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몽어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몽어파는 중국에서 '먀오어'로 불리며, 서구권에서는 몽족의 이주로 인해 '몽'이라는 이름으로 널리 사용된다. 몽어파는 다양한 언어와 방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푸넬, 래틀리프 등 학자들의 분류 체계가 존재한다. 주요 분파로는 서부 몽어군, 북부 먀오어군(쏭어), 동부 먀오어군(흐무어)이 있으며, 래틀리프의 분류에 따르면 파-헝어, 지옹나이어, 셔어 등이 몽어파에 속한다. 몽어파는 여러 문자로 기록되었으나, 몽족 사이에서 표준으로 받아들여진 문자는 없으며, 중국 내에서는 몽어와 중국어가 혼합된 혼성 언어들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몽족 - 먀오족
    먀오족은 중국 남부 및 동남아시아에 분포하며 다양한 하위 집단과 독특한 문화를 가진 소수 민족으로, 언어, 의복, 음식 등 다채로운 문화를 유지하며 은 장신구와 같은 전통 공예를 통해 정체성을 나타낸다.
  • 몽몐어족 - 서어 (서족)
    서어는 '산 사람들'이라는 뜻의 'Ho Le' 화자들이 사용하는 언어로, 루오푸 방언과 롄화 방언으로 나뉘며 소멸 위기에 놓여 있고, 중국어의 영향으로 계통 분류에 어려움을 겪지만 흐몽어군 또는 지옹나이어와의 관련성이 논의되며, 고대 한어에서 유래된 차용어를 다수 포함하고 중국 정부는 서어 사용자를 사족으로 분류한다.
  • 몽몐어족 - 몽어
    몽어는 중국 내륙과 동남아시아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다양한 방언과 특징적인 음운 체계를 가지며, 분석적 SVO 언어이고, 로마자 대중 알파벳(RPA)을 가장 널리 사용하며, 미국에서도 사용 인구가 있으며, 대중문화에도 등장한다.
몽어파
언어 정보
이름미아오어파
다른 이름몽어파
민족묘족
어족흐몽-미엔어족
조어원시 흐몽어파
사용 지역중국
베트남
라오스
태국
ISO 639-2hmn
Glottologhmon1337
Glottolog 명칭흐몽어파
흐몽-미엔어파 언어
흐몽어파 언어 분포
하위 분류
분류바헹어파
셔어
서부 흐몽어군 (촨첸뎬 묘어)
총 (후난 서부)
흐무 (구이저우 동부)
기타 분류되지 않은 분파 가능성 있음

2. 명칭

'먀오'(苗|먀오zho)는 중국에서 먀오족이 사용하는 중국식 이름이다. 하지만 흐몽족의 이주로 인해 서방에서는 '몽'이라는 이름이 더 익숙하다. 몽족은 몽어파 내에서 가장 큰 하위 그룹이다. 해외의 많은 몽족은 '몽'이라는 이름을 선호하며, '메오'(먀오에서 파생된 동남아시아 언어)는 부정확하고 경멸적인 표현이라고 주장하지만, 중국의 먀오족 공동체는 일반적으로 '먀오'를 중립적인 표현으로 간주한다.

먀오족이 사용하는 핵심 몽어파 언어에는 여러 겹치는 이름이 있다. 푸넬(영문 및 중문), 래틀리프, 중국 학자들이 명명한 세 가지 분파는 다음과 같으며, 전통 의상의 패턴과 색상을 기반으로 한 설명적 이름도 있다.[1]

원어명내부명푸넬중국어 명칭(지리적)중국어 명칭(일반)래틀리프의상 색상 명칭
lol Hmongb쓰촨-구이저우-윈난 먀오족川黔滇苗|촨첸뎬 먀오zho서부 먀오족 苗语西部方言|먀오위 시부 팡옌zho서부 몽어파백색, 청색/녹색 등
아마오ad Hmaob lul윈난성 북동부 먀오족滇东北次苗|뎬둥베이츠 먀오zho서부 먀오족 苗语西部方言|먀오위 시부 팡옌zho서부 몽어파꽃 먀오족(大花苗)
dut Xongb후난성 서부 먀오족湘西苗|샹시 먀오zho동부 먀오족 苗语东部方言|먀오위 둥부 팡옌zho북부 몽어파적색 먀오족
흐무hveb Hmub구이저우성 동부 먀오족黔东苗|첸둥 먀오zho중부 먀오족 苗语中部方言|먀오위 중부 팡옌zho동부 몽어파흑색 먀오족



''후난성 지지''(1997)는 중국 정부가 먀오족으로 분류한 후난성의 다양한 민족에 대한 다음의 자칭 언어를 제공한다.

