슴새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슴새목은 앨버트로스과, 남방슴새과, 슴새과, 슴새류의 4개 과와 멸종된 Diomedeoididae과로 분류된다. 20세기 초까지 슴새과와 슴새류는 각각 슴새류와 "퍼핀과"로 불렸으며, 슴새목 자체는 통기류로 불렸다. 에오세 시대의 슴새와 비슷한 새의 화석이 발견되었고, 마이오세에는 잠수슴새가 나타났으며, 팔레오세에는 Diomedeoididae과의 화석이 다수 발견되었다. 2008년 핵 DNA 분자 계통 추정 결과 펭귄목과 자매군으로 분석되었다. 슴새목은 수조류에 속하며 펭귄목과 가장 가까운 관계이며, 약 6천만 년 전에 갈라졌다. 슴새목은 147종의 현존하는 종이 있으며, 관 모양의 비강을 통해 후각을 사용하여 먹이를 찾고, 역동적 활공과 경사 활공을 통해 비행한다. 슴새목 조류는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며, 물고기, 오징어, 크릴 등을 먹고, 집단 번식을 하며, 일부일처제를 이루고 K-선택종으로 장수한다. 슴새목 조류는 인간에게 문화적 상징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연승 어업, 외래종 유입, 플라스틱 부유물 섭취 등으로 인해 위협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슴새목 - 바다제비
바다제비는 몸길이 13~25cm의 작은 바닷새로, 검은색 부리와 흑갈색 깃털을 가지며, 한국의 독도 등에서 번식하고 어류와 갑각류를 먹으며, 슴새류와 쥐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여 일본에서 멸종위기종으로 보호받고 있다. - 슴새목 - 검은슴새
검은슴새는 전 세계 열대 및 아열대 해양에 서식하며 몸 전체가 검은 갈색 깃털로 덮인 슴새목 슴새과의 조류로, IUCN 준위협종이자 대한민국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3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3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슴새목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류 | |
학명 | Procellariiformes |
명명자 | 퓌르브링거, 1888년 |
다양성 | 현존하는 4개의 과, 26개의 속, 147개의 종 |
다양성 링크 | 슴새목의 목록 |
과의 하위 분류 | |
과 | †디오메데오이디다에 슴새과 신천옹과 바다제비과 오세아니티다에 |
생물학적 정보 | |
화석 범위 | 에오세부터 현재까지 후기 백악기 기록 가능성 있음 |
![]() | |
![]() |
2. 분류
슴새목은 크게 앨버트로스과(Diomedeidae), 남방슴새과(Oceanitidae), 슴새과(Hydrobatidae), 슴새류(Procellariidae)의 4개 과로 나뉜다.[18] 과거에는 슴새과(Hydrobatidae)를 슴새류(Procellariidae)로, 현재 슴새류(Procellariidae)를 "퍼핀과(Puffinidae)"로 불렀으며, 슴새목 자체는 통기류(Tubinares)로 불렀다.[7][8] 시블리-알퀴스트 분류 체계(Sibley-Ahlquist taxonomy)에서는 통기류가 크게 확장된 "황새목(Ciconiiformes)"에 포함되었으나, 이는 잘못된 분류로 밝혀졌다.[9]
슴새목은 펭귄목과 가장 가까운 관계이며,[10] 약 6천만 년 전에 분기했다.[11] 잠수바다제비는 과거 별도의 과로 분류되었으나, 유전자 연구를 통해 슴새류(Procellariidae)에 포함되었다.[4][18] 유전자 데이터에 따르면 슴새과(Hydrobatidae)는 두 개의 다른 계통으로 구성되어, 남방슴새류는 남방슴새과(Oceanitidae)로 분리되었다.[18][13]
2. 1. 하위 분류
- 알바트로스과(Diomedeidae): 알바트로스류 (21종)[18]
- 남방슴새과(Oceanitidae): 남방슴새류 (10종)[18]
- 슴새과(Hydrobatidae): 북방슴새류 (18종)[18]
- 슴새류(Procellariidae): 슴새류와 바다제비류 (100종)[18]
