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소비에트 톱리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비에트 톱 리그는 1936년 창설되어 1991년까지 존재했던 소련의 최상위 축구 리그이다. 모스크바를 중심으로 한 클럽들이 초반 리그를 지배했으며, 이후 FC 디나모 키예프가 강세를 보였다. 1970년대 이후에는 드니프로 드니프로페트로프스크, 제니트 레닌그라드 등 다양한 클럽들이 우승 경쟁에 참여했다. 1991년 CSKA 모스크바가 마지막 챔피언이 되었고, 소련 붕괴 이후 리그는 해체되었다. 소비에트 톱 리그는 유럽 대회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며, FC 디나모 키예프가 13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을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련의 축구 - 소련 축구 국가대표팀
    소련 축구 국가대표팀은 1922년부터 1992년까지 존속한 소비에트 연방의 국가대표팀으로, 1960년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과 올림픽 금메달 2회 획득 등의 업적을 남겼으며, 소련 붕괴 후 FIFA는 그 기록을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에 할당했다.
  • 소련의 축구 - 독립국가연합 축구 국가대표팀
    독립국가연합 축구 국가대표팀은 1991년 소련 해체 이후 결성되어 1992년 UEFA 유로에 참가했지만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으며, 이후 각 국가별 대표팀으로 분리되어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이 기록을 승계한다.
  • 폐지된 축구 리그 - 세군다 디비시온 B
    세군다 디비시온 B는 스페인의 4부 축구 리그로, 1977년 3부 리그로 재출범하여 2021-22 시즌 리그 시스템 개편으로 4부 리그로 강등되면서 세군다 디비시온 RFEF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80개 팀이 4개 그룹으로 나뉘어 경쟁하여 상위 팀은 승격, 하위 팀은 강등된다.
  • 폐지된 축구 리그 -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는 유고슬라비아 왕국과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시기에 걸쳐 진행된 축구 리그이며, 크로아티아와 세르비아 클럽이 우승을 차지하고 FK 츠르베나 즈베즈다가 최다 우승을 기록했다.
  • 1936년 설립 - 동북항일연군
    동북항일연군은 1936년 중국 공산당의 지휘 아래 만주 지역 항일 무장 세력을 통합하여 창설되었으며, 만주와 한반도에서 일본 제국주의를 몰아내고 민족 독립을 쟁취하는 것을 목표로 활동하다가 일제의 탄압으로 소련으로 이동, 1945년 일본 패전 후 북한으로 귀환하여 권력을 장악했다.
  • 1936년 설립 - 아메리칸 하키 리그
    아메리칸 하키 리그(AHL)는 북미의 프로 아이스하키 리그이자 NHL의 최상위 마이너 리그로서, NHL 팀들의 선수 육성 및 팜 시스템 역할을 하며, 30개 팀으로 구성되어 칼더컵을 놓고 경쟁하고 올스타전을 개최한다.
소비에트 톱리그
개요
정식 명칭소련 톱 리그
러시아어 명칭Высшая лига (Vyschaya Liga)
우크라이나어 명칭Вища ліга (Vyshcha Liga)
벨라루스어 명칭Вышэйшая ліга (Vysheyshaya Liga)
국가소련
대륙 연맹UEFA
창립1936년 5월 22일 (그룹 A로 시작)
해체1991년
참가 팀 수다양함
강등 리그소비에트 1부 리그
리그 단계1부 리그
국내 컵소련 컵
소련 슈퍼컵 (비공식)
리그 컵소련 연맹 컵 (1940–1990)
최근 우승팀CSKA 모스크바 (1991년)
마지막 시즌1991년
최다 우승 팀디나모 키예프 (13회)
최다 출전 선수올레흐 블로힌 (432경기)
최다 득점자올레흐 블로힌 (211골)

2. 역사

스파르타크 스포츠 단체의 수장 니콜라이 스타로스틴은 6개 소련 도시에 8개 프로 클럽팀을 만들어 연간 두 개의 챔피언십 대회를 개최할 것을 제안했고, 소련 체육 위원회는 이를 수용하여 소련 톱 리그가 창설되었다.[4] 니콜라이 스타로스틴은 사실상 소련 챔피언십의 대부가 되었다.[5]

