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우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순우곤은 《사기》, 《맹자》 등 여러 고서에 등장하는 인물로, 제나라의 평민 출신으로 위왕의 측근이 된 인물이다. 그는 기발한 언변과 뛰어난 외교술로 위기를 극복하고, 인재를 발굴하는 데 능했다. 특히, '일명경인', '견토지쟁' 등과 같은 일화를 통해 그의 지혜와 재치를 보여주었다. 또한 맹자와의 대담을 통해 그의 사상을 엿볼 수 있으며, 직하학사 창립에 기여하여 제나라의 번영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춘추 전국 시대의 군인 - 항량
항량은 초나라 명장 항연의 아들로, 진나라 말기 진승·오광의 난 때 거병하여 조카 항우와 함께 반진 세력을 이끌었으나 정도 전투에서 장한에게 패해 전사했고, 그의 죽음은 항우의 복수와 초한쟁패의 배경이 되었다. - 춘추 전국 시대의 군인 - 맹상군
맹상군은 전국시대 제나라의 공족이자 정치가로, 설 땅을 다스리며 많은 식객을 거느려 명성을 떨쳤고, 제나라 재상을 지냈으나 민왕과의 불화로 위나라로 망명하기도 했다. - 제나라 사람 - 관중 (춘추)
관중은 춘추 시대 제나라의 재상으로, 정치, 경제 개혁을 통해 제 환공을 패자로 만들었으며, 법가 사상을 바탕으로 제나라를 부강하게 만들고 후대에도 영향을 미쳤다. - 제나라 사람 - 손빈
손빈은 중국 전국 시대 제나라의 군사 전략가로, 손무의 후손이며, 방연의 모함으로 다리가 잘리는 형벌을 받았으나 제나라로 망명하여 계릉 전투와 마릉 전투에서 뛰어난 지략을 발휘, 위나라 군대를 격파하는 데 기여했고 그의 군사 사상은 《손빈병법》에 담겨 중국 병법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순우곤 | |
---|---|
기본 정보 | |
이름 | 淳于髡 (춘우곤) |
출생 | 불명 |
사망 | 불명 |
출신지 | 제 (산둥 성) |
직업 | 직하의 학사 |
인물 정보 | |
성 | 淳于 (춘우) |
이름 | 髡 (곤) |
기타 정보 | |
관련 인물/사건 | 안자춘추, 사기·골계열전 |
2. 사료
『사기』(특히 활계열전) 외에도 『맹자』[10], 『여씨춘추』, 『전국책』, 『설원』 등에 등장한다.
순우곤은 원래 제나라의 췌서(사위)[11]였으나, 말재주가 뛰어나 제후들에게 사신으로 다니면서 굴욕을 당하지 않았다.[12] 노예 신분에서 벗어난 후 위왕의 측근이 되었다.
3. 생애
위왕은 즉위 후 수수께끼와 음주가무를 즐기며 정사를 돌보지 않았다. 이로 인해 백관은 혼란스럽고 제후들은 침략하여 나라가 멸망 직전에 놓였다. 순우곤은 위왕에게 "3년 동안 날지도 울지도 않는 큰 새"를 비유하는 수수께끼를 내어 위왕을 각성시켰다. 위왕은 순우곤의 뜻을 알아채고 정사에 힘써, 72명의 현령과 현장 중 업적이 있는 자에게 상을 주고 없는 자를 벌했다. 또한 군사를 정비하여 출격하자, 제후들은 침략했던 땅을 돌려주었다.
위왕 8년(기원전 371년), 초나라가 제나라를 침공하자, 순우곤은 조나라에 사신으로 파견되었다. 위왕이 적은 예물을 주려 하자, 순우곤은 이를 비유를 통해 지적하여 더 많은 예물을 받아내고 조나라의 지원군을 얻어내는 데 성공했다. 이 소식을 들은 초나라는 철수하였다.
