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노가이 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가이 칸은 조치의 손자이자 킵차크 칸국의 유력한 군벌로, 몽골의 유럽 침입 이후 세력을 확장했다. 그는 일칸국과의 전쟁에서 활약했으며, 동로마 제국과 동맹을 맺고 불가리아, 헝가리, 폴란드 등을 침략했다. 킵차크 칸국 내에서 권력을 장악하여 여러 칸을 옹립했으나, 토크타 칸과의 대립 끝에 전사했다. 노가이는 뛰어난 장군이자 정치가로 평가받았으며, 킵차크 칸국을 직접 통치하기보다는 실권자로서 영향력을 행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장 칸국의 칸 - 우루스 칸
    우루스 칸은 14세기 후반 조치 울루스 좌익의 칸으로, 킵차크 칸국을 재건하려 했으나 티무르의 지원을 받은 토크타미쉬와의 갈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 청장 칸국의 칸 - 티니베크 칸
    티니베크 칸은 킵차크 칸국의 칸으로 즉위했으나 동생에게 살해당했으며, 우즈베크 칸의 총애를 받아 후계자로 지명되기도 했고, 권위주의적 통치 스타일을 보이며 경제 개발과 사회 안정을 추구했다.
  • 1299년 사망 - 에이리크 2세
    에이리크 2세는 망누스 6세의 아들로 1280년부터 1299년까지 노르웨이를 통치하며 덴마크, 한자 동맹과의 갈등을 겪었고 스코틀랜드와의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했으나 후계자 없이 사망하여 왕위는 동생에게 넘어갔다.
  • 1299년 사망 - 시린다리 카툰
    시린다리 카툰은 옹기라트 부족 출신으로 칭기즈 칸의 측근 데이 세첸의 후손이며 13세기 후반 몽골 제국의 황후였으나, 테무르 칸과의 혼인 시기 및 테이슈 태자의 생모 여부에 대해서는 기록 간의 모순과 논란이 있다.
노가이 칸
기본 정보
이름노가이
출생 가문보르지긴 가문
종교수니파 이슬람
가족 관계
아버지타타르
배우자에우프로시네 팔라이올로기나
알라그(Алаг)
자녀조가
튀가
토라이
차카
군사 경력
소속킵차크 칸국
복무 기간1250년대 – 1290년대
계급군 장성
참전 전투베르케-훌라구 전쟁
비잔티움과의 전쟁
불가리아 및 세르비아 침공
헝가리 제2차 몽골 침공
폴란드 제2차 몽골 침공
폴란드 제3차 몽골 침공
카가믈리크 강 전투
정치 경력
직책킵차크 칸국 장군 및 왕 메이커
활동 시기13세기
기타
사망 시기1299년경

2. 이름의 유래

프랑스 역사가 폴 펠리오(Paul Pelliot)는 노가이(Nokhai)가 "개"를 의미한다고 적었다. 몽골어에서 "노코이"(nokhoi)는 문자 그대로 "개"를 의미하지만, 당시 몽골인들 사이에서는 사람을 "개"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었다. 지금도 "노크두드"(nokhduud)와 같이 "너희 개들아(얘들아/남자들아/사람들아)"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반드시 부정적이고 모욕적인 이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칭기즈 칸 또한 자신의 유능한 장군들을 "전쟁의 개" 또는 "전쟁의 사람들"이라고 불렀다. 이는 몽골인들이 사냥과 위험 경고에 매우 유용한 개를 많이 길렀기 때문일 것이다. 따라서 개는 유목 생활의 큰 부분을 차지했고, 그들의 종교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영국 역사가 J. J. 손더스(J. J. Saunders)에 따르면, "개"라는 이름은 악령의 주의를 딴 데로 돌리기 위해 사용되었다(아마도 악령은 개에는 관심이 없을 것이라고 생각했을 것이다). 몽골인들은 때때로 늑대를 "스텝 개"라고 부르기도 했다.[1]

3. 생애

1262년 황금 호르드와 일칸국 사이에 내전이 발발하면서, 노가이는 황금 호르드 군대에서 높은 지위를 부여받았다. 라시드 알딘은 그를 베르케의 "최고 사령관"으로 묘사할 정도였다.[6] 그는 3만 명의 병력을 이끌고 일칸국 영토 국경을 약탈했으며, 카프카스 지역에서 훌라구를 북쪽으로 유인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비록 1262년 12월 샤브란 근처에서 일시적으로 후퇴했지만,[7] 테렉 강 전투에서 훌라구의 군대를 기습하여 대승을 거두며 명성을 크게 높였다.[8][9]



1264년 쿠빌라이 칸이 카간으로 즉위하면서 전쟁은 사실상 종식되었지만, 1265년 다시 전쟁이 발발했다. 노가이는 아바카 칸이 통치하는 일칸국을 침략하여 페르시아 일부 지역을 약탈하고 악수에서 전투를 벌였다. 이 전투에서 노가이는 눈을 잃는 부상을 입고 후퇴했지만, 베르케의 지원군 덕분에 아바카는 철수해야 했다.[10]

1265년, 노가이는 2만 명의 병력을 이끌고 다뉴브 강을 건너 동로마 제국 영토로 진입, 트라키아 도시들을 황폐화시켰다. 미하일 8세는 1266년 자신의 딸 에우프로시네 팔라이올로기나를 노가이에게 아내로 주며 동맹을 맺었다.[11] 이후 노가이는 황금 호드에 값비싼 직물을 조공하는 미하일 8세의 주요 연락 창구 역할을 했다.