새로 설립된 대회를 홍보하기 위해, 스페인 내전에서 소련의 지원을 받은 공화파 소속 바스크 국가대표팀 초청 등의 대규모 행사가 열렸다. 1936년에는 붉은 광장에서 실제 축구 경기가 열렸고,[6]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전까지 체육의 날 퍼레이드 행사의 일부로 이어졌다.[6]

1930년대 후반, 라브렌티 베리야는 각 연방 공화국에서 한 팀씩 리그에 참가하는 것을 제안했다.[4] 1937년 7월, 바스크 국가대표팀의 소련 투어 이후, 전 연방 체육 위원회는 당과 콤소몰로부터 스포츠 정책 실패에 대해 비난을 받았고, 스파르타크 지도부와 스타로스틴은 부패 혐의와 소련 스포츠에 "부르주아 방법"을 시행했다는 비난을 받았다.[4]

초기 리그는 모스크바 클럽들이 강세를 보였다. 러시아 축구는 스파르타크(콤소몰), 디나모(경찰), CSKA(육군), 토르페도(자동차 노동자)가 지배했다.

1945년, 리그가 재개되면서 CSKA 모스크바가 강팀으로 부상했다.[1] 1950년대에는 스파르타크 모스크바디나모 모스크바의 양강 구도가 다시 형성되었다.[1] 1960년대부터 디나모 키예프가 새로운 강자로 떠오르며, 소련 축구의 판도를 바꾸었다.[1]

1970년대에는 디나모 키예프가 리그를 독주하며, 우크라이나의 여러 클럽들이 성장했다. 1980년대에는 드니프로, 제니트 레닌그라드 등 새로운 클럽들이 우승 경쟁에 뛰어들었다. 1980년대 후반, 소련의 붕괴와 함께 리그는 불안정한 시기를 겪었으며, 1991년 소련 붕괴와 함께 리그는 해체되었다.

소비에트 톱리그의 역대 우승, 준우승, 3위 기록과 우승 클럽은 다음과 같다.


2. 1. 창설 배경 (1936년 이전)

스파르타크 스포츠 단체의 수장인 니콜라이 스타로스틴은 6개의 소련 도시에 8개의 프로 클럽팀을 만들어 연간 두 개의 챔피언십 대회를 개최할 것을 제안했다.[4] 소련 체육 위원회는 스포츠 단체와 공장에서 후원하는 "마스터 시범팀" 리그를 만들어 스타로스틴의 제안을 수용했으며,[4] 니콜라이 스타로스틴은 사실상 소련 챔피언십의 대부가 되었다.[5]

새로 설립된 대회를 홍보하기 위해 수많은 대규모 행사가 열렸다. 모스크바 체육의 날 퍼레이드의 일환으로 축구 전시 경기를 도입하고, 스페인 내전에서 소련의 지원을 받은 공화파 소속 바스크 국가대표팀을 초청했다.

1936년 콤소몰의 제1서기 코사레프는 체육의 날 퍼레이드의 일환으로 붉은 광장에서 실제 축구 경기를 하는 아이디어를 냈다.[6] 스탈린은 스포츠 행사에 참석한 적이 없었지만, 체육의 날은 예외였다.[6] 1936년 체육의 날 퍼레이드는 러시아 극장 감독 발렌틴 플루체크가 연출했다.[6] 축구 경기를 위해 스파르타크 선수들은 거대한 녹색 펠트 카펫을 바느질하여 붉은 광장의 자갈 위에 깔았다.[6] 퍼레이드 전날 밤, 카펫은 조각으로 꿰매어 말아서 광장에 위치한 GUM 백화점의 현관에 보관했다.[6] 1936년 붉은 광장 경기에 이어 제2차 세계 대전 전까지 이 전통이 이어졌고, 체육의 날 퍼레이드 행사의 일부가 되었다.[6]

1930년대 후반, 스파르타크는 전 연방 공산당 (볼셰비키) 중앙 위원회 회원들에게 경기당 수천 장의 티켓을 나눠주었다.[4] 축구 열성 팬 중에는 라브렌티 베리야가 있었는데, 그는 리그에 각 연방 공화국에서 한 팀씩 참가하는 것을 제안했다.[4] 1937년 7월, 바스크 국가대표팀이 소련에서 성공적인 투어를 마친 후, 전 연방 체육 위원회는 당과 콤소몰로부터 스포츠 정책 실패에 대해 비난을 받았다.[4] 특히 스파르타크의 지도부와 스타로스틴은 부패 혐의를 받았고 소련 스포츠에 "부르주아 방법"을 시행했다는 비난을 받았다.[4]