3. 1. 신분과 외모
순우곤은 원래 제나라의 가난한 평민 집안 출신이었다. 순우곤은 형제가 많았지만, 그중 가장 못생겨서 노예로 팔렸고, 부모는 남은 형제들을 부양할 수 있었다.[1]
순우곤은 키가 5척(약 115cm)에 못 미쳤고, 용모는 한 번 보면 잊을 수 없을 정도로 흉측했으며, 콧구멍은 하늘을 향해 뚫려 있었고, 양쪽 눈의 크기도 각각 달랐다. 체력도 별로 없었기 때문에 농업이나 제조업보다는 집안의 잡역에 종사하게 되었다.[1] 그러나 순우곤은 어릴 때부터 노예 신분이었기 때문에 상대의 비위를 거스르지 않도록 행동하기 위한 독심술의 명수가 되었다.[1]
순우곤은 노예를 늘리기 위한 생산 수단으로 노예주에 의해 결혼하게 되었는데, 그 상대 여성도 노예였다. 그 여성은 자신을 아름답다고 생각했기에 순우곤의 흉측한 모습에 놀랐다(노예의 결혼은 당사자에게 아무런 발언권이 없었다).[1] 그러자 순우곤은 아내의 속마음을 간파하고 "이것은 주인의 명령이다. 나를 나쁘게 생각하지 말아 달라"라고 말했고, 아내는 다시 한번 놀랐다.[1] 이어서 아내가 아이의 외모를 걱정하자 "네가 예쁘니 못생긴 아이는 태어나지 않을 것이다"라고 말하니, 아내는 기분이 나빠져서 그 이유를 묻자, "네 얼굴에 써있기 때문이다"라고 대답했고, 이어서 그녀가 순우곤의 작은 키를 한탄하는 것까지 맞혔다.[1]
아내는 노예주를 상대하기보다는 장군이나 고관을 상대하도록 권했고, 그렇게 해보니 곧바로 노예 신분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1]
3. 2. 위왕과의 만남
위왕은 수수께끼와 음주가무를 즐기고 정사를 경대부에게 맡겼다. 관리들은 문란해졌고 외적의 침입으로 나라가 위태로웠으나 아무도 간하지 못했다. 이때 순우곤이 수수께끼를 냈다.[12]
"나라 안에 큰 새가 있는데, 왕의 정원에 있으면서 3년 동안 날지도 울지도 않습니다. 이 새는 무엇이겠습니까?"
왕이 대답했다.
"그 새는 날지 않을 뿐이지, 한 번 날면 하늘 끝까지 솟아오를 것이오. 울지 않을 뿐이지, 한 번 울면 사람들을 놀라게 할 것이오!"
그러고는 즉시 현령과 현장 72명을 불러 한 명에게는 상을 주고 한 명은 처형했다. 그리고 군사를 일으켜 출정하니 제후들은 놀라 침탈했던 땅을 돌려주었다.[12]
3. 3. 일명경인 (一鳴驚人)
순우곤은 수수께끼를 내었다.
"나라에 커다란 새가 있는데, 왕의 정원에 있으면서 3년 동안 날지도 울지도 않습니다. 이 새가 뭔지 아십니까?"
위왕이 대답했다.
"그 새가 날지 않을 뿐이지, 한 번 날아오르면 하늘을 뚫을 것이요, 그 새가 울지 않을 뿐이지, 울면 사람들을 놀래리라!"
그러더니 즉시 현령과 현장 72명을 불러들여 한 명은 상을 주고 한 명은 주살하고, 병사들을 일으켜 출진하니 제후들은 놀라 침탈한 땅을 돌려주었다.[12]
3. 4. 외교적 활약
순우곤은 뛰어난 언변과 지혜로 외교 무대에서 활약했다. 특히 제나라와 주변국 간의 갈등 상황에서 그의 역할이 돋보였다.
제나라의 왕(위왕?)이 위나라를 정벌하려 할 때, 위나라는 순우곤에게 벽옥 두 쌍과 좋은 말 여덟 필을 선물하며 제나라의 공격을 막아달라고 부탁했다. 순우곤은 이를 수락하고 제나라 왕을 설득하여, 동맹국인 위나라를 공격하는 것은 악명을 얻고 원수인 초나라에게 틈을 보이는 위험한 일이라고 주장했다. 왕은 그의 말을 옳게 여겨 위나라 공격을 중지했다.
이후 제나라의 빈객이 순우곤이 위나라로부터 뇌물을 받았다고 왕에게 고했다. 왕이 사실 여부를 묻자 순우곤은 뇌물 받은 사실을 인정했다. 그러나 그는 위나라를 치는 것이 제나라에 불리하며, 자신이 뇌물을 받은 것은 오히려 제나라에 이익이 된다고 변론했다. 왕은 그의 말에 설득되어 그를 책망하지 않았다.
