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양긴발톱할미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양긴발톱할미새는 할미새과에 속하는 조류로, 여러 아종으로 분류되며, 특히 머리 색깔에 따라 다양한 변이를 보인다. 이 종은 초원, 습지, 농경지 등 다양한 환경에서 서식하며, 주로 곤충을 먹고 산다. 한국에서는 북방긴발톱할미새, 흰눈썹긴발톱할미새, 노랑눈썹긴발톱할미새 등이 관찰되며, 철새 이동 시기에 나타난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아툼 신을 상징하는 존재로 여겨지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할미새속 - 검은등할미새
    검은등할미새는 일본과 한국이 원산지인 몸길이 20~22cm의 할미새과 조류로, 머리부터 등까지 짙은 검은색을 띠고 배는 흰색이며, 곤충을 주식으로 하고 습지, 경작지, 도시 등 다양한 환경에 서식하며, 흰머리할미새와의 서식지 경쟁 심화에도 불구하고 IUCN에 의해 최소관심종으로 분류되고 일본의 여러 지자체에서 상징적인 새로 지정되기도 했다.
  • 할미새속 - 알락할미새
    알락할미새는 할미새과에 속하며 유라시아 전역에 분포하고 16.5~21cm의 몸길이와 흔들리는 꼬리를 가진 새로, 곤충을 주식으로 하며 일부 지역에서 개체수 감소 추세가 나타나기도 한다.
  • 유라시아의 새 - 바위비둘기
    바위비둘기는 전 세계에 분포하는 비둘기과의 새로, 야생에서는 바위 절벽에 살지만 도시 환경에도 적응하여 살아가며, 인간과의 공생 관계 속에서 질병 매개 및 환경 오염의 문제점을 야기하기도 한다.
  • 유라시아의 새 - 쇠물닭
    쇠물닭은 전 세계 습지에 서식하며 녹색빛 발과 붉은색 이마판을 가진 물닭속의 새로, 잡식성이며 서식지 파괴와 기후변화로 일부 지역에서 멸종 위기에 처해 국제적인 보호 노력이 필요하다.
  • 1758년 기재된 새 - 코뿔새
    코뿔새는 검은 깃털과 흰 꼬리, 뿔 모양 돌기가 있는 큰 새로, 열대우림에 살며 특이한 번식 습성을 가지고 말레이시아의 국조이자 취약종으로 보호받고 있다.
  • 1758년 기재된 새 - 갈매기
    갈매기는 도요목 갈매기과에 속하는 바닷새의 총칭으로, 전 세계 연안과 하구 등에서 서식하며 잡식성으로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고, 한국에서는 겨울철새이자 여러 지역의 상징 새이기도 하다.
서양긴발톱할미새 - [생물]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파란머리할미새 (M. f. flava) 수컷 성체
파란머리할미새 (M. f. flava) 수컷 성체
상태관심 필요 (LC)
학명Motacilla flava
명명자Linnaeus, 1758
이명Motacilla tschutschensis (본문 참조)
서양긴발톱할미새 분포도
서양긴발톱할미새 분포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류
참새목
아목참새아목
할미새과
할미새속
서양긴발톱할미새
아종
아종15-20개 (본문 참조)

2. 분류

''Motacilla''는 할미새의 라틴어 이름이다. 사실 중세 시대부터 '꼬리'로 오해받아 왔지만, 이는 "움직이다"라는 뜻의 ''motare''에서 파생된 축소어인 ''cilla''에서 유래되었다. 종명 ''flava''는 라틴어로 황금색-노란색을 의미한다.[2]

이 종의 계통분류와 계통발생은 매우 혼란스럽다. 수십 종의 아종이 한때 묘사되었으며, 현재는 저자에 따라 15~20종이 유효한 것으로 간주된다. 또한, 황금할미새(''M. citreola'')는 이 새와 숨은 종 복합체를 형성한다. 통상적으로 구분되는 두 분류군 모두 서로에 대해 측계통군을 이룬다. 베링기아 지역의 개체군은 때때로 동부노랑할미새(''M. tschutschensis'')로 구분된다.