베르케 사후, 노가이는 멩구 티무르 칸을 섬기면서 드네프르 강 서쪽 지역에 대한 실질적인 지배권을 행사했다. 그는 독자적인 외교 정책을 펼치며 맘루크 왕조(카이로)와 사절을 교환하고, 비잔티움 제국, 일칸국과 혼인 동맹을 맺는 등 여러 유럽 왕국들을 침략했다.[12]

1280년 몽케 테무르가 사망하자, 노가이는 좌익 군대의 통솔자 코니치와 협의하여 몽케 테무르의 동생 토다 몽케를 칸으로 추대했다. 이 시기 노가이는 킵차크 칸국 전체의 실력자로 인정받았다.

1282년, 노가이는 장인 미카엘 황제를 돕기 위해 4,000명의 몽골 병사를 콘스탄티노플로 보냈지만, 미카엘 사망 후 안드로니코스 2세 팔레올로고스는 이들을 세르비아와의 전쟁에 이용했다.

1271년과 1274년, 노가이는 불가리아와 비잔티움 제국을 침략했다. 미카엘 8세는 전투를 피하고 딸을 노가이에게 아내로 주겠다고 제안했다.[13] 1277년 민중봉기가 일어나자, 1278-79년 노가이는 직접 군대를 이끌고 불가리아를 침략, 실리스트라에서 이바일로를 포위했지만 3개월 후 철수했다. 이후 이바일로는 데비나 전투에서 노가이의 비잔티움 동맹군을 격파했다. 1280년, 이바일로는 지지 기반을 잃고 노가이에게 의탁했지만, 노가이는 연회 자리에서 이바일로를 처형했다.[14] 노가이는 게오르게 테르테르를 봉신으로 삼고, 이후 스밀레츠를 불가리아 왕좌에 앉혀 킵차크 칸국의 영향력을 유지했다.

1285년 겨울, 노가이와 탈라부가 칸은 헝가리를 침략했지만, 헝가리군의 강력한 저항에 부딪혀 패배했다. 노가이는 헝가리에 머물며 군대를 유지했지만, 현지 헝가리군에게 여러 차례 패배를 당하고 조기에 후퇴해야 했다. 이 원정은 노가이에게 큰 좌절이었다.

1287년 투다멩구 칸이 탈라부가에게 칸위를 물려준 후, 탈라부가는 일칸국을 침공하여 실패하였고, 이로 인해 노가이에게 유리한 상황이 조성되었다.[17] 노가이와 탈라부가는 1287/1288년에 폴란드를 공격했지만 동유럽 연합군에게 패배했다.

폴란드 공격 실패 후, 노가이와 탈라부가는 체르케스를 공격했으나, 폭설로 인해 탈라부가의 군대는 큰 피해를 입었다. 탈라부가는 이를 노가이의 탓으로 돌렸다.[18]

1290년 가을, 탈라부가는 노가이를 제거하려 했으나, 노가이는 계략을 써서 탈라부가를 유인해 살해하고 토크타를 칸으로 추대했다.[19]

그러나 토크타는 이전 칸들과 달리 노가이에게 굴복하지 않았고, 둘은 곧 치명적인 라이벌 관계로 발전했다. 1297년 네르기 평원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노가이는 수적 열세에도 불구하고 토크타 군대를 격파했다.[23][24]

토크타와 노가이 전투(『집사』파리 사본)


하지만 1299년 또는 1300년, 드네프르 강 근처 카함르크(Кагамлик (село))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토크타는 노가이 군대를 패퇴시키고 노가이를 죽였다.[25][26]

노가이는 스스로 칸이 되려는 시도는 하지 않고, 여러 칸들을 섬기며 '왕을 만드는 자' 역할을 선호했다.

3. 1. 초기 생애와 활동

노가이는 조치의 손자이자 테르발의 아들인 투타르의 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가 사망한 후 조부의 영지를 다스리게 되었다. 몽골의 유럽 침입 이후, 바투 칸은 노가이에게 1만 명의 병사(tumen)를 주어 오늘날 몰도바와 루마니아의 국경을 지키는 임무를 맡겼다. 베르케 칸, 바투 칸, 오르다 칸의 조카였으며, 삼촌 밑에서 강력하고 야심찬 군벌로 성장했다.

말년에 베르케는 유망한 조카에게 점점 더 많은 책임을 위임하기 시작했다. 노가이가 주요 인물로 처음 등장한 것은 1259/1260년, 유명한 몽골 장군 부룬다이 휘하에서 탈라부가와 함께 전투 지휘관으로 활동하면서였다. 베르케의 훌레구에 대한 전쟁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실시된 폴란드 제2차 몽골 침략에서 젊은 부사령관이었으며, 산도미에시, 크라쿠프 등 여러 도시를 약탈하며 능력을 보여주었다.[5]

바투 칸 시대부터 킵차크 칸국 우익의 여러 군대에 속해 활약했던 보알 가문의 후계자였다. 벨케 칸 시대인 1260년에 훌레구 서정군에 참여했던 사촌 토탈이 반란 혐의로 처형되고, 시반의 넷째 아들 바라칸과 울루스의 둘째 아들 쿨리가 의문사하는 사건이 발생했다.[30] 벨케는 이 사건들을 훌레구의 음모로 여기고[30], 훌레구의 근거지였던 카프카스 산맥 이남의 아제르바이잔 지역에 3만 기의 원정군을 파견했다. 노가이는 이 원정군의 지휘관으로 참전하여 훌레구 칸과 그 후계자인 아바카 칸 등 초기 일칸국 군대와 교전하며 많은 무공을 세웠다.[31]

1265년 7월, 동로마 제국(팔레올로고스 왕조)에 출병하여 미카엘 8세 팔레올로고스의 군대를 격파하고 트라키아의 도시들을 파괴했다. 이후 미카엘 8세의 딸 에우프로슈네 팔레올로기나를 왕비로 맞아 동로마 제국과 동맹을 맺었다. 같은 해 겨울, 훌레구 사망 직후 아제르바이잔 원정에서 카프카스 산맥 동부 달반드를 넘어 일칸국 세력이 점령하고 있던 무간 평야(en:Mughan plain)의 쿠라 강 북쪽에서 아바카의 동생 요시무트와 격전을 벌였다. 이 전투에서 노가이는 한쪽 눈을 잃고 패주했다.[32] 벨케는 직접 군대를 이끌고 친정하여 달반드를 넘어 쿠라 강을 건너기 위해 티플리스 부근까지 진격했지만, 1267년 1월 이곳에서 급사했다.