3. 4. 1. 견토지쟁 (犬兎之爭)
제나라가 위나라를 치려 하자, 순우곤은 제나라 왕에게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천하에 제일 빠른 개인 한자로(韓子盧)와 해내에서 제일 교활한 토끼인 동곽준(東郭逡)이 있습니다. 한자로가 동곽준을 쫓아 산을 세 번 돌고 산을 다섯 번 넘으니, 토끼는 먼저 기운이 다하고, 뒤이어 개도 자빠졌습니다. 이렇게 개와 토끼가 함께 죽으니, 농부가 수고하지 않고 다 얻었습니다. 지금 제나라와 위나라가 대치한 지 오래라 병사들이 많이 피폐하니, 신은 저 강한 진나라나 큰 초나라가 저 농부와 같은 공을 세울까 두렵습니다.”
제나라 왕은 이 말을 듣고 전쟁을 그쳤다.[13]
한로(韓盧)라는 개와 동곽준(東郭㕙)이라는 토끼가 나오는 비슷한 우화를 송옥(宋玉)이 초 양왕에게 말하는 이야기가 《신서》에 실려 있다.[14]
3. 4. 2. 초나라의 침공 격퇴
위왕 8년(기원전 371년) 초 숙왕이 대군을 이끌고 제를 공격하자, 위왕은 순우곤을 조에 사신으로 파견했다.[1] 위왕은 순우곤에게 백 근의 황금과 네 마리 말이 끄는 수레 10대를 지참하게 했으나, 순우곤은 이를 비웃듯 크게 웃어 관 끈이 끊어졌다.[1]
위왕이 그 이유를 묻자, 순우곤은 길가에서 돼지 족발 하나와 술 한 그릇으로 큰 풍년을 기원하는 사람의 이야기를 예로 들며, 왕이 제시한 적은 예물로는 큰 도움을 얻기 어렵다고 답했다.[1]
이에 위왕은 황금 천 억, 흰 옥 열 쌍, 네 마리 말이 끄는 수레와 말 100대로 예물을 늘렸다.[1] 순우곤은 조나라 성후에게서 정예병 10만 명과 전차 1천 대를 지원받았고, 이 소식을 들은 초나라 숙왕은 즉시 철수했다.[1]
3. 5. 맹자와의 대담
맹자와 여러 번 문답을 주고받은 것이 《맹자》에 기록되어 있다.
순우곤이 물었다. “남녀가 서로 손을 주고받지 않는 것이 예입니까?”
맹자가 답했다. “그렇습니다.”
순우곤이 "형수가 물에 빠지면 손으로 건져내야 합니까?”라고 묻자, 맹자는 “형수가 물에 빠졌는데 안 건지는 건 이리나 승냥이 따위나 하는 짓입니다. 남녀가 손수 주고받지 않는 것은 예이고, 형수를 손으로 건져내는 것은 권도이지요.”라고 답했다.
순우곤이 다시 “천하가 물에 빠졌는데 왜 안 건져내십니까?”라고 묻자, 맹자는 “천하가 물에 빠지면 도(道)로 건져내고, 형수가 물에 빠지면 손으로 건져내는 것이지요. 선생께선 손으로 천하를 건져내십니까?”라고 답했다.[15]
3. 6. 직하학사(稷下學士) 창립에 기여
순우곤은 제 위왕을 패자로 만들기 위해 인재를 적극적으로 등용할 것을 권했다고 전해진다. 이에 따라 직하의 학사가 등장하게 되었다. 직하의 학사는 제나라에 높은 봉급을 받고 고용된 학자들로, 유가, 법가, 도가, 묵가 등 다양한 사람들이 모여들었다. 그들은 대저택에 거주하며 매일 모여 여러 가지를 논의했다. 그러나 그들은 기본적으로 제나라의 요직에 오르지 않았으며, 정부는 그들의 토론에서 나온 논리 중 유용하다고 판단되는 것을 정치에 활용했다.[1]
사기의 기록에 따르면, 제 선왕은 문학 유세의 선비를 좋아하여 추연, 순우곤, 전변, 접여, 신도, 환연 등 76명에게 모두 열째 동생의 예로 대하고 상대부의 직위를 주었다. 그들은 정치를 담당하지 않고 논쟁만 벌였다. 이 때문에 제나라의 직하의 학사는 다시 성행하여, 그 수가 거의 수백 명에 달했다.[1]
이 기록은 전국책에도 있는데, 이는 사기가 주로 전국책을 바탕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으로 보인다. 전국책의 경우, 처음의 '선(宣)' 자가 없다.[1]
4. 일화
순우곤은 원래 제나라의 췌서[11]였는데, 말재주가 뛰어나고 골계에 능하여 제후들에게 사신으로 다니면서도 굴욕을 당하지 않았다.[12] 제위왕은 순우곤의 재능을 높이 평가하여 그를 제후 접대역으로 임명했고, 제나라의 술자리에는 항상 순우곤을 곁에 두었다.
