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린다리 카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린다리 카툰은 옹기라트 부족 출신으로, 칭기즈 칸의 측근 데이 세첸의 후손이자 원 성종 테무르 칸의 황후였다. 테무르 칸과의 혼인 목적에 대한 학설이 존재하며, 원나라 사서에는 아들 테이슈를 낳았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다른 기록에서는 불루간 대카툰이 테이슈의 생모로 언급된다. 1299년 사망 후, 원 무종에 의해 원 성종 묘에 배향되었고, 정자정의황후의 시호가 추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추존황후 - 퇴레게네 카툰
오고타이 칸의 아내인 퇴레게네 카툰은 오고타이 칸 사후 섭정을 맡아 제국을 다스리며 아들 귀위크를 칸으로 옹립하려 했으나, 권력 투쟁과 내부 갈등을 심화시켜 몽골 제국 분열의 원인이 되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 1299년 사망 - 에이리크 2세
에이리크 2세는 망누스 6세의 아들로 1280년부터 1299년까지 노르웨이를 통치하며 덴마크, 한자 동맹과의 갈등을 겪었고 스코틀랜드와의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했으나 후계자 없이 사망하여 왕위는 동생에게 넘어갔다. - 1299년 사망 - 노가이 칸
노가이 칸은 13세기 황금 호르드의 실질적인 지배자로, 동유럽 원정과 비잔티움과의 외교, 칸국 내 권력 다툼을 통해 황금 호르드와 동유럽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몽골 제국의 카툰 - 오굴 카미시 카툰
오굴 카이미시는 13세기 몽골 제국 귀유크 칸의 황후이자 섭정이었으나, 정치적 능력 부족과 몽케 칸과의 대립으로 암살 음모 혐의를 받아 처형당하며 오고타이 가문과 툴루이 가문의 권력 다툼을 보여주는 인물이다. - 몽골 제국의 카툰 - 차브이 카툰
차브이 카툰은 쿠빌라이 칸의 황후로서 유교와 불교를 융합하고, 원나라의 중국 정복 후 송나라 황실에 관대한 대우를 제안하는 등 정치적, 문화적으로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 시린다리 카툰 | |
|---|---|
| 기본 정보 | |
![]() | |
| 직위 | 몽골의 카툰 |
| 통치 기간 | 1294년–1305년 |
| 이전 | 남부이 |
| 이후 | 불루간 |
| 사망일 | 1305년 |
| 배우자 | 예 |
| 배우자 | 테무르 칸 |
| 시호 | 진자 정의 황후 (贞慈静懿皇后) |
| 가문 | 옹기라트 |
| 가문 유형 | 씨족 |
| 아버지 | 올로친 |
| 어머니 | 올제이 |
2. 생애
시린다리는 옹기라트부족 출신으로, 칭기즈 칸의 측근이자 첫 부인 보르테 카툰의 친정아버지 데이 세첸의 4대손이다.[10] 아버지는 알티 노얀의 손자이자 나친 쿠레겐의 아들이며, 쿠빌라이 칸의 제3계비 남부이 카툰의 형제인 오로친이었다. 어머니는 쿠빌라이 칸과 차비의 딸인 욀제이 대공주였다.
시린다리의 어린시절 행적에 대해서는 기록에 등장하지 않는다. 그의 용모와 성격에 대한 기록도 문헌에 등장하지 않는다.
일본의 사학자 우노 노부히로는 테무르가 시린다리와 결혼 한 것도 인척으로 유력한 데이 세첸 가문과 혼인관계를 형성하여 제위 계승 다툼에서 우위에 선다는 목적이 있었던 것으로 보았다.[11] 그가 언제 테무르와 혼인했는지는 알려진 것이 없다.