18개의 아종으로 분류된다고 여겨진다.


  • ''Motacilla flava flava'' Linnaeus, 1758
  • ''Motacilla flava macronyx'' 북방긴발톱할미새
  • ''Motacilla flava plexa'' 시베리아긴발톱할미새 (아종 흰눈썹긴발톱할미새의 동의어로 보는 설도 있음)
  • ''Motacilla flava simillima'' 흰눈썹긴발톱할미새
  • ''Motacilla flava taivana'' 노랑눈썹긴발톱할미새, 긴발톱할미새

2. 1. 현재 인식되는 아종

''M. f. flava'' Linnaeus, 1758 - '''blue-headed wagtail''' (푸른머리할미새): 남스칸디나비아에서 프랑스, 중앙 유럽 산맥, 동쪽으로는 우랄 산맥까지 번식한다.[3] 겨울에는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에서 월동한다.[3] 수컷은 푸른 회색 머리에 흰색 눈썹 줄무늬와 뺨 줄무늬를 가지며, 암컷은 흐릿한 녹색을 띤다.[3]

아른험, 네덜란드


''M. f. flavissima'' Blyth, 1834 - '''yellow-crowned wagtail''' (노란할미새): 잉글랜드, 웨일스 동부, 스코틀랜드 남동부에서 번식한다. 가끔 인접한 유럽 해안에서도 발견된다. 겨울에는 서아프리카, 주로 세네갈, 감비아에서 월동한다.[3] 밝은 노란색 눈썹 줄무늬가 있는 노란색-녹색 머리가 특징이며, 암컷은 수컷보다 눈에 띄게 아래쪽이 더 옅다.[3]

노섬벌랜드, 영국


''M. f. thunbergi'' Billberg, 1828 - '''dark-headed wagtail''' 또는 grey-headed wagtail (회색머리할미새): 중앙 및 북부 스칸디나비아에서 북서시베리아까지 번식한다.[3] 겨울에는 동아프리카, 인도 아대륙, 동남아시아에서 월동한다.[3] 머리는 어두운 회색으로 뺨까지 내려오고 수컷은 흰색이 없으며, 암컷은 더 밝고 녹색을 띠며, 녹색 눈썹 줄무늬가 남아 있다.[3]

오프달, 노르웨이


''M. f. iberiae'' Hartert, 1921 - '''Iberian yellow wagtail''' (스페인할미새): 프랑스 남서부, 이베리아반도, 마그레브 지역(튀니지에서 뱅 다르겡까지)에서 번식한다.[3] 겨울에는 감비아에서 중앙아프리카 공화국까지 월동한다.[3] ''M. f. flava''와 유사하지만 목이 흰색이고 회색이 더 어둡고 눈 뒤쪽은 거의 검은색이다.[3]

바르셀로나, 스페인


''M. f. cinereocapilla'' Savi, 1831 - '''ashy-headed wagtail''' (재머리할미새): 프랑스 남동부, 시칠리아, 사르데냐, 이탈리아, 슬로베니아에서 번식한다.[3] 겨울에는 튀니지 및 알제리 해안, 말리에서 차드호까지 월동한다.[3] ''M. f. iberiae''와 유사하지만 눈썹 줄무늬가 없거나 흔적만 남는다.[3]

토스카나, 이탈리아


''M. f. pygmaea'' (A. E. Brehm, 1854) - '''Egyptian yellow wagtail''' (이집트노란할미새): 나일 삼각주 및 하부 나일강에 텃새로 서식한다.[3] ''M. f. cinereocapilla''와 유사하지만 더 작고 덜 밝다.[3]

