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텐리 그렌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텐리 그렌츠는 1950년 미국에서 태어나 2005년 사망한 복음주의 신학자이다. 콜로라도 대학교에서 문학사 학위를, 덴버 신학교와 뮌헨 대학교에서 신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노스웨스트 침례교회 등에서 목회 활동을 했으며, 위니펙 대학교, 북미 침례교 신학대학원, 캐리 신학대학 등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그는 복음주의 기독교와 세상의 관계, 알미니우스주의 신학, 영원한 안전, 공동체적 선택 등에 대한 사상을 제시했으며, 다양한 저서를 남겼다. 2005년 뇌동맥류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 윤리학자 - 앨러스터 매킨타이어
앨러스터 매킨타이어는 스코틀랜드 출신의 철학자로, 여러 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덕 윤리 부활에 기여했고, 《덕의 상실》, 《어떤 정의? 어떤 합리성?》, 《도덕 탐구의 세 가지 경쟁적 버전》 등의 주요 저서를 남겼다. - 기독교 윤리학자 - 베벌리 윌덩 해리슨
베벌리 윌덩 해리슨은 미국의 기독교 윤리학자이자 페미니스트 신학자로, 유니언 신학대학원에서 기독교 윤리학 교수로 재직하며 페미니스트 기독교 윤리 분야에 기여하고 낙태 문제에 대한 윤리적 논의를 심화시켰으며, 기독교 윤리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 베일러 대학교 교수 - 로저 E. 올슨
로저 E. 올슨은 1952년생의 미국의 기독교 신학자이자 저술가로, 알미니우스주의 신학을 옹호하며 기독교 신학 및 윤리학 교수를 역임하고 저서를 통해 알미니우스주의의 핵심 교리를 설명한다. - 베일러 대학교 교수 - 스티븐 에반스
스티븐 에반스는 미국의 철학자로서 쇠렌 키르케고르 연구에 기여하고 종교 철학과 심리학, 기독교의 관계를 연구했으며, 여러 대학에서 강의하고 기독교 철학자 협회 회장을 역임했고, 기독교적 관점에서 인간을 이해하기 위한 최소 이원론을 옹호하며 C.S. 루이스 상을 수상했다. - 콜로라도 대학교 동문 - 선우중호
대한민국의 토목공학자이자 교육자인 선우중호는 서울대학교, 명지대학교, 광주과학기술원 총장을 역임했으며, 서울대학교 총장 재임 시절 총장 직선제 폐지 강행과 평화의 댐 건설 관련 논란이 있었다. - 콜로라도 대학교 동문 - 스티브 워즈니악
스티븐 개리 워즈니악은 애플 컴퓨터의 공동 창업자이자 애플 I과 애플 II의 주요 설계자로, 개인용 컴퓨터 시대 개막에 기여했으며 블루 박스 제작으로도 알려진 미국의 컴퓨터 엔지니어이자 발명가이다.
| 스텐리 그렌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본명 | 스탠리 제임스 그렌츠 |
| 로마자 표기 | Seutaenli Jeimseu Geurencheu |
| 출생 | 1950년 1월 7일 |
| 출생지 | 미국 미시간주 앨피나 |
| 사망 | 2005년 3월 12일 (향년 55세) |
| 사망지 |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밴쿠버 |
| 배우자 | 에드나 그렌츠 |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 종교 정보 | |
| 종교 | 기독교 (침례회) |
| 안수 | 1976년 |
| 학력 정보 | |
| 모교 | 콜로라도 대학교 볼더 덴버 신학교 뮌헨 대학교 |
| 지도 교수 |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 |
| 영향 | 조지 린드벡 |
| 경력 정보 | |
| 분야 | 신학 |
| 직장 | 북미 침례 신학교 캐리 신학 대학 리젠트 칼리지 북부 침례 신학교 마스 힐 대학원 |
2. 생애
스텐리 그렌츠는 1950년 1월 7일 미시간 주 알페나에서 태어났다.[2] 그는 콜로라도 대학교에서 공부하여 1973년 문학사 학위를 받았고, 덴버 신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하여 1979년 신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2] 그는 또한 뮌헨 대학교에서 신학자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의 지도하에 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2]
그렌츠는 복음주의 기독교가 세상과 어떻게 관계해야 하는지를 논의하는 데 주요 공헌을 했다.[4] 그는 성, 역사, 기본적인 변증학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주제에 대해 글을 썼으며, 20세기 후반과 21세기 초 북미의 주요 복음주의 목소리 중 하나였다.
