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기 (고조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기는 위만조선 멸망기에 항전한 인물이다. 사료에 따라 이름이 "성사" 또는 "성기"로 기록되었으며, 이성규는 "성기"로 보고 삼한의 수장 관직인 신지, 흉노 또는 선비족 계열의 인물로 추정했다. 기원전 109년 한나라의 공격에 맞서 항전했으나, 한나라에 항복한 우거왕의 아들 위장항에게 살해당했다. KBS 드라마 《한국사기》에서 배우 장택중이 성기 역을 연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조선의 군인 - 왕겹
위만조선의 장군 왕겹은 기원전 109년에서 108년 사이 한나라의 공격에 조선왕 우거를 배신하고 항복하여 평주후에 봉해졌으나 후사 없이 사망했고, 그의 성씨로 인해 중국계 인물로 추정된다. - 고조선의 관료 - 삼 (위만조선)
삼은 위만조선에서 우거왕 살해 후 한나라에 투항하여 홰청후에 봉해졌으나, 조선인 포로를 숨겨준 죄로 옥사한 인물이다. - 고조선의 관료 - 최 (위만조선)
최는 위만조선이 전한에 의해 정벌될 때 한나라에 투항하여 위만조선 멸망에 기여하고 열양후에 봉해졌으나 사망한 인물이다. - 기원전 108년 사망 - 노인 (고조선)
노인은 고조선 말기 조선상의 직위에 있었던 인물로, 고조선-한 전쟁 중 전한에 투항하려다 사망했으며, 일각에서는 그의 성씨를 근거로 중국계 인물일 가능성이 제기된다. - 기원전 108년 사망 - 순체
순체는 전한 무제 시기 시중으로 임명된 인물이자 위청을 따라 전투에 참여한 교위, 위만조선 정벌에 좌장군으로 참전했으나 양복과의 갈등으로 처형된 인물이다.
성기 (고조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한글 | 성기 |
한자 | 成己 |
히라가나 | そんぎ |
공직 정보 | |
이름 | 성기 |
원어명 | 成己 |
국가 | 고조선 |
직책 | 대신 |
군주 | 우거왕 |
사망일 | 기원전 108년 |
국적 | 고조선 |
성별 | 남성 |
2. 이름 및 출신
성기의 이름은 사기와 한서의 여러 간본(출판된 판본)에 따라 '성사(成巳)' 또는 '성기(成己)'로 다르게 기록되어 있어 정확한 표기에 대한 논의가 있다.[1] 단국대학교의 이성규 교수는 여러 기록을 검토한 후 '성기(成己)'가 올바른 표기라고 보았다.[1] 이성규 교수는 '성기'라는 이름의 유래와 그의 출신에 대해 북방 민족과의 연관성을 제시하기도 한다.[1]
2. 1. 사료의 기록
사기와 한서의 여러 간본(刊本, 출판된 판본)을 비교하면 성기의 이름 표기에 차이가 나타난다.문서 | 판본 | 표기 |
---|---|---|
사기 | 남감본 | 성사(成巳) |
급고각 | 성사(成巳) | |
백납본 | 성사(成巳) | |
중화서국본 | 성사(成巳) | |
국사편찬위원회본 | 성사(成巳) | |
무영전취진판총서 | 성기(成己) | |
한서 | 남감본 | 성사(成巳) |
급고각 | 성사(成巳) | |
백납본 | 성기(成己) | |
국사편찬위원회본 | 성기(成己) | |
무영전취진판총서 | 성기(成己) |
위 표에서 보듯이, 《사기》는 대부분의 판본에서 '성사(成巳)'로 기록하고 있으나 무영전취진판총서에서는 '성기(成己)'로 기록했다. 반면 《한서》는 남감본과 급고각본에서는 '성사(成巳)'로, 백납본, 국사편찬위원회본, 무영전취진판총서에서는 '성기(成己)'로 기록하고 있다.[1]
단국대학교의 이성규는 이러한 기록들을 검토하여 '성기(成己)'가 올바른 표기라고 보았다. 그는 '성기'라는 이름이 삼한 시대 수장의 관직명이었던 '신지(臣智)'나, 『원조비사』에 나타나는 'sinči bayan|신치 바얀eng' (여기서 bayan|바얀eng은 귀족을 의미)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추정했다. 또한 '성기'는 한자어로 '대신(大臣)'을 의미하며, 이를 근거로 성기가 선비족이나 흉노와 같은 북방 기마 민족 계통의 인물일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1]