2. 2. 초기 리그 (1936년 ~ 1941년)

스파르타크 스포츠 단체의 수장인 니콜라이 스타로스틴의 제안으로 소련 톱 리그가 창설되었다.[4] 스타로스틴은 6개의 소련 도시에 8개의 프로 클럽팀을 만들어 연간 두 개의 챔피언십 대회를 개최할 것을 제안했고, 소련 체육 위원회는 이를 수용했다.[4] 니콜라이 스타로스틴은 사실상 소련 챔피언십의 대부가 되었다.[5]

새로 설립된 대회를 홍보하기 위해, 스페인 내전에서 소련의 지원을 받은 공화파 소속 바스크 국가대표팀 초청 등의 대규모 행사가 열렸다. 1936년에는 붉은 광장에서 실제 축구 경기가 열렸고,[6]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전까지 체육의 날 퍼레이드 행사의 일부로 이어졌다.[6]

1930년대 후반, 라브렌티 베리야는 각 연방 공화국에서 한 팀씩 리그에 참가하는 것을 제안했다.[4] 1937년 7월, 바스크 국가대표팀의 소련 투어 이후, 전 연방 체육 위원회는 당과 콤소몰로부터 스포츠 정책 실패에 대해 비난을 받았고, 스파르타크 지도부와 스타로스틴은 부패 혐의와 소련 스포츠에 "부르주아 방법"을 시행했다는 비난을 받았다.[4]

초기 리그는 모스크바 클럽들이 강세를 보였다. 러시아 축구는 스파르타크(콤소몰), 디나모(경찰), CSKA(육군), 토르페도(자동차 노동자)가 지배했다.

2. 3. 전후 리그 재건 (1945년 ~ 1960년대)

1945년, 리그가 재개되면서 CSKA 모스크바가 강팀으로 부상했다.[1] 1950년대에는 스파르타크 모스크바디나모 모스크바의 양강 구도가 다시 형성되었다.[1] 1960년대부터 디나모 키예프가 새로운 강자로 떠오르며, 소련 축구의 판도를 바꾸었다.[1]

소비에트 톱리그의 역대 우승, 준우승, 3위 기록과 우승 클럽은 다음과 같다.


2. 4. 리그의 발전과 변화 (1970년대 ~ 1991년)

제니트 레닌그라드 (1)-- 우크라이나16158디나모 키이우 (13), 드니프로 (2), 조랴 볼로시로브그라드 (1)-- 그루지야2513디나모 트빌리시 (2)-- 아르메니아12align=center|아라라트 예레반 (1)-- 벨로루시1align=center|3디나모 민스크 (1)-- 아제르바이잔align=center|align=center|1-- 리투아니아align=center|align=center|1


3. 참가 클럽

니콜라이 스타로스틴의 제안으로 스파르타크 스포츠 단체가 설립한 이 리그는, 6개의 소련 도시에 8개 프로 클럽팀을 구성하여 연간 두 번의 챔피언십 대회를 개최하려 했다. 소련 체육 위원회는 이 제안을 수용했다.[4]

1936년 콤소몰 제1서기 코사레프는 체육의 날 퍼레이드 때 붉은 광장에서 실제 축구 경기를 하는 아이디어를 냈고, 스탈린은 이례적으로 이 행사에 참석했다.[6] 발렌틴 플루체크가 연출한 이 퍼레이드에서, 스파르타크 선수들은 붉은 광장 자갈 위에 녹색 펠트 카펫을 깔고 경기를 했다.[6]

1930년대 후반, 스파르타크는 전 연방 공산당 (볼셰비키) 중앙 위원회 회원들에게 경기당 수천 장의 티켓을 배부했고, 라브렌티 베리야도 축구 열성 팬이었다.[4] 1937년 바스크 국가대표팀의 소련 투어 후, 전 연방 체육 위원회는 스포츠 정책 실패를 이유로 당과 콤소몰의 비난을 받았고, 스파르타크 지도부와 스타로스틴은 부패 혐의를 받았다.[4]

리그의 가장 유명한 클럽은 FC 디나모 키이우, FC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FC 디나모 모스크바였다. PFC CSKA 모스크바, FC 아라라트 예레반, FC 디나모 트빌리시 등도 인기가 있었다. 디나모 트빌리시는 여러 차례 3위를 기록했지만 우승은 없다가 1964년에 첫 우승을 차지했다.

