과 흰색 깃털이 달린 샤코를 포함한다. 튜닉 면과 바지 줄무늬는 밝은 파란색이며, 덜 격식을 갖춘 자리에서 착용하는 케피도 마찬가지다. 생도는 빨간색 술 장식을 단 견장을 착용하고, 생도 장교는 노란색 견장을 착용한다. 이 전통적인 제복은 1845년부터 1914년까지, 그리고 1930년부터 1939년까지 생시르에서 생도와 교관 모두가 착용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9년에 다시 채택되었다.[7]

샤코 깃털은 화식조라는 별명으로 불리는데, 이는 이 화려한 새가 처음 파리 동물원에 등장했을 때인 1855년에 처음 채택되었기 때문이다. 깃털은 처음에는 생도들의 환영을 받지 못했지만, 생시르의 상징이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발발로 조기 졸업한 1913–14년 생시르 생도들은 근무 케피에 ''카소아''를 착용하고 전투에서 소대를 이끌 것을 맹세했다고 한다.[8]

생시르 사관학교 생도들의 훈련 과정은 여러 의식으로 기념되며, 모든 의식은 야간에 거행된다. 1학년 초, 신병 훈련소 훈련을 마친 후, 생도들은 3학년 생도들로부터 사코(shako, 모자)를 받으며 환영받는다. 이를 "쁘띠 수아"('petit soir') 또는 "작은 밤"이라고 부른다. 1학년 말에는 생도들은 카소아(Casoar, 사코에 달린 붉고 흰 깃털)와 장교의 검을 수여받는다. 이것이 "그랑 수아"('grand soir') 또는 "큰 밤"이다. 2학년 말에는 생도들이 공식적으로 소위로 임관된다. 이는 해당 기수의 "세례"('baptême')로 기념되며, 이 의식에서 모든 생도는 선임 장교로부터 아콜레이드를 받는다. 3학년이자 마지막 해에는 생도들은 중위로 진급하며, "개선"('triomphe')이라고 불리는 의식에서 새로운 계급장을 받는다. 이 의식은 또한 해당 기수 이름을 엄숙히 선포하는 시간이기도 하다.[6]

진품 전투 장비와 해당 시대의 군복을 사용하여 유명한 전투와 의식의 재연 행사가 정기적으로 열린다. 이 중 가장 유명한 것은 1805년 12월 2일에 벌어진 아우스터리츠 전투이며, 이후 계속 기념되고 있다. 생시르 사관학교 생도들은 12월 2일을 "2S"라고 부르며, 이는 프랑스 육군 내에서 또는 학교 졸업생들로 구성된 동문회에서 생시르 사관학교와 관련된 많은 기념 행사가 열리는 날이다.[6]

5. 한국과의 관계

한국군과 프랑스군은 한국 전쟁 이후로 각별한 관계를 유지해 왔다. 2000년부터 한국 육군사관학교에서 매년 1명씩 생도를 파견하고 있으며, 프랑스 생도들 또한 매년 2~5명씩 육군사관학교 또는 포항공대 등에 논문학기를 위해 파견되고 있다.

