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소 파우스티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 파우스티나는 로마 황제 안토니누스 피우스의 딸이자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아내이다. 그녀는 로마에서 태어나 성장했으며, 루키우스 베루스와의 약혼이 파기된 후 사촌인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와 결혼했다. 161년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가 황제가 되면서 황후가 되었으며, 여러 전역에 남편과 동행하며 군대의 지지를 받았다. 그녀는 175년 사망했으며, 남편 아우렐리우스는 그녀를 신격화하고 그녀를 기리는 신전을 세웠다. 파우스티나는 14명의 자녀를 두었으며, 그 중 아들 콤모두스가 로마 황제가 되어 오현제의 양자 계승을 중단시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5년 사망 - 아비디우스 카시우스
    아비디우스 카시우스는 2세기 로마의 군인이자 정치가로서, 파르티아 전쟁에서의 공훈과 시리아 총독 역임 후 175년 반란을 일으켰으나 암살당했다.
  • 175년 사망 - 베티우스 발렌스
    베티우스 발렌스는 2세기경 헬레니즘 시대의 점성가로, 《안솔로지》를 통해 당시 점성술 기법을 집대성했으며, 바빌론, 헬레니즘, 헬레니즘 이집트 점성술 전통을 계승하고 스토아 철학의 결정론적 관점을 점성학에 반영했다.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 명상록
    명상록은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가 스토아 철학의 영향을 받아 우주적 관점, 윤리적 원칙, 합리성과 평정심 유지의 중요성 등을 강조하며 삶의 여러 시기에 걸쳐 기록한 철학적 성찰을 담은 책이다.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기마상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기마상은 2세기 로마 황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를 묘사한 청동 기마상으로, 아들로쿠티오 자세로 군대에 명령을 내리는 모습을 보여주며, 기독교 황제로 오인되어 보존되어 르네상스 시대에 재발견되어 캄피돌리오 광장에 설치되었다.
소 파우스티나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61년경 흉상
흉상, 161년경
본명안니아 갈레리아 파우스티나 미노르
존호안니아 갈레리아 파우스티나 아우구스타 미노르
출생일130년경
출생지로마, 이탈리아
사망일175/76년경 (약 45세)
사망지할랄라, 카파도키아
매장지하드리아누스 영묘
배우자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145년 결혼)
자녀루킬라, 파우스티나, 파딜라, 코르니피키아 파우스티나 미노르, 콤모두스, 안니우스 베루스, 사비나 외 다수
가문네르바-안토니누스 가문
아버지안토니누스 피우스
어머니파우스티나
통치
칭호아우구스타
직책로마 황후
재위 기간161년 3월 7일 – 175년 (루킬라와 164–169년 공동 재위)

2. 생애

오현제 중 네 번째 황제인 안토니누스 피우스의 차녀로 태어났다. 어머니 파우스티나는 집정관을 역임한 명문 귀족 마르쿠스 안니우스 베루스의 딸이었으며, 트라야누스 황제의 누이 마틸다의 손녀이기도 하다.

소 파우스티나의 대리석상 (서기 165년작, 로마 마시모 궁전 소장.)


어머니의 이름을 따 이름 지어진 파우스티나는 안토니누스 피우스대 파우스티나의 넷째이자 막내 자녀이고 차녀였으며, 성인까지 생존한 유일한 자녀였다. 그녀는 로마에서 태어나 자랐다.[1]

파우스티나의 먼 친척인 하드리아누스 황제는 그녀가 루키우스 베루스와 결혼하도록 주선했다. 138년 2월 25일에 파우스티나와 베루스는 약혼했다. 베루스의 아버지 루키우스 아일리우스는 하드리아누스의 양자이자 후계자였으나, 아일리우스가 죽자 하드리아누스는 파우스티나의 아버지를 양자로 삼았고, 그가 하드리아누스의 후계자가 되었다. 파우스티나의 아버지는 딸과 베루스의 약혼을 파기하고 외가 쪽 친척인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와 다시 약혼시켰다. 아우렐리우스는 안토니누스 피우스의 양자가 되었다.[1]

145년,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와 파우스티나는 결혼하였다. 아우렐리우스가 안토니누스 피우스의 양자가 되었기 때문에 로마법에 따르면 그는 자매와 결혼한 것이었다.[11] 파우스티나는 147년 12월 1일에 아우구스타 칭호를 받았다.