몽케 테무르 칸 시대가 되자, 노가이는 일칸국과의 전쟁 전선 지휘에서 물러났다. 대신 바라칸의 아들 토크타이가 탄마치(후위) 군을 이끌고 카프카스 북쪽 기슭의 테렉 강 유역에 유목지를 받았다. 노가이에게는 킵차크 칸국 최서단인 다뉴브 강 하류 지역에 유목지가 주어졌다. 그의 세력권은 킵차크 칸국의 여러 왕족 중 가장 서쪽에 위치했고, 칸국 밖의 리투아니아(1275년), 콘스탄티노플(1285년), 헝가리(1285년), 폴란드(1287년)에 여러 차례 출병하여 세력을 확장했다.

3. 2. 베르케-훌라구 전쟁

1262년 황금 호르드와 일칸국 사이에 내전이 발발했다. 베르케와 훌라구는 카간의 칭호를 놓고 서로 다른 후보를 지지했다. 노가이 칸은 황금 호르드 군대에서 높은 지위를 부여받았으며, 라시드 알딘은 그를 베르케의 "최고 사령관"으로 묘사한다.[6] 그는 3만 명의 병력을 지휘하여 일칸국 영토 국경을 따라 약탈하는 임무를 맡았다. 노가이는 카프카스 지역에 여러 차례 강력한 정찰을 실시하여 훌라구를 그의 주력 부대와 함께 북쪽으로 끌어들였다. 그는 시라문의 선봉대를 섬멸하고 쿠라 강까지 약탈했지만, 1262년 12월 샤브란 근처에서 격퇴당하고 후퇴해야 했다.[7]

이후 노가이는 훌라구의 침략 시도를 막는 임무를 맡았다. 훌라구는 군대를 이끌고 북쪽으로 진군하여 베르케의 영토를 침략하려 했고, 테렉 강에서 노가이의 군대를 포위하려 했지만 버려진 진영만 발견했다. 훌라구의 병사들이 진영을 약탈하는 동안 노가이의 군대는 테렉 강에서 훌라구의 군대를 기습하여 매복 공격으로 많은 수의 병사를 죽였다. 훌라구는 병사들을 집결시켰고 하루 종일 전투가 계속되었다. 격렬한 싸움이었지만 황금 호르드의 초기 우세가 너무 컸다. 일칸국 군대는 궤멸되었고, 수천 명이 도망치다가 익사했으며, 생존자들은 아제르바이잔으로 도망쳤다. 이 승리는 호르드에서 노가이의 명성을 크게 높였다.[8][9]

1260년에 훌레구 서정군에 참여했던 사촌 토탈이 반란 혐의로 처형되고, 시반의 넷째 아들 바라칸과 울루스의 둘째 아들 쿨리가 의문사하는 사건이 발생했다.[30] 이러한 일련의 사태를 훌레구의 음모로 여긴[30] 벨케는 훌레구의 근거지였던 카프카스 산맥 이남의 아제르바이잔 지역에 3만 기의 원정군을 파견했고, 노가이는 이의 지휘관으로 훌레구 칸과 그 후계자인 아바카 칸 등 초기 일칸국 군대와 교전하여 많은 무공을 세웠다.[31]

1265년 겨울, 훌레구 사망 직후 아제르바이잔 원정에서는 카프카스 산맥 동부의 달반드를 넘어 일칸국 세력 하의 무간 평야의 쿠라 강 북쪽에서 아바카의 동생 요시무트와 격전을 벌였다. 여기서 노가이는 한쪽 눈을 잃고 패주했다.[32] 이에 따라 벨케가 직접 군대를 이끌고 친정하여 달반드를 넘어 쿠라 강을 건너기 위해 티플리스 부근까지 거슬러 올라갔지만, 1267년 1월 이곳에서 벨케는 급사했다.

1265년 아제르바이잔 지역을 둘러싼 경계 분쟁에서 패퇴한 이후 중앙아시아의 카이두와 바락과의 분쟁 중에 울루스의 코니치와 킵차크 칸국의 칸이 된 몽케 테무르도 훌레구 가문에 우호 사절을 파견했고, 노가이 자신도 킵차크 칸국과 아바카, 알군 등 일칸국의 군주들과의 우호 관계를 유지하는 데 힘썼다.[38]

3. 3. 동로마 제국과의 관계

1265년, 노가이는 군대를 이끌고 다뉴브 강을 건너 2만 명의 병사와 함께 동로마 제국 영토로 진입했다. 그는 트라키아의 도시들을 황폐화시키고, 미하일 8세의 군대를 격파했다.[11] 1266년, 미하일 8세는 동맹을 맺고자 그의 딸인 에우프로시네 팔라이올로기나를 노가이에게 아내로 주었다.[11] 황제는 황금 호드에 많은 값비싼 직물을 조공으로 바쳤고, 공식 칸 대신 노가이를 통해 주로 접촉하며 호드의 동맹국이 되었다.[11] 노가이에게 진주, 보석, 값비싼 의복을 선물했는데, 노가이는 일시적으로 전투 외에는 평소 입던 동물 가죽을 버렸다.[10] 그러나 노가이는 보석과 옷이 낙뢰를 막거나 두통을 예방하고 건강에 도움이 되는지 교묘하게 물은 후, 자신의 백성들이 입는 개 가죽의 실용성을 칭찬했다.[10]

