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이코 천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이코 천황은 긴메이 천황의 딸로, 일본 역사상 최초의 여성 천황이다. 593년 스슌 천황 암살 이후 즉위하여 35년간 통치했으며, 쇼토쿠 태자를 섭정으로 임명하여 섭정, 소가노 우마코와 함께 정치를 이끌었다. 재위 기간 동안 불교 장려, 관위 12계 제도, 십칠조 헌법 제정, 견수사 파견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여 아스카 시대의 기틀을 마련했다. 628년 사망했으며, 조메이 천황이 뒤를 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554년 출생 - 진백종
    진백종은 중국 남북조 시대 진나라의 제3대 황제로, 문제 진천의 장남으로 13세에 즉위했으나 숙부 진욱에게 실권을 빼앗기고 폐위되어 임해왕으로 강등된 후 의문스러운 죽음을 맞이했다.
  • 비다쓰 천황 - 오시사카노히코히토노오에노미코
    민다쓰 천황의 황자이자 스메이 천황의 아버지인 오시사카노히코히토노오에노미코는 소가씨 영향력에서 벗어나 독립적인 세력을 구축했으며, 요메이 천황 사후 왕위 계승 후보로 거론되기도 했다.
  • 6세기 여자 통치자 - 영태후
    영태후 호선진은 북위 선무제의 후궁으로 효명제를 낳아 섭정을 시작, 불교 장려 등 문화적 업적을 남겼으나 권력 남용과 부패로 북위 쇠퇴를 가속화했고 효명제 독살 후 원조를 옹립했다가 이주영에 의해 폐위되어 황하에 익사했다.
  • 6세기 여자 통치자 - 아말라순타
    아말라순타는 5세기 동고트 왕국의 여왕으로, 아들 아탈라리크의 섭정으로 통치하며 로마 문화를 도입하려 했으나 고트족 귀족의 반발과 사촌 테오다하드의 배신으로 살해당했다.
스이코 천황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도사 미쓰요시의 스이코 천황 그림, 1726년
도사 미쓰요시의 스이코 천황 그림 (1726), 에이후쿠지 소장
누카타베
별칭도요미케카시키야히메노미코토
도요미케카시키야히메노미코토
다키야히메노미코토
오하리다노오미야하루노시타시로시메스테루오키미스메라미코토 (호류지 금당 약사여래상 광배명)
출생554년 1월 3일
사망628년 4월 15일
능묘시나가노야마다노미사사기 (磯長山田陵)
통치
재위 기간 (양력)593년 1월 15일 – 628년 4월 15일
재위 기간 (음력)592년 12월 8일 – 628년 3월 7일
시대아스카 시대
섭정쇼토쿠 태자 (593–621)
소가노 우마코
소가노 에미시
황거도요우라노미야
오하리다노미야
신분
직위야마토 대왕
일본 천황
일본 황후
황후 재위 기간576년 – 585년
가족 관계
아버지긴메이 천황
어머니소가노 기타시히메
배우자비다쓰 천황
자녀우지노시쓰카이 황녀
다케다 황자
오하리다 황녀
우모리 황녀
오하리 황자
다메 황녀
사쿠라이노유미하리 황녀
기타 정보
존호스이코 천황 (推古天皇)
시호 (화풍)도요미케카시키야히메노스메라미코토 (豊御食炊屋姫天皇)
계승선대: 스슌 천황
후대: 조메이 천황

2. 약력

스이코 천황은 이복오빠인 비다쓰 천황과 결혼하여 딸 셋과 아들 둘을 낳았다. 비다쓰 천황의 첫 부인이 죽은 후 황후가 되었고 오키사키의 칭호가 주어졌다.

비다쓰 천황이 붕어(585년)한 후, 스이코의 오빠 요메이 천황이 집권하여 2년간 다스렸으나 병사하였다. 요메이 천황의 승하 후에 소가씨모노노베씨 간의 권력 다툼이 발생하였는데, 소가씨는 스슌 천황을 지지하였고 모노노베 씨는 아나호베 황자를 지지하였다. 소가 씨가 득세하여 587년 스슌 천황이 즉위하였다. 그러나 스슌 천황소가노 우마코의 전횡에 불만을 느끼자 우마코는 심복을 시켜 스슌 천황을 암살(592년)하기까지 하였다.