3. 분류

몽어파는 매우 다양한 언어와 방언으로 구성되어 상호 이해도, 음운론, 어휘 등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이 때문에 여러 학자들이 다양한 분류 체계를 제시해왔으며, 일부 언어의 계통상 위치는 여전히 논의 중이다.[3]

초기 분류 시도 중 하나인 Purnell (1970)은 몽어파 언어를 지리적 분포에 따라 동부(흐무어), 북부(쏭어), 중부, 서부의 네 하위 그룹으로 나누었다.[2] Strecker (1987)는 서부 후난(쏭어), 동부 구이저우(흐무어), 쓰촨–구이저우–윈난(서부 몽어군)을 주요 분파로 설정하면서, 파헝어, 우나이어, 지옹나이어, 유누어 등을 잠정적으로 포함시켰다.[3] 그러나 이후 연구에서 Strecker는 이들 언어가 몽어파와 별개의 묘-야오어족 분파일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했다.[4]

Matisoff (2001)는 Strecker의 기본 틀을 따르면서 부누어군을 몽어파 내에 통합하고 셔어는 분류하지 않은 상태로 두었다. 그는 몽어파를 부누어군, 촨창뎬 먀오, 파헝어, 첸둥 먀오(흐무어), 샹시 먀오(쏭어) 등으로 분류했다. 매티소프(2006)는 북부 몽어(후난성 서부, 쏭어), 서부 몽어, 중부 몽어(롱리 먀오어, 구이주어), 동부 구이저우(흐무어), 파텡어 등으로 나누는 분류를 제시했다.[6]

중국 학자 Wang & Deng (2003)은 스와데시 핵심 어휘 통계를 바탕으로 언어학적 분류를 시도했다. 이들의 연구는 셔어를 가장 먼저 분기된 것으로 보고, 나머지 언어들을 후난-광시 그룹(쏭어, 지옹나이어, 유누어-파헝어 등)과 구이저우-윈난 그룹(흐무어, 부나오어군, 서부 몽어군 등)으로 나누었다.[5]

최근에는 계산 계통학적 방법론을 이용한 분류 연구도 활발하다. Yoshihisa Taguchi (2012, 2013)는 파헝어를 가장 먼저 분기된 것으로 보고, 북부(쏭어), 핵심 몽어파(중부 흐무어, 서부 몽-흐묘 및 부누-나오클라오, 동부 지옹나이어 및 호네-파나어)로 분류했다.[8][9] Hsiu (2015, 2018)는 어휘 데이터를 기반으로 파헝어군, 시옹어군(Xiong), 셔어군, 흐무어군, 서부 몽어군으로 나누는 분류 체계를 제안했다.[10][11][12]

이처럼 몽어파의 내부 분류는 연구자와 방법론에 따라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특히 파헝어, 지옹나이어, 셔어, 유누어 등은 몽어파의 핵심 그룹과 별개 분파로 설정되거나, 묘-야오어족 내에서 독자적인 위치를 차지할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한다.[3][4][7] 2009년에 처음 기록된 모피우어는 초기에 독립된 분파로 여겨졌으나 이후 구이양 묘어의 방언으로 밝혀졌고, 나메오어는 흐무어(첸둥 먀오)와 가장 가까운 것으로 추정된다.

몽어파 언어들은 지역에 따라 다른 언어와의 접촉으로 인해 혼성 언어를 사용하는 몽족 집단들도 발견된다.

3. 1. 주요 분파

몽어파는 묘-야오어족의 주요 분파 중 하나로, 다양한 하위 언어 그룹으로 구성된다.[3] 학자마다 분류 방식에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주요 분파들이 인정받고 있다.