원사 114권 열전과 원나라 사서에 의하면 그는 성종 테무르 칸과의 사이에서 아들 테이슈를 낳았다. 그러나 테이슈의 출생일과 시린다리의 사망시점이 차이가 있다. 라시드 웃딘의 집사에 의하면 시린다리가 테이슈의 생모가 아니고, 불루간이 테이슈를 낳았다고 한다. 일본의 사학자 우노 노부히로는 아유르바르와다와 카이산의 어머니 다기에 의해 조작된 것으로 보고, 테무르의 아들을 낳은 것은 불루간이라 주장한다.[12]
원사 114권 열전에는 시린다리가 1299년 10월에 황후로 책봉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원사 106권 후비표에는 "시린다리 원비 옹기라트씨, 일찍 훙하다. 지대원년(원 무종 원년) 추존시호 정자정의황후이고, 성종묘에 배향했다.(失憐答里元妃弘吉剌氏 早薨 至大元年追尊諡曰貞慈静懿皇后 配享成廟)"라는 기록과, 원사 174권 제사편에는 "대덕 11년 무종 즉위.....(이하 중략)..... 선비를 황후로 추존하고 성종실에 부묘했다(大徳十一年 武宗即位.....(이하 중략).....追尊先元妃為皇后、祔成宗室)"고 기록되어 있어, 1299년에 시린다리가 황후로 책봉되었다는 원사 114권 열전의 기록과 서로 모순된다.
원나라말 명나라초의 작가 도종의가 1366년에 쓴 남촌철정록(南村輟耕録) 혹은 철정록(輟耕録)에 의하면 테이슈 태자는 불루간 대카툰의 소생이라 한다. 페르시아계 사서로 라시드 웃딘의 집사와 와사프의 와사프 역사에는 바야우트부 출신 불루간 대카툰이 테이슈 태자의 생모라고 기록되었다.
1299년 시린다리는 사망하고, 테무르 칸은 재혼하지 않고 자신의 후궁이던 불루간 대카툰을 정비로 승격시켰다.[13][14] 1307년 무종에 의해 성종묘에 배향되었다. 1310년 10월 혹은 1307년 6월 30일 정자정의황후(贞慈静懿皇后)의 시호가 추서되었다.
2. 1. 가계와 초기 생애
시린다리 카툰은 옹기라트부족 출신으로, 칭기즈 칸의 측근이자 첫 부인 보르테 카툰의 친정아버지 데이 세첸의 4대손이다.[10] 아버지는 알티 노얀의 손자이자 나친 쿠레겐의 아들인 오로친이며, 어머니는 쿠빌라이 칸과 차비의 딸인 욀제이 대공주였다. 시린다리의 정확한 생년월일, 어린 시절, 용모와 성격에 대한 기록은 전해지지 않는다.[10]시린다리는 성종 테무르 칸과 혼인하여 아들 테이슈를 낳았다고 알려져 있다.[4] 그러나 테이슈의 출생일과 시린다리의 사망 시점이 차이가 있어, 라시드 웃딘의 집사에는 바야우트부 출신 불루간 대카툰이 테이슈의 생모라고 기록되어 있다.[12] 일본의 사학자 우노 노부히로는 아유르바르와다와 퀼리크 칸 카이산의 어머니 다기에 의해 조작된 것으로 보고, 테무르의 아들을 낳은 것은 불루간이라 주장한다.[1][12]
1299년 시린다리는 사망하고, 테무르 칸은 재혼하지 않고 자신의 후궁이던 불루간 대카툰을 정비로 승격시켰다.[13][14] 1307년 무종에 의해 성종묘에 배향되었다.[12] 1310년 10월 혹은 1307년 6월 30일 정자정의황후(贞慈静懿皇后)의 시호가 추서되었다.[12]
2. 2. 테무르 칸과의 혼인
시린다리는 옹기라트부족 출신으로, 칭기즈 칸의 측근이자 첫 부인 보르테 카툰의 친정아버지 데이 세첸의 4대손이다.[10] 아버지는 알티 노얀의 손자이자 나친 쿠레겐의 아들이며, 쿠빌라이 칸의 제3계비 남부이 카툰의 형제인 오로친이었다.일본의 사학자 우노 노부히로는 테무르가 시린다리와 결혼 한 것도 인척으로 유력한 데이 세첸 가문과 혼인관계를 형성하여 제위 계승 다툼에서 우위에 선다는 목적이 있었던 것으로 보았다.[11]
원사 114권 열전과 원나라 사서에 의하면 그는 성종 테무르 칸과의 사이에서 아들 테이슈를 낳았다고 한다. 그러나 테이슈의 출생일과 시린다리의 사망시점이 차이가 있다. 라시드 웃딘의 집사에 의하면 시린다리가 테이슈의 생모가 아니고, 불루간이 테이슈를 낳았다고 한다. 일본의 사학자 우노 노부히로는 아유와르바다와 카이산의 어머니 다기에 의해 조작된 것으로 보고, 테무르의 아들을 낳은 것은 불루간이라 주장한다.[12]
1299년 시린다리는 사망하고, 테무르 칸은 재혼하지 않고 자신의 후궁이던 불루간 대카툰을 정비로 승격시켰다.[13][14] 1307년 무종에 의해 성종묘에 배향되었다. 1310년 10월 혹은 1307년 6월 30일 정자정의황후(贞慈静懿皇后)의 시호가 추서되었다.
