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 중립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 중립성은 성별에 따른 차별을 없애고, 모든 성별의 사람들을 동등하게 대우하려는 사회적, 정치적 움직임이다. 이는 법률, 언어, 교육, 마케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나타나며, 성별 고정관념을 탈피하고 개인의 개성을 존중하는 사회를 지향한다. 캘리포니아주는 신분증, 백화점 아동 섹션 등에서 성 중립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성 중립 언어 사용, 성 중립적 양육 방식, 성 중립적인 아동 문학 등이 그 예시이다. 이러한 움직임은 페미니즘, 트랜스휴머니즘과 관련되며, 사회적 영향과 함께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여성주의 용어 - 논바이너리
논바이너리는 남성/여성 이분법적 성별 구분을 넘어선 성 정체성을 가진 사람들을 지칭하는 포괄적 개념으로, 젠더퀴어를 포함한 다양한 젠더 정체성을 아우르며, 성별 중립적 대명사 사용, 사회적 인식 개선, 법적 인정 확대 등을 통해 점차 존중받고 있다. - 여성주의 용어 - 빈곤의 여성화
빈곤의 여성화는 여성의 빈곤이 남성보다 심각하거나 빠르게 증가하는 현상으로, 성차별, 임금 격차, 취업 기회 제한 등 다양한 요인으로 심화되며, 특히 취약 계층 여성에게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 양성성 - 톰보이
톰보이는 전통적인 여성의 성 역할에서 벗어나 활동적이고 독립적인 성향을 보이는 여자아이 또는 여성을 지칭하는 용어로, 시대와 사회에 따라 그 의미와 개념이 변화해 왔으며, 현대에는 개인의 개성과 정체성을 표현하는 방식으로 이해된다. - 양성성 - 카스트라토
카스트라토는 변성기 전 거세하여 여성 음역을 유지시킨 남성 가수로, 교회 내 여성 노래 금지와 18세기 이탈리아 오페라의 전성기를 거쳐 비윤리성 문제와 사회 변화로 쇠퇴하여 알레산드로 모레스키를 마지막으로 사라졌다. - 성평등 - 플래퍼
플래퍼는 1920년대 미국에서 자유분방한 생활 방식을 추구하며 파격적인 패션과 문화를 즐기던 젊은 여성들을 지칭하며, 여성의 사회적 지위 변화에 영향을 미쳤으나 대공황으로 쇠퇴했다. - 성평등 - 혼성 화장실
혼성 화장실은 성별 구분 없이 모든 사람이 이용 가능한 화장실로, 다양한 이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공간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지만, 안전 문제, 프라이버시 침해, 문화적 거부감 등 논쟁이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설계 방식, 법률, 사회 문화적 논의가 진행 중이다.
성 중립성 | |
---|---|
일반 정보 | |
개념 | 성별의 구분을 의식적으로 피하는 것 |
다른 이름 | 젠더리스, 탈젠더 |
관련 개념 | 양성평등 성 역할 고정관념 타파 성 소수자 권리 옹호 |
역사 및 배경 | |
기원 | 1970년대, 성차별에 대한 비판적 인식 확산 |
발전 | 다양한 분야에서 성별 고정관념 탈피 시도 (언어, 교육, 직업 등) |
특징 | |
목표 | 성별에 따른 차별과 불평등 해소 |
방법 | 성별 중립적인 언어 사용 성별 고정관념 없는 교육 직업 선택의 자유 보장 |
다양한 분야에서의 적용 | |
언어 | 성별 지시어 (예: 그/그녀) 대신 중립적인 표현 사용 (예: '그분', 이름 직접 언급) 직업 명칭에서 성별 구분 제거 (예: 간호사 -> 간호 인력) |
교육 | 성별 고정관념 없는 교재 및 교육 방식 개발 모든 학생에게 동등한 기회 제공 |
직업 | 성별에 따른 직업 차별 금지 양성평등적인 채용 및 승진 제도 확립 |
상품 및 서비스 | 성별 구분 없는 디자인 및 마케팅 다양한 성 정체성을 고려한 상품 개발 |
논쟁 및 비판 | |
비판 | 성별 간 차이를 무시하는 획일주의 사회적 혼란 야기 지나치게 이상적인 목표 |
옹호 | 사회적 불평등 해소에 기여 개인의 자유와 선택 존중 다양성을 포용하는 사회 조성 |
관련 단체 및 운동 | |
주요 단체 | 페미니즘 단체 성 소수자 권익 단체 |
관련 운동 | 미투 운동 #타파 운동 |
참고 문헌 | |
참고 문헌 | J. Richard Udry, "The Nature of Gender," Demography, November 1994 |
2. 정책
성 중립성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성별 구분을 없애거나 완화하는 방향으로 공공 정책을 설계하고 추진한다. 법률에서 성 중립성은 양육권 분쟁의 성격을 변화시켜, 이혼 시 남성이 자녀의 양육권을 받을 가능성이 더 높아지게 되었다.[2]
성별에 대한 법적 정의는 트랜스젠더에게 논쟁의 여지가 있는 주제이다. 일부 국가에서는 법적으로 새로운 성별로 정의되기 위해 먼저 성전환 수술을 받아 불임술을 받아야 한다.[3]
대한민국에서는 차별금지법 제정을 둘러싼 논쟁이 계속되고 있으며, 성별 정체성에 따른 차별을 금지하고 성 중립적인 사회를 만들기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2. 1. 캘리포니아 주의 성 중립 정책
캘리포니아주는 오리건주에 이어 성 중립성을 인정하는 정책을 펼치고 있다. 2017년 10월 15일, 제리 브라운 캘리포니아 주지사는 주 신분증에 성 중립성을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을 허용하는 새로운 법안에 서명했다.[4] 2021년 10월 9일, 개빈 뉴섬 주지사는 캘리포니아 의회 법안 1084에 서명하여 캘리포니아의 많은 백화점이 성 중립적인 어린이 섹션을 유지하도록 했다.[5]3. 젠더 블라인드 (Gender Blindness)
젠더 블라인드(Gender-blind영어)는 성별이나 젠더에 따라 사람을 구분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109]
이러한 젠더 블라인드에 대한 설명에는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젠더 블라인드를 실천하는 사람이 반드시 젠더 관련 편견에 대한 사회 운동의 생각을 지지하는 것은 아니다.[110]
예를 들어, 새로운 후보자를 고용할 때 젠더 블라인드를 실천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용주는 성별보다는 이력서와 자기소개서에 중점을 둔다. 이를 통해 특정 주제나 직책에서 한쪽 성별이 다른 성별보다 선호되는 경향이 있다는 젠더 편향이 감소한다.[111]
4. 성 중립 언어
'''성 중립 언어''' 또는 '''성 포괄 언어'''는 사람을 묘사하는 용어에서 성별에 대한 언급을 제거하거나 중립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예를 들어, '경찰관(policeman)', '소방관(fireman)', '승무원(stewardess)', '회장(chairman)'과 같은 성별 고정 직함 대신 '경찰관(police officer)', '소방관(firefighter)', '객실 승무원(flight attendant)', '의장(chairperson)'과 같은 성 중립적 용어를 사용한다. '배우'와 '여배우'와 같이 성별 관련 용어는 원래 남성형 용어('배우')로 대체될 수 있다.[9]
대명사 'he' 또는 'she'는 언급된 사람의 성별을 알 수 없는 경우 'they'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여성이나 남성으로 정체화하지 않는 사람들은 자신을 지칭하거나 다른 사람이 자신을 지칭할 때 성 중립 대명사를 사용할 수 있다.