1971년부터 1976년까지 콜로라도주 덴버에 있는 노스웨스트 침례교회에서 청소년 담당 목사 및 부목사로 사역했다.[2] 1976년 6월 13일 목사 안수를 받은 후,[2] 1979년부터 1981년까지 매니토바주 위니펙에 있는 로웬데일 침례교회에서 담임 목사로, 이후 여러 교회에서 임시 목사로 사역했다.[2] 그는 ''크리스채너티 투데이''의 편집 자문위원으로도 활동했다.[2]
목회 활동을 하는 동안(1979–1981) 그렌츠는 위니펙 대학교와 위니펙 신학대학원(현재 프로비던스 대학교 칼리지 및 신학대학원)에서 강의했다.[3] 1981년부터 1990년까지 사우스다코타주 시우폴스에 있는 북미 침례교 신학대학원에서 조직신학과 기독교 윤리학 교수로 재직했다.[2]
1990년부터 2002년까지 12년 동안 밴쿠버에 있는 캐리 신학대학과 리젠트 칼리지에서 침례교 유산, 신학 및 윤리학 분야의 파이오니어 맥도날드 교수직을 역임했다.[2] 2002년부터 2003년까지 텍사스주 와코에 있는 베일러 대학교와 조지 W. 트루엣 신학대학원에서 신학 석좌교수로 1년간 재직한 후, 2003년 8월 캐리로 돌아와 파이오니어 맥도날드 교수직을 다시 맡았다.[2]
1996년부터 1999년까지 일리노이주 롬바드에 있는 노던 침례교 신학대학원에서 신학 및 윤리학 겸임 교수로 임명되었다.[2] 2004년 가을에는 워싱턴주 시애틀에 있는 마스 힐 대학원의 신학 교수로 임명되었다.[2]
3. 신학
그렌츠는 알미니우스주의 신학의 주요 원칙을 고수했다. 그는 "성령의 임재는 진정으로 회심한 자가 끝까지 믿음을 유지할 것임을 보장한다"는 특정 개념의 영원한 안전을 고수했으며, 이는 그의 공동체적 선택에 대한 견해를 반영한다.[4]
3. 1. 주요 신학 사상
그렌츠는 복음주의 기독교가 세상과 어떻게 관계해야 하는지를 논의하는 데 주요 공헌을 했다.[4] 그는 성, 역사, 기본적인 변증학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주제에 대해 글을 썼으며, 20세기 후반과 21세기 초 북미의 주요 복음주의 목소리 중 하나였다.
그렌츠는 알미니우스주의 신학의 주요 원칙을 고수했다. 그는 "성령의 임재는 진정으로 회심한 자가 끝까지 믿음을 유지할 것임을 보장한다"는 특정 개념의 영원한 안전을 고수했으며, 이는 그의 공동체적 선택에 대한 견해를 반영한다.
3. 2. 한국 개신교계에 미친 영향
그렌츠는 복음주의 기독교가 세계와 어떻게 관련되어야 하는지를 논의하는데 주요 공헌을 하였다. 그는 성에서부터 역사, 기본적인 변증학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주제에 관해 글을 썼으며, 20세기 후반과 21세기 초반 북미 지역의 선도적인 복음주의 목소리 중 한 명이었다. 그렌츠는 아르미니우스주의 신학의 주요 원칙을 고수했다. 그는 기업 선거에 대한 그의 견해를 반영하여 "성령의 임재는 진정 회심한 사람이 끝까지 믿음에 남아 있을 것을 보장한다"는 구체적인 개념인 영원한 보장을 고수했다.
4. 저서
- ''기도: 왕국을 위한 외침'', 1988 (2005년 개정판)
- ''성 윤리: 성경적 관점'', 1990
- ''복음주의 신학 재고: 21세기를 위한 새로운 의제'', 1993
- ''교회 안의 여성: 사역에 관한 여성의 성경적 신학'', 데니스 뮤어 케즈보와 공저, 1995
- ''포스트모더니즘 입문'', 1996
- ''공동체를 위해 창조됨: 기독교 신념과 기독교적 삶의 연결'', 1996 (1998년 제2판)
- ''20세기 신학: 전환기 시대의 하나님과 세상'' 로저 올슨과 공저, 1997
- ''신학이 왜 필요한가?: 하나님의 말씀 연구에 대한 초대 – (올슨 & 그렌츠) (1996)
- ''환영하지만 긍정하지 않음: 동성애에 대한 복음주의적 응답'', 1998
- ''하나님의 공동체를 위한 신학'', 2000
- ''도덕적 탐구: 기독교 윤리의 기초'', 2000
- ''중심 재건: 탈신학적 시대의 복음주의 신학'', 2000
- ''기초주의 너머: 포스트모던 맥락에서 신학 형성'', 존 프랑크와 공저, 2000
- ''사회적 하나님과 관계적 자아: 삼위일체 하나님의 형상에 대한 삼위일체 신학'', 2001
- ''삼위일체 하나님 재발견: 현대 신학에서의 삼위일체'', 2004
5. 가족
스텐리 그렌츠는 교회 음악가인 에드나 그렌츠와 결혼하여 두 자녀 조엘 그렌츠(Joel Grenz)와 코리나 쿠반(Corina Kuban)을 두었으며, 손녀 아니카 그레이스 쿠반(Anika Grace Kuban)을 두었다.[4][5] ''종교계 인명 사전'' 두 판과 2002년 판 ''미국 작가, 편집자 및 시인 인명 사전''에 등재되었다.[4] 2005년 3월 12일 밴쿠버 세인트 폴 병원에서 뇌동맥류로 수면 중 사망했다.[4][5]
6. 사망
교회 음악가인 에드나 그렌츠와 결혼한 그렌츠는 Joel Grenz와 Corina Kuban이라는 두 자녀의 아버지였으며 손녀 Anika Grace Kuban의 할아버지였다.[4] ''Who's Who in Religion''의 두 판과 ''Who's Who in US Writers, Editors and Poets''의 2002년판에 포함된 그렌츠는 2005년 3월 12일 밴쿠버 세인트 폴 병원에서 뇌동맥류로 잠을 자다가 사망했다.[4][5]
참조
[1]
서적
Baptist Theology: A Four-century Study
Mercer University Press
2009
[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Baptists
Rowman & Littlefield
2021
[3]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Baptists
Rowman & Littlefield
2021
[4]
웹사이트
Theologian Stan Grenz Dies
https://www.christia[...]
2005-05
[5]
웹사이트
Scholars, friends mourn Stanley Grenz, evangelicalism's 'leading theologian'
https://baptistnews.[...]
2005-03-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