안토니누스 피우스 치하 로마 조폐창에서 주조된 파우스티나 2세의 ''아우레우스'' (c. 147–152). 앞면: 파우스티나 2세 흉상. 뒷면: 콘코르디아 여신상.


161년 3월 7일, 안토니누스 피우스가 사망하자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루키우스 베루스가 공동 황제에 올랐고, 파우스티나는 황후가 되었다.[5]

파우스티나는 여러 군사 원정에 남편과 동행했고 로마 병사들에게 큰 사랑과 존경을 받았다. 아우렐리우스는 그녀에게 '군영의 어머니'(Mater Castrorum)라는 칭호를 내렸다. 170년에서 175년 사이에는 북방 전선에 있었고, 175년에는 아우렐리우스와 함께 동방으로 갔다. "카르눈툼의 보호자"라는 별명을 얻은 그녀는 전선에서 싸우는 군단 (레기오)에게 깊은 존경을 받았고, 군사적 능력이 부족한 남편의 군대 내 인기를 뒷받침했다.

175년에 로마 조폐창에서 주조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복제 ''데나리우스''. 앞면: 파우스티나 소(小)의 흉상. 뒷면: 피에타스 입상.


175년, 파우스티나는 하랄라 (카파도키아 타우루스산맥의 군영)에서 사망했다.

2. 1. 초기



어머니의 이름을 따 이름 지어진, 파우스티나는 안토니누스 피우스대 파우스티나의 넷째이자 막내 자녀이고 차녀였으며, 또한 성인까지 생존한 유일한 자녀였다. 그녀는 로마에서 태어나 자랐다.

파우스티나의 먼 친척(second cousin three times removed)인 하드리아누스 황제는 그녀가 루키우스 베루스와 결혼하도록 그녀의 아버지와 합의했었다. 138년 2월 25일에, 그녀와 베루스는 약혼을 하였다. 베루스의 아버지는 하드리아누스의 양자이자 미리 점찍어 놓은 후임자였으나, 베루스의 아버지가 죽으면서 하드리아누스는 파우스티나의 아버지를 양자로 삼았고 이에 따라 그가 하드리아누스의 후임자가 되었다. 파우스티나의 아버지는 딸과 베루스 사이에 있었던 약혼 관계를 종결짓고 외가 쪽 친척인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와의 약혼을 주선했는데 아우렐리우스는 그녀의 아버지한테 양자로 들어간 사이이기도 했다.

오현제 중 네 번째 황제인 안토니누스 피우스의 차녀로 태어났다. 어머니인 파우스티나는 집정관을 역임한 명문 귀족 마르쿠스 안니우스 베루스의 딸이었으며, 트라야누스 황제의 누이 마틸다의 손녀이기도 했다.

또한, 어머니 쪽의 베루스 가문은 훗날 남편이자 황제인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안니우스 베루스''')의 출신 가문이며, 안토니누스의 아버지 마르쿠스 리보 베루스와 파우스티나는 친남매였다.

