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수공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수공군은 2차 세계 대전 이전에 미국 육군 항공대에서 시작된 조직으로, 1940년 미국 방공을 위해 설립된 4개의 항공 지구에서 유래했다. 1946년 전략 항공 사령부, 전술 항공 사령부, 방공 사령부로 재편성되었으며, 냉전 기간 동안 작전 및 행정 권한을 모두 가졌다. 1990년대 개편을 통해 전술적 계층으로 재편되었고, 2006년 구성 공군 개념이 시행되면서 지휘 및 통제 권한을 갖게 되었다. 현재 제1공군, 제2공군, 제3공군 등 20개 이상의 서수 공군이 존재하며, 각 공군은 주요 사령부 및 통합 전투 사령부를 지원한다. 한국과 관련된 공군으로는 주한 미군을 지원하는 제7공군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 육군 항공대의 서수공군 - 제7공군
제7공군은 한반도 방어를 임무로 하는 미국 태평양 공군 예하 부대로, 오산 공군기지 등을 중심으로 전투기를 운용하며 한반도 유사시 작전 수행 및 연합 작전을 수행하고, 사령관은 주한 미군 부사령관 등을 겸임한다. - 미국 육군 항공대의 서수공군 - 제5공군
제5공군은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에 참전한 미국 공군 부대로, 현재는 일본에 사령부를 두고 동아시아 안보와 재해 지원에 기여한다. - 미국 공군의 서수공군 - 제7공군
제7공군은 한반도 방어를 임무로 하는 미국 태평양 공군 예하 부대로, 오산 공군기지 등을 중심으로 전투기를 운용하며 한반도 유사시 작전 수행 및 연합 작전을 수행하고, 사령관은 주한 미군 부사령관 등을 겸임한다. - 미국 공군의 서수공군 - 제5공군
제5공군은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에 참전한 미국 공군 부대로, 현재는 일본에 사령부를 두고 동아시아 안보와 재해 지원에 기여한다.
서수공군 | |
---|---|
개요 | |
유형 | 번호 공군 (NAF) |
국가 | 미국 공군 |
설명 | 미국 공군의 조직 구조 |
조직 구조 | |
설명 | 번호가 매겨진 공군은 공군 내에서 중간 지휘 계층으로, 전투 사령부에 보고한다. 번호가 매겨진 공군은 전투 사령부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날개, 그룹과 같은 다양한 부대를 지휘한다. |
지휘 체계 | 전투 사령부 예하 |
역할 | 전투 사령부의 임무 수행을 위한 부대 지휘 |
특징 | |
특징 | 번호가 매겨진 공군은 특정 지리적 위치나 기능에 따라 지정될 수 있다. 번호가 매겨진 공군은 작전, 정보, 병참, 인력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
예시 | 제8공군 (전략적 타격) 제9공군 (중앙사령부) 제11공군 (알래스카) |
추가 정보 | |
참고 | 번호가 매겨진 공군은 미국 공군에서 중요한 조직 구조이며, 전투 사령부가 임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2. 역사
공군 부대는 2차 세계 대전 이전에 미국 육군 항공대에서 명칭이 붙은 조직으로 시작되었다.[4] 최초의 4개 공군 부대는 1940년 10월 19일에 미국 방공을 제공하기 위해 북동부, 북서부, 동남부 및 남서부 항공 지구로 설립되었다.[5] 이 항공 지구는 1941년 3월 26일에 각각 제1, 제2, 제3 및 제4 공군으로 재지정되었다. 1941년 6월 20일 미국 육군 항공대가 설립된 지 1년이 넘은 1942년 9월 18일에 아라비아 숫자는 제1 공군, 제2 공군, 제3 공군, 제4 공군으로 변경되었다. 이 기간 동안 설립되어 공군 부대가 된 다른 조직으로는 필리핀 국방부 공군(제5 공군), 파나마 운하 공군(제6 공군), 하와이 공군(제7 공군), 알래스카 공군(제11 공군) 등이 있다.[6] 2차 세계 대전 이후, 미 공군은 명칭이 붙은 공군과 공군 부대를 모두 계속 사용했다. 명칭이 붙은 공군은 전술적 역할과 지원 역할 모두에 사용되었지만, 공군 부대는 일반적으로 전술적 역할에만 사용되었다.[4]
1946년 3월 평시 구조 조정의 일환으로, 미국 육군 항공대는 전략 항공 사령부(SAC), 전술 항공 사령부(TAC), 방공 사령부(ADC)의 세 주요 작전 사령부로 재편되었다.[7] 이 사령부는 전쟁 중에 발전한 기본적인 공중 전투 임무를 반영했으며, 각 사령부는 육군 항공대 사령관 칼 스파츠 장군에게 직접 보고했다. 공군 부대는 이 사령부와 작전 비행대 및 그룹 간의 중간 본부 역할을 했다. 16개 전쟁 기간 중 공군 부대 중 11개가 남았다. 제8 및 제15 공군은 SAC에 배속되었고, 제3, 제9, 제12 공군은 TAC에 배속되었으며, 제1, 제2, 제4, 제10, 제11, 제14 공군은 ADC에 배속되었다. 제2 공군은 나중에 1949년에 SAC로 이전되었다.[8] 공군 부대는 작전 권한과 행정 권한을 모두 가졌으며, 주요 사령부와 공군 사단(미국) 간의 사령부 레벨로 존재했다. 변형이 존재했고, 공군 부대는 자주 재배치되었지만, 이 기본적인 배치는 냉전 기간 동안 지속되었다.