- †Diomedeoididae과 (멸종)[4]
3. 계통 분류
슴새목은 수조류에 속하며, 펭귄목과 자매군이다.[104]
2008년에 발표된 조강 169종의 핵 DNA 분자 계통 추정에서는, 펭귄목의 자매군이라는 분석 결과가 얻어졌다.[99]
다음은 2015년 리처드 프럼(Richard Prum)과 동료들의 연구에 기반한 현존하는 슴새목의 계통 발생도이다.[4] 종의 수는 프랭크 길(Frank Gill), 패멀라 C. 라스무센(Pamela C. Rasmussen) 및 데이비드 돈스커(David Donsker)가 국제 조류학회(International Ornithological Committee, IOC)를 대신하여 관리하는 목록에서 가져왔다.[18]
과 | 종 수 |
---|---|
앨버트로스과(Diomedeidae) | 21종 |
남방슴새과(Oceanitidae) | 10종 |
슴새과(Hydrobatidae) | 18종 |
슴새류(Procellariidae) | 100종 |
흰배슴새속( ''Pelecanoides'')만으로 흰배슴새과(Pelecanoididae)를 구성한다는 설도 있었다. 좁은날개슴새류는 슴새과에 분류되어 있었다. 2008년 분자 계통 분석에서는 좁은날개슴새속(''Oceanites'')이 슴새목 내에서 별도의 과인 알바트로스류(자료에서는 구 알바트로스속 ''Diomedea'')보다 먼저 분기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와 좁은날개슴새류를 포함한 슴새과의 단계통성은 지지되지 않았다.[99] 2015년에 발표된 조강 198종의 베이즈 방법을 이용한 핵 DNA 분자 계통 분석에서는 슴새목 내에서 알바트로스속이 가장 먼저 분기했지만, 그 다음으로 좁은날개슴새속과 흰눈썹슴새속(''Pelagodroma'')이 분기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와 이 분석에서도 좁은날개슴새류를 포함한 슴새과의 단계통성은 지지되지 않았다.[100] 이 분석에서는 흰배슴새속이 슴새과에 포함된다는 분석 결과도 얻어졌다.[100]
다음 분류는 IOC World Bird List (v10.2)에 따른다.[101]
4. 형태
슴새목 조류는 매우 큰 큰알바트로스(무게 11kg, 날개폭 3.6m)부터 아주 작은 요정바다쇠오리(무게 20g, 날개폭 23cm에서 28cm)까지 크기가 다양하다.[25] 콧구멍은 곧고 깊은 홈이 있는, 갈고리 모양의 끝을 가진 부리 위에 하나 또는 두 개의 관으로 둘러싸여 있다.[38] 부리는 여러 개의 판으로 구성되어 있다.[38] 날개는 길고 좁으며, 발가락에는 물갈퀴가 있고, 뒷발가락은 발달하지 않았거나 없다.[38] 성체의 깃털은 대부분 검은색, 흰색, 회색이다.[38]
뇌에서 후각을 담당하는 부분이 발달하여, 바다에서 산발적으로 분포하는 먹이를 찾거나 번식지 내에서 자신의 둥지를 찾는 데 도움이 된다.[40] 부리는 관 모양으로 열리는 콧구멍이 있다.[97]
5. 생태
슴새목 조류는 전 세계 바다에 걸쳐 분포하며, 남극슴새는 남극 대륙에서 100km 이상을 날아가고, 북극슴새는 그린란드 북동쪽 끝에서 번식한다.[25] 슴새과는 북반구와 남반구의 열대, 온대, 극지대에 분포하지만, 대부분 열대 지방에서 번식하지 않으며, 종의 절반은 남반구의 온대 및 극지에 국한된다.[26] 바다제비는 흰배슴새과는 대부분 남반구에, 바다제비과는 대부분 북반구에서 발견된다. 알바트로스는 대부분 남반구에 국한되지만, ''검은머리알바트로스속''은 북태평양 전역에 걸쳐 서식한다. 잠수슴새는 남반구에 국한된다.[29]
슴새목 조류는 큰알바트로스부터 작은바다쇠오리, 요정바다쇠오리까지 크기가 다양하다.[25] 콧구멍은 곧고 깊은 홈이 있는 부리 위에 하나 또는 두 개의 관으로 둘러싸여 있다. 날개는 길고 좁으며, 발가락에는 물갈퀴가 있고, 뒷발가락은 발달하지 않았거나 없다. 성체의 깃털은 대부분 검은색, 흰색, 회색이다.[38]
슴새목은 후각에 사용되는 관 모양의 비강이 발달되어 있다. 땅굴에 둥지를 트는 슴새목 조류는 바다의 플랑크톤에서 방출되는 디메틸황화물을 감지하여 먹이를 찾고, 번식지 내에서 자신의 둥지를 찾는다.[39][40] 지표면에 둥지를 트는 종은 시력이 발달하여 땅굴에 둥지를 트는 조류보다 여섯 배나 더 나은 공간 해상도를 가진다.[41] 대부분 해양에서 먹이를 찾는다.