1960~70년대까지 'he'라는 대명사가 중립적인 것으로 간주되었지만, 페미니스트들의 반대에 따라 'he or she' 대명사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오늘날, "he or she"를 사용하는 것은 누군가의 성별에 대해 추측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they'라는 대명사는 반드시 남성이나 여성을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10]
LGBTQ 활동가들은 "he/she 및 his/her" 대명사가 언어적으로 규범적인 이분법적 성 체계를 강요한다고 주장한다. 여러 가지 다양한 성 중립 대명사가 증가하고 있는데, 여기에는 'sie', 'hir', 'hirs', 'hirself'가 포함되며 'z' 또는 'p'도 포함된다.[12][13]
한국에서는 간호부→간호사, 보모·보부→보육사, 여배우·남배우→배우 등과 같이 성별에 의존하는 용어를 젠더 중립적인 표현으로 대체할 수 있다. 또한, 학교 등에서 '〇〇군', '〇〇짱'이라는 호칭 대신 '〇〇씨'로 통일하는 경우도 있다.
5. 페미니즘 및 남성주의와의 관계
성 중립성은 남성과 여성(및 그 외 모든 성별을 가진 사람)을 법적으로 차별 없이 동등하게 대우하는 것을 강조한다. 이 목표는 원칙적으로 페미니스트와 매스큘리스트 모두와 공유된다. 그러나 성 중립주의는 특정 성별의 권리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성별의 관점을 완전히 초월하는 데 중점을 둔다.
6. 트랜스휴머니즘과의 관계
성 중립성은 사회 내에서 성의 문화적,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 역할을 약화시키려는 운동으로 정의되는 트랜스휴머니즘 개념인 포스트젠더리즘의 일부이다. "성 초월"이라고도 한다.
포스트젠더리즘 지지자들은 성 역할, 사회 계층화, 인지-신체적 불균형 및 차이의 존재가 일반적으로 개인과 사회에 해롭다고 주장한다. 진보된 보조 생식 옵션의 급진적인 잠재력을 고려할 때, 포스트젠더리스트들은 생식 목적을 위한 성행위가 쓸모없어지거나, 모든 포스트젠더 인간이 원한다면 임신을 하여 출산하고 자녀를 낳을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될 것이라고 믿으며, 이는 그러한 사회에서 명확한 성의 필요성을 제거하는 효과를 가질 것이라고 본다.[15]
트랜스휴머니스트의 관점에서 볼 때, 성 중립성의 변화는 포스트젠더리즘 운동의 직접적인 결과로 여겨진다.[16] 성 유동성 및 포스트젠더리즘과 함께 성 중립성은 트랜스휴머니즘 운동이 일어난다면 기여 요인이 될 것이다. 개인의 표현형이 성 분류의 주요 기반이 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트랜스휴머니즘은 성의 이분법적 구분을 약화시켜 미래 사회에서 성 중립성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7. 사회적 영향
현대 사회에서 성 중립성은 다양한 사회 영역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마케팅 분야에서는 특정 성별을 겨냥한 제품 대신 성 중립적인 제품과 마케팅 전략을 통해 더 넓은 소비자층을 공략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과거 아동 장난감은 성별에 따라 뚜렷하게 구분되었지만, 최근에는 성 중립적인 장난감 마케팅이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Mattel사는 "세계 최초의 성 중립 인형"인 Creatable World 인형 라인을 출시했다.[25] 패션 분야에서도 성별 구분 없는 성 중립적인 의류를 디자인하는 디자이너들이 등장하고 있다.
스웨덴의 일부 유치원에서는 "소녀", "소년" 대신 성 중립적 대명사인 "헨(hen)"을 사용해 학생들이 성별 경계를 넘나들 수 있도록 한다.[28] 학교에서는 성 중립적인 무도회 및 홈커밍 참석 허용, 성 중립적인 화장실 및 기숙사 지정,[30] 남녀 공학적인 학생 친목 단체 설립 등 성 중립성 확대를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체육 수업에서 성별에 따른 스포츠를 진행하지 않는 것도 이러한 노력의 일환이다.[31]
트랜스젠더 학생의 경우, 엄격한 복장 규정은 성 정체성 확인 과정을 복잡하게 만들 수 있다.[32] 따라서 일부 학교는 성 중립적인 교복을 도입해 학생들이 자신의 정체성을 더 잘 통제하도록 돕고 있다. 2005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리버사이드는 미국 최초로 성 중립적 주거 옵션을 제공하는 공립 대학교 캠퍼스가 되었으며,[33] 현재 많은 학교가 성 중립적 주거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30]
성 중립적 양육은 아이들이 사회적 기대나 성별 고정관념에 얽매이지 않고 자신의 성 정체성을 자유롭게 탐구하고 표현하도록 지원하는 방식이다.[44] 부모는 아이들에게 다양한 놀이와 경험을 제공하고, 아이들의 선택을 존중한다.
