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테리스 파리부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테리스 파리부스(ceteris paribus)는 경제학에서 특정 변수와 결과 사이의 인과 관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분석 대상 이외의 다른 모든 조건은 변하지 않는다고 가정하는 개념이다. 이 개념은 공급망, 수요와 공급의 법칙, 국내총생산(GDP), 금리, 최저 임금 등 다양한 경제 현상을 분석하는 데 활용된다. 세테리스 파리부스는 변수 간의 관계를 가설적으로 고립시켜 분석하는 데 유용하지만, 현실에서는 모든 변수가 동시에 변화하므로, 경제학자들은 모든 변수를 통제하거나 중요 변수를 식별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제철학 - 사회적 선택과 개인의 가치
    사회적 선택과 개인의 가치는 개인의 선호와 사회적 선호, 그리고 애로의 불가능성 정리 등의 개념을 통해 집단 의사 결정 과정의 어려움을 설명하고, 한국 사회의 다양한 함의와 더 나은 사회적 선택을 위한 노력을 강조하는 사회적 선택 이론을 소개한다.
  • 경제철학 - 경제적 자유
    경제적 자유는 개인이 경제 활동과 자원 통제에 대한 권리를 의미하며, 자유 시장, 개인의 선택, 결핍으로부터의 자유, 사회주의적 관점 등 다양한 관점에서 논의되고, 경제 경쟁력과 GDP 증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불평등 심화와 같은 부정적 측면도 존재하며 대한민국 헌법으로 보장된다.
  • 라틴어 논리학 구 - 인신 공격
    인신 공격은 논쟁에서 상대방의 주장이 아닌 인격이나 배경을 공격하여 주장의 타당성을 훼손하려는 시도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정치 및 여론에서 활용되기도 하지만 언어 폭력과는 구별되고 일부 지역에서는 축제로 이어지기도 한다.
  • 라틴어 논리학 구 - 전통에 호소하는 논증
    전통에 호소하는 논증은 어떤 주장이나 관행이 오랫동안 지속되었다는 이유만으로 그것이 옳다고 주장하는 비형식적 오류이다.
  • 라틴어 철학 구 - 경제인
    경제인은 경제학 모델에서 이익을 극대화하는 합리적 의사 결정자로, 호모 에코노미쿠스 개념으로 발전했으나 이기적인 동기에 치중하여 사회적, 윤리적 측면을 간과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 라틴어 철학 구 - Q.E.D.
    Q.E.D.는 '증명 완료'를 뜻하는 라틴어 구문으로, 유클리드와 아르키메데스가 사용한 그리스어 표현에서 유래되어 수학 및 철학 서적에서 증명이나 논증의 결론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현대에는 다른 기호로 대체되기도 하지만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세테리스 파리부스
개요
라틴어Ceteris paribus
의미다른 모든 조건이 동일하다면
사용 분야경제학, 철학, 과학, 통계학
로마자 표기Seteriseu paribuseu
관련 개념무테이션

2. 경제학에서의 의미와 활용

경제학에서 '세테리스 파리부스'는 분석 대상 외 다른 모든 조건이 변하지 않고 일정하다고 가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가정을 통해 특정 변수와 결과 사이의 인과관계를 명확히 할 수 있다.[4]

예를 들어, 쇠고기 가격이 상승하면, 다른 조건이 동일하다면(세테리스 파리부스), 쇠고기 수요량은 감소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이때 소비자 선호도, 대체재 가격 등 다른 요인들은 변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4]

'세테리스 파리부스'는 "다른 모든 것을 일정하게 유지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실제로 다른 변수가 변하지 않는다는 것이 아니라, 특정 변화의 영향을 분리하기 위한 가정이다.[4]

경제 변수는 이론적으로만 분리 가능하며 실제로는 분리될 수 없기에, '세테리스 파리부스'는 절대적인 것이 아닌 경향만을 강조한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4]

2. 1. 경제학에서의 역사

'세테리스 파리부스'는 수 세기 동안 경제학에서 사용되어 왔으며, 1295년 피터 올리비가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7세기 윌리엄 페티는 노동 가치 이론을 설명하기 위해 이 구절을 사용했다. 존 스튜어트 밀은 경제 현상을 분석할 때 이 구절을 사용하여 경제학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자리 잡게 했다.[6]

19세기 알프레드 마셜은 부분 균형 분석을 통해 세테리스 파리부스 구절을 널리 알리는 데 크게 기여했다.[6]

세테리스 파리부스는 오늘날에도 경제학에서 매우 중요하며, 교과서에서도 자주 볼 수 있다.[6]

2. 2. 해석 및 적용

경제 현상을 분석할 때 분석 대상 외에 다른 모든 것들은 변화 없이 일정하다고 가정한다. 경제학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조건이 동일하다면'의 예는 다음과 같다.