바닷물을 마시는 슴새목 조류는 눈 위에 확장된 비강샘을 통해 과도한 소금을 배출한다. 소금샘은 시스템에서 소금을 제거하고 5%의 염분 용액을 형성하여 콧구멍에서 떨어뜨리거나 일부 바다쇠오리에서는 강제로 배출한다.[44]
대부분의 알바트로스류와 슴새류는 역동적 활공과 경사 활공 기술을 사용하며, 날개를 완전히 폈을 때 고정하는 힘줄판이 있어 근육의 힘을 쓰지 않고도 날개를 펼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46]
대부분의 알바트로스와 슴새는 물고기, 오징어, 크릴 및 기타 해양 동물플랑크톤을 먹는다. 검은발알바트로스는 주로 물고기를, 레이산알바트로스는 주로 오징어를 섭취한다.[47] 슴새는 수면에서 헤엄치거나, 날개에서 먹이를 낚아채거나, 물속으로 잠수하여 먹이를 얻는다. 짧은꼬리바다제비는 70m, 갈색얼굴슴새는 12m까지 잠수한다.[50]
모든 슴새목 조류는 집단 번식을 하며, 주로 해안이나 해양 섬에서 번식한다. 일부 대형 슴새류는 바람이 많이 부는 장소에 둥지를 튼다.[25] 굴과 자연 틈새는 주로 소형 종이 사용하며, 모든 폭풍슴새류와 잠수슴새류, 많은 슴새과 조류는 둥지를 파서 산다. 풀마린슴새류와 일부 열대 검은슴새류와 슴새류, 모든 알바트로스류는 둥지를 짓는 표면에 둥지를 튼다.[51]
슴새목 조류는 장소 충실성과 출생지 충실성을 포함하는 높은 수준의 필로패트리를 보인다. 웃산알바트로스는 부화 장소와 조류가 자신의 영역을 확보한 장소 사이의 평균 거리가 22m이다.[52]
슴새목 조류는 일부일처제를 이루며 장기간 짝을 맺는다. 알바트로스는 짝짓기 춤을 연마하고 정교하게 만든다.[54] 춤은 깃털 다듬기, 가리키기, 울음소리, 부리 부딪치기, 응시하기와 같은 다양한 행동으로 구성된다.
슴새목 조류는 K-선택종으로, 장수하고 적은 수의 새끼를 정성껏 돌본다. 번식은 이소 후 최대 10년까지 지연되기도 한다. 번식기마다 한 번만 번식하며, 단 하나의 큰 알을 낳고 새끼 한 마리를 기른다. 가장 오래 산 알바트로스는 51년 이상 생존했고,[57] 작은 폭풍바다제비도 30년 동안 생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58] 가장 오래 산 새는 위즈덤이라는 암컷 레이산알바트로스이다.
대부분 슴새목 조류는 일 년에 한 번, 계절에 따라 번식한다.[59] 암컷은 큰 알을 낳기 위해 산란 전 이동을 시작한다. 슴새류의 알은 암컷 체중의 29%에 달할 수 있으며, 회색얼굴슴새 암컷은 구애 후 최대 80일 동안 먹이를 찾아다닌 후 알을 낳는다.[60]
암수가 번갈아 알을 품으며, 수컷이 먼저 포란을 시작하고 암컷은 바다로 돌아간다. 포란 기간은 종에 따라 다르며, 가장 작은 슴새류는 약 40일, 알바트로스는 70~80일로 모든 조류 중 가장 길다.[62]
부화 후 새끼들은 눈이 뜨고, 빽빽한 흰색 또는 회색 솜털로 덮여 있으며, 둥지 주변을 이동할 수 있는 반조숙성이다. 부화 후 어미는 며칠 동안 새끼와 함께 머무르는 보호 기간을 가진다.
