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어 (서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어(畲語, She language)는 중국 소수 민족인 서족(畲族)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서어 사용자들은 자신들을 '산 사람들'이라는 뜻의 'Ho Le'라고 부른다. 광둥성 후이저우시의 루오푸 방언과 하이펑 현의 롄화 방언 등 두 가지 주요 방언이 있으며, 모두 심각한 위기에 처해 있다. 음운 체계는 자음과 모음, 6개의 성조를 가지며, 상고 한어에서 차용된 어휘를 포함한다. 계통 분류는 중국어의 영향으로 인해 어려우며, 일부 학자들은 흐몽미엔어족 내에서 지옹나이어와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본다. 서어는 객가어의 자매 분파인 사어(畲話)와는 다른 언어이며, 중국 정부는 서어와 사어 화자를 모두 서족으로 분류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몽몐어족 - 몽어파
몽어파는 중국에서 먀오어, 서구권에서 몽으로 불리며 다양한 언어와 방언으로 구성되어 있고, 서부 몽어군, 북부 먀오어군, 동부 먀오어군 등으로 분류되며 여러 문자로 기록되지만 표준 문자는 존재하지 않는다. - 몽몐어족 - 몽어
몽어는 중국 내륙과 동남아시아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다양한 방언과 특징적인 음운 체계를 가지며, 분석적 SVO 언어이고, 로마자 대중 알파벳(RPA)을 가장 널리 사용하며, 미국에서도 사용 인구가 있으며, 대중문화에도 등장한다. - 중국의 언어 - 중국어
중국어는 시노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방언 간 차이가 크지만 한자를 기반으로 상호 이해가 가능하고, 표준 중국어는 베이징 관화를 기반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등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역사적으로 변화를 겪고 주변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 - 중국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서어 (서족) | |
---|---|
언어 정보 | |
언어 이름 | 셔어 |
고유어 이름 | 호 레 |
발음 | /hɔ22 ne53/ |
사용 국가 | 중국 |
사용 지역 | 광둥성 쩡청시, 볼뤄현, 후이둥현, 하이펑현 |
민족 | 셔족 (2000년 기준 710,000명) |
사용자 수 | 910명 (1999년) |
어족 | 흐몽-미엔어족 |
어파 | 흐몽어파 |
어계 | 셔어계 |
세부 분류 | 파나어-셔어, 치옹나이어-셔어-파나어, 치옹나이어-셔어 |
ISO 639-3 | shx |
Glottolog | shee1238 |
언어 생존력 | 심각한 위기 (Critically Endangered) |
언어 명칭 (중국어) | |
간체 | 活聂 |
병음 | huóniè |
참고 | 언어 |
2. 명칭
서어 사용자들은 자신들을 'Ho Le'(문자 그대로 '산 사람들')라고 부른다. 이는 중국에서 외부에서 부르는 명칭이다. 혜동 방언만이 'Ho Ne'를 사용하고, 박라, 해풍, 증성 방언은 모두 자신들을 지칭하는 단어로 'Ho Le'를 사용한다.
서어에는 두 개의 주요 방언이 있으며, 둘 다 매우 위기에 처해 있다.[6] 이들은 광둥성 후이저우시의 서쪽과 동쪽에 있는 두 개의 작은 지역에서 사용된다. 루오푸(罗浮) 방언은 볼루 현의 루오푸 산구(罗浮山区)와 쩡청 구에서 사용되며,[7] 580명의 화자가 있다. 롄화(莲花) 방언은 하이펑 현의 롄화 산구(莲花山区)에서 사용되며,[7] 390명의 화자가 있다.
3. 방언
4. 음운
4. 1. 자음
서어의 자음 체계는 다음과 같다.
colspan="2" rowspan="2"| | 순음 | 치경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평음 | 구개음화 | 평음 | 구개음화 | 평음 | 구개음화 | 순음화 | 평음 | 구개음화 | ||
비음 | 유성음 | m | mʲ | n | nʲ | ŋ | ŋʲ | |||
무성음 | ŋ̊ | |||||||||
파열음 | 무기음 | p | pʲ | t | tʲ | k | kʲ | kʷ | (ʔ) | |
유기음 | pʰ | pʰʲ | tʰ | tʰʲ | kʰ | kʰʲ | kʰʷ | |||
파찰음 | 무기음 | ts | tsʲ | |||||||
유기음 | tsʰ | tsʰʲ | ||||||||
마찰음 | 무성음 | f | s | sʲ | h | hʲ | ||||
유성음 | v | z | zʲ |
성문 파열음은 무성 자음 (모음으로 시작하는 음절)과 구별되지 않는다.