1990년대 미국 공군 참모총장 메릴 맥피크 장군이 시작한 공군 개편 동안 공군 부대의 역할이 변경되었다. 이 개편의 목표는 "본질적인 지원 기능의 역할과 책임을 명확히 하는 동시에 (공군의) 조직도를 간소화하고, 계층을 제거하고, 평탄화하는 것"이었다.[9] 공군 부대는 작전에 중점을 둔 전술적 계층으로 재편되었고, 행정 참모 기능은 제거되었다. 이 개편으로 주요 사령부의 수도 줄어들었고, 공군 사단이 제거되어 공군 부대가 작전 비행대를 직접 지휘하게 되었다.
공군 부대의 역할은 2006년 구성 공군(C-NAF) 개념이 시행되면서 다시 변경되었다.[10] 일부 공군 부대는 통합 전투 사령부를 지원하는 공군 및 우주군에 대한 지휘 및 통제 권한을 행사하는 공군 구성 사령부(Air Force Component Command)로서 추가 임무를 가지고 있다.[2] C-NAF는 그 역할을 식별하기 위한 두 번째 지정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공군 전투 사령부에 배속된 제1 공군은 미국 북부 사령부의 공군 구성 요소로서의 역할에서 북부 공군(AFNORTH)으로 지정된다.[11] 대부분의 C-NAF는 지원하는 전투 사령관을 위해 공중 및 우주 작전에 대한 지휘 및 통제를 제공하는 공중 및 우주 작전 센터(AOC)를 가지고 있다.
3. 구성
공군 부대는 2차 세계 대전 이전에 미국 육군 항공대에서 명칭이 붙은 조직으로 시작되었다.[4] 1940년 10월 19일, 미국 방공을 위해 북동부, 북서부, 동남부, 남서부 항공 지구가 설립되었고,[5] 1941년 3월 26일에 각각 제1 공군, 제2 공군, 제3 공군, 제4 공군으로 재지정되었다. 1942년 9월 18일, 미국 육군 항공대가 설립된 지 1년 후, 아라비아 숫자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이 기간 동안 필리핀 국방부 공군(제5 공군), 파나마 운하 공군(제6 공군), 하와이 공군(제7 공군), 알래스카 공군(제11 공군) 등이 공군 부대로 설립되었다.[6]
1946년 3월, 평시 구조 조정으로 미국 육군 항공대는 전략 항공 사령부(SAC), 전술 항공 사령부(TAC), 방공 사령부(ADC)로 재편되었다.[7] 각 사령부는 육군 항공대 사령관 칼 스파츠 장군에게 직접 보고했고, 공군 부대는 사령부와 작전 비행대 및 그룹 간의 중간 본부 역할을 했다. 1990년대 미국 공군 참모총장 메릴 맥피크 장군의 공군 개편으로 공군 부대 역할이 변경되어, 지원 기능 역할과 책임 명확화, 조직도 간소화, 계층 제거가 목표였다.[9]
2006년, 구성 공군(C-NAF) 개념 시행으로 공군 부대 역할이 다시 변경되었다.[10] 일부 공군 부대는 통합 전투 사령부 지원을 위한 공군 및 우주군 지휘 및 통제 권한을 행사하는 공군 구성 사령부(Air Force Component Command) 추가 임무를 가진다.[2] 예시로, 공군 전투 사령부 소속 제1 공군은 미국 북부 사령부 공군 구성 요소 역할에서 북부 공군(AFNORTH)으로 지정된다.[11]
3. 1. 서수 공군 목록
공군 | 방패 | 기지 | 주요 사령부 | 비고 |
---|---|---|---|---|
제1공군(공군 북부) | ![]() | 틴들 공군 기지, 플로리다 | 공중전투사령부 | 미국 북부 사령부 및 북미항공우주방위사령부를 지원한다. |
제2공군 | ![]() | 키슬러 공군 기지, 미시시피 | 공군 교육훈련사령부 | 모든 USAF 비행 기술 훈련을 감독한다. |
제3공군(공군 유럽) | ![]() | 람슈타인 공군 기지, 독일 | USAFE-AFAFRICA | 미국 유럽 사령부 및 미국 아프리카 사령부를 지원한다. |
제4공군 | ![]() | 마치 공군 예비 기지, 캘리포니아 | 공군 예비 사령부 | 공군 예비 사령부에서 공중기동사령부가 운용하고 미국 수송 사령부를 지원하는 모든 AFRC C-5, C-17, KC-135, KC-10 및 C-40 부대를 담당한다. |
제5공군 | ![]() | 요코타 공군 기지, 일본 | 태평양 공군 | 주일 미군에 대한 공군 구성요소이다. |
제6공군 | ![]() | 하워드 공군 기지, 파나마 | 1963년에 미국 남부 공군 사령부로 재지정되었다. 1976년에 해체되었다. | |