아동 문학에서도 성 중립성이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출판사, 작가, 삽화가 등은 성별을 기준으로 아동을 대상으로 마케팅하는 것을 피하고, 사회적 역할과 성 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을 강화하기보다 콘텐츠를 확장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51]
7. 1. 마케팅
마케팅은 종종 특정 인구 통계에 초점을 맞추고 특정 성별에 맞는 제품을 만드는 데 집중한다. 성별 특정 마케팅에 대한 대중의 시각은 최근 몇 년 동안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예를 들어, 여성용으로 제작된 비크 펜 "비크 포 허"에 대한 시위가 있었는데, 이 펜의 여성 특화 광고를 조롱하는 수천 개의 가짜 리뷰가 게시되었다.[17]최근에는 특정 성별에 초점을 맞춘 제품을 만드는 대신, 성 중립적인 제품과 마케팅 전략을 통해 더 넓은 소비자층을 공략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7. 1. 1. 아동 장난감
아동 장난감 마케팅은 성별에 따라 뚜렷하게 구분되어 왔다. 2012년 연구에 따르면,[18] 어린이는 미디어를 통해 성별에 적합하다고 여겨지는 장난감을 배우며, 이는 사회화 및 성별 사회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남자아이에게는 주로 자동차, 무기, 건설 관련 장난감이, 여자아이에게는 미용 및 가사 관련 장난감이 제공되며, 장난감의 색상도 파란색은 남자아이, 파스텔 색상은 여자아이에게 더 많이 마케팅되었다.[18]''¡Libertad para jugar!''(놀이의 자유!). 마드리드 시의회의 아동 장난감 성 중립 캠페인
2014년 연구에서는 장난감에 "남자아이용" 또는 "여자아이용" 라벨을 붙이거나 분홍색과 파란색과 같은 명시적인 색상을 사용하는 것이 어린이의 성별 고정관념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19] 예를 들어, 파란색으로 칠해지고 "남자아이용"이라고 표시된 호두까기 인형은 분홍색으로 칠해지고 "여자아이용"이라고 표시된 동일한 인형보다 남자아이들에게 더 선호되었다. 특히 여자아이는 라벨링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19]
분홍색은 여자아이가 남성적인 장난감을 탐구하도록 허용하는 것처럼 보이며, 이는 여자아이가 반고정관념적인 장난감과 활동에 관심을 갖도록 유도할 수 있다.[20] 이러한 성별 특정 마케팅은 어린이에게 성 역할을 노출시키고, 어린이는 자신의 성별과 전형적으로 연관된 장난감보다 반대 성별과 연관된 장난감을 덜 선호하게 된다.[20] 봉제 인형과 같은 일부 장난감은 성 중립적인 것으로 간주되어 남자아이와 여자아이 모두에게 판매된다.[21]
부모는 자녀를 위해 장난감을 구매하기 때문에 자녀의 성별 사회화에 큰 영향을 미친다.[22] 최근에는 여자아이만을 대상으로 마케팅되었던 아기 인형을 가지고 노는 남자아이를 보여주는 광고와 같이, 장난감 광고를 성 중립적으로 만드는 것이 인기를 얻고 있다.[23] 남자아이와 여자아이 모두 어릴 때부터 자신의 성 역할에 따라 스스로를 식별하고, 할 수 있는 일과 할 수 없는 일에 제한을 받는다.[24]
2019년, 바비와 같이 성별 유형화된 장난감으로 유명한 회사인 Mattel은 "세계 최초의 성 중립 인형"인 Creatable World 인형 라인을 출시했다.[25]
7. 1. 2. 패션
패션 라인의 마케팅에서 일부 디자이너들은 "남성용" 또는 "여성용"으로 구분되지 않는 성 중립적인 의류를 디자인하기 시작했다. 오늘날 사회에서 성 중립성은 점점 더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남성과 여성 모두 한때 성별에 부적절하다고 여겨졌던 특정 의류 품목을 '착용하는 것'이 허용된다.[26] 여성은 정장과 같이 남성적인 의류를 착용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용인되기 때문에 더 많은 자유를 누리지만, 남성이 드레스와 같은 여성적인 의류를 착용하는 것은 덜 용인된다.[26] 이러한 성 중립적 의류의 측면은 대부분의 성 중립적 의류가 전형적인 남성 의류처럼 보이기 때문에 "지배 계급 남성에게 유일한 실행 가능한 세상"이라고 말한다.[27]7. 2. 교육
스웨덴의 니콜라이가든(Nicolaigarden)과 에갈리아(Egalia) 유치원에서는 "소녀"와 "소년"이라는 용어 대신 성 중립적 대명사인 "헨(hen)"을 사용하여 학생들이 성별 경계를 넘나들 수 있도록 하였다.[28] 2016년에 실시된 한 연구에 따르면, 교사들은 자유 놀이 시간에 여성적인 활동보다 남성적인 활동을 더 많이 촉진하는 경향이 있었다. 연구는 이러한 경향을 교사들에게 알리면, 교사들이 자신의 교수법을 되돌아보고 남녀 학생 모두 다양한 교실 활동에 참여하도록 지원하는 교실 환경을 조성하는 교수법을 장려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29]학교에서 성 중립성에 대한 사고방식을 넓히기 위한 다른 노력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성 중립적인 무도회 및 홈커밍 참석을 허용하고, 동성 커플 및 트랜스젠더 참가자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다.
- 성 중립적인 화장실 및 교내 기숙사를 지정한다.[30]
- 성 중립적이고 남녀 공학적인 학생 친목 단체를 설립한다.
- 장난감을 성별 특정 구역으로 분리하지 않는다.