1965-66 유러피언 컵 위너스 컵에 디나모 키예프가 참가하며 소련 톱 리그 클럽의 유럽 대회 참가가 시작되었다. 1974년부터 1984년까지(1982-83 시즌 제외) 리그는 UEFA 랭킹 상위 10위권, 1976년1977년에는 4위에 올랐다. 1985년부터 1991년 소련 붕괴까지는 유럽 상위 4위권을 유지했다.

1987년1988년 소련 톱 리그는 유럽 2위였으나, 소련 붕괴와 함께 선수들의 해외 이적으로 대표팀 성적이 하락했다. 1992년 9위가 마지막 순위였고, 1992년/93 시즌부터 모든 결과는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로 이전되었다. 리그 대표팀은 유럽 주요 대회 결승에 4번 진출해 3번 우승했고, UEFA 슈퍼컵에서도 1번 우승했다.

각 공화국 대표 클럽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3. 1. 러시아 클럽

모스크바를 중심으로 스파르타크(콤소몰), 디나모(경찰), CSKA(육군), 토르페도(자동차 노동자)가 리그를 지배했다. 이 네 팀은 종종 로코모티프(철도 노동자), 제니트 레닌그라드(방위 산업 노동자) 또는 작은 도시의 다양한 클럽과 함께 톱 리그에 참가했다.[1]

3. 2. 우크라이나 클럽

디나모 키예프는 소비에트 톱 리그 최다 우승팀으로, 소련 축구의 상징적인 존재였다. 샤흐타르 도네츠크, 메탈리스트 하르키우, 초르노모레츠 오데사 등도 꾸준히 리그에 참가했다.

3. 3. 기타 공화국 클럽

소비에트 톱 리그에는 각 공화국의 수도를 연고로 하는 클럽들이 주로 참가했다. 예를 들어 디나모 트빌리시 (조지아), 아라라트 예레반 (아르메니아), 디나모 민스크 (벨라루스) 등이 각 공화국을 대표하여 리그에서 경쟁했다.

4. 역대 우승 팀 및 통계

소비에트 톱 리그의 역대 우승 팀과 관련 통계는 다음과 같다.
참가팀소련의 불균등한 인구 분포로 인해 전형적인 톱 리그 시즌의 참가자들은 세 개의 블록으로 나뉘었다.


역대 시즌별 순위

시즌우승준우승3위
1936 (봄)디나모 모스크바디나모 키예프스파르타크 모스크바
1936 (가을)스파르타크 모스크바디나모 모스크바디나모 트빌리시
1937디나모 모스크바스파르타크 모스크바디나모 키예프
1938스파르타크 모스크바CSKA 모스크바메탈루르크 모스크바
1939스파르타크 모스크바디나모 트빌리시CSKA 모스크바
1940디나모 모스크바디나모 트빌리시스파르타크 모스크바
1945디나모 모스크바CSKA 모스크바토르페도 모스크바
1946CSKA 모스크바디나모 모스크바디나모 트빌리시
1947CSKA 모스크바디나모 모스크바디나모 트빌리시
1948CSKA 모스크바디나모 모스크바스파르타크 모스크바
1949디나모 모스크바CSKA 모스크바스파르타크 모스크바
1950CSKA 모스크바디나모 모스크바디나모 트빌리시
1951CSKA 모스크바디나모 트빌리시샤흐타르 도네츠크
1952스파르타크 모스크바디나모 키예프디나모 모스크바
1953스파르타크 모스크바디나모 트빌리시토르페도 모스크바
1954디나모 모스크바스파르타크 모스크바디나모 민스크
1955디나모 모스크바스파르타크 모스크바CSKA 모스크바
1956스파르타크 모스크바디나모 모스크바CSKA 모스크바
1957디나모 모스크바토르페도 모스크바스파르타크 모스크바
1958스파르타크 모스크바디나모 모스크바CSKA 모스크바
1959디나모 모스크바로코모티브 모스크바디나모 트빌리시
1960토르페도 모스크바디나모 키예프디나모 모스크바
1961디나모 키예프토르페도 모스크바스파르타크 모스크바
1962스파르타크 모스크바디나모 모스크바디나모 트빌리시
1963디나모 모스크바스파르타크 모스크바디나모 민스크
1964디나모 트빌리시토르페도 모스크바CSKA 모스크바
1965토르페도 모스크바디나모 키예프CSKA 모스크바
1966디나모 키예프SKA 로스토프나도누네프치 바쿠
1967디나모 키예프디나모 모스크바디나모 트빌리시
1968디나모 키예프토르페도 모스크바스파르타크 모스크바
1969스파르타크 모스크바디나모 키예프디나모 트빌리시
1970CSKA 모스크바디나모 모스크바스파르타크 모스크바
1971디나모 키예프아라라트 예레반디나모 트빌리시
1972조랴 보로실로브그라드디나모 키예프디나모 트빌리시
1973아라라트 예레반디나모 키예프디나모 모스크바
1974디나모 키예프스파르타크 모스크바초르노모레츠 오데사
1975디나모 키예프샤흐타르 도네츠크디나모 모스크바
1976 (봄)디나모 모스크바아라라트 예레반디나모 트빌리시
1976 (가을)토르페도 모스크바디나모 키예프디나모 트빌리시
1977디나모 키예프디나모 트빌리시토르페도 모스크바
1978디나모 트빌리시디나모 키예프샤흐타르 도네츠크
1979스파르타크 모스크바샤흐타르 도네츠크디나모 키예프
1980디나모 키예프스파르타크 모스크바제니트 레닌그라드
1981디나모 키예프스파르타크 모스크바디나모 트빌리시
1982디나모 민스크디나모 키예프스파르타크 모스크바
1983드니프로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스파르타크 모스크바디나모 민스크
1984제니트 레닌그라드스파르타크 모스크바드니프로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
1985디나모 키예프스파르타크 모스크바드니프로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
1986디나모 키예프디나모 모스크바스파르타크 모스크바
1987스파르타크 모스크바드니프로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잘기리스 빌뉴스
1988드니프로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디나모 키예프토르페도 모스크바
1989스파르타크 모스크바드니프로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디나모 키예프
1990디나모 키예프CSKA 모스크바디나모 모스크바
1991CSKA 모스크바스파르타크 모스크바토르페도 모스크바


