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계칼빈학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계칼빈학회는 칼빈주의 신학 연구를 목적으로 하는 학회이다. 1974년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첫 대회를 시작으로, 여러 국가를 순회하며 학술대회를 개최해왔다. 1998년에는 대한민국 서울에서 제7회 대회가 열렸으며, 한국칼빈학회는 세계칼빈학회와 연계하여 활동하고 있다.

2. 세계칼빈학회

세계칼빈학회는 칼빈주의 연구를 위한 국제적인 학술 모임이다.

3. 역대 대회

세계칼빈학회는 1974년 제1회 대회를 시작으로[6], 전 세계 주요 도시에서 개최되고 있다. 1·2회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1974년, 1978년), 3회는 스위스 제네바, 4회는 헝가리 데브레첸, 5회는 미국 칼빈신학교, 6회는 영국 에든버러, 7회는 대한민국 서울(1998년), 8회는 미국 프린스턴 신학교, 9회는 독일, 10회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Free State University(2010년), 11회는 스위스 취리히(2014년)에서 개최되었다.[7]

3. 1. 개최 현황

회차개최지개최 연도
1, 2회네덜란드 암스테르담1974년, 1978년
3회스위스 제네바
4회헝가리 데브레첸
5회미국 칼빈신학교
6회영국 에든버러
7회대한민국 서울1998년
8회미국 프린스턴 신학교
9회독일
10회남아프리카 공화국 Free State University2010년
11회스위스 취리히2014년
12회미국 웨스트민스터 신학교2018년[6]
13회미국 칼빈신학교2023년 7월 25-28일[7]


3. 2. 2018년 대회

2018년 8월 26일부터 30일까지 미국 필라델피아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에서 "존 칼빈: 정치와 자유에 대한 성경의 영향력(John Calvin: The Bible's Impact on Politics and Freedom)"이라는 주제로 세계 칼빈학회가 개최되었다.[5] 주요 발표자는 스캇 매니쉬(Scott M. Manetsch), 바바바 피트킨(Barbara Pitkin), 올리버 밀레(Oliver Millet), 엘시 맥키(Elsie McKee), 안인섭(In-sub Ahn), 존 비테(John Witte), 코넬 즈비어라인(Cornel Zwierlein)이었다.[5] 에릭 드 부어(Erik A. de Boer), 아놀드 후이헌(Arnold Huijgen), 헹크 판 덴 벨트(Henk van den Belt), 김은득(Eundeuk Kim), 라일 비어마(Lyle Dean Bierma), 프리키 멀더(Frikkie Mulder) 등도 발표를 진행했다.[5] 한국인으로는 총신대학교의 안인섭 교수가 "칼빈의 교회와 국가 개념에서의 어거스틴 사용(Calvin's Use of Augustine in His View on Church & State)"을 발표하였고, 칼빈 신학교의 김은득 목사는 "공공신학을 위한 카이퍼칼빈 전용(Amsterdam Praised and Blamed Geneva: Kuyper's Appropriation of Calvin for his Public Theology)"을 발표하였다.[5]

4. 한국과 세계칼빈학회

세계칼빈학회는 한국 칼빈학 연구의 발전과 국제화를 이끌었다. 1999년 8월 25일부터 29일까지 제7회 세계칼빈학술대회가 한국에서 열렸다.[2] 한국칼빈학회신복윤, 한철하, 정성구, 이수영 박사 등이 중심이 되어 시작되었으며,[3][4] 이양호, 김재성, 안인섭, 김은득 등이 세계칼빈학회에 참가하였다.

4. 1. 한국 칼빈학회

한국칼빈학회신복윤, 한철하, 정성구, 이수영 박사 등이 중심이 되어 시작되었다.[3][4] 이들 외에 세계칼빈학회에 참가하여 발표한 학자로는 이양호, 김재성, 안인섭, 김은득 등이 있다.

4. 2. 1999년 서울 대회

1999년 8월 25일부터 29일까지 제7회 세계칼빈학술대회가 서울에서 개최되었다.[2] 한국칼빈학회신복윤, 한철하, 정성구, 이수영 박사 등 한국의 대표적인 칼빈 연구가 1세대가 중심이 되어 시작되었으며, 이 대회를 주최하였다.[3][4] 이후 이양호, 김재성, 안인섭, 김은득 등이 세계칼빈학회에 참가하여 발표하였다.

5. 칼빈학 연구의 의의와 과제

칼빈주의가 현대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미래를 위한 통찰력을 제공해야 한다.

참조

[1] 뉴스 헤르만 셀더하위스 세계칼빈학회장 http://news.kmib.co.[...] 국민일보 2011-01-21
[2] 뉴스 세계칼빈학회 학술대회 횃불회관서 열린다 http://www.kidok.com[...] 기독신문 1998-08-05
[3] 웹사이트 한국 칼빈 신학의 공로자 6인 기린다 http://www.seoulchur[...]
[4] 뉴스 한국 칼빈 신학의 공로자 6인 기린다 http://www.christian[...] 크리스천투데이 2009-03-18
[5] 문서 2018 Calvin Congress Proposed Schedule https://docs.google.[...]
[6] 웹인용 Refo500 http://ireformed.net[...] 2018-01-07
[7] 웹사이트 Dates Location: Calvin Theological Seminary and Calvin University https://internation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