6. 주요 동문

이름주요 경력졸업 연도
파트리스 드 마크마옹프랑스 대통령 (1873~1879)1827년
프랑수아 세르탱 캉로베르1828년
알프레드 케네 드 볼페르군인, 화가1830년
알베르 샤를 뒤 부스케고용 외국인
쥘 브뤼네영화 『라스트 사무라이』의 모델
에토레 페로네 디 산 마르티노1806년
아블 장 자크 펠리시에1815년
조제프 갈리에니
위베르 리오테1873년
루이 프랑셰 데스페레1876년
샤를 드 푸코1877년
아르튀르 콩스탕탱 크레브스
아돌프 기욤1884년
필리프 페탱비시 정부 원수1887년
막심 베이강1887년
히사마쓰 사다모일본의 화족 군인, 보병, 육군 중장1889년
아키야마 요시후루일본의 군인, 기병, 육군 대장1889년
장 데클로1896년
앙리 지로
폴 르장티욤1907년
장 드 라트르 드 타시니프랑스 원수1911년
샤를 드 골프랑스 대통령1912년
알퐁스 쥐앵프랑스 원수1912년
자크 드 시에드 골의 동기1912년
압돌라 칸 몸타즈1912년
간인노미야 나리히토 친왕일본의 황족 군인, 참모총장, 육군 원수
기타시라카와노미야 나루히사 왕일본의 황족 군인
아사카노미야 야스히코 왕일본의 황족 군인, 육군 대장
히가시쿠니노미야 나루히코 왕일본의 황족 군인, 육군 대장, 내각총리대신
오귀스트 라울르제1차 세계 대전 에이스 파일럿
앙리 헤이 드 슬레이드제1차 세계 대전 에이스 파일럿
피에르 노르작가1922년
미하우 롤라-지미에르스키폴란드 인민 공화국 초대 폴란드 원수1923년
필리프 르클레르 드 오트클로크프랑스 원수1924년
드라골류브 미하일로비치1930년
후샹 아미니 이스파하니이란 장군
가브리엘 브뤼네 드 세리뉴1933년
기욤 콘스브루크룩셈부르크 정치인1933년
미셸 아르노1935년
랴오야오샹중일 전쟁 당시 중국 장군1936년
지네 엘 아비딘 벤 알리튀니지 대통령 (1987~2011)1936년
자크 기에르마외교관, 중국학자1937년
뤼시앙 푸아리에1939년
데이비드 갈룰라1940년
조르주 넬랑가톨릭 사제, 엔도 슈사쿠 등의 지원자1940년
엘리 드 생 마르크
바바카르 게이유엔 민주 콩고 안정화 임무단(MONUSCO) 단장
세르비아의 페타르 1세세르비아 왕국 국왕 (1903–1918); 유고슬라비아 국왕 (1918–1921)1862년
나르시소 캄페로태평양 전쟁 당시 볼리비아 제5사단 지휘관, 볼리비아 대통령
마르셀 데로렌스프랑스 장군
아킬 피에르 데퐁텐제1차 세계 대전에서 사망한 최연소 프랑스 장군
프랑수아-앙리 라페린제1차 세계 대전 당시 프랑스 장군
루이 2세모나코 왕자
이위종
압둘라 아테프시리아 참모총장 겸 국방부 장관
바람 아리야나이란 참모총장
펠리페 앙헬레스멕시코 혁명
사르다르 호마윤
샤를 드 레스토랑레지스탕스 운동가
앙리 풀네레지스탕스 운동가
피에르 노르작가
하지 알리 라즈마라1950–51년 이란 총리
조안 빈 하마드 빈 칼리파 알사니카타르 에미르의 아들1986년
장-에티엔 발뤼
마누체흐 호스로드다드이란 제국 육군 항공대 사령관
필립 모릴론보스니아에서 유엔군을 지휘한 프랑스 장군(1992–1993)이자 2009년까지 유럽 의회 의원
프란시스코 솔라노 로페스삼국 동맹 전쟁 당시 파라과이 대통령 겸 군 지도자
프랑수아 르콩트르프랑스 국방 참모총장1987년
프랑코 알브레히트독일 우익 테러리스트 용의자2011년
요시프 부토이루마니아 군사학교 교장



정장을 착용한 생시르 졸업생

7. 박물관

박물관은 일반 공개와 단체 관람객을 위해 개관 시간이 다르다. 일반 공개는 평일 오전 10시부터 12시, 토요일과 일요일은 오전 10시부터 12시, 오후 2시부터 6시까지이다. 단체 관람객에게는 평일 오후 2시 30분부터 5시까지 개관한다. 휴관일은 월요일(전일) 및 목요일(오후)이다.[1]

박물관은 루 리볼리(cour Rivoli)에 위치해 있다. 상설 전시로는 "앙시앵 레짐의 종말부터 현대까지의 생시르 생활"을 주제로, 역대 제복, 개인 소유물, 예술 작품, 복제품이 아닌 서류, 무기, 장식품, 민족 유적 등을 볼 수 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Loi générale sur l'instruction publique du 1er mai 1802 (11 Floréal An X), Titre VI https://www.educatio[...] 2019-07-23
[2] 웹사이트 Décret du 1er juillet 2019 portant affectations d'officiers généraux https://www.legifran[...] 2019-07-23
[3] 웹사이트 Modern Languages – Norwich University College of Liberal Arts https://web.archive.[...] 2015-01-30
[4] 웹사이트 Les écoles de Saint-Cyr Coëtquidan / Site Saint Cyr Coëtquidan – Les écoles de Saint-Cyr Coëtquidan http://arquivo.pt/wa[...] 2015-01-30
[5] 서적 World Uniforms in Colour. Volume 1 The European Nations Patrick Stevens Ltd London 1970
[6] 간행물 La Gazette des Uniformes 2001-07-08 # Assuming July-August means sometime in July or August. More precise date is unavailable.
[7] 간행물 La Gazette des Uniformes 1995-05-06 # Assuming May-June means sometime in May or June. More precise date is unavailable.
[8] 간행물 Les saint-cyriens entrant en guerre 2007-02-01 # Assuming February means sometime in February. More precise date is unavailable.
[9] 웹사이트 http://www.st-cyr.te[...]
[10] 웹사이트 http://www.norwich.e[...]
[11] 웹사이트 仏士官学校の「通過儀礼」で新入生水死、将校ら3人に執行猶予付き判決 https://www.afpbb.co[...] 2023-04-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