제7공군(공군 한국) | ![]() | 오산 공군 기지, 대한민국 | 태평양 공군 | 주한 미군을 지원한다. |
제8공군(공군 전략) | ![]() | 바크스데일 공군 기지, 루이지애나 | 공군 세계 타격 사령부 | 미국 전략 사령부를 지원하며 모든 USAF 폭격기를 담당한다. |
제9공군(공군 중부) | ![]() | 쇼 공군 기지, 사우스캐롤라이나 | 공중전투사령부 | 1983년 미국 중앙 사령부 공군(USCENTAF)으로 설립되었으며, 2009년 미국 공군 중앙 사령부(USAFCENT)로 개명되었다. 미국 중앙 사령부의 공군 구성요소이다. 서남아시아에 있는 USCENTCOM의 20개국 책임 구역에 대한 국가 목표를 지원하기 위해 공군 작전(단독 또는 연합 파트너와 협력)을 수행하고 비상 계획을 개발한다.[13] |
제10공군 | ![]() | 해군 항공 기지 합동 예비 기지 (구 카스웰 공군 기지), 포트워스, 텍사스 | 공군 예비 사령부 | 공군 예비 사령부 B-52 부대는 공군 세계 타격 사령부에서, 모든 AFRC E-3, F-22, F-15C/D, F-15E, F-16, A-10, HC-130, HH-60, C-145, U-28, MQ-1, MQ-9 및 RQ-4 부대는 공중전투사령부, 태평양 공군 및 공군 특수 작전 사령부에서, 그리고 공군 교육훈련사령부를 지원하는 모든 AFRC T-6, T-1 및 T-38 "준" 비행 훈련 부대를 담당한다. |
제11공군 | ![]() | 엘멘도프 공군 기지, 알래스카 | 태평양 공군 | 알래스카 사령부 및 알래스카 NORAD 지역에 대한 공군 구성요소이며, 5 AF 또는 7 AF AOR에 없는 PACAF 비행단을 위한 행정 본부이다. |
제12공군(공군 남부) | ![]() | 데이비스-먼선 공군 기지, 애리조나 | 공중전투사령부 | 미국 남부 사령부를 지원한다. |
제13원정 공군 | ![]() | 진주만-히캄 합동 기지, 하와이 | 태평양 공군 | 2012년부터 태평양 공군의 임시 구성요소이다.[14] |
제14공군(공군 전략) | ![]() | 밴덴버그 공군 기지, 캘리포니아 | 공군 우주 사령부 | 미국 전략 사령부를 지원하며 미국 우주군을 담당했다. 2019년 12월, 미국 우주군의 우주 작전 사령부(SPOC)로 재지정되었다. |
제15공군 | ![]() | 쇼 공군 기지, 사우스캐롤라이나 | 공중전투사령부 | 2003년 제15원정 기동 태스크 포스로 재지정되었다. 2012년 해체되었으며, 2020년 8월 20일에 재활성화되어 제9공군과 제12공군의 부대를 통합하여 공중전투사령부의 기존 병력을 생성하고 제공하는 새로운 번호가 매겨진 공군을 형성했다. |
제16공군(공군 사이버) | ![]() | 합동 기지 샌안토니오-랙랜드 | 공중전투사령부 | 미국 사이버 사령부를 지원하며, 해체된 24 및 25 AF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
제17원정 공군 | ![]() | 람슈타인 공군 기지, 독일 | USAFE-AFAFRICA | 미국 아프리카 사령부를 지원한다. 2018년 7월 19일에 해체되었으며, 부대와 임무는 제3공군에 의해 인수되었다.[15] |
제18공군(공군 수송) | ![]() | 스콧 공군 기지, 일리노이 | 공중기동사령부 | 미국 수송 사령부를 지원한다. |
제19공군 | ![]() | 랜돌프 공군 기지, 텍사스 | 공군 교육훈련사령부 | 모든 USAF 비행 훈련을 감독하며, 모든 학부 비행 훈련과 선택된 정규 훈련 부대(FTU) 및 대체 훈련 부대(RTU)를 포함한다. |
제20공군(공군 전략) | ![]() | F.E. 워렌 공군 기지, 와이오밍 | 공군 세계 타격 사령부 | 미국 전략 사령부를 지원하며, 모든 USAF ICBM을 감독한다. |
제21공군 | ![]() | 맥과이어 공군 기지, 뉴저지 | 공중기동사령부 | 2003년 제21원정 기동 태스크 포스로 재지정되었다. 2012년에 해체되었다. |
제22공군 | ![]() | 도빈스 공군 예비 기지, 조지아 | 공군 예비 사령부 | 공군 예비 사령부에서 공중기동사령부가 운용하고 미국 수송 사령부를 지원하는 모든 AFRC C-130 및 WC-130 부대를 담당한다. |