팀별 통산 성적{| class="wikitable sortable"

|-

!팀!!공화국!!시즌!!첫 시즌!!마지막 시즌!!경기!!승!!무!!패!!득점!!실점!!승점1!!1위!!2위!!3위

|- style="text-align:right;"

|align="left"|스파르타크 모스크바||러시아||53||1936||1991||1453||722||385||346||2483||1467||1821||12||12||9

|- style="text-align:right;"

|align="left"|디나모 키예프||우크라이나||54||1936||1991||1483||681||456||346||2306||1566||1810||13||11||3

|- style="text-align:right;"

|align="left"|디나모 모스크바||러시아||54||1936||1991||1485||707||404||374||2435||1457||1805||11||11||5

|- style="text-align:right;"

|align="left"|디나모 트빌리시||조지아||51||1936||1989||1424||621||406||397||2176||1677||1642||2||5||13

|- style="text-align:right;"

|align="left"|토르페도 모스크바||러시아||51||1938||1991||1455||601||433||421||2059||1656||1613||3||3||6

|- style="text-align:right;"

|align="left"|CSKA 모스크바[7]||러시아||48||1936||1991||1326||585||363||378||2030||1451||1524||7||4||6

|- style="text-align:right;"

|align="left"|제니트 레닌그라드[8]||러시아||49||1938||1989||1402||464||411||527||1725||1914||1328||1||-||1

|- style="text-align:right;"

|align="left"|샤흐타르 도네츠크[9]||우크라이나||44||1938||1991||1288||434||379||475||1522||1641||1241||-||2||2

|- style="text-align:right;"

|align="left"|디나모 민스크||벨라루스||33||1945||1991||1053||342||319||392||1162||1297||989||1||-||3

|- style="text-align:right;"

|align="left"|아라라트 예레반[10]||아르메니아||33||1949||1991||1026||352||280||394||1150||1306||972||1||2||-

|- style="text-align:right;"

|align="left"|로코모티프 모스크바||러시아||38||1936||1991||1001||303||289||409||1218||1431||888||-||1||-

|- style="text-align:right;"

|align="left"|네프치 바쿠[11]||아제르바이잔||27||1949||1988||884||253||270||361||907||1141||771||-||-||1

|- style="text-align:right;"

|align="left"|초르노모레츠 오데사||우크라이나||24||1965||1991||738||244||217||277||777||884||699||-||-||1