새끼는 부모 모두에게 물고기, 오징어, 크릴, 위장유를 먹는다. 위장유는 먹이 소화 과정에서 생성되는 중성 식이 지질로 구성된 기름으로, 열량은 그램당 약 9.6kcal이다.[1] 바다제비류를 제외한 모든 슴새목 조류는 위장유를 만든다.[1] 새끼는 부화 후 2~9개월 만에 둥지를 떠난다.
5. 1. 이동
슴새목에 속하는 다양한 종들은 다양한 이동 전략을 가지고 있다. 어떤 종들은 정기적인 적도횡단 이동을 하는데, 예를 들어 검은슴새는 매년 뉴질랜드와 칠레의 번식지에서 일본, 알래스카, 캘리포니아 연안의 북태평양으로 이동하며, 연간 64000km의 왕복 이동을 하는데, 이는 조류 중 두 번째로 긴 연간 이동 거리이다.[30] 다른 여러 슴새 종들도 적도횡단 이동을 하는데, 윌슨슴새와 프로비던스슴새가 포함되지만, 알바트로스는 바람의 도움을 받는 비행에 의존하기 때문에 적도를 횡단하지 않는다. 이 목에는 다른 장거리 이동 조류도 있는데, 스윈호슴새는 서태평양에서 번식하고 서인도양으로 이동하며,[31] 보닌슴새는 하와이에서 번식하고 비번식기에 일본 해안으로 이동한다.[32]슴새목에 속한 많은 종들은 먼 거리를 바다 위로 이동하지만 매년 같은 둥지로 돌아온다. 이는 슴새들이 어떻게 그렇게 정확하게 이동하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33] 웨일스의 자연주의자 로널드 록리(Ronald Lockley)는 스코크홀름(Skokholm) 섬에 둥지를 튼 슴새(Manx shearwater)를 이용하여 동물 항해에 대한 초기 연구를 수행했다. 방출 실험에서, 한 슴새는 보스턴에서 스코크홀름까지 약 4828.02km 거리를 12.5일 만에 날아갔다.[33][34]
록리는 맑은 하늘 아래 태양이나 별이 보이는 상태에서 슴새를 방출했을 때, 슴새들이 자신을 방향을 잡고 "스코크홀름으로 향하는 직선으로 날아갔다"고 보여주었다. 슴새들은 거의 직선으로 날아갔기 때문에 여정을 매우 빠르게 마쳤다. 하지만 방출 당시 하늘이 흐렸다면, 슴새들은 "길을 잃은 것처럼" 빙빙 돌아다녔고 천천히 돌아왔거나 전혀 돌아오지 못했다. 이는 슴새들이 천체 신호를 이용하여 길을 찾는다는 것을 의미한다.[33]
연구자들은 또한 후각이 슴새목의 항해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조사하기 시작했다. 코리슴새(Cory's shearwater)의 후각 상피 표면층을 파괴하는 황산아연을 사용하여 후각을 상실하게 만든 후, 그들을 집단 서식지에서 수백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서 밤에 방출한 연구에서, 대조군 새들은 밤이 끝나기 전에 집 둥지로 돌아왔지만, 후각 상실 새들은 다음 날까지 집으로 돌아오지 못했다.[35] 집 둥지에서 800km 떨어진 곳에서 코리슴새를 방출하여 자기 및 후각 교란이 항해에 미치는 영향을 테스트한 유사한 연구에서, 후각 상실 새들은 자기장 교란 새나 대조군 새보다 귀환 시간이 더 오래 걸렸다.[36]
5. 2. 비행
슴새목 조류는 비행 중 힘을 덜 들이기 위해 역동적 활공과 경사 활공이라는 두 가지 기술을 사용한다. 알바트로스류와 큰바다제비류는 날개를 완전히 폈을 때 고정하는 힘줄판이 있어, 근육의 힘을 쓰지 않고도 날개를 펼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46]6. 인간과의 관계
알바트로스과는 문화적으로 "가장 전설적인 새"로 묘사된다.[64] 샘유얼 테일러 콜리지의 1798년 시 ''늙은 항해사의 노래''에 등장하며, 짐의 비유로 사용되었다.[65] 알바트로스는 일반적으로 길조로 여겨졌으며, 알바트로스를 죽이면 불운을 가져온다고 여겨졌다.[25] 바다제비는 폭풍우를 예고하는 새로 여겨졌으며, 익사한 선원들의 영혼을 나타낸다는 전설도 있었다.[66]