3. 4. 킵차크 칸국 내 권력 장악

베르케는 1266년경 사망했다. 그의 영향력에도 불구하고, 노가이는 킵차크 칸국의 지배권을 장악하려 하지 않았고, 멩구 티무르 칸을 섬기는 것으로 만족했다. 그러나 그는 드네프르 강 서쪽 지역에 대해 거의 전면적인 통제력을 행사하며 사실상 지배권을 행사했다. 그는 투르크계 백성들 외에도 갈리치아-볼히니아의 루테니아인들, 오세티아인들, 그리고 일부 블라흐인들을 직접 통치했다. 그는 또한 자신의 독자적인 외교 정책을 추진하여 맘루크 왕조(카이로)에 사절을 파견하고, 비잔티움 제국과 일칸국과 혼인 동맹을 맺었으며, 여러 유럽 왕국들을 침략했다.[12]

1282년, 노가이는 장인인 미카엘 황제가 요한 1세 두카스가 이끄는 테살리아의 반군을 진압하는 것을 돕기 위해 4,000명의 몽골 병사를 콘스탄티노플로 보냈다. 그러나 미카엘이 사망하자 안드로니코스 2세 팔레올로고스는 연합군을 이용하여 세르비아와 싸웠다.

1287년 헝가리에서의 참패 후 몽골 본토로 돌아온 그들은 투다멩구(Tuda-Mengu) 칸이 종교적 무력감에 빠져 있는 것을 발견했다. 그해 후반, 그는 조카인 탈라부가(Talabuga)에게 칸의 자리를 물려주었다. 유능한 통치자임을 증명하고 노가이(Nogai)의 꼭두각시가 아님을 보여주고자 했고, 아마도 헝가리에서의 패배에 대한 자신의 책임을 만회하고자 했던 탈라부가는 즉시 일칸국을 침공하여 분쟁 지역인 아제르바이잔을 장악하려 했다. 그러나 그는 실패했고, 이는 그를 불신하게 만들었으며, 트란실바니아에서의 자신의 패배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존경받고 있던 그의 라이벌 노가이에게 유리하게 작용했다. 노가이는 탈라부가가 황금호르드 칸으로 재위하는 짧은 기간 동안에도 강력한 통치자로 남아 있었다.[17]

그는 바투 칸 시대부터 킵차크 칸국 우익 여러 군대에 속해 활약했던 보알 가문의 후계자였다. 벨케 칸 시대인 1260년에 훌레구 서정군에 참여했던 사촌 토탈이 반란 혐의로 처형되고, 시반의 넷째 아들 바라칸과 울루스의 둘째 아들 쿨리가 의문사하는 사건이 발생했다.[30] 이러한 일련의 사태를 훌레구의 음모로 여긴[30] 벨케는 훌레구의 근거지였던 카프카스 산맥 이남의 아제르바이잔 지역에 3만 기의 원정군을 파견했고, 노가이는 이의 지휘관으로 훌레구 칸과 그 후계자인 아바카 칸 등 초기 일칸국 군대와 교전하여 많은 무공을 세웠다.[31]

1265년 7월, 동로마 제국( 팔레올로고스 왕조)에 출병하여 미카엘 8세 팔레올로고스의 군대를 격파하고 트라키아의 도시를 파괴했다. 이후 미카엘 8세의 딸 에우프로슈네 팔레올로기나(Euphrosyne Palaeologina)를 왕비로 맞아 동로마 제국과 동맹을 맺었다. 같은 해 겨울, 훌레구 사망 직후 아제르바이잔 원정에서는 카프카스 산맥 동부의 달반드를 넘어 일칸국 세력 하의 무간 평야의 쿠라 강 북쪽에서 아바카의 동생 요시무트와 격전을 벌였다. 여기서 노가이는 한쪽 눈을 잃고 패주했다.[32] 이에 따라 벨케가 직접 군대를 이끌고 친정하여 달반드를 넘어 쿠라 강을 건너기 위해 티플리스 부근까지 거슬러 올라갔지만, 1267년 1월 이곳에서 벨케는 급사했다.

몽케 테무르 칸 시대가 되자, 노가이는 일칸국과의 전쟁 전선 지휘에서 물러났고, 대신 바라칸의 아들 토크타이가 탄마치(후위) 군을 이끌고 카프카스 북쪽 기슭의 테렉 강 유역에 유목지를 받았다. 이에 따라 노가이에게는 킵차크 칸국 최서단인 다뉴브 강 하류 지역에 유목지가 주어졌다. 일칸국과의 전투 등 여러 전투에 참가했다. 그의 세력권은 킵차크 칸국의 여러 왕족 중 가장 서쪽에 위치했고, 칸국 밖의 리투아니아(1275년), 콘스탄티노플(1285년), 헝가리(1285년), 폴란드(1287년)에 여러 차례 출병하여 세력을 확장했다.