''M. f. feldegg'' Michahelles, 1830 - '''black-headed wagtail''' (검은머리할미새): 발칸 반도에서 동쪽으로 카스피해, 남쪽으로 터키, 이란, 아프가니스탄까지 번식하며, 레반트에서도 번식한다.[3] 겨울에는 나이지리아에서 우간다, 남수단까지의 중앙 아프리카, 동쪽으로는 북인도에서 월동한다.[3] 수컷은 칠흑색 머리를 가지고 있으며, 암컷은 위쪽은 칙칙한 ''M. f. thunbergi'' 수컷과 유사하고, 아래쪽은 흐릿한 더러운 황색을 띠며, 목은 흰색이다.[3]

쿠르디스탄, 터키


''M. f. lutea'' (S. G. Gmelin, 1774) - '''yellow-headed wagtail''' (노란머리할미새): 하볼가강에서 이르티쉬강 및 자이산호까지 번식한다.[3] 겨울에는 아프리카 및 인도 아대륙에서 월동한다.[3] 수컷은 머리가 노랗고 목이 녹색이며, 암컷은 다소 더 선명한 ''M. f. flava'' 암컷과 유사하다.[3]

바슈코르토스탄, 러시아


''M. f. beema'' (Sykes, 1832) - '''Sykes' wagtail''' (사이크스할미새): ''M. f. lutea'' 북쪽, 동쪽으로는 라다크 지역까지 번식한다.[3] 겨울에는 인도 아대륙, 동아프리카 및 인접한 아라비아에서 월동한다.[3] ''M. f. flava''와 유사하지만 머리가 더 밝은 회색이며, 귀가 흰색으로 씻겨져 있다. 암컷은 아마도 암컷 ''M. f. flava''와 구별할 수 없을 것이다.[3]

튜멘, 러시아


''M. f. melanogrisea'' (Homeyer, 1878) - '''Turkestan black-headed wagtail''' (투르키스탄검은머리할미새)

''M. f. plexa'' (Thayer & Bangs, 1914) - '''north Siberian yellow wagtail''' (북시베리아노랑할미새)

''M. f. leucocephala'' (Przevalski, 1887) - '''white-headed yellow wagtail''' (흰머리할미새): 몽골 북서부와 인접한 중국 및 러시아에서 번식한다.[3] 겨울에는 아마도 인도에서 월동한다.[3] 수컷은 ''flava''와 유사하지만 머리 회색이 매우 옅고 거의 흰색이다. 암컷은 ''M. f. flava'' 암컷과 유사하지만 머리가 다소 어둡다.[3]

펜자 주, 러시아


''M. f. macronyx'' Stresemann, 1920 - '''북방긴발톱할미새''': 한국에서 관찰되는 아종 중 하나이다. 여름 깃털은 머리 꼭대기에서 뒷목이 짙은 회색이며, 눈앞과 뺨, 목이 하얗고, 눈썹 반점이 없는 개체가 많다.

''M. f. simillima'' E. J. O. Hartert, 1905 - '''흰눈썹긴발톱할미새''': 한국에서 관찰되는 아종 중 하나이다. 여름 깃털은 머리 꼭대기에서 뒷목이 푸른 기운을 띤 짙은 회색이며, 눈썹 반점과 목이 하얗다.

''M. f. taivana'' (Swinhoe, 1863) - '''노랑눈썹긴발톱할미새''', '''긴발톱할미새''': 한국에서 관찰되는 아종 중 하나이다. 여름 깃털은 머리 꼭대기에서 뒷목이 녹갈색이며, 눈썹 반점은 노란색이다.

명명된 푸른머리할미새와 노란할미새는 북프랑스에서 좁은 잡종 지대를 형성한다.[4] 이 지역의 새들은 외형이 다양하지만, 명명된 푸른머리할미새와 유사한 유형(머리의 푸른색이 더 옅고 보라색이며, 머리의 흰색이 특히 목, 귀 덮개, 눈썹 줄무늬에 더 넓게 퍼져 있음)은 구어체로 '''채널할미새'''라고 불린다.[4] 루마니아와 인근 지역의 ''M. f. flava''와 ''M. f. feldegg'' 사이의 잡종 지대는 때때로 별도의 아종 "''M. f. dombrowskii''" 또는 "''M. f. superciliaris''"로 구분되지만, 흰색 눈썹 줄무늬 대신 검은색 머리를 가진 ''M. f. feldegg''와 유사하다.[4][5]