아스카 시대의 스이코 천황 그림


593년 스슌 천황이 재위 2년 만에 승하한 직후, 최초의 여성 천황으로 즉위하였으며, 즉위 다음해 쇼토쿠 태자를 섭정으로 임명하였다.[81] 비록 치세 중의 실권은 쇼토쿠 태자소가노 우마코에게 있었지만, 스이코 천황 역시 무력한 것과는 거리가 멀었다. 스이코 천황의 치세에는 관위 12계급의 설정, 십칠조헌법 제정, 국사 편찬, 호류지 건립 등 문화사상 아스카 시대라 불리는 한 시대를 구축했다.[82]

스이코 천황 당시의 칭호는 '천황(天皇)'이 아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대부분의 역사가들은 '천황'이라는 칭호는 덴무 천황지토 천황의 재위 시대에 도입되었을 것으로 믿고 있다. 오히려 당시 칭호는 '스메라미코토(スメラミコト)' 또는 '아메노시타 시로시메스 오키미(治天下大王)' 즉 "천하를 다스리는 위대한 여왕"이었을 것이다. 또는 스이코 천황은 '야마토 오키미(ヤマト大王/大君)' 혹은 "야마토의 여왕"으로 불렸을 가능성도 있다.

599년, 지진으로 현재 나라현에 해당하는 야마토국(大和国) 전역의 건물이 파괴되었다.[9]

624년, 스이코 천황이 소가노 우마코의 가즈라키노 아가타(葛木縣)라는 황실 영토 하사 요청을 거부한 것은 그의 영향력으로부터 독립적이었음을 보여주는 증거로 제시된다.

일본에서 육십갑자(六十甲子) 달력(干支)의 채택은 604년 수이코 천황에게 기인한다.[10]

2. 1. 출생과 가계

긴메이 천황과 소가노 이나메(蘇我稲目)의 딸 소가노 키타시히메(蘇我堅塩媛) 사이에서 額田部皇女|누카타베 황녀일본어라는 이름으로 태어났으며, 5명의 친자매와 7명의 친형제가 있었는데, 그 중 장남은 요메이 천황이 되었다.[14] 휘는 額田部|누카타베일본어이다.[23][24] 화풍 시호는 豊御食炊屋姫尊|토요미케카시키야히메노 미코토일본어이다.

이복 오빠이자 훗날 비다쓰 천황이 되는 渟中倉太珠敷|누나쿠라후토타마시키일본어 친왕과 결혼하여[15] 2남 5녀를 두었다.[28]

  • 남편: 渟中倉太珠敷|누나쿠라노후토타마시키노스메라미코토일본어 친왕, 후일 비다쓰 천황[16]
  • * 장녀: 菟道貝蛸皇女|우지노시츠카히/우지노카히타코일본어 (570년 출생), 쇼토쿠 태자와 결혼
  • * 장남: 竹田皇子|타케다 친왕일본어[17]
  • * 차녀: 小墾田皇女|오하리다 공주일본어 (572년 출생), 오시사코노히코히토노오에 친왕과 결혼
  • * 삼녀: 鸕鶿守皇女|우모리/카루노모리 공주일본어
  • * 차남: 葛城王|가쓰라기 왕일본어
  • * 삼남: 尾張皇子|오와리 친왕일본어, 橘大郎女|타치바나노오이라쓰메일본어 (쇼토쿠 태자의 후궁)의 아버지 (葛城王|가쓰라기 왕일본어과 尾張皇子|오와리 친왕일본어은 동일인물일 가능성이 있다[18])
  • * 사녀: 田眼皇女|타메 공주일본어, 조메이 천황과 결혼
  • * 오녀: 桜井弓張皇女|사쿠라이유미하리 공주일본어, 오시사코노히코히토노오에 친왕과 결혼 후, 구메 친왕 (요메이 천황의 아들)과 재혼


비다쓰 천황의 첫 부인이 죽은 후 황후가 되었고 大后|오키사키일본어 칭호가 주어졌다.[27]

2. 2. 즉위 과정

비다쓰 천황이 585년에 붕어한 후, 요메이 천황이 즉위하여 2년간 다스렸으나 병으로 사망하였다. 요메이 천황 사후, 소가씨모노노베씨 간의 권력 다툼이 발생하였는데, 소가씨는 스슌 천황을, 모노노베 씨는 아나호베 황자를 지지하였다. 소가 씨가 승리하여 587년에 스슌 천황이 즉위하였다. 그러나 스슌 천황이 소가노 우마코의 권력에 불만을 품자, 우마코는 592년에 부하를 시켜 스슌 천황을 암살하였다.[80]