2. 2. 이성규의 견해
이성규 단국대학교 교수는 여러 간본에서 '성사'와 '성기' 표기가 혼재하는 가운데 '성기'라는 표기를 채택한다.[1] 그는 '성기'라는 이름이 삼한 시대 수장의 관직명이었던 '신지'나, 『원조비사』에 등장하는 'sinči bayan영어' (여기서 bayan영어은 귀족을 의미)과 관련이 있다고 본다.[1] 이성규 교수는 '성기'가 한자어로 '대신'을 의미하며, 성기 본인은 북방 기마 민족 계통인 선비족 혹은 흉노 출신 인물일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한다.[1]3. 생애
성기는 위만조선 말기의 대신으로 활동했던 인물이다. 기원전 109년, 한나라 무제가 위만조선을 침공했을 당시, 우거왕을 비롯한 지배층 내에서 항복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노인, 왕협, 한음 등 주화파는 일찍이 한나라에 투항했고, 우거왕마저 항복파 자객에게 살해당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이러한 혼란 속에서도 성기는 끝까지 항전을 주장하며 위만조선의 마지막 저항을 이끌었다. 그러나 그의 항전은 오래가지 못했다. 한나라는 이미 투항한 우거왕의 아들 위장항을 보내 성기를 제거하려 했고, 결국 위장항은 성기를 암살했다. 성기의 죽음으로 위만조선의 저항은 완전히 끝나고 멸망을 맞이하게 되었다.
3. 1. 위만조선 멸망기의 항전
기원전 109년, 한나라 무제가 위만조선을 침공하자, 위만조선 내부에서는 대응 방식을 두고 의견이 갈렸다. 항복을 주장하던 노인, 왕협, 한음 등 주화파 세력은 일찌감치 한나라에 투항하였다. 이러한 혼란 속에서 우거왕마저 항복을 주장하는 세력에 의해 암살당했다.우거왕 사후에도 대신이었던 성기는 외세의 침략에 굴하지 않고 끝까지 항전을 이어갔다. 그러나 한나라는 이미 항복한 우거왕의 아들 위장항을 이용하여 성기를 제거하려 했다. 결국 위장항은 한나라의 사주를 받아 성기를 암살했고, 성기의 죽음으로 위만조선의 저항은 끝나고 멸망에 이르게 되었다.
3. 2. 성기의 죽음
기원전 109년, 한나라의 무제가 위만조선을 침공하자, 항복을 주장하던 노인, 왕협, 한음 등은 일찍 한나라에 투항했다. 이후 위만조선의 왕 우거왕이 항복파 자객에 의해 살해되었음에도, 대신이었던 성기는 남아 항전을 계속 이끌었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한나라는 이미 자신들에게 항복했던 우거왕의 아들 위장항을 보내 성기를 암살하도록 했다. 결국 성기가 살해되면서 위만조선의 저항은 완전히 끝나고 한나라에 최종적으로 항복하게 되었다.4. 등장 작품
(내용 없음)
4. 1. 드라마
2017년 KBS 드라마 《한국사기》에서 배우 장택중이 성기 역을 연기했다.참조
[1]
뉴스
조선(朝鮮)의 성립과 역사
http://contents.nahf[...]
東北アジア歴史財団
2022-10-26
[2]
뉴스
성기(成己)
http://encykorea.aks[...]
韓国民族文化大百科事典
2022-10-26
[3]
문서
사마천 “왕검성(王險城)이 항복하지 않으니, 고(故)로, 우거의 대신(大臣) 성기(成己)가 또한 모반하여, 다시 벼슬아치를 공격하였다. 좌장군은 우거의 아들 장항(長降)과 노인의 아들 최(最)를 시켜 그 백성을 하소연하고 타일러, 성기를 죽이니 이로써 마침내 조선을 평정하고 사군(四郡)이 되었다.”/“王險城未下,故右渠之大臣成巳又反,復攻吏。左將軍使右渠子長降、相路人之子最告諭其民,誅成巳,以故遂定朝鮮,為四郡。”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