- 체육 수업에서 성별 특정 스포츠를 진행하지 않는다.[31]
7. 2. 1. 복장 규정
특정 복장 규정의 폐지는 학생들에게 부과되는 제한과 그러한 복장에 대한 편안함에 따라 기관 내에서 보존되어 왔다. 트랜스젠더 학생의 경우, 엄격한 복장 규정은 성 정체성을 확인하는 과정을 복잡하게 만들 수 있으며, 이는 평생 동안 개인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32] 기관 내 복장 준수가 삶의 다른 영역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방식에는 낮은 학업 성취도, 높은 중퇴율, 징계 조치 증가와 같은 요인이 있다.[32] 2017년 기준으로, 영국의 150개 초등학교가 성 중립적인 교복을 도입했으며, 학생들은 이러한 정책 변화의 결과로 자신의 정체성을 더 잘 통제한다고 느낀다.7. 2. 2. 대학교
캘리포니아 대학교 리버사이드는 2005년에 미국에서 성 중립적 주거 옵션을 제공하는 최초의 공립 대학교 캠퍼스가 되었다.[33] 2014년 2월 워싱턴 포스트 기사에 따르면, 현재 미국에서 거의 150개 학교가 성 중립적 주거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30] 서던캘리포니아 대학교와 프린스턴 대학교 등은[34] LGBTQ 커뮤니티에 속한 학생들이 주거 옵션으로 인해 겪을 수 있는 위험을 인식하고, 이들을 위한 별도의 주거 시설을 마련했다.[35]2016년, 라살 대학교 학생들은 기숙사에 성 중립적 주거 옵션을 도입하는 투표를 진행했고, 그 결과 라살 대학교는 미국에서 성 중립적 주거를 제공하는 최초의 가톨릭 대학교가 되었다.[36] 이 학생 주도 투표는 가톨릭 학교 기숙사가 전통적으로 성별에 따라 완전히 분리되어야 한다는 점 때문에 미국 전역의 가톨릭계에서 논란을 일으켰다.[37] 라살 대학교는 이후 학생들을 위한 수용적인 주거 옵션을 통합했으며, 다른 가톨릭 대학교에도 주거 정책을 변경하도록 권고했다.[38]
점점 더 많은 수의 미국 대학들이 선택된 이름 및 신원 정책을 채택하고 있다.[39][40] 2022년 6월 기준으로, 최소 788개의 미국 대학에서 학생들이 선택한 이름을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으며, 최소 242개의 대학에서 학생들이 개인 칭호를 지정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다.[41]
7. 3. 양육
성 중립적 양육은 아이들이 사회적 기대나 성별 고정관념에 얽매이지 않고 자신의 성 정체성을 자유롭게 탐구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양육 방식이다. 부모는 아이들에게 성별에 따른 특정 장난감이나 옷을 강요하지 않고, 다양한 놀이와 경험을 제공하며, 아이들의 선택을 존중하는 태도를 보여준다.[44] 예를 들어, 아들에게는 트럭 장난감을, 딸에게는 인형을 제공하는 대신, 다양한 종류의 장난감을 제공하고 아이가 스스로 선택하게 할 수 있다.[45]부모의 성 역할에 대한 태도는 자녀의 장난감 선택 등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45] 오스트리아에서 324명의 부모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부모의 성 역할 태도와 성 역할 고정관념에 따른 장난감에 대한 판단은 자녀를 위해 동성 유형 및 성 중립적 장난감을 이성 유형 장난감보다 더 바람직하다고 평가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46] 이는 대부분의 전통적인 부모가 평등주의 부모보다 자녀의 관심사와 행동을 제한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교육 측면에서, 부모의 자녀 성별에 대한 태도는 자녀에 대한 기대에 반영된다. 일부 부모는 여전히 딸을 학교에 보내는 것을 꺼려하여 남성에 비해 여성 교육 참여율이 낮다.[47] 부모는 사회가 부여한 성 역할로 인해 아들과 딸을 다르게 대하는 경향이 있으며, 자녀를 돕는 손으로 여기며 아들을 딸보다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아들은 경제적 지원을 제공하고, 딸은 집에 순응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아들 선호 경향은 여전하지만, 성 중립성에 대한 태도는 지난 20년 동안 꾸준히 증가했다.[48]
성 중립적인 태도는 자녀의 성 역할 고정관념 형성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 성 중립적 양육을 하는 부모는 자녀가 자신의 성별에 대한 비전형적인 장난감을 가지고 놀거나, 자신의 옷을 고르게 하거나, 더 "여성스럽게" 또는 "남성스럽게" 행동하게 하거나, 자신의 젠더에 대해 질문하게 하는 것을 허용한다.[44] 반면, 성 중립적이지 않은 부모는 아이들이 성별 지향적인 장난감을 가지고 놀도록 출생부터 프로그래밍되어 있으며, 부모는 자녀가 성 고정관념적인 장난감을 선택하는 데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믿는다.[49]
어린 아이들은 각 개인의 성별에 따라 모든 사람이 어떻게 옷을 입기 시작하는지에 대한 감각을 발달시킨다. 예를 들어, 소녀가 사회적 규범에 반하는 방식으로 옷을 입으면 괴롭힘을 당할 수 있다. 켄트 캔터베리에 따르면, 3세에서 7세 사이의 어린이들 사이에서 "어린 소녀들은 나이가 많은 소녀들보다 성별 유형의 방식으로 옷을 입으려는 동기가 더 강했고, 성 안정성(즉, 성별이 시간이 지나도 안정적으로 유지된다는 지식)에 대한 이해는 남녀 모두에게 외모 경직성을 예측했다."[50]
7. 4. 아동 문학
아동 문학에서 성 중립성은 출판사, 작가, 삽화가 등이 성별을 기준으로 아동을 대상으로 마케팅하는 것을 피하고, 사회적 역할과 성 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을 강화하기보다는 콘텐츠를 확장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는 개념이다.[51]성 역할과 고정관념은 우리 문화에 널리 퍼져 있으며, 시각 문화나 가족 및 또래와의 일상적인 상호 작용과 같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확립된다.[52] 아동 마케팅에서 성 중립성은 부모, 아동 및 출판사 사이에서 점차 증가하는 움직임이다.[53] 성 고정관념이 만연한 곳이 많지만, 아이들이 접하는 책은 주변 정보로부터 끊임없이 아이디어를 구성하고 이전 지식과 새로운 지식을 동화하는 시기에 심리적, 사회적 용도로 모두 사용된다.[54] Let Toys Be Toys, Let Books Be Books, Pinkstinks와 같은 단체는 아동 문학 및 장난감 내에서 성 중립성을 옹호하는 활동으로 홍보 효과를 얻고 있다.