2. 3. 황후 책봉과 테이슈 태자 출생 논란
시린다리는 옹기라트 부족 출신으로, 칭기즈 칸의 측근이자 첫 부인 보르테 카툰의 친정아버지 데이 세첸의 4대손이다.[10] 일본의 사학자 우노 노부히로는 테무르가 시린다리와 결혼한 것은 데이 세첸 가문과의 혼인관계를 통해 제위 계승 다툼에서 유리한 위치를 확보하기 위한 목적이었다고 보았다.[11]원사 114권 열전에는 시린다리가 1299년 10월에 황후로 책봉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7] 그러나 원사 106권 후비표와 174권 제사편에는 시린다리가 무종 즉위 후 황후로 추존되었고 성종묘에 배향되었다고 기록되어 있어, 114권 열전의 기록과 모순된다.
원사 114권 열전과 원나라 사서에는 시린다리가 성종 테무르 칸과의 사이에서 아들 테이슈를 낳았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의 사학자 우노 노부히로는 아유와르바다와 퀼리크 칸 카이산의 어머니 다기에 의해 조작된 것으로 보고, 테무르의 아들을 낳은 것은 불루간이라 주장한다.[12] 리사드 웃딘의 집사에 의하면 시린다리가 테이슈의 생모가 아니고, 불루간이 테이슈를 낳았다고 한다. 원나라말 명나라초의 작가 도종의가 1366년에 쓴 남촌철정록(南村輟耕録) 혹은 철정록(輟耕録)에 의하면 테이슈 태자는 불루간 대카툰의 소생이라 한다. 페르시아계 사서인 라시드 웃딘의 집사와 와사프의 와사프 역사에도 바야우트부 출신 불루간 대카툰이 테이슈 태자의 생모라고 기록되었다.
1299년 시린다리는 사망하고, 테무르 칸은 재혼하지 않고 자신의 후궁이던 불루간 대카툰을 정비로 승격시켰다.[13][14] 1307년 무종에 의해 성종묘에 배향되었다. 1310년 10월 혹은 1307년 6월 30일 정자정의황후(贞慈静懿皇后)의 시호가 추서되었다.
2. 4. 죽음과 추존
시린다리는 옹기라트부족 출신으로, 칭기즈 칸의 측근이자 첫 부인 보르테 카툰의 친정아버지 데이 세첸의 4대손이다.[10] 아버지는 오로친이고, 어머니는 쿠빌라이 칸과 차비의 딸인 욀제이 대공주였다. 일본의 사학자 우노 노부히로는 테무르가 시린다리와 결혼한 것은 데이 세첸 가문과 혼인관계를 형성하여 제위 계승에서 우위에 서려는 목적이었다고 본다.[11]원사에 따르면, 성종 테무르 칸과의 사이에서 아들 테이슈를 낳았다고 한다.[12] 그러나 라시드 웃딘의 집사에는 시린다리가 아닌 불루간이 테이슈를 낳았다고 기록되어 있다. 우노 노부히로는 아유와르바다와 퀼리크 칸 카이산의 어머니 다기에 의해 조작된 것으로 보고, 테무르의 아들을 낳은 것은 불루간이라 주장한다.[1]
1299년 시린다리는 사망하고, 테무르 칸은 재혼하지 않고 자신의 후궁이던 불루간 대카툰을 정비로 승격시켰다.[13][14] 원사 106권 후비표에는 시린다리가 일찍 사망했다는 기록과, 174권 제사편에는 원 무종 즉위 후 선비를 황후로 추존하고 성종실에 부묘했다는 기록이 있다.