|- style="text-align:right;"

|align="left"|카이라트 알마타||카자흐스탄||24||1960||1988||780||226||234||320||742||983||678||-||-||-

|- style="text-align:right;"

|align="left"|파흐타코르 타슈켄트||우즈베키스탄||22||1960||1991||722||212||211||299||805||1035||629||-||-||-

|- style="text-align:right;"

|align="left"|SKA 로스토프[12]||러시아||21||1959||1985||680||218||194||268||843||911||620||-||1||-

|- style="text-align:right;"

|align="left"|드니프로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우크라이나||19||1972||1991||554||227||154||173||729||634||604||2||2||2

|- style="text-align:right;"

|align="left"|크릴리야 소베토프 쿠이비셰프[13]||러시아||26||1946||1979||715||185||209||321||675||996||579||-||-||-

|- style="text-align:right;"

|align="left"|메탈리스트 하르키우[14]||우크라이나||14||1960||1991||438||133||124||181||413||530||390||-||-||-

|- style="text-align:right;"

|align="left"|조랴 보로실로브그라드||우크라이나||14||1967||1979||412||125||135||152||416||469||377||1||-||-

|- style="text-align:right;"

|align="left"|디나모 레닌그라드||러시아||17||1936||1963||397||135||102||160||589||649||372||-||-||-

|- style="text-align:right;"

|align="left"|토르페도 쿠타이시||조지아||13||1962||1986||439||104||129||206||395||655||335||-||-||-

|- style="text-align:right;"

|align="left"|잘기리스 빌뉴스[15]||리투아니아||11||1953||1989||330||107||93||130||349||463||305||-||-||1

|- style="text-align:right;"

|align="left"|로토르 볼고그라드[16]||러시아||11||1938||1990||293||91||66||136||352||488||248||-||-||-

|- style="text-align:right;"

|align="left"|니스투 키시나우[17]||몰도바||11||1956||1983||312||69||84||159||312||534||222||-||-||-

|- style="text-align:right;"

|align="left"|카르파티 리비우||우크라이나||9||1971||1980||244||68||85||91||250||301||218||-||-||-

|- style="text-align:right;"

|align="left"|VVS 모스크바||러시아||6||1947||1952||161||58||32||71||235||270||148||-||-||-

|- style="text-align:right;"

|align="left"|다우가바 리가||라트비아||7||1949||1962||203||51||48||104||198||311||150||-||-||-

|- style="text-align:right;"

|align="left"|크릴리야 소베토프 모스크바||러시아||6||1938||1948||143||32||39||72||145||259||103||-||-||-

|- style="text-align:right;"

|align="left"|메탈루르크 모스크바||러시아||4||1937||1940||91||40||17||34||173||170||97||-||-||1

|- style="text-align:right;"

|align="left"|로코모티프 하르키우||우크라이나||4||1949||1954||34||23||57||47||112||176||91||-||-||-

|-

|align="left"|쿠반 크라스노다르||러시아||3||1980||1982||1

4. 1. 클럽별 우승 횟수

클럽우승우승 연도
디나모 키예프131961, 1966, 1967, 1968, 1971, 1974, 1975, 1977, 1980, 1981, 1985, 1986, 1990
스파르타크 모스크바121936 (봄), 1938, 1939, 1952, 1953, 1956, 1958, 1962, 1969, 1979, 1987, 1989
디나모 모스크바111936 (가을), 1937, 1940, 1945, 1949, 1954, 1955, 1957, 1959, 1963, 1976 (가을)
CSKA 모스크바71946, 1947, 1948, 1950, 1951, 1970, 1991
토르페도 모스크바31960, 1965, 1976 (봄)
디나모 트빌리시21964, 1978
드니프로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21983, 1988
아라라트 예레반11973
디나모 민스크11982
제니트 레닌그라드11984
조랴 보로실로브그라드11972


4. 2. 공화국별 우승 횟수

공화국우승준우승3위참가 횟수대표 클럽 수우승 클럽
34322841631스파르타크 모스크바 (12)
디나모 모스크바 (11)
CSKA 모스크바 (7)
토르페도 모스크바 (3)
제니트 레닌그라드 (1)
1615819115디나모 키예프 (13)
드니프로 드니프로페트로프스크 (2)
조랴 보로실로브그라드 (1)
2513685디나모 트빌리시 (2)
12331아라라트 예레반 (1)
13391디나모 민스크 (1)
1293
1111
241
221
71
71
31
21
합계545454