스슌 천황 암살 이후, 권력 공백을 메우기 위해 비다쓰 천황의 황후였던 도요미케카시키야히메노미코토(豊御食炊屋姫尊)가 추대되었다. 그녀의 어머니 소가노 키타시히메(蘇我堅塩媛)가 소가노 우마코의 이복 여동생이었기 때문에, 소가 가문의 권력을 유지하고 귀족 간의 갈등을 완화하기 위한 선택이었다.[79] 593년, 그녀는 일본 역사상 최초의 여성 천황으로 즉위하였다.[81]

즉위 당시 칭호는 '천황(天皇)'이 아닌 '아메노시타 시로시메스 오키미(治天下大王)'(천하를 다스리는 위대한 여왕) 또는 '야마토 오키미(ヤマト大王/大君)'(야마토의 여왕)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2. 3. 쇼토쿠 태자와의 협력

593년 스슌 천황이 재위 2년 만에 승하한 직후, 권력 공백을 메우기 위해 최초의 여성 천황으로 즉위하였다. 즉위 다음 해, 조카인 쇼토쿠 태자를 섭정으로 임명하여 국정을 맡겼다.[81] 『일본서기』에 따르면, 즉위 원년인 593년 5월 15일(음력 4월 10일)에 조카인 마구토노 오지(쇼토쿠 태자)를 황태자로 삼아 국정을 위임했다고 한다.[44]

이듬해 쇼토쿠 태자가 섭정으로 임명되었다. 스이코 천황 재위 기간 동안의 정치 권력은 쇼토쿠 태자소가노 우마코가 행사한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스이코 천황이 무력했던 것은 아니다. 그녀가 살아남고 그녀의 통치가 지속되었다는 사실만으로도 그녀가 상당한 정치적 수완을 가지고 있었음을 시사한다.

『일본서기』에 따르면 즉위한 스이코 천황은 태자로 삼은 마구토노 오지에게 국정을 위임했다고 한다.[44] 이러한 고대의 기록과 그 후의 쇼토쿠 태자 신앙의 영향도 있어, 전통적으로 스이코 천황 시대의 정책은 "쇼토쿠 태자"가 주도했다고 생각되어 왔지만, 현재는 전설적인 쇼토쿠 태자상의 해체와 함께, 이러한 견해에 대한 재검토가 진행되고 있으며, 스이코 천황 자신의 주체성과 소가노 우마코의 존재 등이 재평가되고 있다.[50][51][52] 실제로는 이 시기에는 스이코 천황, 소가노 우마코, 마구토노 오지(쇼토쿠 태자) 3명이 정권의 중추를 구성했다고 생각된다.[53]

3. 주요 정책 및 업적

593년 스슌 천황이 암살된 후, 최초의 여성 천황으로 즉위하여 쇼토쿠 태자를 섭정으로 임명하였다.[81] 스이코 천황은 소가노 우마코와 쇼토쿠 태자에게 실권을 맡겼지만, 정치적 수완도 가지고 있었다.

599년에는 야마토국(大和国) 전역에 지진 피해가 발생했다.[9]

624년, 소가노 우마코의 황실 영토 하사 요청을 거부하여 그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독립적인 모습을 보였다.

아스카 시대를 연 스이코 천황은 관위 12계와 십칠조헌법 제정, 국사 편찬, 호류지 건립 등 많은 업적을 남겼다.[82] 수나라와 국교를 맺고(600년), 육십갑자 달력을 채택했다(604년).

3. 1. 불교 장려

594년, 三宝興隆|삼보흥륭일본어 조칙을 발표하여 불교를 국가적으로 장려했다.[44] 삼보는 부처, 법, 승을 의미하며, 국가 방침으로 불교를 수용함을 선언하는 것이었다.[53] 이는 불교를 통해 국가 통합과 왕권 강화를 꾀하려는 목적도 있었다.[53] 각 씨족은 대왕을 위해 불교 사찰 건립을 지원해야 했는데, 이는 왕권에 대한 충성의 증명이기도 했다.[53]

소가 가문은 불교 진흥에 앞장섰는데, 소가노 우마코는 588년에 법흥사(아스카데라) 건립을 시작하여 596년에 가람을 완성하고, 606년 또는 609년에 석가여래상을 안치했다.[53]

3. 2. 중앙집권 체제 강화

推古天皇일본어쇼토쿠 태자, 소가노 우마코와 협력하여 중앙집권 체제를 강화하기 위한 여러 정책을 펼쳤다.