  • 서부 몽어군: 몽어파 내에서 가장 큰 분파로, 주로 쓰촨성, 구이저우성, 윈난성 등지에 분포한다. 대표적인 언어로는 몽어(Hmong), 아 흐마오어(A-Hmao), 부누 제어(Bunu) 등이 있다.[1] 서구권에서는 흐몽족의 이주로 인해 '몽(Hmong)'이라는 명칭이 더 널리 알려져 있으나, 중국 내에서는 전통적으로 '먀오(苗|먀오zho)'라는 명칭이 사용된다. 해외의 많은 흐몽족은 '몽'이라는 자칭을 선호하며, 동남아시아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메오(Meo)'는 부정확하고 경멸적인 표현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중국 내 먀오족 공동체에서는 '먀오'를 중립적인 용어로 받아들이는 경우가 일반적이다.[1] 이 분파는 전통 의상 색상에 따라 백색 먀오족, 청색/녹색 먀오족, 꽃 먀오족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1]

  • 북부 몽어군 (쏭어): 주로 후난성 서부, 특히 샹시 투자족 먀오족 자치주 지역에 분포한다. 화자들은 `gho Xong (果雄|궈슝zho)` 또는 `dut Xongb` 등으로 자칭한다.[1] 북부 몽어군은 음운론적으로 고대 몽어파의 특징을 비교적 잘 보존하고 있는 보수적인 분파로 평가받는다.[7] 전통 의상 색상에 따라 적색 먀오족으로 불리기도 한다.[1]

  • 동부 몽어군 (흐무어): 주로 구이저우성 동부 지역에 분포하며, 화자들은 `hveb Hmub` 등으로 자칭한다.[1] 카이리시, 타이지앙현, 룽장현 등지에서 사용되며 여러 방언으로 나뉜다.[2] 전통 의상 색상에 따라 흑색 먀오족으로 불리기도 한다.[1]


이 외에도 파헝어군(Bahengic), 셔어군(Sheic) 등이 몽어파의 주요 분파 또는 밀접하게 관련된 언어군으로 분류된다. 마사 랫클리프(Martha Ratliff)의 2010년 분류에 따르면, 파헝어는 가장 먼저 분기된 것으로 보이며, 지옹나이어와 셔어가 그 다음으로 분기하고, 나머지 핵심 몽어파(서부, 북부, 동부 몽어군)가 하나의 그룹을 형성하는 것으로 제시되었다.[7] 다만, 쏭어(북부 몽어군)의 정확한 계통상 위치는 고어적 특징을 많이 유지하고 있어 여전히 논의 중이다.[7] 학자들의 연구에 따라 세부적인 분류 체계는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3][4][5][6][7][8][9][10][11][12][27]

3. 2. 세부 분류 (Ratliff, 2010)

마사 랫클리프(Martha Ratliff) (2010:3)는 몽어파를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7]

  • '''몽어파''' (묘어)
  • * 파-헝어 (Pa-Hng) – 화자 수: 32,000명
  • * 주요 분파
  • ** 지옹나이어 (Kiong Nai) – 화자 수: 1,100명
  • ** 셔어 (She) – 화자 수: 910명
  • ** 핵심 몽어파

서부 몽어파 (Chuanqiandian)
* 몽어 (Hmong) – 화자 수: 3,712,000명
* 가-무어 (Gha-Mu) - 화자 수: 84,000명
* 아-마오어 (A-Hmao) – 구이저우성윈난성에 화자 수: 300,000명
* 부-나오어 (Bu–Nao) – 광시성에 화자 수: 390,000명
* 거지아어 (Gejia) - 화자 수: 60,000명
* 아-흐묘어 (A-Hmyo) - 화자 수: 61,000명
* 마산어 (Mashan) - 화자 수: 140,000명
* 구이양어 (Guiyang) - 화자 수: 190,000명
* 후이수이어 (Huishui) - 화자 수: 180,000명
* 핑탕어 (Pingtang) - 화자 수: 24,000명
쏭어 (Xong) – 대부분 후난성에 화자 수: 900,000명
흐무어 (Hmu) – 대부분 구이저우성에 화자 수: 2,100,000명

랫클리프(2010)는 파-헝어, 지옹나이어, 그리고 쏭어(북부 몽어파)가 음운론적으로 보수적이라고 언급했다. 이는 다른 대부분의 분파 언어에서 사라진 많은 원시 몽어파의 특징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파-헝어와 쏭어는 원시 몽-몐어 운미(음절 끝소리)가 열려 있는지 닫혀 있는지에 따라 모음의 자질 구별(쏭어의 경우 성조 구별 포함)을 모두 가지고 있다. 또한, 이 두 언어는 대부분의 다른 몽어파 언어에서 사라진 원시 몽-몐어 이중모음의 두 번째 부분을 유지하고 있다. 다른 몽어파 언어들은 주로 이중모음의 첫 번째 부분만 보존하는 경향이 있다. 랫클리프는 쏭어(북부 몽어파)의 계통상 위치는 여전히 불확실하다고 지적한다. 쏭어는 다른 몽어파 언어에서 찾아보기 힘든 여러 고대 언어적 특징을 보존하고 있으므로, 앞으로 몽-몐어족의 분류 연구에서 쏭어의 위치를 규명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4. 문자