2011년 ''젠더 & 사회(Gender & Society)''에 실린 "20세기 아동 도서의 젠더" 연구는 큰 격차를 발견했다. 플로리다 주립 대학교 사회학 교수인 제니스 맥케이브가 이끈 이 연구는 1900년에서 2000년 사이에 출판된 거의 6,000권의 아동 도서를 분석하여, 매년 출판되는 아동 도서의 57%에서 남성이 중심 인물로 등장하며, 여성 중심 인물은 31%에 불과하다는 것을 밝혀냈다. 연구에 따르면 남성 동물은 매년 출판되는 책의 23%에서 중심 인물로 등장하는 반면, 여성 동물은 7.5%에서만 주연을 맡고 있다.[64][65]
1971년에 실시된 이전 연구에서는 58권의 책 중 25권에 여성의 그림이 있었지만, 여성(또는 여성을 나타내는 동물)이 앞치마를 착용하지 않은 경우는 4권에 불과했다.[67] 많은 부모는 자신의 어린 시절 즐겨 읽었던 책을 자녀에게 읽어준다.[68] 어른은 고정관념이 시대에 뒤떨어졌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지만, 아이들은 이러한 이야기를 읽을 때 그러한 비판적 사고가 부족할 수 있다.[69] 아동 도서에서 젠더를 묘사하는 방식은 성별에 따라 매우 다르다. 여성 캐릭터는 수동적이고 지원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남성 캐릭터는 자립적이고 강하며 활동적인 역할을 수행한다.[70]
2014년 3월, 영국의 단체인 렛 토이즈 비 토이즈(Let Toys Be Toys)는 어린이 도서 분야를 포함하도록 확장하여 렛 북스 비 북스(Let Books Be Books)를 출범시켰다. 이러한 확장은 특히 ''아름다운 소녀의 색칠 공부''와 ''멋진 소년의 색칠 공부''와 같은 책의 성별 특정 제목과 이러한 제목이 어린이에게 부과하는 제한 사항을 다루었다. 렛 토이즈 비 토이즈 단체는 "장난감에 '여자용' 또는 '남자용'이라고 라벨을 붙이는 것처럼, 이러한 책은 소녀 또는 소년에게 어떤 종류의 것이 적합한지에 대해 아이들에게 매우 제한적인 메시지를 보낸다"고 말한다.[74]
이 단체는 청원에 3,000명 이상의 서명을 확보했으며, 이로 인해 출판사 파라곤과 오스본이 지원을 제공하고 성별 특정 어린이 도서 출판을 중단하게 되었다.[53] 2014년 11월, 레이디버드는 제목을 성 중립적으로 만드는 데 동의했다.
성 중립적인 아동 문학의 예는 다음과 같다.
- ''존 도우와 체럽''(John Dough and the Cherub) – L. 프랭크 바움
- ''블랙 독''(Black Dog) – 레비 핀폴드
- ''방법''(How To) – 줄리 모르스타드
- ''부러진 날개를 고치는 법''(How to Heal a Broken Wing) – 밥 그레이엄
- ''리틀 유''(Little You) – 리처드 반 캠프 & 그림 줄리 플렛
- ''어느 밤, 여기에서 멀리''(One Night, Far From Here) – 줄리아 와우터스
- ''어느 북쪽 밤에''(Once Upon a Northern Night) – 진 E. 펜지월 & 그림 이자벨 아르세노
- ''루비의 학교 산책''(Ruby's School Walk) – 캐서린 화이트 & 그림 미라암 라티머
- ''사무엘의 아기''(Samuel's Baby) – 마크 엘킨 & 그림 에이미 웜머
- ''스포크''(Spork) – 교 매클리어 & 그림 이자벨 아르세노
- ''슈퍼 데이지''(Super Daisy) – 케스 그레이 & 그림 닉 샤랏
- ''큰 형''(The Big Brother) – 스테파니 대그 & 그림 앨런 클라크
- ''왕과 씨앗''(The King & the Seed) – 에릭 매더른 & 그림 폴 헤스
- ''해바라기 검''(The Sunflower Sword) – 마크 스페링 & 그림 미리안 라티머
- ''우리는 함께 갑니다!: 애정 어린 시의 호기심 많은 선택''(We Go Together!: A Curious Selection of Affectionate Verse) – 칼레프 브라운
- ''와일드''(Wild) – 에밀리 휴즈
- ''나를 나무라고 불러요''(Call Me Tree) – 마야 크리스티나 곤잘레스
8. 사회 운동
2006년, 전미 학생 성 중립 캠페인(National Student Genderblind Campaign)이[77] 미국 전역의 대학생, 관리자 및 기타 사람들을 교육하기 위해 만들어진 협력적인 풀뿌리 운동 단체로 설립되었다. 이 단체는 성 중립적인 기숙사와 화장실 옵션의 시행을 옹호한다.