제23공군(AFSOC) | ![]() | 헐버트 필드, 플로리다 | 공군 특수 작전 사령부 | 미국 특수 작전 사령부를 지원한다. 2013년에 해체되었다. |
제24공군(공군 사이버) | ![]() | 랙랜드 공군 기지, 텍사스[16] | 공중전투사령부 | 2019년에 해체되었다. 25 AF와 합쳐져 제16 AF를 만들었다. |
제25공군 | ![]() | 랙랜드 공군 기지, 텍사 | 공중전투사령부 | 2014년 9월 29일에 공군 정보, 감시 및 정찰국에서 재지정되었다.[17] 2019년에 해체되었다. 24 AF와 합쳐져 제16 AF를 만들었다. |
3. 2. 명칭 공군
미국 육군 항공대에서 최초로 명칭이 부여된 공군은 1935년 운영을 시작한 '공군 총본부'(General Headquarters Air Force|제너럴 헤드쿼터스 에어 포스영어)였으며, 1941년 공군 총본부가 되었다. 여러 서수공군 또한 명칭 공군으로 시작되었다.[18]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아이슬란드 공군, 중부 방공군, 동부 방공군, 일본 방공군, 서부 방공군 등 다양한 명칭 공군이 작전 및 지원 사령부에 편성되었다. 이들은 방공 능력을 제공했다. USAF 특수작전군은 특수부대 작전을 통제했다. 승무원 훈련 공군, 비행 훈련 공군, 기술 훈련 공군은 공군 훈련 사령부를 지원했다. 태평양 공군/극동공군(후방)은 극동공군의 작전 및 지원 부대를 모두 통제했다. 유럽 지역항공물자군, 태평양 지역항공물자군 등은 주로 군수지원을 담당했다.[18]
2001년부터 미국 중부 공군은 아프가니스탄 전쟁에 참전하는 미국 공군 부대를 감독했다. 2003년부터는 이라크 전쟁에도 참여했으며, 2015년 시작된 예멘 내전에는 항공 급유 등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4. 역할 및 임무
미국 육군 항공대(United States Army Air Corps)에서 명칭이 붙은 조직으로 시작된 공군 부대는[4] 1940년 10월 19일 미국 방공을 제공하기 위해 북동부, 북서부, 동남부 및 남서부 항공 지구로 설립되었다.[5] 이 항공 지구는 1941년 3월 26일에 각각 제1, 제2, 제3 및 제4 공군으로 재지정되었다. 1941년 6월 20일 미국 육군 항공대(United States Army Air Forces)가 설립된 지 1년이 넘은 1942년 9월 18일에 아라비아 숫자는 제1 공군(First Air Force), 제2 공군(Second Air Force), 제3 공군(Third Air Force), 제4 공군(Fourth Air Force)으로 변경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 공군은 명칭이 붙은 공군과 공군 부대를 모두 계속 사용했다. 명칭이 붙은 공군은 전술적 역할과 지원 역할 모두에 사용되었지만, 공군 부대는 일반적으로 전술적 역할에만 사용되었다.[4]
1990년대에 미국 공군 참모총장(Chief of Staff of the United States Air Force) 메릴 맥피크(Merrill McPeak) 장군이 시작한 공군 개편 동안 공군 부대의 역할이 변경되었다. 공군 부대는 작전에 중점을 둔 전술적 계층으로 재편되었고, 행정 참모 기능은 제거되었다.[9]
2006년에 구성 공군(C-NAF) 개념이 시행되면서 공군 부대의 역할은 다시 변경되었다.[10] 일부 공군 부대는 통합 전투 사령부(Unified Combatant Command)를 지원하는 공군 및 우주군에 대한 지휘 및 통제 권한을 행사하는 공군 구성 사령부(Air Force Component Command)로서의 추가 임무를 가지고 있다.[2] 예를 들어, 공군 전투 사령부(Air Combat Command)에 배속된 제1 공군(First Air Force)은 미국 북부 사령부(United States Northern Command)의 공군 구성 요소로서의 역할에서 북부 공군(AFNORTH)으로 지정된다.[11]
참조
[1]
간행물
AFI 38–101, Air Force Organization
http://www.e-publish[...]
2011-03-16
[2]
간행물