러시아어에서 슴새과(Hydrobatidae)와 슴새과(Procellariidae)에 속하는 많은 바다제비 종은 ''burevestnik''(폭풍의 전조)로 알려져 있다. 1901년 러시아 작가 막심 고리키는 남극 아극지대 조류의 이미지를 사용하여 러시아 사회의 다가오는 혁명에 대한 태도를 묘사한 시를 썼는데, 이 시는 혁명 세력에서 "혁명의 전투가요"로 인기를 얻었다.[67]
폴리네시아의 신화와 구전 전통에는 다양한 슴새목 조류가 등장한다. 마오리족은 알바트로스의 날개뼈를 사용하여 피리를 만들었다.[69] 하와이 신화에서 웃산알바트로스는 조상의 신성한 모습인 ''아우마쿠아''로 여겨지기도 한다.[70]
알바트로스와 바다제비류는 인간이 외딴 번식지에 접근할 수 있게 된 이후로 오랫동안 중요한 식량 자원이었다. 칠레의 5,000년 된 패총에서 바다제비와 알바트로스, 그리고 다른 바닷새의 유적이 발견된 것이 가장 초기의 예시이다. 그 이후로 많은 해양 문화권에서 슴새류를 이용해 왔으며, 어떤 경우에는 멸종에 이르게 하였다. 뉴질랜드의 마오리족과 같은 일부 문화권에서는 여전히 ''카이티아키탕가''로 알려진 지속 가능한 전통적인 방법으로 바다제비를 채취한다. 알래스카에서는 코디악섬 주민들이 짧은꼬리알바트로스를 작살로 잡았고, 1980년대 후반까지 인도양의 트리스탄섬 주민들은 황색부리알바트로스와 검댕알바트로스의 알을 채취하였다.[25] 알바트로스와 바다제비류는 이제 타이아로아 헤드와 같이 어떤 지역에서는 관광 명소가 되고 있지만, 조류와 관광 모두를 보호하기 위해 신중한 관리가 필요하다.[72]
토마스 비윅은 1804년에 토마스 페넌트의 말을 인용하여 세인트킬다섬의 슴새가 섬 주민들에게 기름, 솜털, 별미, 연고, 약을 제공하는 유용한 새라고 썼다.[74] 조지 워싱턴 윌슨이 1886년경에 찍은 사진은 슴새를 잡은 것을 나누는 세인트킬다의 남녀 모습을 보여준다.[75] 제임스 피셔[76]는 세인트킬다의 모든 사람이 매년 100마리 이상의 슴새를 소비했으며, 고기는 그들의 주식이었고, 매년 약 12,000마리의 새를 잡았다고 계산했다. 그러나 1930년에 인구가 세인트킬다를 떠났을 때, 슴새 개체수는 갑자기 증가하지 않았다.[77]
6. 1. 위협과 보존
슴새목 조류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심각한 위협을 받는 조류 중 하나이다.[1] 윌슨슴새(추정 1200만~3000만 마리)[78]와 쇠찌르레기(Ardenna tenuirostris)(2300만 마리)[79]처럼 흔한 종도 있지만, 마젠타슴새(Pterodroma magentae)(200마리 미만)[80], 지노슴새(Pterodroma madeira)(130~160마리)[81], 암스테르담알바트로스(Diomedea amsterdamensis)(170마리)[82]처럼 몇 백 마리밖에 남지 않은 종도 있다.슴새목 조류는 연승 어업, 외래종 유입, 해양 오염, 광공해 등 다양한 위협에 직면해 있다. 특히 연승 어업은 알바트로스와 대형 슴새류에게 큰 위협이다. 미끼가 묻은 낚시 바늘에 많은 새들이 걸려 익사하기 때문이다. 매년 최대 10만 마리의 알바트로스가 연승 어업으로 인해 희생된다.[88][89] 1991년 유자망 어업 금지 이전에는 매년 50만 마리의 바닷새가 이로 인해 죽는 것으로 추정되었다.[25]
쥐, 들고양이, 돼지와 같은 외래종이 번식지에 유입되어 슴새목 조류를 위협하기도 한다. 대부분의 슴새목 조류는 육지에서 서투르기 때문에 이러한 포유류 포식자로부터 자신을 방어할 수 없다. 이를 생태적 순진성이라 부르며, 많은 종의 감소를 초래했다.