5. 주요 선수 및 감독

소련 톱 리그에서 활동했던 주요 감독들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소비에트 톱 리그 감독 기록
순위이름금메달은메달동메달우승 클럽
5니키타 시모냔322스파르타크 모스크바 (2), 아라라트 예레반 (1)
6콘스탄틴 베스코프272스파르타크 모스크바
7알렉산드르 세비도프222디나모 키예프 (1), 디나모 모스크바 (1)
8-9니콜라이 굴랴예프221스파르타크 모스크바
콘스탄틴 크바시닌221스파르타크 모스크바 (1), 디나모 모스크바 (1)
10-11바실리 소콜로프21-스파르타크 모스크바
파벨 사디린21-제니트 레닌그라드 (1), CSKA 모스크바 (1)



1970년 시즌에는 기비 노디아 (디나모 트빌리시)가 17골로 최다 득점자에 올랐다.[1]

5. 1. 선수

소련 톱 리그에서 주목할 만한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1]

5. 2. 감독

소비에트 톱 리그 최다 우승 감독
순위이름금메달은메달동메달우승 클럽
1발레리 로바노프스키742디나모 키예프
2미하일 야쿠신661디나모 모스크바
3보리스 아르카디예프622CSKA 모스크바 (5), 디나모 모스크바 (1)
4빅토르 마슬로프44-디나모 키예프 (3), 토르페도 모스크바 (1)


6. 유럽 대회에서의 활약

소련 톱 리그 클럽들은 UEFA 주관 대회에서 여러 차례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1980년대 후반, 소련 톱 리그는 UEFA 리그 랭킹 상위권에 올랐다.

7. 한국 축구와의 관계

소련 축구 리그는 1936년부터 1991년까지 존속했으며, 현재 러시아, 우크라이나, 조지아 등 여러 국가의 구단들이 참가했다.

공화국시즌첫 시즌마지막 시즌
스파르타크 모스크바러시아5319361991
디나모 키예프우크라이나5419361991
디나모 모스크바러시아5419361991
디나모 트빌리시조지아5119361989
토르페도 모스크바러시아5119381991



위 표는 소비에트 톱리그에 참가했던 팀들의 일부를 보여주며, 각 팀이 속한 공화국과 리그 참가 시즌을 나타낸다.

7. 1. 전술적 영향

소련 축구는 과학적인 훈련 방식과 전술을 중시하였으며, 이러한 특징은 한국 축구에도 영향을 미쳤다.

8. 평가 및 의의

소비에트 톱리그는 소련 축구 리그 시스템의 최상위 리그였다. 1936년부터 1991년까지 존속했으며, 소련의 해체와 함께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리그의 역사를 통틀어 다양한 팀들이 우승을 차지하며 경쟁을 벌였다.

다음은 소비에트 톱리그의 시즌별 우승, 준우승, 3위 팀을 정리한 표이다.