1280년, 몽케 테무르가 사망하자, 좌익 여러 군대의 통솔자인 울루스 당주 코니치와 협의하여 후계자로 테무르의 아들이 아니라 바투 가문의 장자인 몽케 테무르의 동생 토다 몽케를 추대했다. 이 해에는 쿠빌라이가 카이두 토벌을 위해 황자 놈간을 중앙아시아에 파병한 시기로, 원朝에 대한 대책을 코니치, 토다 몽케와 함께 협의했다. 이 시기에 노가이는 우익의 최고 실력자로, 그 영향력은 우익뿐 아니라 킵차크 칸국 전체에 미쳐 칸국 전체의 실력자로 인정받았다.

1287년, 토다 몽케가 이슬람 신비주의에 너무 심취했다는 이유로[33], 몽케 테무르의 장남 알구이와 열 번째 아들 투그릴차, 그리고 사촌 토레 부카 등 바투 가문 내부의 왕족들에 의해 폐위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토레 부카는 몽케 테무르의 형 타르투의 아들이었기 때문에 장자 상속을 주장하며 숙부 토다 몽케 폐위에 협력한 왕족들과 짜고 스스로 즉위했다. 그러나 그들은 이 일련의 쿠데타에 참여하지 않았던 몽케 테무르의 아들 알구이의 동생 토크타의 유능함을 인정하고, 토크타를 제거하려고 획책했다.[34] 토크타는 카프카스 경계 지역을 평정하고 있던 벨케찰 가문의 일키지에게 도망쳤고, 바투, 벨케 이래 킵차크 칸국의 중진이었던 노가이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노가이는 이에 협력하여 다뉴브 강 유역에 있던 자신의 영토에서 드네프르 강을 따라 동진하여, 꾀병을 써 토레 부카 등 왕족들을 유인해내어 병문안 온 토레 부카 일행을 토크타가 습격하게 하여 토레 부카 등을 모두 살해했다.[34]

1291년, 토레 부카를 암살하고 몽케 테무르의 다섯째 아들 토크타를 추대했다.

그러나 그 후 토크타와도 대립하여 1299년에 토크타와 돈 강 강변에서 교전했다. 이때 토크타는 패배하여 사라이까지 도주했지만, 이 승리에 따라 크림 반도의 여러 도시를 약탈했기 때문에 부하 장군들이 이를 비난하고 은밀히 토크타에게 노가이의 체포에 협력할 뜻을 전했다.[35] 카프카스 북쪽 기슭의 테렉 강 유역의 여러 군대를 편에 넣은 토크타는 이 소식을 듣고 전열을 재정비하여 반격에 나섰다. 노가이와 그의 아들들은 토크타의 군세와 교전했지만 이번에는 패배했다. 아들들은 헝가리 쪽 노가이의 영지로 도망쳤지만, 노가이 자신은 이 전투에서 전사했다. 사인에 대해 맘루크 왕조의 역사가 누와이리(1279년 - 1333년)는 루스인 병사에게 살해되었다고 말하고 있으며,[36] 『집사』의 저자 라시드 앗딘은 체포되어 토크타의 궁정으로 압송되는 도중 부상이 악화되어 사망했다고 전한다.[37]

3. 5. 불가리아, 헝가리, 폴란드 침공

1271년과 1274년에 노가이는 불가리아와 비잔티움 제국을 침략했다. 첫 번째 침략에서 동로마 황제 미카엘 8세는 전투를 피하고 그의 딸을 노가이에게 아내로 주겠다고 제안했다.[13] 1277년, 이바일로의 지휘 아래 민중봉기가 일어나 많은 병사와 귀족들의 지지를 얻었고, 불가리아 영토를 침략한 몽골군 부대를 물리쳤다. 1278-79년, 봉기에 격분한 노가이는 직접 군대를 이끌고 불가리아를 침략했다. 그는 불가리아군을 패퇴시키고, 불가리아를 약탈했으며, 실리스트라에서 이바일로를 포위했지만, 3개월 후 철수했다. 이후 이바일로는 몽골군의 포위망을 탈출하여 불가리아군을 이끌고 데비나 전투에서 노가이의 비잔티움 동맹군을 격파했다. 1280년 이바일로는 비잔티움 제국과의 끝없는 전쟁에 관심이 없는 추종자들, 불가리아 귀족들, 그리고 몽골군의 약탈 부대 사이에서 지지를 잃기 시작했다. 이후 귀족들은 게오르게 1세 테르테르를 황제로 선출했다. 이바일로는 노가이에게 호소하기로 결정하고, 소수의 추종자들과 함께 직접 노가이 앞에 나타나 칸에게 자신을 다시 황제로 만들어 달라고 요청했다. 노가이는 처음에 그를 따뜻하게 맞이하고 연회에 초대했다. 그러나 연회에서 이바일로와 이반 아센 3세가 그의 옆에 앉아 있는 동안, 노가이는 이바일로를 가리키며 "그는 나의 아버지, 황제 미카엘 8세의 적이며 살 자격이 없다"라고 말했다. 이바일로는 노가이의 경비병들에 의해 현장에서 처형되었다.[14]

노가이는 불가리아 왕위 계승자였던 이반도 처형하려고 했지만, 그의 아내 에우프로시네가 이반을 살려달라고 요청하자 노가이는 그의 요청을 받아들였다. 이반은 소아시아로 도망칠 수 있었다.[15] 노가이는 새로운 불가리아 황제 게오르게 테르테르를 그의 봉신으로 삼았다. 게오르게가 콘스탄티노플로 도망친 후, 노가이는 그의 측근 스밀레츠를 불가리아 왕좌에 앉혔고, 불가리아를 킵차크 칸국의 봉신으로 유지했다.