2. 2. 복잡한 약혼

하드리아누스 황제는 자신의 후계자로 점찍었던 루키우스 아일리우스의 아들 루키우스 베루스와 소 파우스티나를 결혼시키려 했다. 이에 따라 138년 2월 25일, 13세의 소 파우스티나는 루키우스 베루스와 약혼했다.[1] 그러나 아일리우스가 갑작스럽게 사망하면서, 하드리아누스는 소 파우스티나의 아버지 안토니누스 피우스를 새로운 후계자로 지명했다.[1]

안토니누스 피우스는 황위를 계승하는 조건으로 루키우스 베루스와 자신의 조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안니우스)를 양자로 삼아야 했다. 안토니누스 피우스에게는 성인이 된 자녀가 소 파우스티나뿐이었다.[1]

안토니누스 피우스는 두 청년을 황태자로 삼았으나, 딸의 혼인에 대해서는 기존 약속을 파기했다. 그는 루키우스 베루스와의 약혼을 파기하고, 소 파우스티나를 사촌인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와 다시 약혼시켰다.(사촌 결혼)[1]

2. 3. 황태자비

145년 4월 혹은 5월에,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파우스티나는 138년에 계획됐던 대로 결혼하였다. 아우렐리우스가 안토니누스 피우스의 아들로 입양되었기에 로마법에 따르면 그는 자매와 결혼한 것이었는데, 안토니누스는 공식적으로 결혼식을 개최하는 그의 아버지로서의 권위 (파트리아 포테스타스) 중에 무언가를 포기해야만 했을 것이다.[11] 결혼식에 대해선 알려진 것이 거의 없으나 '눈부셨다'고 한다. 부부의 두 얼굴이 새겨진 주화가 발행되었고, 폰티펙스 막시무스로서 안토니누스는 직무를 수행했을 것이다. 마르쿠스는 현존하는 문서 자료에서 결혼에 대해 언급을 하지 않았고, 파우스티나에 대해서 산발적인 언급을 했을 뿐이다.[4] 파우스티나는 첫째 자녀 도미티아 파우스티나가 태어난 뒤인 147년 12월 1일에 아우구스타라는 칭호를 부여받았다.

2. 4. 황후

안토니누스 피우스가 161년 3월 7일에 사망하자,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루키우스 베루스는 공동 황제 자리에 올랐다. 이에 따라 파우스티나는 황후가 되었다.[5]

파우스티나의 생애에 관해 남아있는 로마 사료는 많지 않고, 그나마 있는 자료도 좋은 평가를 내리지 않는다. 카시우스 디오와 신뢰도가 떨어지는 '아우구스타 열전'은 파우스티나가 독살과 처형 명령을 내렸다고 비난했고, 아비디우스 카시우스가 남편에게 반란을 일으키도록 부추겼다는 혐의도 제기했다. ''아우구스타 열전''은 선원, 검투사, 고위층 인사들과의 간통을 언급하기도 했다. 그러나 파우스티나와 아우렐리우스는 매우 가깝고 서로에게 헌신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6]

파우스티나는 여러 군사 원정에 남편과 동행했고 로마 병사들에게 큰 사랑과 존경을 받았다. 아우렐리우스는 그녀에게 '군영의 어머니'(Mater Castrorum)라는 칭호를 내렸다. 그녀는 군영을 자신의 집처럼 여기려 했다. 170년에서 175년 사이에는 북방 전선에 있었고, 175년에는 아우렐리우스와 함께 동방으로 갔다.

카시우스 디오는 성적인 문제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지만, 파우스티나가 야심이 커서 암살이나 독살로 정적을 제거하는 일이 잦았다고 기록했다.

이러한 부정적인 평가와는 별개로, 파우스티나는 위험한 야만족과의 전쟁에 남편과 함께 참전하여 병사들을 격려하는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카르눈툼의 보호자"라는 별명을 얻은 그녀는 전선에서 싸우는 군단 (레기오)에게 깊은 존경을 받았고, 군사적 능력이 부족한 남편의 군대 내 인기를 뒷받침했다.