시즌우승준우승3위
1945디나모 모스크바??
1946스파르타크 모스크바디나모 트빌리시디나모 모스크바
1947CSKA 모스크바디나모 모스크바디나모 키예프
1948CSKA 모스크바스파르타크 모스크바VVS 모스크바
1949디나모 키예프CSKA 모스크바스파르타크 모스크바
1950CDKA 모스크바VVS 모스크바스파르타크 모스크바
1951CDKA 모스크바디나모 모스크바VVS 모스크바
1952디나모 모스크바디나모 키예프크릴리야 소베토프 쿠이비셰프
1953스파르타크 모스크바로코모티프 모스크바디나모 키예프
1954스파르타크 모스크바CDSA 모스크바로코모티프 모스크바
1955스파르타크 모스크바디나모 트빌리시CDSA 모스크바
1956스파르타크 모스크바디나모 모스크바로코모티프 모스크바
1957디나모 모스크바스파르타크 모스크바CSK MO 모스크바
1958스파르타크 모스크바디나모 모스크바제니트 레닌그라드
1959토르페도 모스크바CSK MO 모스크바스파르타크 모스크바
1960CSKA 모스크바디나모 모스크바디나모 키예프
1961스파르타크 모스크바SKA 로스토프-나-도누디나모 키예프
1962스파르타크 모스크바디나모 키예프디나모 모스크바
1963디나모 키예프CSKA 모스크바디나모 트빌리시
1964디나모 트빌리시디나모 키예프CSKA 모스크바
1965디나모 키예프로코모티프 모스크바CSKA 모스크바
1966디나모 키예프디나모 트빌리시네프치 바쿠
1967샤흐타르 도네츠크디나모 키예프디나모 모스크바
1968디나모 키예프샤흐타르 도네츠크디나모 모스크바
1969샤흐타르 도네츠크디나모 모스크바CSKA 모스크바
1970디나모 모스크바스파르타크 모스크바CSKA 모스크바
1971디나모 모스크바SKA 로스토프-나-도누CSKA 모스크바
1972디나모 키예프토르페도 모스크바카르파티 리비우
1973FC 아라라트 예레반카이라트 알마-아타CSKA 모스크바
1974디나모 키예프디나모 모스크바체르노모레츠 오데사
1975토르페도 모스크바스파르타크 모스크바디나모 키예프
1976디나모 키예프샤흐타르 도네츠크카르파티 리비우
1977디나모 키예프샤흐타르 도네츠크토르페도 모스크바
1978디나모 트빌리시CSKA 모스크바디나모 키예프
1979CSKA 모스크바네프치 바쿠디나모 키예프
1980디나모 키예프디나모 모스크바스파르타크 모스크바
1981디나모 키예프디나모 트빌리시제니트 레닌그라드
1982디나모 키예프스파르타크 모스크바디나모 민스크
1983디나모 키예프CSKA 모스크바디나모 모스크바
1984드네프르 드네프로페트로프스크디나모 키예프디나모 트빌리시
1985디나모 키예프스파르타크 모스크바토르페도 모스크바
1986스파르타크 모스크바드네프르 드네프로페트로프스크디나모 키예프
1987드네프르 드네프로페트로프스크스파르타크 모스크바잘기리스 빌뉴스
1988디나모 모스크바디나모 키예프스파르타크 모스크바
1989디나모 민스크스파르타크 모스크바드네프르 드네프로페트로프스크
1990디나모 키예프드네프르 드네프로페트로프스크스파르타크 모스크바
1991드네프르 드네프로페트로프스크디나모 민스크스파르타크 모스크바



초기에는 디나모 모스크바CSKA 모스크바가 강세를 보였으며, 이후 스파르타크 모스크바와 디나모 키예프가 주요 경쟁 구도를 형성했다. 특히 디나모 키예프는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리그를 지배하며 최다 우승팀으로 기록되었다.

소비에트 톱리그는 소련 내 여러 공화국들의 축구 클럽들이 참가하여 경쟁하는 장이었으며, 각 팀들은 자국 리그와 유럽 대항전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참조

[1] 문서 Вища ліга
[2] 웹사이트 Letter to the Secretary-General of the United Nations from the President of the Russian Federation https://web.archive.[...]
[3] 서적 State Succession and Membership in International Organizations https://books.google[...] Martinus Nijhoff Publishers
[4] 서적 Globalizing Sport: National Rivalry and International Community in the 1930s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5] 뉴스 1936. A child of "Spartak" and Komsomol (ГОД 1936. ДЕТИЩЕ "СПАРТАКА" И КОМСОМОЛА) https://web.archive.[...] Sport-Express
[6] 서적 Spartak Moscow: A History of the People's Team in the Workers' State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7] 웹사이트 club history http://www.klisf.inf[...] 2007-12-25
[8] 웹사이트 club history http://www.klisf.inf[...] 2007-12-25
[9] 웹사이트 club history http://www.klisf.inf[...] 2011-09-27
[10] 웹사이트 club history http://www.klisf.inf[...] 2007-12-25
[11] 웹사이트 club history https://web.archive.[...]
[12] 웹사이트 club history http://www.klisf.inf[...] 2007-12-25
[13] 웹사이트 club history http://www.klisf.inf[...] 2007-12-25
[14] 웹사이트 club history http://www.klisf.inf[...] 2011-09-27
[15] 웹사이트 club history http://www.klisf.inf[...] 2007-12-25
[16] 웹사이트 club history http://www.klisf.inf[...] 2007-12-25
[17] 웹사이트 club history http://www.klisf.inf[...] 2007-12-25
[18] 웹사이트 club history https://web.archive.[...]
[19] 웹사이트 club history http://www.klisf.inf[...] 2007-12-25
[20] 웹사이트 club history http://www.klisf.inf[...] 2007-12-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