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성수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수채는 기독교 의식에서 사용되는 도구로, 구약성경 레위기에 그 기원이 있다. 로마 가톨릭, 루터교, 성공회 등 다양한 교파에서 세례, 부활절, 장례 미사 등에서 사용되며, 동방 정교회에서는 형태가 다르다. 타밀 문화와 현대 이교주의에서도 정화 의식에 사용되며, 곰팡이 속명인 아스페르길루스의 어원이 되기도 했다.

2. 유래

구약성경 레위기 14장 3절~7절에는 악성 피부병 환자를 정결하게 하는 의식에 대한 내용이 담겨 있으며, 여기에 사용된 도구들이 성수채의 기원으로 여겨진다.[6] 당시에는 살아있는 정결한 새 두 마리, 향백나무, 다홍실, 우슬초 등을 사용했다.[6] 사제는 옹기그릇에 담긴 생수 위에서 새 한 마리를 잡고, 살아 있는 다른 새와 향백나무, 다홍실, 우슬초를 가져다가, 생수 위에서 잡은 새의 피에 찍어, 악성 피부병에서 정결하게 되려는 이에게 일곱 번 뿌렸다.[6] 그런 다음 정결한 이로 선언하고, 살아 있는 새를 들로 날려 보냈다.[6]

애덤 클라크의 주석에 따르면, 백향목은 손잡이 역할을 했고, 히솝과 살아있는 새는 홍색 양모나 진홍색 끈으로 연결되었다.[6] 새는 죽은 새의 피에 담글 수 있도록 꼬리가 아래로 향하게 하여 이 손잡이에 묶였다.[6]

누가복음에 따르면, 병든 사람은 치유된 ''후''에 제사장에게 왔으며,(누가복음 5:14) 제사장의 임무는 진영에서, 그의 백성에게서, 그리고 하나님으로부터 배제된 사람을 의식적으로 깨끗하게 하는 것이었다.[8]

2. 1. 구약성경 레위기

레위기 14장 3절~7절에는 악성 피부병 환자를 정결하게 하는 의식에 대한 내용이 담겨 있으며, 여기에 사용된 도구들이 성수채의 기원으로 여겨진다.[6] 당시에는 살아있는 정결한 새 두 마리, 향백나무, 다홍실, 우슬초 등을 사용했다.[6] 사제는 옹기그릇에 담긴 생수 위에서 새 한 마리를 잡고, 살아 있는 다른 새와 향백나무, 다홍실, 우슬초를 가져다가, 생수 위에서 잡은 새의 피에 찍어, 악성 피부병에서 정결하게 되려는 이에게 일곱 번 뿌렸다.[6] 그런 다음 정결한 이로 선언하고, 살아 있는 새를 들로 날려 보냈다.[6]

애덤 클라크의 주석에 따르면, 백향목은 손잡이 역할을 했고, 히솝과 살아있는 새는 홍색 양모나 진홍색 끈으로 연결되었다.[6] 새는 죽은 새의 피에 담글 수 있도록 꼬리가 아래로 향하게 하여 이 손잡이에 묶였다.[6]

누가복음에 따르면, 병든 사람은 치유된 ''후''에 제사장에게 왔으며,(누가복음 5:14) 제사장의 임무는 진영에서, 그의 백성에게서, 그리고 하나님으로부터 배제된 사람을 의식적으로 깨끗하게 하는 것이었다.[8]

3. 기독교에서의 사용

성수채는 로마 가톨릭, 루터교, 성공회 등 다양한 기독교 교파에서 사용된다.

==== 로마 가톨릭 ====

아스페르질룸은 로마 가톨릭 의식에서 사용되며, 세례 의식과 부활절 기간을 포함한다.[3] 사제는 성촉절 예배에서 촛불을 축성하고 종려 주일 미사에서 종려나무를 축성할 때, 장례 미사에서 관에 성수를 뿌릴 때 아스페르질룸을 사용한다.[4] 집 축복, 어선 축복식 [5], 제단과 교회 헌당 의식 등에도 사용될 수 있다. 사제는 오른손에 아스페르질룸을 들고 복사는 아스페르소리움을 든다. 이름은 '뿌리다'라는 뜻의 라틴어 동사 ''aspergere''에서 유래했다.[2]

==== 개신교 (루터교, 성공회 등) ====

로마 가톨릭과 유사하게 루터교 및 성공회 의식에서 세례부활절 등에 사용된다.[3] 사제는 성촉절 예배에서 촛불을 축성하거나 종려 주일 미사에서 종려나무를 축성할 때, 그리고 장례 미사에서 관에 성수를 뿌릴 때 아스페르질룸을 사용한다.[4] 집 축복, 어선 축복식[5], 제단과 교회 헌당과 같이 성수를 뿌리는 다른 의식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아스페르질룸은 '뿌리다'라는 뜻의 라틴어 동사 ''aspergere''에서 유래했다.[2]