몽어파 언어는 적어도 12가지 이상의 서로 다른 문자로 기록되어 왔지만,[15] 몽족들 사이에서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진 표준 문자는 없다. 몽족의 조상인 남만에게 중요한 문학 작품이 담긴 문자가 있었다는 전통이 전해진다. 한나라 시대 중국인들이 남쪽으로 확장하면서 몽족의 문자는 사라졌다고 하며, 일부 이야기에 따르면 문자가 옷에 보존되었다고도 한다. 청나라 시대에 문자를 만들려는 부흥 시도가 있었으나, 탄압을 받아 남아있는 문학 작품은 발견되지 않았다. 최근 후난성에서 한자의 변형으로 보이는 문자가 발견되기도 했다.[16] 그러나 이러한 증거나 전승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 예를 들어, S. 로버트 램지 교수는 선교사들이 문자를 만들기 전까지 먀오족에게는 문자가 없었다고 주장한다.[17] 몽족이 역사적으로 문자를 가지고 있었는지 여부는 현재 명확하지 않다.

1905년경, 사무엘 폴라드는 캐나다 원주민 음절 문자에서 영감을 받아 A-Hmao 언어를 위한 폴라드 문자를 도입했다.[18] 이후 다른 여러 음절 문자도 개발되었는데, 특히 라오스에서 송르 양이 Hmong Daw, Hmong Njua 및 표준 몽어의 다른 방언을 표기하기 위해 만든 파하우 몽 문자가 주목할 만하다.

1950년대에 중국 정부는 먀오족의 주요 세 방언인 숑(Xong), 흐무(Hmu), 촨첸뎬(Chuanqiandian)과 A-Hmao를 위해 로마자 기반의 표기법을 고안했다. 이는 기존에 널리 쓰이던 폴라드 문자를 대체하려는 목적이었으나, 폴라드 문자는 여전히 인기가 있다. 당시 중국 정부의 분류에 따르면, 먀오족의 각 분파는 별도의 문어 표준을 갖게 되었다.[19] 우와 양(2010)은 촨첸뎬의 다른 6개 주요 방언에 대해서도 각각 표준 표기법을 개발해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몽족 언어 보존에 있어 로마자 표기의 역할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 현재 로마자 표기는 중국과 미국에서 주로 사용되며, 태국라오스에서는 라오스 문자나 태국 문자를 변형한 표기법이 흔히 쓰인다.

Nyiakeng Puachue Hmong 문자는 콩 방 목사가 1980년대에 개발한 문자이다. 이 문자는 몽어 어휘를 명확하게 표기하고, 언어 내 중복 표현을 해소하며, 다른 문자들에서 나타나는 의미론적 혼란을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주로 콩 방 목사가 설립한 연합 기독교 자유 복음주의 교회에서 사용된다. 문자의 구조와 형태는 라오스 문자와 유사하며, 문자 자체는 다르지만 히브리 문자에서 영감을 받은 부분도 있다.[20]

5. 혼성 언어

집중적인 언어 접촉의 결과로, 중국에는 혼성 언어로 분류될 수 있는 여러 언어 변종들이 존재한다. 이들은 주로 몽어(먀오어)와 중국어가 섞인 형태이거나, 중국어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몽어(먀오어)의 형태로 나타난다. 주요 혼성 언어 및 관련 변종은 다음과 같다.


  • '''링링어'''(伶话|링화중국어): 광시 북부에서 사용된다.
  • '''마오자 방언'''(猫家话|마오자화중국어): 아오카(Aoka) 또는 칭이 먀오족(Qingyi Miao)이라고도 불리며, 후난성 청부 먀오족 자치현(파나어 사용 마을 근처), 광시성 쯔위안 현, 롱성 여러 민족 자치현 등지에서 사용된다.
  • '''바둥 야오어'''(八峒瑶语|바둥 야오위중국어): 후난성 신닝 현에서 사용된다.
  • '''라바어'''(喇叭话|라바화중국어): 구이저우성 칭룽, 수이청, 푸안, 판셴 등지에서 20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로, 구샹어(로우샤오 방언, 娄邵片|로우샤오폔중국어)의 한 변종으로 여겨진다.[21] 사용자들은 자신들의 조상이 후광(현재의 후난성후베이성) 지역에서 이주해 왔다고 주장하며, 이 때문에 '후광런'(湖广人|후광런중국어)이라고도 불린다.[22]
  • '''바이시 먀오어'''(拜师苗语|바이시 먀오위중국어): 구이저우성 동부 톈주 현의 바이시 먀오족이 사용하는 언어로, 중국어와 먀오어(흐무어)가 혼합된 형태일 가능성이 제기된다.[23]