1285년 겨울, 노가이와 탈라부가 칸은 몽골군과 쿠만 군대를 이끌고 헝가리를 침략했지만, 수부타이가 40년 전에 했던 몽골의 유럽 침략과는 달리 패배했다. 그들은 상당한 규모의 군대를 이끌고 두 방면으로 침략했다. 노가이는 도망치는 쿠만 전사들로부터 헝가리의 위험한 정치 상황(라슬로 4세 국왕의 귀족들은 사실상 반란을 일으켰고, 헝가리는 최근 쿠만 반란을 진압하면서 약화된 상태였다)을 전해 듣고, 이를 이용하여 약화된 왕국을 상대로 대규모 원정을 벌일 계획을 세웠다.

침략 계획은 노가이가 고안했으며, 그와 탈라부가가 이끄는 두 개의 부대로 나뉘었다. 탈라부가의 군대는 트란실바니아를 황폐화시키고 부다페스트까지 약탈했지만, 헝가리인들이 새로 건설한 방어 시설망에 큰 어려움을 겪었다. 몽골군은 주요 석조 성이나 요새화된 도시를 함락하지 못했고, 보급 부족, 현지 헝가리군의 공격, 그리고 공격한 모든 성이나 마을에서의 강력한 저항에 시달렸다. 결국 그들은 부다페스트 근처에서 헝가리의 라슬로 4세 지휘하의 헝가리 왕실 군대에 패배했고, 후퇴하는 몽골군은 세켈리인의 매복 공격을 받아 침략군의 상당수를 잃었다.[16]

노가이는 탈라부가보다 성공적이었으며, 봄까지 헝가리에 머물면서 군대의 대부분을 유지했지만, 여전히 현지 헝가리군(주로 세켈리인, 색슨인, 블라크인)의 손에 몇 차례 심각한 패배를 당했다. 그는 반 미코드의 색슨인 성을 제외하고는 어떤 주요 요새도 점령하지 못했다. 노가이의 부대는 왕실 군대와 접촉하지 못했는데, 그가 작전을 수행한 지역에서 현지 헝가리군에게 입은 손실이 너무 심각하여 조기에 후퇴하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그의 부대는 귀환길에도 세켈리인의 매복 공격을 받았다.

전반적으로 이 원정은 골든 호드에게 심각한 패배였고 노가이의 가장 큰 좌절 중 하나였다. 이후로는 국경을 따라 약탈하는 소규모 침략만 있었을 뿐, 헝가리에 대한 대규모 침략은 없었다.

노가이와 탈라부가는 1287/1288년에 폴란드를 세 번째로 공격했지만 동유럽 연합군에게 패배했다.

3. 6. 토크타와의 갈등과 죽음

노가이는 탈라부가를 싫어했고, 니콜라이 카람진은 폴란드와 체르케스 침공에서 발생한 큰 손실의 원인이 이들의 다툼이라고 보았다. 1290년 가을, 탈라부가는 노가이가 자신을 모함한다고 생각하여 군대를 모아 공격하려 했다. 노가이는 탈라부가가 자신을 싫어하는 것을 알면서도 모르는 척하며, 탈라부가의 어머니에게 편지를 보내 칸에게 조언할 것이 있다며 여러 왕자들과의 회의를 요청했다. 탈라부가의 어머니는 노가이를 신뢰하라고 조언했고, 탈라부가는 군대 대부분을 해산하고 소수의 수행원만 데리고 노가이를 만나러 갔다. 라시드 알딘에 따르면, 노가이는 탈라부가를 따뜻하게 맞이하고 병을 핑계로 더욱 무해하게 보이려 했다.

하지만 노가이는 많은 병사들과 토크타, 그리고 멩구 티무르의 세 아들과 함께 약속 장소에 나타났다. 노가이의 부하들이 매복하여 탈라부가를 붙잡았고, 노가이는 탈라부가를 교살했다. 이후 노가이는 토크타에게 "탈라부가가 네 아버지의 왕좌를 찬탈했고, 그와 함께 있는 네 형제들은 너를 체포하고 죽이기로 합의했다. 내가 그들을 너에게 넘겨주겠다. 네 마음대로 하라."라고 말했고, 토크타는 그들을 죽였다.[19] 노가이는 토크타를 왕위에 앉힌 대가로 크리미아 무역 도시의 수입을 받았다.[20] 노가이는 탈라부가를 지지했던 많은 몽골 귀족들을 참수하여 자신의 꼭두각시 칸의 통치를 공고히 했다. 토크타는 1291년 초에 칸으로 선포되었다.

그러나 톡타는 탈라부가보다 더 고집 센 통치자임이 드러났고, 노가이와 톡타는 곧 치명적인 라이벌 관계에 휘말렸다. 반란을 일으킨 러시아 공국들을 공격하는 데 협력했지만, 경쟁 관계는 여전했다. 톡타의 장인과 아내는 노가이가 자신을 톡타보다 우월하다고 여기는 것 같다고 여러 차례 불평했고, 노가이도 톡타의 궁정에 참석하라는 요구를 반복적으로 거절했다. 그들은 크림반도의 제노바와 베네치아 도시에 대한 무역권 정책에 대해서도 의견이 달랐다. 노가이가 톡타를 옹립한 지 2년 후, 그들의 라이벌 관계는 극에 달했고, 톡타는 노가이에 대한 전쟁을 위해 지지자들을 모으기 시작했다.[21][22]