AFI 38-205, Manpower & Quality Readiness and Contingency Management
http://www.e-publish[...]
2002-06-18
[3]
간행물
AFH 33-337, The Tongue and Quill
http://www.e-publish[...]
2004-08-01
[4]
서적
Organization and Lineage of the United States Air Force
http://www.airforceh[...]
Office of Air Force History
[5]
서적
The Emerging Shield: The Air Force and the Evolution of Continental Air Defense, 1945–1960
http://www.airforceh[...]
Office of Air Force History
[6]
웹사이트
Air Force Historical Research Agency – Numbered Air Forces
http://www.afhra.af.[...]
2008-10-24
[7]
서적
Winged Shield, Winged Sword: A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Air Force, Volume 1
http://www.airforceh[...]
Air Force History and Museums Program
[8]
웹사이트
Factsheets : Second Air Force (AETC)
http://www.afhra.af.[...]
2015-09-27
[9]
서적
Selected Works: 1990–1994
http://oai.dtic.mil/[...]
Air University Press
2011-01-31
[10]
간행물
AFDD 2, Operations and Organization
http://www.e-publish[...]
2007-04-03
[11]
문서
Factsheets : 1st AF Mission
http://www.1af.acc.a[...]
2011-01-29
[12]
웹사이트
AFSPACE Becomes The Fifth U.S. Space Command Service Component – SatNews
https://news.satnews[...]
2022-05-16
[13]
웹사이트
Units
https://www.afcent.a[...]
[14]
웹사이트
Thirteenth Expeditionary Air Force (PACAF)
https://www.afhra.af[...]
Air Force Historical Research Agency
2023-06-26
[15]
웹사이트
United States Air Forces in Europe (USAF)
http://www.afhra.af.[...]
2022-08-01
[16]
웹사이트
Air Force Announces Decision on Location of 24th Air Force
http://www.aero-news[...]
Aero-News Network
2009-08-13
[17]
뉴스
"ISR Agency Becomes 25th Air Force"
Air Force Magazine: Journal of the Air Force Association
2014-11
[18]
서적
The Organization and Lineage of the United States Air Force
United States Air Force Historical Research Center
[19]
웹사이트
3510th TOW TARGET SQUADRON
https://ww35.usafuni[...]
2010-09-19
[20]
웹사이트
Air Forces in WW2
http://www.aerofiles[...]
[21]
웹인용
AIR MATERIEL FORCE, PACIFIC AREA
https://ww35.usafuni[...]
2021-02-30
[22]
웹인용
Air Forces in WW2
http://www.aerofiles[...]
2021-02-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