2. 2. 한국 서식 아종

한국에서는 주로 철새 이동 시기에 ''M. f. macronyx'' (북방긴발톱할미새), ''M. f. simillima'' (흰눈썹긴발톱할미새), ''M. f. taivana'' (노랑눈썹긴발톱할미새/긴발톱할미새) 등이 관찰된다. 아종 슴새할미새(''M. f. taivana'')는 홋카이도에서 번식하는 여름새이며, 아종 북슴새할미새(''M. f. macronyx'')는 오키나와에서 월동하는 겨울새이다.

3. 형태

서양긴발톱할미새는 전장 16.5cm, 체중 20-35g이며 꼬리가 다소 긴 편이다. 위 부리는 검은색이고, 아래 부리는 옅은 분홍색을 띤다. 다리는 검은색이다.

여름 깃털은 몸통 등면이 녹갈색, 복면은 노란색이다. 종소명 *flava*는 "노란색의"라는 의미로, 영명(yellow=노란색)과 동의어이다. 겨울 깃털은 등면이 녹색을 띤 짙은 갈색, 복면은 옅은 노란색이다. 어린 새는 등면이 녹갈색, 복면이 황갈색이며, 눈썹 반점과 턱선은 황갈색이다.

북방긴발톱할미새(''M. f. macronyx'')는 여름 깃털의 머리 꼭대기에서 뒷목이 짙은 회색이다. 눈앞과 뺨, 목이 하얗고, 눈썹 반점이 없는 개체가 많다. 시베리아긴발톱할미새(''M. f. plexa'')는 여름 깃털의 머리 꼭대기에서 뒷목이 푸른 기운을 띤 짙은 회색이고, 뺨은 짙은 회색이다. 눈썹 반점이 없거나, 있어도 눈 뒤쪽에만 가늘게 흰 눈썹 반점이 있다. 흰눈썹긴발톱할미새(''M. f. simillima'')는 여름 깃털의 머리 꼭대기에서 뒷목이 푸른 기운을 띤 짙은 회색이고, 뺨도 푸른 기운을 띤 짙은 회색이다. 눈썹 반점과 목이 하얗다. 대만긴발톱할미새(''M. f. taivana'')는 여름 깃털의 머리 꼭대기에서 뒷목이 녹갈색이며, 눈썹 반점은 노란색이다.

4. 생태

초원, 습지, 습원, 해안, 농경지 등에서 서식하며, 작은 무리를 지어 생활한다. 주로 곤충류를 먹는 동물성 식성을 가지며, 지표면을 배회하며 먹이를 찾는다. 번식 형태는 난생으로, 땅의 움푹 파인 곳에 둥지를 만들고 5~6월에 4~6개의 알을 낳는다. 암컷이 주로 포란하며, 포란 기간은 12~14일이다. 새끼는 부화 후 10~13일 만에 둥지를 떠나며, 생후 1년 만에 성적으로 성숙한다.

5. 문화

고대 이집트 구왕국 시대의 피라미드 텍스트에서, 서양긴발톱할미새는 아툼 신을 나타내는 상징으로 여겨졌으며, 그리스 신화불사조에 영감을 주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6]

참조

[1] 간행물 "''Motacilla flava''" 2019
[2] 서적 The Helm Dictionary of Scientific Bird Names Christopher Helm
[3] 웹사이트 Waxbills, parrotfinches, munias, whydahs, Olive Warbler, accentors, pipits https://www.worldbir[...]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2024-08-15
[4] 서적 "Identification Guide to European Passerines" British Trust for Ornithology, Thetford 1992
[5] 서적 "[[Collins Bird Guide]]" 2009
[6] 논문 "Egyptian mythology in the Shin Megami Tensei: Persona games" https://jgeekstudies[...] 2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