예시
시장의 소비자 수
소비자 취향 또는 선호도
대체재의 가격
소비자 가격 기대
개인 소득[5]



경제학에서 "세테리스 파리부스" 조항은 경제적 결과를 공식화하고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4] 예를 들어, 쇠고기 가격이 "상승"하면 - "세테리스 파리부스"- 구매자가 요구하는 쇠고기 양은 "감소"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조항은 일반재의 "가격"과 "수요량" 간의 관계와 관련된 모든 것을 작동적으로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이 작동적 설명은 가격과 수요량 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알려진 요인과 알려지지 않은 요인을 의도적으로 무시하며, 따라서 "세테리스 파리부스"를 가정하는 것은 주어진 예에 대한 어떠한 간섭도 없다고 가정하는 것이다.[4] 의도적으로 무시될 수 있는 요인으로는 대체재 가격의 변화 (예: 돼지고기 또는 양고기 가격), 구매자 간의 위험 회피 수준의 변화 (예: 광우병에 대한 두려움 증가), 현재 가격에 관계없이 상품에 대한 전반적인 수요 수준의 변화 (예: 채식주의에 대한 사회적 변화) 등이 있다.

이 조항은 종종 "다른 모든 것을 일정하게 유지한다"로 번역된다. 이는 다른 어떤 것도 실제로 변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암시하지 않으며, 오히려 한 가지 특정 변화의 영향을 분리한다.[4] 다른 모든 것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은 미분법에서 전미분이 아닌 편미분을 사용하는 것, 그리고 한 변수의 개별적인 영향을 분리하기 위해 하나의 변수가 아닌 여러 변수를 포함하는 회귀 분석을 실행하는 것과 직접적으로 유사하다. "세테리스 파리부스"는 과학적 모델링의 확장이다. 과학적 방법은 종속 변수에 대한 독립 변수의 영향을 식별, 분리 및 테스트하는 데 기반을 두고 있다.[4]

유의해야 할 점은 경제 변수는 이론적으로만 분리될 수 있고 실제로는 분리될 수 없기 때문에 "세테리스 파리부스"는 절대적인 것이 아닌 경향만을 강조할 수 있다는 것이다.[4]

2. 3. 알프레드 마셜의 특징화

앨프레드 마셜은 세테리스 파리부스 가정을 사용하여 복잡한 경제 문제를 단계별로 분석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그는 이 가정을 통해 특정 요인의 영향을 분리하여 연구하고, 점차적으로 다른 요인들을 고려하여 현실에 더 가까운 분석을 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7]

마셜은 '세테리스 파리부스'라는 울타리에 방해 요인들을 격리함으로써, 다른 조건이 동일하다는 가정하에 몇 가지 경향의 연구를 분리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는 다른 경향의 존재를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그 방해 효과를 잠시 무시하는 것이다. 이렇게 문제를 좁힐수록 더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지만, 현실과는 더 멀어진다. 그러나 좁은 문제에 대한 각각의 정확하고 확고한 처리는 더 넓은 문제를 다루는 데 도움이 된다. 각 단계를 통해 더 많은 것을 울타리 밖으로 내보낼 수 있고, 정확한 논의는 덜 추상적으로, 현실적인 논의는 덜 부정확하게 만들 수 있다.[7]

2. 4. 두 가지 사용법

경제학에서 어떤 요인의 영향을 분석할 때, 다른 모든 조건이 변하지 않는다고 가정하는 것을 '세테리스 파리부스'라고 한다. 이 가정은 두 가지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8]