4. 1. 술에 대한 비유
제위왕이 "선생은 어느 정도나 되셔야 취하십니까?"라고 묻자, 순우곤은 "저는 한 되로 취하고, 한 말로도 취합니다"라고 대답했다. 이상하게 여긴 제위왕은 그 이유를 물었고, 순우곤은 상황에 따라 자신이 취하는 정도가 달라진다고 설명했다.[1]상황 | 취하는 정도 |
---|---|
왕 앞에서 술을 마실 때 | 한 되 |
부모님 댁에 훌륭한 손님이 오셨을 때 | 두 되를 넘지 못함 |
오랫동안 못 본 친구와 술을 마실 때 | 다섯, 여섯 되 |
마을 잔치에서 남녀가 섞여 자유로운 분위기일 때 | 여덟 되 정도 (두세 번 정도 취함) |
해 질 무렵 술자리가 끝나갈 때쯤, 남녀가 섞여 앉고 방의 등불이 꺼지고 짙은 향기가 나는 상황 | 한 되 |
순우곤은 이를 통해 "술을 극도로 즐기면 어지러움이 있고, 즐겁게 극에 달하면 슬픔이 있다"라는 말과 "극에 달한다는 것은 좋지 않고, 동시에 극에 달한다는 것은 쇠퇴한다는 말이 있습니다"라고 덧붙이며 제위왕에게 간언했다.[1]
4. 2. 인재 추천
순우곤은 인재를 추천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하여 전국책에 다음과 같은 기술이 있다.[1] 순우곤이 하루에 일곱 명이나 되는 인물을 선왕에게 알현시키자, 불쾌하게 여긴 선왕은 순우곤에게 이렇게 말했다."선생, 이리 더 가까이 오십시오. 그리고 제 말을 들으십시오. 제가 듣기로는, '선비'라고 불리는 훌륭한 인물은 천 리 사방을 뒤져도 겨우 한 명 있을 정도인데,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로 너무 많고, '성인'이라는 완벽한 인물은 백 대에 겨우 한 명 있을 정도인데, 발꿈치를 맞댈 정도로 너무 많다고 합니다. 지금, 선생께서는 하루에 일곱 명이나 되는 인재를 알현시키고 있는데, 인재가 그렇게나 많은 겁니까?"[1]
그러자 순우곤은 이렇게 대답했다.
"아닙니다, 그렇지 않습니다. 새는 날개 모양이 같은 것끼리 모여 떼를 이루고, 짐승은 발 모양이 같은 것끼리 모여 행동합니다. 만약, 시호나 길경과 같은 산의 약초를 습원에서 구한다면, 여러 대를 걸쳐 찾아도 단 한 뿌리도 얻지 못하겠지만, 양부나 산 북쪽을 찾아본다면 많은 수레에 실을 정도로 많이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이처럼, 물건에는 각각 종류가 있습니다. 그 중, 저는 현자의 종류입니다. 왕께서 인재를 제게 구하신다면, 그것은 물을 황하에서 길어오고, 불을 부싯돌에서 얻는 것과 같습니다. 저는 앞으로도 인재를 많이 추천할 것입니다. 어찌 일곱 명에만 한정하겠습니까?"[1]
이에 선왕은 아무 말도 하지 못했다.[1]
참조
[1]
서적
Selections From ''Records of the Historian''
Foreign Languages Press
[2]
서적
The Confucian Quest for Order: The Origin and Formation of the Political Thought of Xun Zi
https://books.google[...]
Brill Leiden
[3]
서적
The Works of Mencius
http://nothingistic.[...]
Clarendon Press
[4]
서적
Chan-kuo Ts'e
Center for Chinese Studies, University of Michigan
[5]
서적
Chan-kuo Ts'e
Center for Chinese Studies, University of Michigan
[6]
서적
The Annals of Lü Buwei
Stanford University Press
[7]
서적
A Chinese Biographical Dictionary
https://archive.org/[...]
Bernard Quaritch
[8]
서적
Selections From ''Records of the Historian''
Foreign Languages Press
[9]
Kotobank
[10]
서적
滑稽 古代中国の異人(ストレンジャー)たち
岩波書店
[11]
문서
데릴사위제|데릴사위
[12]
서적
사기 (역사서)|사기
[13]
서적
전국책
[14]
서적
신서
[15]
서적
맹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