603년에는 관위 12계(冠位十二階) 제도를 제정하여 가문이 아닌 능력에 따라 관직을 부여함으로써 중앙집권적 관료 체제를 확립하고자 했다.[82] 604년에는 십칠조헌법을 제정하여 유교적 정치 이념을 바탕으로 관리들의 윤리와 국가 운영 원칙을 제시했다.[82] 같은 해, 일본에서 육십갑자 달력이 채택된 것도 스이코 천황의 업적으로 여겨진다.[10]

620년에는 쇼토쿠 태자소가노 우마코가 함께 『천황기』, 『국기』, 『신련반조국조백팔십부병공민등본기(臣連伴造国造百八十部并公民等本記)』를 편찬하여 헌상했다.[44] 이 역사서들은 왕권의 정통성을 확립하고 국가 의식을 고취하기 위한 목적으로 편찬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67][68]

3. 3. 외교 관계

589년 수(隋)가 중국을 통일하고 남북조 시대가 끝나자 백제신라가 잇달아 수에 사신을 보냈다. 이러한 국제 정세를 받아들여 600년에는 왜국(일본)에서도 수에 사신(견수사[55])을 보냈다. 이는 왜국과 중화 왕조의 교류로서는 약 120년 만의 일이었다. 이 견수사는 왜국의 풍속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이것은 너무나도 이치에 맞지 않다"는 이유로 양제(煬帝)에게 훈계를 받았고, 또한 복식의 미비 등으로 인해 실패로 끝났다. 이때의 사신 파견은 『수서(隋書)』에만 기록되어 있으며 『일본서기(日本書紀)』에는 남아있지 않다. 일반적으로 실패로 끝났다는 것이 『일본서기』에 기록되지 않은 이유로 생각되고 있다[56][57][58]

이 실패는 왜국에 큰 문화 충격을 주었다고 여겨지며, 아마도 견수사의 귀국 직후부터 여러 가지 개혁이 이루어졌다. 603년에는 관위십이계(冠位十二階) 제정, 604년에는 궁문 출입시의 예제와 헌법 십칠조 제정, 605년에는 복식 정리가 이루어졌다[57][61] 이에 따라 외교 의례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졌고, 또한 상대국의 외교 담당자가 자국의 관품 제도와 호환 가능한 관위 제도가 정비되었다[63].

607년(추고 15년), 일련의 개혁을 거친 후 제정된 관위십이계에서 5위에 해당하는 대례(大禮) 지위를 가진 오노 이모코(小野妹子)를 수에 파견했다. 608년 4월에는 귀국한 오노이모코 등과 함께 수에서 파견된 답례 사신 배세청(裴世清)이 왜국을 방문하여 일련의 외교 의례가 실천되어 소간다궁(小墾田宮)에서 수의 국서가 봉정되었다[65]. 같은 해 9월에 다시 오노이모코가 견수사로 파견되었고, 와칸직후쿠인 등 유학생 4명과 신한인일문 등 승려 4명이 수행했다[66]. 이들 수행한 유학생들은 모두 귀화계 씨족 출신으로, 불법을 닦는 것이 그들을 파견한 주된 이유였다[66].

견수사는 이후에도 간헐적으로 파견되었지만, 618년에 수가 멸망했기 때문에 614년 이누카미 미타쿠와(犬上御田鍬) 등의 파견이 마지막이 되었다. 수를 대신한 당(唐)으로의 사신 파견(견당사)은 스이코 천황의 붕어 후 얼마의 시간이 지난 후에 실시된다.