엠마 무어(Emma Moore)와 아비 무어(Abi Moore)[78] 쌍둥이 자매는 2008년 5월 런던에서 아동에 대한 성별 고정관념이 초래하는 피해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옹호 단체인 핑크스틴크스(Pinkstinks)를 설립했다.[79][80][81] 핑크스틴크스는 어린 아이들을 대상으로 성별 맞춤형 제품을 마케팅하는 것이 소녀들이 나중에 삶에서 그들의 야망을 제한하도록 장려한다고 주장한다.[79][82]
2014년, 미국의 풀뿌리 단체 플레이 언리미티드(Play Unlimited)는 한 달 동안 노 젠더 디셈버(No Gender December) 캠페인을 진행했다.[83][84]
2016년, 캐나다는 "노 빅 딜(No Big Deal)" 캠페인을 시작했는데, 이 캠페인은 "트랜스젠더 사람들의 대명사에 대한 최근 갈등에 대한 긍정적이고 확정적인 반응"이다.[85] 이 캠페인은 사람들의 외모에 근거하여 추정하는 대신, 사람들이 어떤 대명사로 자신을 식별하는지 묻도록 권장한다. 또한 사람들에게 다른 대명사를 더 쉽게 이해하고 파악하도록 노력한다.[86]
9. 성 중립 관련 소송 (미국)
오리건주에서 전 요식업 종사자였던 발레리아 존스는 동료들이 자신을 여성으로 지칭한 것에 대해 고용주 본 아페티 매니지먼트 컴퍼니를 상대로 51.8만달러의 소송을 제기했다.[87] 존스는 남성이나 여성으로 스스로를 정체화하지 않았으며, 회사에 지원할 때 남성 또는 여성 식별 질문을 의도적으로 작성하지 않았다. 존스는 동료들에게 남성 또는 여성 성별 대명사로 자신을 지칭하는 것을 원치 않는다고 알리고, 관리자들에게 직원들을 집단으로 지칭하고 성 정체성에 대해 교육해 줄 것을 요청했다.[87]
2014년 9월, 미국 해군 참전 용사인 다나 짐(Dana Zzyym)은 여권 신청서에 성별을 '간성'이라고 적고 'X'를 허용해 달라고 요청했다.[88] 짐은 남성도 여성도 아닌 것으로 표기된 출생 증명서를 제시했지만, 국무부는 신청을 거부했다. 짐은 국무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고, 2016년 11월 법원은 짐에게 유리한 판결을 내렸다.[89][90]
2016년 4월 27일, 엘리사 레이 슈프는 미국 오리건주 멀트노마 카운티에 성별을 남성 또는 여성으로 지정하지 않도록 하는 청원을 제출했다. 전직 미국 육군 상사였던 슈프는 남성의 신체적 특징을 가지고 태어나 트랜스젠더 여성으로 살았으나, 이후 논바이너리로 정체화했다. 2013년 오리건주 법령 개정으로 법적 성별 변경에 의료적 전환 증거가 필요 없어졌고, 슈프의 의사 두 명은 그녀가 남성도 여성도 아니라는 편지를 썼다. 2016년 6월 10일, 에이미 홈스 헤인 판사는 슈프의 청원을 허가했다.[91]
10. 비판
참여자의 성별을 고려하지 않는 것은 해로울 수 있다는 비판이 있다. 이는 여성이 성별에 기반하여 남성과 다르게 취급받지 않는 탈성차별 사회에서 기능한다는 주장에 기반한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성별에 따른 차별이 만연하다.[93] 여성 전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여성의 불평등 해소(23%), 여성의 발달과 권한 부여 증진(20%), 여성의 특정 요구 충족(18%) 등을 위해 여성 전용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응답했다.[93]
'그'와 '그의'만을 성 중립적 언어로 사용하는 것은 특정 정체성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거나 인정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94] "그" 또는 "그의"와 같은 대명사를 성 중립적인 사람을 지칭하는 데 사용하면, 대상이 성 중립적임에도 불구하고 무의식적으로 남성을 여성보다 선호하는 "성 편견"이 발생한다.[94] 스포츠 분야에서는 여성 스포츠가 남성 스포츠보다 더 많은 성별 관련 언급을 받으며, 이는 여성 스포츠를 '다른 것'으로 구별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그러나 성 중립적인 스포츠 환경은 여성 스포츠/팀에 대한 인정을 거의 완전히 상실할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95]
법적인 기준에서 '합리적인 사람' 기준은 성 중립적이지 않다는 비판을 받는다. 특히 성희롱 문제에서 이러한 비판이 두드러진다. 미국의 ''Ellison v. Brady'' 사건에서 법원은 "성별을 고려하지 않는 합리적인 사람의 기준은 남성 중심적이며 여성의 경험을 체계적으로 무시하는 경향이 있다"고 판결했다.[96] 레지나 그레이카와 제니 모건은 저서 ''법의 숨겨진 성''에서 성 중립적 강간 관련 법률이 남성과 여성이 유사한 비율로 성폭력의 가해자이자 피해자일 수 있음을 암시할 수 있지만, 이는 정확하지 않다고 주장했다.[97][98]
단성 서비스 옵션 유지를 지지하는 연구 결과도 있다. 여성자원센터의 설문 조사에 따르면, 여성의 97%는 성폭력 피해를 입은 경우 여성 전용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답했고, 57%는 남녀 혼용 체육관보다 여성 전용 체육관을 선호한다고 답했다.[99] 단성 서비스는 더 큰 편안함을 제공하고 참여를 유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100] 모든 성별 분리된 화장실을 없애는 것은 일부 사람들에게 안전한 공간을 잃게 할 수 있다.[101]
성 중립 법률이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낳기도 한다. 1993년 가족 및 의료 휴가법은 특정 직장인에게 12주간의 무급 휴가를 부여하며 모든 성별에 적용되지만, 남성이 경험하지 못하는 임신 중 여성의 부담을 인식하지 못하여 성별 격차를 강화한다는 우려가 있다.[102][103]
참조
[1]
간행물
The Nature of Gender
1994-11
[2]
서적
The Hidden Gender of Law
2002
[3]
간행물
17 European Countries Force Transgender Sterilization (Map)
https://www.motherjo[...]
2013-12-29
[4]
뉴스
California to add gender-neutral option on state driver's licenses
https://www.reviewjo[...]
2017-10-17
[5]
웹사이트
New California Legislation will Require Some Retailers to Adopt Gender Neutral Children's Sections by 2024
https://www.natlawre[...]
2022-04-28
[6]
웹사이트
What is Gender Blindness and Why is it a Problem for Women?
https://medium.com/@[...]
2019-11-02
[7]
간행물
Comment: Gender Blindness or Gender Suppression? A Comment on Fiona Wilson's Research Note
2016-06-30
[8]
웹사이트
What is Gender Blindness?
https://www.talkspac[...]
2024-03-11
[9]
간행물
The Supreme Court and Gender-Neutral Language: Setting the Standard Or Lagging Behind?
2010-01
[10]
웹사이트
What are the Preferred Gender-Neutral Pronouns in Academic Writing?
https://www.enago.co[...]
