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목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손목굴은 손목뼈와 굽힘근 지지띠로 형성된 좁은 통로로, 손목의 손바닥 쪽에 위치하며, 손목을 구성하는 뼈와 굽힘근의 힘줄, 정중 신경 등이 지나간다. 손목굴 안을 지나는 구조물들은 손목의 움직임에 따라 모양과 넓이가 변하며, 정중 신경이 압박될 경우 손목굴 증후군을 유발하여 손가락 저림, 통증 등의 증상을 나타낼 수 있다. 손목굴 증후군은 반복적인 손의 사용, 류마티스 관절염 등과 관련되며, 깁스, 코르티코스테로이드 투여 등의 비수술적 치료나 굽힘근 지지띠 절개술과 같은 수술적 치료가 시행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손목굴 | |
---|---|
개요 | |
라틴어 | canalis carpi |
설명 | 손목의 해부학적 구조 |
구조 | |
위치 | 손목 |
통과 구조물 | 정중신경 손목 굽힘근 힘줄 (총 9개) |
임상적 중요성 | |
관련 질병 | 수근관 증후군 |
2. 구조
손목을 구성하는 손목뼈는 손등 쪽에서는 볼록하고 손바닥 쪽에서는 오목한 아치 구조를 형성한다. 손바닥 쪽에 있는 고랑인 손목고랑(sulcus carpi)은 굽힘근지지띠와 윤활집의 거친 결합조직으로 덮여 손목굴을 형성한다. 노쪽 측면에서 굽힘근지지띠는 손배뼈의 결절과 큰마름뼈의 능선에 붙는다. 자쪽 측면에서는 갈고리뼈의 갈고리와 콩알뼈에 붙는다.[10]
손목굴에서 가장 좁은 부분은 손목뼈 먼쪽 줄의 중앙선보다 1cm 정도 위쪽으로, 단면적이 대략 1.6cm2이다.[8]
2. 1. 손목굴을 통과하는 구조물
손목굴을 통과하는 주요 구조물은 다음과 같다. 이 중 대부분은 굽힘근의 힘줄이며, 근육 자체는 지나가지 않는다.[8]
노쪽손목굽힘근의 힘줄은 종종 손목굴을 지나간다고 서술되기도 하지만, 보다 정확히는 손목굴을 덮고 있는 굽힘근지지띠의 섬유 안을 주행한다.
얕은손가락굽힘근과 깊은손가락굽힘근의 힘줄은 함께 온자쪽윤활집(common ulnar sheath)에 싸인 채로 주행하며, 긴엄지굽힘근은 따로 노쪽윤활집(radial sheath)을 통해 지나간다. 이 힘줄들에 의해 공유되는 힘줄간막은 손목굴의 노쪽과 손바닥 쪽 벽에 붙는다.
손목굴과 굽힘근지지띠의 얕은쪽에는 자뼈굴(귀용굴, Guyon's canal)을 통해 통과하는 자동맥과 자신경이 위치한다.
3. 기능
손목굴로는 굽힘근의 힘줄들과 정중신경 등 10개의 구조물이 지나간다. 근육 자체는 지나가지 않는다.[8]
노쪽손목굽힘근의 힘줄은 손목굴을 덮고 있는 굽힘근지지띠의 섬유 안을 주행한다.[2]
3. 1. 손목 움직임의 효과
손목이 움직이면 손목굴의 모양과 넓이가 변할 수 있다. 손목이 정상적인 범위 내에서 움직일 때는 손이 움직일 때마다 손목뼈가 움직이며 손목굴을 이루는 벽(뼈)의 구조가 변하기 때문이다. 손목을 굽히거나 펴는 것 모두 손목굴을 더 많이 눌리게 한다.[7]4. 임상적 중요성
손목굴 증후군은 정중신경이 손목굴 안에서 압박되어 발생하는 질환이다. 정중신경의 경로를 따라 바깥쪽 손가락에 저림, 작열통, 통증을 유발하며, 이 증상이 팔로 방사되는 특징을 보인다.[6] 반복성 스트레스 손상, 류마티스 관절염 등 여러 다른 상태들과 연관되어 있다. 주요 증상으로는 통증, 저림, 엄지손가락 근육 쇠약 등이 있다.
4. 1. 진단
티넬 징후와 팔렌 검사를 통해 손목굴 증후군을 진단할 수 있다.[6]4. 2. 치료
손목굴 증후군은 정중신경이 손목굴 안에서 압박되어 발생하며, 정중신경의 경로를 따라 바깥쪽 손가락에 저림, 작열통, (바늘로 찌르는 듯한) 통증을 유발하고 이 증상들이 팔로 방사되는 특징을 보인다. 반복적인 손 사용, 류마티스 관절염 등 여러 다른 상태들과 연관되어 있다. 티넬 징후와 팔렌 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다.[6] 깁스를 사용하거나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투여하는 등 비수술적 방법으로 치료할 수도 있다. 결정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종종 손목굴 천장을 이루는 굽힘근지지띠를 절개하는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손목굴 증후군의 증상은 목과 어깨 부위 근육의 긴장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5. 추가 이미지
참조
[1]
서적
Surgical anatomy of the hand
https://books.google[...]
Thieme
[2]
서적
Thieme Atlas of Anatomy: General Anatomy and Musculoskeletal System
Thieme
[3]
웹사이트
Carpal Tunnel Syndrome Fact Sheet {{!}} National Institute of Neurological Disorders and Stroke
https://www.ninds.ni[...]
2021-05-27
[4]
서적
Thieme Atlas of Anatomy: General Anatomy and Musculoskeletal System
Thieme
[5]
문서
橈側手根屈筋腱を手根管の中を通るとみなすかどうかについては議論がある
[6]
웹사이트
"手根管症候群"
http://www.joa.or.jp[...]
日本整形医学会公式webページ
2009-08-18
[7]
서적
Surgical anatomy of the hand
https://books.google[...]
Thieme
[8]
서적
Thieme Atlas of Anatomy: General Anatomy and Musculoskeletal System
https://archive.org/[...]
Thieme
[9]
웹인용
Carpal Tunnel Syndrome Fact Sheet
https://www.ninds.ni[...]
2021-05-27
[10]
서적
Thieme Atlas of Anatomy: General Anatomy and Musculoskeletal System
https://archive.org/[...]
Thiem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