자음 변이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pǐ + kiáu''는 ''pi̋’iáu''가 되고, ''kóu + tȁi''는 ''kóulȁi''가 된다.
4. 2. 모음
畲語의 모음은 /i e a ɔ ɤ u/이다. 종성은 /j w n ŋ t k/를 가지며, /t k/는 객가어 차용어에만 존재한다. /ɤ/는 종성 뒤에 오지 않으며, 전설 모음 뒤에 오는 파열음은 /n t/뿐이다.4. 3. 성조
서어는 6개의 성조를 가지고 있으며, 검사 음절에서는 2개(높음과 낮음)로 줄어든다(객가어 차용어만 해당). 방언에 따라 차이가 크다. 보고된 두 가지 성조 목록은 다음과 같다.- : /5 4 3 2 1 35/, 또는 (에서)
- : /53 42 3 2 31 35/
5. 어휘
5. 1. 상고 한어 차용어
서어는 상고 한어에서 차용된 다양한 차용어를 가지고 있다.- 走(주): 달리다
- 行(행): 걷다; 표준 중국어에서는 "하다" (일반적인 의미로, "걷다"만 의미하는 것은 아님)
- 烏(오): 검은색
- 赤(적): 붉은색
- 寮(료): 집; 표준 중국어에서는 "오두막"을 의미
- 禾(화): 벼 (식물); 표준 중국어에서는 "기장"을 의미
- 鑊(확): 웍
- 奉(봉): 주다; 표준 중국어에서는 "존경하는 마음으로 주다"를 의미
- 其(기): 그/그녀/그것
- 着(착): 입다
- 睇(제): 보다; 표준 중국어에서는 "흘겨보다"를 의미
- 戮(륙): 죽이다
- 齧(설): 물다
- 使(사): 사용하다
6. 계통 분류
중국어의 강한 영향으로 인해 서어는 계통 분류가 어려운 언어이다.[6] 예를 들어 매티소프(2001)는 이 언어를 흐몽어군 내에서 미분류 상태로 남겨두었고, 일부 학자들은 이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며 흐몽미엔어족 내에서 미분류 상태(그리고 잠재적으로 세 번째 분기)로 남겨두었다.[6] 그러나 She, 마오 & 리(2002)와 래틀리프(2010)는 서어가 지옹나이어와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여긴다.[8][9] 이 언어는 단음절 어근을 가지지만 주로 복합어를 사용한다.
서어는 사어(, '사 방언' 또는 '사어'를 의미)와 혼동해서는 안 된다.[6] 사어는 객가어의 자매 분파로, 푸젠성과 저장성의 사족이 사용한다. 서어와 사어 화자는 서로 다른 역사와 정체성을 가지고 있지만, 중국 정부는 둘 다 공식적으로 서족으로 분류한다. 구이저우성 마장현의 둥자어 화자 역시 공식적으로 서족으로 분류되지만, 충안장 먀오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서부 흐몽어군 언어를 사용한다.
7. 각주
참조
[1]
학회
On the Phylogeny of the Hmong-Mien languages
http://ccl.pku.edu.c[...]
2012
[2]
논문
The classification of Na Meo, a Hmong-Mien language of Vietnam
https://doi.org/10.5[...]
[3]
웹사이트
Preliminary classification of Hmongic languages
https://sites.google[...]
[4]
서적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http://www.unesco.or[...]
UNESCO Publishing
2015-04-11
[5]
학회
The Unchecked Tones of Ho Le She
2023
[6]
웹사이트
She
https://www.ethnolog[...]
2017-02-10
[7]
서적
Shēyǔ jiǎnzhì
Minzu chubanshe
1986
[8]
서적
Jiǒngnàiyǔ yánjiū
Zhongyang minzu daxue chubanshe
[9]
서적
Hmong-Mien Language History
Pacific Linguistics
2010
[10]
서적
Jiǒngnàiyǔ yánjiū
Zhongyang minzu daxue chubanshe
[11]
서적
Hmong-Mien Language History
Pacific Linguistics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