첫 번째는 가설적 고립이다. 이는 어떤 요인의 영향을 따로 떼어 분석하기 위해 다른 요인들은 고정되어 있다고 가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가격 변화에 따른 소득 효과와 대체 효과는 실제로는 함께 발생하지만, 가설적으로는 분리해서 분석할 수 있다.[8]

두 번째는 실질적 고립으로, 근사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 사용된다. 실질적 고립은 다시 두 가지 측면으로 나뉜다.[8]

  • 시간적 고립: '세테리스 파리부스' 가정 하에 고정된 요인들이 매우 느리게 변하여, 특정 시점에서는 거의 변하지 않는다고 간주하는 것이다.[8] 예를 들어, 채식주의 확산으로 쇠고기 수요가 매우 느리게 감소하고, 쇠고기 시장은 비교적 빠르게 균형을 찾는다면, 수요와 공급 곡선을 통해 특정 시점의 쇠고기 가격을 결정할 수 있다. 쇠고기 수요 변화는 시간이 지남에 따른 가격 변화를 설명한다(임시 균형 방법).[8]

  • 인과적 고립: '세테리스 파리부스' 가정 하에 고정된 요인들이 연구 중인 현상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8] 예를 들어, 정부 정책 변화와 소비자 행동 변화가 동시에 발생한다면, 정책 변화 동안 소비자 행동이 변하지 않는다는 가정은 실질적 고립으로 허용될 수 없다(루카스 비판).[8]

3. 응용 분야

세테리스 파리부스 개념은 경제학자들에게 매우 중요하며 다음 연구에 적용될 수 있다.


  • '''공급망''': 세테리스 파리부스는 생산 측면, 즉 시장 경쟁, 생산 비용, 인플레이션, 소비자 동향을 고려하여 상품 가격을 결정하며, 생산 측면을 일정하게 유지하면 공급을 최소화하여 가격이 상승하도록 조정한다.[9]
  • '''수요와 공급의 법칙''': 수요의 법칙은 가격이 상승하면 상품의 수요가 감소하고, 공급의 법칙은 가격이 상승하면 판매자가 더 기꺼이 공급하려 한다는 것을 명시한다. 이러한 법칙들이 상호 관련될 때 시장 가격과 시장 공급이 결정된다. 세테리스 파리부스는 독립 변수가 시장의 가격과 공급의 인과적 요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결정하는 것을 통해 수요와 공급의 법칙에 사용된다.[9]
  • '''국내총생산''': 세테리스 파리부스는 GDP와 관련하여 변수가 일정하게 유지될 때 화폐 시장이 어떻게 변화할지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9]
  • '''금리''': 금리를 독립 변수로 유지하여 금리가 상승하면 차입 비용이 상승하여 부채 수요가 감소하게 된다. 이는 종속 변수이다.[9]
  • '''최저 임금''': 최저 임금 인상의 가능한 영향을 정의하기 위해 경제학자들은 세테리스 파리부스를 사용한다. 가능한 영향으로는 임금 인상이 고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 등이 있다.[9]

4. 한계점

현실에서는 모든 변수가 동시에 변하기 때문에 '세테리스 파리부스' 가정은 한계가 있다. 경제학자들은 모든 변수를 통제하거나 중요 변수를 식별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10] 따라서 세테리스 파리부스 가정은 경향성을 파악하는 데는 유용하지만, 절대적인 결과를 예측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ceteris paribus https://dictionary.c[...] 2024-04-26
[2] 서적 Isolation and Aggregation in Economics https://archive.org/[...] Springer Verlag
[3] 웹사이트 What Economists Can Teach Epidemiologists https://www.aier.org[...] 2023-12-12
[4] 웹사이트 What Does Ceteris Paribus Mean in Economics? https://www.investop[...] 2023-12-12
[5] 웹사이트 Ceteris paribus https://www.britanni[...] 2021-09-05
[6] 간행물 Ceteris Paribus Laws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3-12-12
[7] 문서 Principles of Economics
[8] 서적 Isolation and Aggregation in Economics http://epub.ub.uni-m[...] 1985
[9] 웹사이트 Ceteris Paribus Explained: 5 Economic Uses for Ceteris Paribus https://www.mastercl[...] 2024-06-05
[10] 문서 Ceteris Paribus https://www.wallstre[...] WallStreetMoj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