토크타는 제국의 동부 지역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하여 노가이보다 규모가 큰 대규모 군대를 모았지만, 노가이의 부하들이 유럽에서 벌인 전쟁 경험으로 인해 전투 능력은 노가이 측이 더 뛰어났다고 전해진다. 마르코 폴로는 몽골의 자료를 인용하여 노가이가 15투멘(15만 명), 토크타가 20투멘(20만 명)을 모았다고 기록했지만, 이러한 수치는 과장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두 통치자는 1297년 네르기 평원에서 서로 10마일 떨어진 곳에 진을 쳤다.[23] 네르기 평원은 노가이의 영토와 토크타의 영토의 중간 지점이었다. 하루의 휴식 후, 격렬한 전투가 벌어져 하루 대부분이 전투로 이어졌고, 노가이와 토크타는 모두 (노가이의 고령에도 불구하고) 전투에서 뛰어난 활약을 보였다. 결국 노가이는 수적으로 불리했음에도 불구하고 승리했다. 전해지는 바에 따르면 토크타의 군대 6만 명(군대의 거의 3분의 1)이 전사했지만, 토크타 자신은 탈출하는 데 성공했다.[24]

그러나 토크타는 몇 년 후 군대를 재편성하고 더 큰 군대를 모아 노가이 자신의 영토 깊숙한 곳, 드네프르 강 근처 카함르크(Кагамлик (село)) (카감리크)에서 노가이와 맞섰다. 1299년 또는 1300년, 토크타는 마침내 승리하여 그의 군대가 노가이의 군대를 패퇴시켰다. 노가이의 아들들은 1,000명의 기병과 함께 전투에서 탈출했고, 노가이는 토크타의 부하인 러시아 병사에게 부상을 입은 채 17명과 함께 도주하는 것이 발견되었다. 그는 "나는 노가이다. 칸인 토크타에게 데려가라"라고 말했다. 병사는 노가이를 죽이고 그의 머리를 토크타에게 가져갔다. 이에 토크타는 격노했다. 몽골 왕자의 피가 흘렀다는 사실에 분노한 그는 (전통에 따라 무혈로 노가이를 처형할 계획이었다) 그 병사를 사형시켰다. 노가이의 아들들은 그 후 곧 추적되어 처형되었다.[25][26]

권력과 전투 능력에도 불구하고, 노가이는 스스로 금장군 칸국을 차지하려는 시도는 결코 하지 않았고, 오히려 일종의 '왕을 만드는 자' 역할을 하는 것을 선호했다. 그는 여러 금장군 칸들을 섬겼다: 베르케, 멘구티무르, 투다멘구, 탈라부가, 그리고 토크타.

4. 성격 및 종교

폴 펠리오(Paul Pelliot)에 따르면, 노가이는 몽골어로 "개"를 의미하는 "노카이"(nokhai)에서 유래되었다. 몽골인들은 사람을 "개"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었고, 징기스 칸도 자신의 장군들을 "전쟁의 개"라고 불렀다. 이는 몽골인들이 개를 많이 길렀고, 개가 유목 생활과 종교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J. J. 손더스(J. J. Saunders)는 "개"라는 이름이 액막이로 사용되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27]

노가이는 텐그리즘 신자였으나, 외교적 필요에 따라 종교를 바꾸었다. 1271년 이집트에 보낸 편지에서는 이슬람교로 개종했다고 주장했고, 1263년 바이바르스에게 보낸 개종자 명단에도 그의 이름이 있다. 그러나 1288년에는 아르군에게 불교 유물을 선물했다. 그의 아내 야일락은 프란체스코 수도원을 방문하고 가톨릭 세례를 받았다. 노가이의 딸 키야트는 토크타와 결혼 후 이슬람으로 개종했다.[27][28]

5. 가족 관계

노가이는 여러 명의 아내를 두었다. 첫 번째 아내는 추베이, 두 번째 아내는 야일락과 비잔티움 제국 공주 에우프로시네였다. 추베이와의 사이에서는 두 아들 죠게(장남)와 티게를 두었다. 야일락과의 사이에서는 아들 토라이를 두었고, 키야크라는 딸도 있었다. 알라카라는 또 다른 아내와의 사이에서는 아들 차카를 두었는데, 그는 1299년부터 1300년까지 불가리아 황제였다.[29]


  • 죠치
  • * '''보알'''
  • ** 타타르

'''노가이'''(Noγai|노가이mn)
* '''추케'''
** 카라 케세크
* 테케
* 토라이

6. 평가

라시드 앗 딘은 노가이를 능력 있는 장군이자 교활하고 노련한 정치가로 묘사한다. 그는 킵차크 칸국을 직접 장악하기보다는 킹메이커(실권자)이자 권력 뒤에 숨은 실세로 남는 데 만족했다. 노가이는 의식적으로 몽골식 방식을 장려했고, 자신의 혈통에 자부심을 가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종교적 신념은 외교적 필요에 따라 달라졌다. 처음에는 킵차크 칸국의 대부분과 마찬가지로 독실한 텐그리즘 신자였고, 베르케가 이슬람으로 개종한 후에도 그 신앙을 유지했다. 그러나 1271년 이집트에 보낸 편지에서는 이슬람으로 개종했다고 주장했고, 그의 이름은 1263년 베르케가 맘루크 술탄 바이바르스에게 보낸 개종자 명단에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1288년에는 일칸 아르군에게 불교 유물을 선물했다. 노가이의 아내 야일락은 크림반도의 스타리 크름(Staryy Krym)에 있는 프란체스코 수도원을 정기적으로 방문했고 가톨릭으로 세례받았다. 토크타가 즉위한 후, 노가이는 그의 딸 키야트를 야일락(노가이의 아내와는 무관)과 결혼시켰는데, 야일락은 불교 신자이자 부족 지휘관 살지우다이의 아들이었다. 노가이의 딸 키야트는 결혼 후 이슬람으로 개종했다 (노가이는 분명히 그녀를 무슬림으로 키우지 않았다).[27][28]