1307년 무종에 의해 성종묘에 배향되었다. 1310년 10월 혹은 1307년 6월 30일 정자정의황후(贞慈静懿皇后)의 시호가 추서되었다.
3. 옹기라트부 데이 세첸 가문
데이 세첸의 아들 알치 퀴레겐은 치구 퀴레겐, 오키 후진 카톤, 소예순성황후 차부이 카톤, 만호 오친 퀴레겐, 나친 퀴레겐을 낳았다. 나친 퀴레겐은 만호 오로친 퀴레겐, 반신 질와다이, 만호 테무르 퀴레겐, 만호 만지타이 퀴레겐, 남부이 카톤을 낳았다. 오로친 퀴레겐은 정자정의황후 시린다리 카톤을 낳았고, 테무르 퀴레겐은 만호 디우바라 퀴레겐과 만호 센게 부라 퀴레겐을 낳았다. 디우바라 퀴레겐은 아리갸시리 퀴레겐과 부다시리 카톤을 낳았다.
참조
[1]
논문
チンギス家の通婚関係の変遷 Changes of Affinal Relationships of the Family of Chingis Khan. Toyoshi Kenkyu 52-3, 1993, 399-434. (in Japanese)
https://www.academia[...]
[2]
서적
The Mongol Empire: A Historical Encyclopedia [2 volumes]: A Historical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16-11-07
[3]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6, Alien Regimes and Border States, 907-1368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8
[4]
문서
オロチン(Oročin >斡羅陳/wòluōchén)はデイ・セチェン(特薛禅)の息子アルチ(Alči >按陳/ànchén)の息子ナチン(Način >納陳/nàchén)の息子に当たる。『元史』巻118列伝5特薛禅伝「特薛禅、姓孛思忽児、弘吉剌氏……子曰按陳……弟納陳、歳丁巳襲万戸……中統二年与諸王北伐、以其子哈海・脱歓・斡羅陳等十人自従……」。
[5]
문서
『元史』巻118列伝5特薛禅伝「……斡羅陳襲万戸、尚完沢公主。完沢公主薨、継尚嚢加真公主」
[6]
문서
宇野1999,41頁
[7]
문서
『元史』巻114列伝1后妃伝「成宗貞慈静懿皇后、名失憐答里、弘吉剌氏、斡羅陳之女也。大徳三年十月、立為后。生皇子徳寿、早薨。武宗至大三年十月、追尊諡貞慈静懿皇后……」
[8]
문서
『輟耕録』巻5「僧有口才:大徳間、僧膽巴者、一時朝貴咸敬之。'''徳寿太子病癍薨、不魯罕皇后遣人問曰'''……」
[9]
문서
宇野1999,63-64頁
[10]
서적
Marriage as Political Strategy and Cultural Expression: Mongolian Royal Marriages from World Empire to Yuan Dynasty
https://books.google[...]
Peter Lang
2008
[11]
간행물
チンギス・カン家の通婚関係に見られる対称的婚姻縁組
1999
[12]
저널
チンギス家の通婚関係の変遷 Changes of Affinal Relationships of the Family of Chingis Khan. Toyoshi Kenkyu 52-3, 1993, 399-434. (in Japanese)
https://www.academia[...]
[13]
서적
The Mongol Empire: A Historical Encyclopedia [2 volumes]: A Historical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16-11-07
[14]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6, Alien Regimes and Border States, 907-1368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