플라스틱 부유물 섭취, 해양 오염, 기름 유출 역시 슴새목 조류에게 큰 위협이다. 특히 플라스틱은 새의 건강을 악화시키거나 장에 걸려 굶어 죽게 만들 수 있다. 바라우슴새(Pterodroma baraui), 뉴웰슴새(Ardenna newelli), 코리슴새(Calonectris borealis)와 같이 개발된 큰 섬의 높은 곳에 둥지를 짓는 일부 종은 광공해의 피해를 입는다.[94] 이소하는 새끼들이 가로등에 이끌려 바다에 도달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참조
[1]
서적
The Behaviour, Population, Biology and Physiology of the Petrels
Academic Press
[2]
문서
Brooke, 2004
[3]
서적
Extinct birds of New Zealand
https://www.worldcat[...]
Te Papa Press
[4]
논문
A comprehensive phylogeny of birds (Aves) using targeted next-generation DNA sequencing
[5]
서적
Untersuchungen zur Morphologie und Systematik der Vögel, zugleich ein Beitrag zur Anatomie der Stütz- und Bewegungsorgane
https://www.biodiver[...]
T. van Holkema
[6]
서적
Latin Names Explained. A Guide to the Scientific Classifications of Reptiles, Birds & Mammals
Facts on File
[7]
논문
Saunders and Salvin's Catalogue of the Gaviae and Tubinares.
https://www.biodiver[...]
1896-04-01
[8]
서적
A Monograph of the Petrels (Order Tubinares)
https://sites.google[...]
Witherby
2013-03-01
[9]
논문
Evolution of modern birds revealed by mitogenomics: Timing the radiation and origin of major orders
http://www.kumarlab.[...]
2013-02-21
[10]
논문
Whole-genome analyses resolve early branches in the tree of life of modern birds
https://pgl.soe.ucsc[...]
2015-08-28
[11]
논문
Two Antarctic penguin genomes reveal insights into their evolutionary history and molecular changes related to the Antarctic environment
2014-12-12
[12]
서적
Check-List of Birds of the World
https://www.biodiver[...]
Museum of Comparative Zoology
[13]
논문
Fifty-ninth supplement to the American Ornithological Society's ''Check-list of North American Birds''
[14]
논문
Seabird supertrees: combining partial estimates of Procellariiform phylogeny
[15]
논문
A phylogenomic study of birds reveals their evolutionary history
[16]
논문
Why do phylogenomic data sets yield conflicting trees? Data type influences the avian tree of life more than taxon sampling
[17]
논문
An unbiased molecular approach using 3′-UTRs resolves the avian family-level tree of life
[18]
웹사이트
Petrels, albatrosses
https://www.worldbir[...]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2023-12-01
[19]
서적
Albatrosses
Pica Press
[20]
서적
Handbook of the Birds of the World
Lynx Edicions
[21]
서적
The Origin and Evolution of Birds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22]
논문
A petrel-like bird from the late Eocene of Louisiana: Earliest record of the order Procellariiformes
http://biostor.org/r[...]
[23]
논문
Miocene waterfowl and other birds from central Otago, New Zealand
https://digital.libr[...]