2022-03-27
[11]
간행물
Introducing a gender-neutral pronoun in a natural gender language: the influence of time on attitudes and behavior
2015-07
[12]
간행물
Neutral Pronouns: A Modest Proposal Whose Time Has Come
2005
[13]
문서
They, Them, and Theirs.
2019
[14]
웹사이트
What are Genderless Languages?
https://www.translat[...]
2022-03-28
[15]
간행물
Postgenderism: Beyond the Gender Binary
http://sentientdevel[...]
2008-04-13
[16]
웹사이트
Posthuman Gender: A Non-Binary Future
https://ieet.org/ind[...]
2019-04-03
[17]
뉴스
Bic ridiculed over 'comfortable' pink pens for women
https://www.telegrap[...]
2013-12-29
[18]
간행물
The Gender Marketing of Toys: An Analysis of Color and Type of Toy on the Disney Store Website
2012-10-01
[19]
간행물
Pink gives girls permission: Exploring the roles of explicit gender labels and gender-typed colors on preschool children's toy preferences
2014-09
[20]
간행물
The Impact of Gender-Fair versus Gender-Stereotyped Basal Readers on 1st-Grade Children's Gender Stereotypes: A Natural Experiment
[21]
간행물
Determining gender-neutral toys for assessment of preschool children's imaginative play
1997-09-01
[22]
간행물
Social Interactions and Play Patterns of Parents and Toddlers with Feminine, Masculine, and Neutral Toys
1989
[23]
웹사이트
Gender-Bending Toys R Us Ads From Sweden
http://www.businessi[...]
2013-12-29
[24]
뉴스
Breaking Gender Stereotypes in the Toy Box
https://www.nytimes.[...]
2019-10-28
[25]
간행물
It Can Be a Boy, a Girl, Neither or Both
2019
[26]
간행물
Sex, Gender Identity, and Behavior Concerning Sex-related Clothing
1985-03-01
[27]
서적
Stitched Up: The Anti-Capitalist Book of Fashion
Pluto Press
2014
[28]
뉴스
There are no girls or boys at this school
https://www.cnn.com/[...]
2018-04-06
[29]
간행물
Preschool Teachers' Facilitation of Gender-Typed and Gender- Neutral Activities during Free Play
2017-04
[30]
뉴스
George Mason University to offer gender-neutral housing in fall 2014
https://www.washingt[...]
2014-10-23
[31]
웹사이트
Can Kids Be Raised in a Gender-neutral Society? Sweden Thinks So
http://shine.yahoo.c[...]
Team Mom – Yahoo Shine
2013-12-29
[32]
간행물
Fashioning children: gender restrictive dress codes as an entry point for the trans: school to prison pipeline
2016
[33]
보도자료
LGBT Resource Center UC Riverside Named Among 100 Best for LGBT Students
http://out.ucr.edu/c[...]
University of California, Riverside
2008-02-03
[34]
간행물
Princeton to Offer Mixed-Gender Dorms
2009
[35]
웹사이트
Gender Neutral Housing Information {{!}} USC Housing
http://housing.usc.e[...]
2018-04-06
[36]
웹사이트
Archives - Philly.com
https://web.archive.[...]
2017-03-27
[37]
웹사이트
Cardinal Newman Society
https://web.archive.[...]
Cardinal Newman Society
2017-03-27
[38]
뉴스
La Salle Univ. Students Approve of Gender-Neutral Housing in Online Ballot – Cardinal Newman Society
https://cardinalnewm[...]
2016-02-10
[39]
웹사이트
Picking Your Own Name
https://www.insidehi[...]
Times Higher Education
2019-09-17
[40]
뉴스
Gender Pronouns Can Be Tricky on Campus. Harvard Is Making Them Stick.
https://www.nytimes.[...]
2021-09-21
[41]
웹사이트
Colleges and Universities that Allow Students to Have the Name and Pronouns They Use for Themselves on Campus Records
https://www.campuspr[...]
2022-06-10
[42]
서적
Thinking woman : a philosophical approach to the quandary of gender
[43]
간행물
Gender-Differentiated Parenting Revisited: Meta-Analysis Reveals Very Few Differences in Parental Control of Boys and Girls
[44]
서적
Sex Differences In Social Behavior: A Social Role Interpretation
[45]
간행물
Parents' Influence on Infants' Gender-Typed Toy Preferences.
2018
[46]
간행물
Parents' Judgments about the Desirability of Toys for Their Children: Associations with Gender Role Attitudes, Gender-typing of Toys, and Demographics.
null
2018-09
[47]
간행물
Exploring Gender Neutrality in Education (A Case Study of Village Zandra in Balochistan)
http://link.galegrou[...]
2012
[48]
간행물
On Feminist Economics
2003-12
[49]
PhD
Parent talk: How Parents Discursive Construct, Co-construct and Re-do Gender Expectations and Practices in Their Young children.
2016
[50]
간행물
Peer Toy Play as a Gateway to Children's Gender Flexibility: The Effect of (Counter)Stereotypic Portrayals of Peers in Children's Magazines
2018
[51]
웹사이트
Let Books Be Books
http://www.lettoysbe[...]
2014-03-05
[52]
웹사이트
Gender Identity and Gender Confusion in Children
http://Healthychildr[...]
Caring for Your School-Age Child: Ages 5 to 12 (Copyright © 2004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2013-11-05
[53]
웹사이트
Should UK Children's Books Be Non-Gender Specific
http://publishingper[...]
2014-03-19
[54]
간행물
Gender Issues in Young Children's Literature
https://web.archive.[...]
2008
[55]
웹사이트
Ages and Stages
https://web.archive.[...]
Purdue University
[56]
웹사이트
Gender Differences
http://life.familyed[...]
[57]
서적
The pleasures of children's literature
Allyn and Bacon
2003
[58]
웹사이트
The Mirror Stage as Formative of the Function of the I as Revealed in Psychoanalytic Experience
https://web.archive.[...]