4. 후계 문제와 죽음

스이코 천황은 후계자를 명확하게 지명하지 않고 사망했다. 당시 황위 계승은 천황이 아닌 씨족 지도자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가 많았는데, 스이코 천황은 임종 시 두 명의 후보에게 계승을 모호하게 남겼다.[11] 한 명은 비다쓰 천황(敏達天皇)의 손자인 다무라 황자(田村皇子, 훗날의 조메이 천황(舒明天皇))로, 소가노 에미시(蘇我蝦夷)를 포함한 소가 씨(蘇我氏) 주류의 지지를 받았다. 다른 한 명은 쇼토쿠 태자(聖徳太子)의 아들인 야마시로 황자(山背皇子)였는데, 소가 씨의 일부 하급 구성원들의 지지를 받았다. 야마시로 황자의 주요 지지자 중 한 명이 살해되는 등 소가 씨 내부의 짧은 권력 투쟁 끝에, 다무라 황자가 황위 계승자로 선택되어 629년에 조메이 천황으로 즉위했다.[11]

수이코 천황은 35년간 재위했다. 이후에도 7명의 여왕이 있었지만, 그들의 후계자는 대부분 부계 황족 남성 중에서 선택되었기 때문에 일부 보수적인 학자들은 여성의 통치가 일시적이었으며 남성 계승 전통을 21세기에도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11] 겐메이 천황(元明天皇)이 자신의 딸인 겐쇼 천황(元正天皇)에게 황위를 계승한 것은 이러한 관습적인 주장에 대한 유일한 예외이다.

수이코 천황의 능(墓)의 실제 위치는 알려져 있으며,[1] 오사카에 있는 기념 신토 신사(陵)에서 전통적으로 숭배된다. 궁내청(宮內庁)은 이곳을 수이코 천황의 능으로 지정하고 있으며, 공식 명칭은 시나가노 야마다노 미사사기(新家山田陵)이다.[12]

수이코 천황을 기리는 기념 신사와 능

5. 가계

豊御食炊屋姫尊|도요미케카시키야히메일본어긴메이 천황소가노 기타시히메(蘇我堅塩媛) 사이에서 태어났다.[21][22] 비다쓰 천황은 이복 오빠이자 남편이며, 요메이 천황은 친오빠, 스슌 천황은 이복 남동생, 소가노 우마코(蘇我馬子)는 외삼촌이다.[21]

스이코 천황 가계도[16][17][18][28]
관계이름비고
아버지긴메이 천황
어머니소가노 기타시히메(蘇我堅塩媛)
남편비다쓰 천황이복 오빠
1황녀菟道貝蛸皇女|우지노시쓰카히/우지노카히타코일본어쇼토쿠 태자와 결혼
1황자竹田皇子|타케다일본어
2황녀小墾田皇女|와하리다일본어오시사코노히코히토노오에 친왕과 결혼
3황녀鸕鶿守皇女|우모리/카루노모리일본어
2황자葛城王|와하리일본어
3황자尾張皇子|오와리일본어橘大郎女|타치바나노오이라쓰메일본어 (쇼토쿠 태자의 후궁)의 아버지 (와하리와 동일인물일 가능성 있음)
4황녀田眼皇女|타메일본어조메이 천황과 결혼
5황녀桜井弓張皇女|사쿠라위노유미하리일본어오시사코노히코히토노오에 친왕과 결혼 후, 구메 친왕(요메이 천황의 아들)과 재혼


6. 평가

스이코 천황은 일본 역사상 최초의 여성 천황으로, 남성 중심의 정치 구조에서 뛰어난 정치적 역량을 발휘하여 국가의 기틀을 다졌다는 평가를 받는다. 쇼토쿠 태자소가노 우마코에게 실권이 있었다고 알려져 있지만, 스이코 천황 역시 상당한 정치적 수완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이 중론이다.[82] 624년 소가노 우마코의 영토 하사 요청을 거부한 것은 스이코 천황이 소가 씨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판단을 내렸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9]

스이코 천황의 재위 기간 동안에는 여러 중요한 업적이 이루어졌다. 594년 삼보사찰령(三寶寺令)을 발포하여 불교를 공식적으로 승인하였고,[9] 600년에는 수나라와 국교를 개시하였다.[10] 603년에는 관위십이계(冠位十二階) 제도를 채택하고, 604년에는 십칠조헌법을 제정하는 등 국가 체제 정비에도 힘썼다.[10] 또한, 604년에는 육십갑자(六十甲子) 달력(간지)을 채택하였다.[10] 이러한 업적들은 아스카 시대 문화 발전의 기틀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스이코 천황의 치세가 긍정적인 평가만 받는 것은 아니다. 소가 씨의 권력 강화에 기여했고, 후계 문제를 명확히 해결하지 못해 왕위 계승 분쟁을 초래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스이코 천황 사후, 조메이 천황과 야마시로 친왕 간의 권력 투쟁이 벌어졌고, 결국 소가 씨의 지지를 받은 조메이 천황이 즉위하게 되었다.[11]

일부 보수적인 학자들은 여성의 통치가 일시적이며, 남성 계승 전통을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11] 하지만 진보적인 관점에서는 스이코 천황을 여성의 정치 참여 확대와 종교적 관용을 실천한 선구적인 통치자로 재평가할 수 있다.