[24]
논문
Notes on the osteology and phylogenetic affinities of the Oligocene Diomedeoididae (Aves, Procellariiformes)
[25]
백과사전
Procellariiformes
Gale Group
[26]
서적
World Atlas of Biodiversity: earth's living resources in the 21st centur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3-03-02
[27]
웹사이트
Petrels
http://www.teara.gov[...]
Teara: The Encyclopedia of New Zealand
2012-07-13
[28]
논문
Probable extirpation of a breeding colony of Short-tailed Albatross (''Phoebastria albatrus'') on Bermuda by Pleistocene sea-level rise
[29]
웹사이트
Pelecanoididae diving petrels
http://animaldiversi[...]
University of Michigan Museum of Zoology
[30]
논문
Migratory shearwaters integrate oceanic resources across the Pacific Ocean in an endless summer
[31]
논문
Barau's petrel ''Pterodroma baraui'', Jouanin's petrel ''Bulweria fallax'' and other seabirds in the northern Indian Ocean in June–July 1984 and 1985
http://ardea.nou.nu/[...]
[32]
서적
The Birds of North America, No. 385
The Birds of North America
[33]
서적
Animal Navigation
Pan Books
[34]
문서
Cocker, 2005. pp. 21–24
[35]
논문
Back home at night or out until morning? Nycthemeral variations in homing of anosmic Cory's shearwaters in a diurnal colony
2013-04-15
[36]
논문
Oceanic navigation in Cory's shearwaters: evidence for a crucial role of olfactory cues for homing after displacement
2013-08-01
[37]
백과사전
Shearwaters, petrels, and fulmars (procellariidae)
Gale Group
[38]
논문
Adaptive significance of seabird coloration: The case of Procellariiforms
[39]
논문
The influence of developmental environment on the evolution of olfactory foraging behaviour in procellariiform seabirds
https://onlinelibrar[...]
2008
[40]
논문
Evidence for nest-odour recognition in two species of diving petrel
[41]
논문
Vision on the high seas: spatial resolution and optical sensitivity in two procellariiform seabirds with different foraging strategies
https://jeb.biologis[...]
2016-11-01
[42]
논문
Biogeography of Procellariiform foraging strategies: does ocean productivity influence provisioning?
http://www.marineorn[...]
[43]
서적
A Wildlife Guide to Chile: Continental Chile, Chilean Antarctica, Easter Island, Juan Fernandez Archipelago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44]
서적
The Birders Handbook
https://archive.org/[...]
Simon & Schuster
[45]
논문
Regulation of salt gland, gut and kidney interactions
[46]
논문
The flight of petrels and albatrosses (Procellariiformes), observed in South Georgia and its vicinity
[47]
문서
p. 126
[48]
서적
Birds of Venezuela
Princeton University Press
[49]
문서
p. 127
[50]
문서
pp. 128–131
[51]
서적
The Sense of Smell in Procellariiformes
https://books.google[...]
Springer
[52]
논문
Some dynamics of a breeding colony of Laysan Albatrosses
http://sora.unm.edu/[...]
[53]
논문
Nest-site tenacity and mate fidelity in relation to breeding success in Cory's Shearwater ''Calonectris diomedea''
[54]
논문
La danse de l'albatros, ''Phoebetria fusca''
[55]
논문
Male Blue Petrels reveal their body mass when calling
[56]
논문
Acoustic communication in colonial seabirds: individual, sexual, and species-specific variation in acoustic signals of Pterodroma petrels
https://cdr.lib.unc.[...]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2024-08-31
[57]
논문
Survival and longevity of the Northern Royal Albatross ''Diomedea epomophora sanfordi'' at Taiaroa Head" 1937–93
[58]
웹사이트
Longevity Records of North American Birds
http://www.pwrc.usgs[...]
Patuxent Wildlife Research Center. Bird Banding Laboratory. Laurel MD.
2007
[59]
문서
p. 46
[60]
웹사이트
Petrels: Breeding
http://www.teara.gov[...]