2. 5. 죽음 이후



파우스티나의 죽음에 관한 사실은 확실하지 않다. 그녀는 175년 하랄라 (카파도키아타우루스산맥에 있던 도시)의 군영에서 사망했다. 죽음의 원인은 학자들의 추측일 뿐이며, 자연사, 자살, 사고사, 심지어는 카시우스와의 불륜 의혹에 대한 보복으로 인한 암살까지 다양하게 추정된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는 아내의 죽음에 깊이 슬퍼했고, 그녀를 로마의 하드리아누스 영묘에 안치했다. 그녀는 신격화되었는데, 그녀의 조각상은 로마의 베누스 신전에 배치되었고 그녀를 기리는 신전이 봉헌되었다. 하랄라의 이름은 '파우스티노포리스'로 바뀌었고, 아우렐리우스는 '파우스티나의 소녀들'(Puellae Faustinianae)이라는 이름의 고아 소녀들을 위한 자선 학교를 열었다.[12] 밀레투스의 파우스티나 욕장은 그녀의 이름을 따 붙여졌다.

3. 자녀

30년간의 결혼 생활 동안, 파우스티나와 마르쿠스는 최소 14명의 자녀를 두었으며, 이 중 성인이 될 때까지 살아남은 자녀는 6명(딸 5명, 아들 콤모두스)이었다.[8]

파우스티나는 어머니로서의 역할로 칭송받았으며, 딸 파딜라 출생 시에는 그녀를 유노 루치나로 묘사한 동전이 발행되기도 했다.[5]

파우스티나와 마르쿠스 사이에서 태어난 자녀들은 다음과 같다.[8]

출생년도이름사망년도비고
147년도미티아 파우스티나151년유아기에 사망
149년티투스 아일리우스 안토니누스149년아우렐리우스의 쌍둥이, 유아기에 사망
149년티투스 아일리우스 아우렐리우스149년안토니누스의 쌍둥이, 유아기에 사망
150년안니아 아우렐리아 갈레리아 루킬라182년아버지의 공동 통치자인 루키우스 베루스와 결혼 후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폼페이아누스와 재혼, 두 번의 결혼 모두에서 자녀를 낳음
151년안니아 갈레리아 아우렐리아 파우스티나불명그나이우스 클라우디우스 세베루스와 결혼, 아들 1명 출산
152년티베리우스 아일리우스 안토니누스156년 이전유아기에 사망
158년 이전불명158년 이전유아기에 사망
159년안니아 아우렐리아 파딜라불명마르쿠스 페두카에우스 플라우티우스 킨틸루스와 결혼, 자녀 출산
160년안니아 코르니피키아 파우스티나 미노르불명마르쿠스 페트로니우스 수라 마메르티누스와 결혼, 아들 1명 출산
161년티투스 아우렐리우스 풀부스 안토니누스165년콤모두스의 쌍둥이 형제, 유아기에 사망
161년루키우스 아우렐리우스 콤모두스 안토니누스192년티투스 아우렐리우스 풀부스 안토니누스의 쌍둥이 형제, 훗날 황제 즉위, 브루티아 크리스피나와 결혼, 자녀 없음
162년마르쿠스 안니우스 베루스 카이사르169년유아기에 사망
불명하드리아누스불명유아기에 사망
170년비비아 아우렐리아 사비나217년 이전루키우스 안티스티우스 부루스와 결혼, 자녀 없음


참조

[1] 서적
[2] 웹사이트 Feriale Duranum 3.7 https://papyri.info/[...]
[3] 간행물 '13(02): 43' http://db.edcs.eu/ep[...] Inscriptiones Italiae
[4] 서적 Antoninus Pius https://penelope.uch[...]
[5] 학술지 Before Barbie: Why Girls Played With Dolls in the Roman Empire https://www.haaretz.[...] 2021-12-14
[6] 웹사이트 Collections Online {{!}} British Museum https://www.britishm[...] 2024-02-18
[7] 서적 Life of Marcus Aurelius https://penelope.uch[...] 2014-03-31
[8] 서적 Marcus Aurelius: A Biograph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2-12-06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Antoninus Pius https://penelope.uch[...]
[12] 서적 Life of Marcus Aurelius https://penelope.uch[...] 2014-03-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