[59]
서적
Understanding Children's Literature
Routledge
2005
[60]
서적
Aesthetic Approaches to Children's Literature: An Introduction
Scarecrow Press
2005-07
[61]
서적
Gender as Performance: An Interview with Judith Butler
Radical Philosophy Ltd
1994
[62]
간행물
Performing Spectacular Girlhood: Massed-Produced Dressing-Up Costumes and the Commodification of Imagination
2011-11
[63]
웹사이트
Re-reading: The ultimate guilty pleasure?
http://www.bbc.com/c[...]
[64]
뉴스
Study finds huge gender imbalance in children's literature
https://www.theguard[...]
2011-05-06
[65]
간행물
Gender in twentieth-century children's books: patterns of disparity in titles and central characters
2011-04
[66]
웹사이트
Why Children Need Books About Adventurous Girls
http://everydayfemin[...]
2012-09-06
[67]
간행물
Women in children's literature
https://web.archive.[...]
1971-05
[68]
뉴스
Bonding over generations of childhood books
https://www.chicagot[...]
2014-09-08
[69]
서적
Thursday's child: trends and patterns in contemporary children's literature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1981
[70]
웹사이트
Why children need books about adventurous girls
http://everydayfemin[...]
2012-09
[71]
논문
Gender issues in young children's literature
http://ingentaconnec[...]
2008
[72]
웹사이트
VIDA count: children's literature young adult and children's literature: do women truly dominate?
http://www.vidaweb.o[...]
2014-04-06
[73]
뉴스
Gender-specific books demean all our children. So the Independent on Sunday will no longer review anything marketed to exclude either sex
https://www.independ[...]
2014-03
[74]
웹사이트
Time to Let Books Be Books
http://www.lettoysbe[...]
2014-03-05
[75]
뉴스
Gender-specific children's books 'are easier to sell', insists children's book publisher
https://www.independ[...]
2014-03-11
[76]
웹사이트
Letter to Buster Books
http://www.lettoysbe[...]
2014-10-08
[77]
웹사이트
The National Student Genderblind Campaign
http://www.genderbli[...]
Genderblind.org
2011-01-17
[78]
뉴스
Pinkstinks campaign calls for end to sale of makeup toys to under eights
https://www.theguard[...]
2012-04-20
[79]
뉴스
Girls will be girls: The battle for our children's hearts and minds this Christmas
https://www.independ[...]
2011-12-18
[80]
뉴스
Why girls aren't pretty in pink
https://www.theguard[...]
2012-04-21
[81]
뉴스
Pink toys 'damaging' for girls
https://www.telegrap[...]
2009-11-30
[82]
뉴스
Labour MP: ban shops from selling 'sexist' pink toys to little girls
https://www.telegrap[...]
2009-12-07
[83]
뉴스
"'No Gender Stereotype December' Urges Retailers To Rethink Marketing Strategies For Children"
Huffington Post
2015-12-03
[84]
웹사이트
Home – No Gender December 2016
http://www.nogenderd[...]
[85]
웹사이트
What – No Big Deal
https://www.nbdcampa[...]
[86]
뉴스
Canada's Gender-Neutral Pronouns Campaign Is Setting A Great Example For Us
https://www.elitedai[...]
[87]
뉴스
Gender-neutral employee sues for $518,000; suit says employee wrongly referred to as woman
http://www.oregonliv[...]
Oregon Live
2014-02-07
[88]
문서
Zzyym v. Kerry
[89]
웹사이트
Intersex person who was denied a passport over gender designation sues U.S. government
https://www.latimes.[...]
2016-07-21
[90]
뉴스
US State Department in Solidarity With Intersex Persons but Faces Lawsuit
http://www.voanews.c[...]
[91]
문서
Note: Beyond Male or Female: Using Nonbinary Gender Identity to Confront Outdated Notions of Sex and Gender in the Law
https://law.uoregon.[...]
2017
[92]
웹사이트
Public Announcement: I Have Returned To My Male Birth Sex
https://jamieshupe.w[...]
2019-01-26
[93]
서적
Archived copy
https://thewomensres[...]
Women's Resource Centre
2011-07
[94]
논문
Sex bias in language use: "Neutral" pronouns that aren't.
1978-11
[95]
논문
Separating the Men from the Girls: The Gendered Language of Televised Sports
1993-03
[96]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U.S. Women's Social Movement Activism
[97]
웹사이트
Get Statistics
https://www.nsvrc.or[...]
Pennsylvania Coalition Against Rape
[98]
논문
In Defence of Gender Neutrality within Rape
https://heinonline.o[...]
2007
[99]
서적
Archived copy
https://thewomensres[...]
Women's Resource Centre
2011-07
[100]
서적
Archived copy
https://thewomensres[...]
Women's Resource Centre
2011-07
[101]
논문
Public Restrooms and the Distorting of Transgender Identity
https://heinonline.o[...]
2017-05
[102]
논문
Employer Difficulty in FMLA Implementation: A Look at Eighth Circuit Interpretation of Serious Health Condition and Employee Notice Requirements
https://heinonline.o[...]
2005
[103]
논문
The Hidden Harms of the Family and Medical Leave Act: Gender-Neutral Versus Gender-Equal
https://heinonline.o[...]
2008
[104]
논문
The Nature of Gender
1994-11
[105]
웹사이트
ジェンダー不平等(男女格差)とは?男女格差を克服するために企業が取り組むべき施策も紹介 PASONA BIZ|パソナグループ各社のソリューション・HRお役立ちコラム
https://www.pasonagr[...]
2024-06-24
[106]
간행물
17 European Countries Force Transgender Sterilization (Map)
https://www.motherjo[...]
2013-12-29
[107]
뉴스
California to add gender-neutral option on state driver's licenses
https://www.reviewjo[...]
2017-10-17
[108]
웹사이트
New California Legislation will Require Some Retailers to Adopt Gender Neutral Children's Sections by 2024
https://www.natlawre[...]
2021-10-18
[109]
웹사이트
What is Gender Blindness and Why is it a Problem for Women?
https://medium.com/@[...]
2017-11-03
[110]
논문
Comment: Gender Blindness or Gender Suppression? A Comment on Fiona Wilson's Research Note
2016-06-30
[111]
웹사이트
What is Gender Blindness?
https://www.talkspac[...]
2024-03-11
[112]
저널
The Nature of Gender
1994-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