또한, 후난성 남서부 지역에서는 먀오족과 야오족이 사용하는, 중국어에서 분기된 것으로 보이는 언어 변종들도 존재한다.[24]

  • '''관샤 핑화'''(关峡平话|관샤 핑화중국어): 후난성 쑤이닝 현에서 먀오족이 사용한다. 비(非)중국어적 요소의 예로 '달걀'을 뜻하는 ''kəu213''와 같은 단어가 있다.[25]
  • '''양스 핑화'''(羊石平话|양스 핑화중국어): 후난성 청부 현에서 먀오족이 사용한다. 비중국어적 요소의 예로 '달걀'을 뜻하는 ''ko11''가 있다.[26]
  • 란룽어(兰蓉人话|란룽런화중국어): 후난성 청부 현에서 먀오족이 사용한다.
  • 우투안어(五团人话|우투안런화중국어): 후난성 청부 현에서 먀오족이 사용한다.
  • 마린어(麻林人话|마린런화중국어): 후난성 신닝 현에서 야오족이 사용한다.
  • 니우터우(牛头人话|니우터우런화중국어): 광시성 롱성 현에서 먀오족이 사용한다.

참조

[1] 서적 Minority Rules: The Miao and the Feminine in China's Cultural Politics https://books.google[...] Duke University Press 2014-04-24
[2] 논문 Toward a reconstruction of Proto-Miao-Yao Cornell University
[3] 간행물 The Hmong-Mien Languages http://sealang.net/s[...]
[4] 간행물 Some comments on Benedict's 'Miao-Yao enigma: the Na-e language' http://sealang.net/s[...]
[5] 문서 苗瑶语族语言亲缘关系的计量研究——词源统计分析方法
[6] 문서 Genetic versus Contact Relationship Aikhenvald & Dixon, Areal diffusion and genetic inheritance
[7] 서적 Hmong–Mien language history Pacific Linguistics
[8] 웹사이트 On the Phylogeny of the Hmong-Mien languages http://ccl.pku.edu.c[...] 2012
[9] 웹사이트 On the phylogeny of Hmongic languages http://www.jseals.or[...] Presented at the 23rd Annual Meeting of the Southeast Asian Linguistics Society (SEALS 23), Chulalongkorn University, Bangkok
[10] 문서 The classification of Na Meo, a Hmong-Mien language of Vietnam https://doi.org/10.5[...] Paper presented at SEALS 25, Chiang Mai, Thailand
[11] 웹사이트 Preliminary classification of Hmongic languages https://sites.google[...]
[12] 서적 Miao and Yao language [苗瑶语文] Ethnic Publishing House [民族出版社]
[13] 웹사이트 Miao-Yao http://lingweb.eva.m[...] 2012-09-29
[14] 문서
[15] 웹사이트 Hmong Archives – preserving the Hmong heritage http://www.hmongarch[...]
[16] 웹사이트 Hunan Shaoyang Relics Indicate Written Language of Miao Ethnic Group 湖南首次发现古苗文实物:苗族有语言也有文字 - News Today 今日新闻 - 3Us Community :Hunan Bilingual Forum——尚友国际社区:湖南最大双语论坛 http://www.3us.com/v[...] 2014-07-28
[17] 서적 The Languages of China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4-04-24
[18] 문서
[19] 웹사이트 苗文创制与苗语方言划分的历史回顾 http://www.hmongbs.c[...]
[20] 웹사이트 L2/17-002R3: Proposal to encode the Nyiakeng Puachue Hmong script in the UCS https://www.unicode.[...] 2017-02-15
[21] 서적 Guizhou Qinglong Changliu Laba Miaorenhua 贵州晴隆长流喇叭苗人话 The Commercial Press 2019
[22] 웹사이트 Operation China http://asiaharvest.o[...] 2018-09-30
[23] 웹사이트 Chinese peoples info http://asiaharvest.o[...]
[24] 서적 Yuyan jiechu yu Xiangxinan Miao Yao Pinghua diaocha yanjiu 语言接触与湘西南苗瑤平话调查研究 Yuelu shushe 岳麓书社 2018
[25] 문서
[26] 문서
[27] 서적 Hmong–Mien language history Pacific Linguistic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