노가이는 바투 칸 시대부터 킵차크 칸국 우익 여러 군대에 속해 활약했던 보알 가문의 후계자였다. 벨케 칸 시대인 1260년에 훌레구 서정군에 참여했던 사촌 토탈이 반란 혐의로 처형되고, 시반의 넷째 아들 바라칸과 울루스의 둘째 아들 쿨리가 의문사하는 사건이 발생했다.[30] 벨케는 이를 훌레구의 음모로 여기고[30] 훌레구의 근거지였던 카프카스 산맥 이남의 아제르바이잔 지역에 3만 기의 원정군을 파견했고, 노가이는 이의 지휘관으로 훌레구 칸과 그 후계자인 아바카 칸 등 초기 일칸국 군대와 교전하여 많은 무공을 세웠다.[31]

1265년 7월, 노가이는 동로마 제국(팔레올로고스 왕조)에 출병하여 미카엘 8세 팔레올로고스의 군대를 격파하고 트라키아의 도시를 파괴했다. 이후 미카엘 8세의 딸 에우프로슈네 팔레올로기나(Euphrosyne Palaeologina)를 왕비로 맞아 동로마 제국과 동맹을 맺었다. 같은 해 겨울, 훌레구 사망 직후 아제르바이잔 원정에서는 카프카스 산맥 동부의 달반드를 넘어 일칸국 세력 하의 무간 평야의 쿠라 강 북쪽에서 아바카의 동생 요시무트와 격전을 벌였다. 이 전투에서 노가이는 한쪽 눈을 잃고 패주했다.[32]

몽케 테무르 칸 시대에 노가이는 일칸국과의 전쟁 전선 지휘에서 물러났고, 대신 바라칸의 아들 토크타이가 탄마치(후위) 군을 이끌고 카프카스 북쪽 기슭의 테렉 강 유역에 유목지를 받았다. 이에 따라 노가이에게는 킵차크 칸국 최서단인 다뉴브 강 하류 지역에 유목지가 주어졌다. 노가이의 세력권은 킵차크 칸국의 여러 왕족 중 가장 서쪽에 위치했고, 칸국 밖의 리투아니아(1275년), 콘스탄티노플(1285년), 헝가리(1285년), 폴란드(1287년)에 여러 차례 출병하여 세력을 확장했다.

1280년 몽케 테무르가 사망하자, 노가이는 좌익의 울루스 당주 코니치와 협의하여 후계자로 몽케 테무르의 동생 토다 몽케를 추대했다. 이 시기에 노가이는 우익의 최고 실력자로, 그 영향력은 킵차크 칸국 전체에 미쳤다.

1287년, 토다 몽케가 이슬람 신비주의에 너무 심취했다는 이유로[33], 몽케 테무르의 아들들과 친척 토레 부카 등 바투 가문 내부 왕족들에 의해 폐위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토크타는 카프카스 경계 지역을 평정하고 있던 벨케찰 가문의 일키지에게 도망쳤고, 노가이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노가이는 이에 협력하여 자신의 영토에서 동진, 꾀병을 써 토레 부카 등 왕족들을 유인해내어 토크타가 그들을 습격하여 모두 살해하게 했다.[34] 1291년, 노가이는 토레 부카를 암살하고 몽케 테무르의 아들 토크타를 추대했다.

그러나 이후 토크타와 대립하여 1299년에 돈 강 강변에서 교전했다. 토크타는 패배하여 사라이까지 도주했지만, 노가이는 승리 후 크림 반도의 여러 도시를 약탈했고, 부하 장군들은 이를 비난하며 토크타에게 노가이 체포에 협력할 뜻을 전했다.[35] 결국 노가이는 토크타 군과의 전투에서 패배하여 전사했다. 맘루크 왕조의 역사가 누와이리는 노가이가 루스인 병사에게 살해되었다고 기록했고,[36] 『집사』의 저자 라시드 앗딘은 체포되어 토크타의 궁정으로 압송되는 도중 부상이 악화되어 사망했다고 전한다.[37]

참조

[1] 웹사이트 Geni - Nogai / Isa Khan (b. – c. 1299) http://www.geni.com/[...] 2015-02-05
[2] 서적 The Mongols and Rus
[3]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Mongol World Empire
[4] 서적 The History of the Mongol Conquests
[5] 서적 Encyclopedia of Mongolia and the Mongol Empire
[6] 서적 Early Mongol Rule in Thirteenth-Century Iran: A Persian Renaissance
[7] 서적
[8] 서적 The History of the Mongol Conquests
[9] 서적
[10] 서적 History of the Mongols
[11] 서적 The Empire of Steppes
[12] 서적
[13] 서적 De Michaele Paleologo VIII, tom. I. ed.Bonn
[14] 서적 De Michaele et Andronico Paleologis GIBI, vol. X, Bulgarian Academy of Sciences, Sofia
[15] 서적 The Late Medieval Balkans, A Critical Survey from the Late Twelfth Century to the Ottoman Conquest
[16] 웹사이트 The Daco-Roman Legend http://www.hungarian[...] 2007-09-18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The Travels https://books.google[...]
[22] 서적 Medieval Russia: 980-1584
[23] 서적 The History of Kazakhstan from the Earliest Period to the Present time https://books.google[...]
[24] 서적
[25] 서적 Zubdat al-Fikra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Търновските царици В.Т.:ДАР-ТХ
[30]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4
[31]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4
[32]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6
[33] 서적
[34]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6
[35]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6
[36] 서적 モングル帝国史 6 東洋文庫
[37] 서적 モングル帝国史 6 東洋文庫
[38] 서적 ジョチ・ウルスの研究 2
[39] 서적 ジョチ・ウルスの研究 2
[40]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