7. 작품

紅蓮の女王 小説 推古女帝|홍련의 여왕 소설 스이코 여제일본어 흑암중오의 작품으로 1978년 광문사에서 출판되었다. 1976년 11월부터 『흑암중오 장편소설 전집』 월보에 수록되었으며, 후에 중공문고에서 재출간되었다.[1]

참조

[1] 웹사이트 推古天皇 (33) http://www.kunaicho.[...]
[2] 서적 The Imperial House of Japan
[3] 서적 Gukanshō
[3] 서적 Jinnō Shōtōki
[3] 서적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https://books.google[...]
[4] 서적 Gukanshō
[5] 서적 Jinnō Shōtōki
[6] 서적 Nihongi
[7] 서적 Jinnō Shōtōki
[8] 서적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8] 서적 Gukanshō
[8] 서적 Jinnō Shōtōki
[9] 서적 Yokohama Burning: The Deadly 1923 Earthquake and Fire that Helped Forge the Path to World War II
[10] 서적 Jap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11] 뉴스 Life in the Cloudy Imperial Fishbowl http://search.japant[...] The Japan Times 2007-03-27
[12] 서적
[13] 서적 Sources of Japanese Tradition Columbia University Press
[14] 웹사이트 Empress Suiko: The First Empress Regnant of Japan https://www.kcpinter[...] 2015-12-28
[15] 웹사이트 Suiko, Empress https://www.japanpit[...]
[16] 웹사이트 Suiko https://www.britanni[...]
[17] 웹사이트 The Women Who Sat on the Chrysanthemum Throne https://kazukonishim[...]
[18] 서적 Nihongi: Chronicles of Japan from the Earliest Times to A, Part 697 https://books.google[...]
[19] 서적 석이 2016
[20] 서적 의강 2020
[21] 서적 의강 2020
[22] 서적 의강 2020
[23] 서적 휙미 1997
[24] 서적 의강 2020
[25] 서적 창본 2015
[26] 서적 사카모토 1979
[27] 서적 의강 2020
[28] 서적 의강 2020
[29] 서적 길촌 2020
[30] 서적 의강 2020
[31] 서적 창본 2015
[32] 서적 의강 2020
[33] 서적 의강 2020
[34] 서적 의강 2020
[35] 서적 일본서기 용명기
[36] 서적 義江 2020
[37] 서적 義江 2020
[38] 서적 義江 2020
[39] 서적 日本書紀「崇峻紀」
[40] 서적 義江 2020
[41] 서적 日本書紀「崇峻紀」
[42] 서적 日本書紀「崇峻紀」
[43] 서적 義江 2020
[44] 서적 日本書紀「推古紀」
[45] 서적 義江 2020
[46] 서적 倉本 2015
[47] 서적 荒木 1985
[48] 서적 荒木 1985
[49] 서적 荒木 1985
[50] 서적 鈴木 2018
[51] 서적 石井 2016
[52] 서적 義江 2020
[53] 서적 鈴木 2018
[54] 서적 義江 2020
[55] 서적 義江 2020
[56] 서적 義江 2020
[57] 서적 吉田 1997
[58] 서적 森 2006
[59] 서적 吉田 1997
[60] 서적 吉田 1997
[61] 서적 義江 2020
[62] 서적 吉田 1997
[63] 서적 義江 2020
[64] 서적 義江 2020
[65] 서적 義江 2020
[66] 서적 義江 2020
[67] 서적 関根 2020
[68] 서적 義江 2020
[69] 서적 石井 2016
[70] 서적 義江 2020
[71] 서적 倉本 2015
[72] 서적 倉本 2015
[73] 서적 義江 2020
[74] 서적 倉本 2015
[75] 서적 倉本 2015
[76] 서적 義江 2020
[77] 서적 日本書紀「舒明紀」
[78] 서적 倉本 2015
[79] 서적 일본 여성(성과 사랑, 삶의 역사) 시그마북스
[80] 서적 우리 역사의 수수께끼3 김영사
[81] 서적 만요슈 살림
[82] 서적 사진 통계와 함께 읽는 일본 일본인 일본문화 다락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