Teara: The Encyclopedia of New Zealand
2012-07-13
[61]
서적
The Petrels – Their Ecology and Breeding Systems
Academic Press
[62]
문서
p. 67
[63]
문서
p. 75
[64]
서적
Family Diomedeidae (Albatross)
Lynx Edicions
[65]
논문
A modern day albatross: The Valdez and some of life's other spills
[66]
서적
Family Hydrobatidae (Storm-petrels)
Lynx Edicions
[67]
뉴스
A Legend Exhumed
https://web.archive.[...]
Time Magazine
1965-06-25
[68]
웹사이트
The Song of the Stormy Petrel
http://www.marxists.[...]
[69]
논문
A Chronological and Geographical Sequence of Maori Flute Scales
[70]
서적
Holy Mōlī: Albatross and Other Ancestors
Oregon State University Press
[71]
웹사이트
Origin of Birds | NZETC
https://nzetc.victor[...]
[72]
논문
Tourists and albatrosses: The dynamics of tourism at the Northern Royal Albatross Colony, Taiaroa Head, New Zealand
[73]
서적
A History of British Birds
John Van Voorst
[74]
서적
A History of British Birds, volume II, Water Birds
[75]
웹사이트
Dividing the Catch of Fulmar St Kilda
http://digitool.abdn[...]
Aberdeen Library Special Collections and Museums
2013-03-09
[76]
서적
The Fulmar
Collins
[77]
서적
Cocker
[78]
IUCN
Oceanites oceanicus
2021-11-12
[79]
IUCN
Puffinus tenuirostris
https://www.iucnredl[...]
2013-03-04
[80]
IUCN
Pterodroma magentae
2021-11-12
[81]
IUCN
Pterodroma madeira
2021-11-12
[82]
IUCN
Diomedea amsterdamensis
2021-11-12
[83]
논문
The Present State of the Ornis of Guadaloupe Island
http://sora.unm.edu/[...]
[84]
IUCN
Pseudobulweria macgillivrayi
2021-11-12
[85]
뉴스
Critically endangered NZ storm petrel found breeding
http://www.nzherald.[...]
2013-03-01
[86]
논문
The New Zealand storm-petrel is not extinct, it was last seen in 2003
[87]
웹사이트
Bermuda Petrel returns to Nonsuch Island (Bermuda) after 400 years
http://www.birdlife.[...]
BirdLife International
2013-03-01
[88]
웹사이트
Save the Albatross: The Problem
http://www.savetheal[...]
BirdLife International/RSPB
2006-03-17
[89]
논문
Albatross mortality and associated bait loss in the Japanese longline fishery in the southern ocean
[90]
논문
How slow breeding can be selected in seabirds: Testing Lack's hypothesis
[91]
논문
The impacts of fishing on marine birds
http://icesjms.oxfor[...]
[92]
논문
A review of four successful recovery programmes for threatened sub-tropical petrels
http://marineornitho[...]
[93]
서적
Plastic ingestion by Laysan Albatross chicks on Sand Island, Midway Atoll, in 1994 and 1995
http://www.mindfully[...]
Surrey Beatty & Sons
2005-10-30
[94]
논문
Seabird mortality induced by land-based artificial lights
[95]
논문
Light-induced mortality of petrels: a 4-year study from Réunion Island (Indian Ocean)
[96]
논문
鳥類の目と科の新しい和名(1) 非スズメ目・イワサザイ類・亜鳴禽類
山階鳥類研究所
[97]
서적
動物たちの地球 鳥類I 1 ダチョウ・アホウドリほか
朝日新聞社
[98]
논문
Building the avian tree of life using a large-scale, sparse supermatrix
[99]
논문
A Phylogenomic Study of Birds Reveals Their Evolutionary History
[100]
논문
A comprehensive phylogeny of birds (Aves) using targeted next-generation DNA sequencing
[101]
웹사이트
Petrels, albatrosses
https://www.worldbir[...]
2021-01-07
[102]
서적
動物たちの地球 鳥類I 1 ダチョウ・アホウドリほか
朝日新聞社
[103]
웹사이트
Systema Naturae 2000 / Classification – Parker (1982)
http://sn2000.taxono[...]
2009-02-12
[104]
웹인용
A Phylogenomic Study of Birds Reveals Their Evolutionary History
http://www26.atwiki.[...]
2013-09-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