==== 동방 정교회 ====

동방 정교회에서 성수채는 로마 가톨릭, 루터교, 성공회와 다른 형태를 보인다.[3] 그리스 정교회에서는 ''란디스티리온''(randistirion)이라 불리는 성수채를 사용하는데, 뚜껑이 좁아지는 형태의 세워진 용기 모양을 하고 있다. 뚜껑 상단에는 구멍이 있어 성수(agiasmos)를 뿌릴 수 있다.[3] 러시아 정교회에서는 천이나 머리카락으로 만든 파리채 형태의 성수채를 사용하며, 때로는 바질 가지를 사용하여 성수를 뿌리기도 한다.[3] 일부 오리엔트 정교회에서는 성수채를 사용하지 않고, 사제가 직접 손으로 성수를 뿌린다.[3]

3. 1. 로마 가톨릭

아스페르질룸은 로마 가톨릭 의식에서 사용되며, 세례 의식과 부활절 기간을 포함한다.[3] 사제는 성촉절 예배에서 촛불을 축성하고 종려 주일 미사에서 종려나무를 축성할 때, 장례 미사에서 관에 성수를 뿌릴 때 아스페르질룸을 사용한다.[4] 집 축복, 어선 축복식 [5], 제단과 교회 헌당 의식 등에도 사용될 수 있다. 사제는 오른손에 아스페르질룸을 들고 복사는 아스페르소리움을 든다. 이름은 '뿌리다'라는 뜻의 라틴어 동사 ''aspergere''에서 유래했다.[2]

3. 2. 개신교 (루터교, 성공회 등)

로마 가톨릭과 유사하게 루터교 및 성공회 의식에서 세례부활절 등에 사용된다.[3] 사제는 성촉절 예배에서 촛불을 축성하거나 종려 주일 미사에서 종려나무를 축성할 때, 그리고 장례 미사에서 관에 성수를 뿌릴 때 아스페르질룸을 사용한다.[4] 집 축복, 어선 축복식[5], 제단과 교회 헌당과 같이 성수를 뿌리는 다른 의식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아스페르질룸은 '뿌리다'라는 뜻의 라틴어 동사 ''aspergere''에서 유래했다.[2]

3. 3. 동방 정교회

동방 정교회에서 성수채는 로마 가톨릭, 루터교, 성공회와 다른 형태를 보인다.[3] 그리스 정교회에서는 ''란디스티리온''(randistirion)이라 불리는 성수채를 사용하는데, 뚜껑이 좁아지는 형태의 세워진 용기 모양을 하고 있다. 뚜껑 상단에는 구멍이 있어 성수(agiasmos)를 뿌릴 수 있다.[3] 러시아 정교회에서는 천이나 머리카락으로 만든 파리채 형태의 성수채를 사용하며, 때로는 바질 가지를 사용하여 성수를 뿌리기도 한다.[3] 일부 오리엔트 정교회에서는 성수채를 사용하지 않고, 사제가 직접 손으로 성수를 뿌린다.[3]

4. 기타 문화권에서의 사용

4. 1. 타밀 문화

결혼식이나 힌두 사원에서 힌두 신들에게 성수를 뿌리는 데 사용된다.

5. 역사

5. 1. 중세 시대

9세기부터 사제가 제단, 신자, 그리고 관이나 무덤에 있는 죽은 자에게 성수를 뿌리는 것이 관례가 되었다.[9] 미사 동안, 이 의식은 일반적으로 성체 전에 이루어졌으며, 보통 시편 51편을 노래했다.[10] 이를 위해 사제는 히솝 가지나 아스페르질룸을 사용했는데, 아스페르질룸은 청동, 나무 또는 상아와 같은 금속으로 만들어진 작은 물통인 시툴라에 담갔다.[9][10]

6. 다른 용도

위카 등 현대 이교주의에서 마법 원을 정화하거나 주술의 일부로 사용되기도 한다. 네오페이건 마법의 한 해의 수레바퀴 축제에서 사용되기도 하며, 달빛을 받은 물, 소금물 또는 빗물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7. 명칭

곰팡이인 ''아스페르길루스(Aspergillus)''는 1729년 이탈리아의 사제이자 생물학자인 피에트로 안토니오 미켈리가 성수채 모양을 본따서 지은 이름이다.[11] 현미경으로 보면 곰팡이 세포가 아스페르질룸과 유사하다고 한다.[11]

참조

[1] 웹사이트 Aspergillum http://www.merriam-w[...] 2014-10-08
[2] 서적 The Origins of Catholic Words A Discursive Dictionary https://books.google[...]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Press 2023-06-05
[3] 웹사이트 What are the practices for remembering and affirming baptism? https://download.elc[...] Evangelical Lutheran Church in America 2021-06-06
[4] 서적 Encyclopedia of Easter Celebrations Worldwide https://books.google[...] McFarland, Incorporated, Publishers 2023-06-05
[5] 서적 Hearing Before the Subcommittee on Parks and Recreation of the Committee on Interior and Insular Affairs, United States Senate, Ninety-third Congress, Second Session https://books.google[...] United States. Congress. Senate. Committee on Interior and Insular Affairs. Subcommittee on Parks and Recreation 2023-06-23
[6] 문서 1831
[7] 문서 1831
[8] 서적 Reformation Study Bible
[9] 서적 The Liturgy of the Medieval Church Medieval Institute Publications 2005-04
[10] 서적 Europe in the Middle Ages https://books.google[...] Metropolitan Museum of Art (New York, N.Y.) 2023-06-05
[11] 서적 Aspergillus: molecular biology and genomics http://www.open-acce[...] Caister Academic 2016-05-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