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시므온 (루가의 복음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므온은 루가의 복음서에 등장하는 인물로, 예루살렘에 살면서 이스라엘의 구원을 기다리던 의롭고 경건한 노인이다. 그는 성령의 계시를 받아 예수가 태어나기 전에 죽지 않으리라는 것을 알고 있었으며, 아기 예수를 성전에서 만나 "이제는 평안히 눈감게 되었습니다"라고 찬양했다. 시므온은 예수가 이방인에게는 빛, 이스라엘에게는 영광이 될 것이라고 예언하고, 마리아에게는 아들의 고난을 예고했다. 기독교 전통에서 시므온은 '하느님을 영접한 시므온'으로 불리며, 2월 2일과 3일에 기념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이스라엘의 종교인 - 베드로
    베드로는 예수의 열두 제자 중 한 명으로, 예수로부터 "케파스"라는 이름을 받았으며, 어부 출신으로 예수의 부름을 받아 제자가 되어 사역과 초기 기독교 공동체 형성에 기여했고, 수난 과정에서 예수를 부인한 후 회개하였으며, 오순절 설교와 이방인 전도를 통해 기독교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고대 이스라엘의 종교인 - 예수
    예수는 기원후 1세기경 갈릴리에서 활동한 유대인으로, 기독교의 중심 인물이자 하느님의 아들로 여겨지며, 복음서에 따르면 세례자 요한에게 세례를 받고 공생애를 시작하여 가르침을 전파하고 기적을 행했으며 십자가에 못 박혀 죽은 후 부활했다고 전해진다.
  • 1세기 기독교 성인 - 엘리사벳
    사가리아의 아내이자 세례 요한의 어머니인 엘리사벳은 마리아의 친척으로, 오랫동안 불임이었으나 고령에 요한을 임신하여 마리아 방문 시 성령의 인도로 축복의 말을 전했으며, 이는 아베 마리아 기도의 일부가 되었다.
  • 1세기 기독교 성인 - 루가
    루가는 신약성서의 루가복음서와 사도행전 저자이자 바울의 동료였으며, 예수의 삶과 초기 기독교 공동체 역사를 기록하고 최초로 성모 마리아를 그린 화가로도 전해진다.
  • 팔레스타인의 로마 가톨릭 성인 - 필립보
    필립보는 갈릴래아 베싸이다 출신으로 예수의 열두 사도 중 한 명이며, 본래 세례자 요한의 제자였으나 예수를 만나 그의 제자가 되었고, 나타나엘을 예수에게 인도하였으며, 오병이어 기적, 헬라인들과의 만남 주선, 아버지에 대한 질문 등으로 복음서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고, 외경과 유물, 그리고 여러 교파에서 성인으로 공경받는다.
  • 팔레스타인의 로마 가톨릭 성인 - 마티아
    마티아는 신약성경 사도행전에 나오는 인물로, 가룟 유다를 대신하여 열두 사도 중 한 명으로 선택되었으며, 세례자 요한이 예수에게 세례를 베푼 순간부터 예수의 승천까지 함께 한 제자로서 제비뽑기를 통해 선출되었고, 여러 기독교 교파에서 성인으로 공경받는다.
시므온 (루가의 복음서)
기본 정보
시므온
의로운 시므온 (알렉세이 예고로프 그림, 1830년대~40년대)
칭호예언자
의로운 자, 하느님을 받아들인 자
기념일2월 3일
10월 8일
숭배 대상동방 정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로마 가톨릭교회
성공회
루터교회
수호 성인자다르, 크로아티아
주요 성지자다르, 크로아티아의 성 시므온 교회
속성아기 예수를 안고 있는 노인으로 묘사되며, 때로는 유대교 사제로 복장을 갖춘 모습
언어별 명칭
성경 정보
기타
라틴어지금은 떠나게 하시나이다

2. 성경에서의 언급

루가의 복음서에서는 시므온에 대해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여드레째 되는 날은 아기에게 할례를 베푸는 날이었다. 그 날이 되자 아기가 잉태되기 전에 천사가 일러준 대로 그 이름을 예수라고 하였다." "그리고 모세가 정한 법대로 정결 예식을 치르는 날이 되자 부모는 아기를 데리고 예루살렘으로 올라갔다." "그것은 '누구든지 첫아들을 주님께 바쳐야 한다.'는 주님의 율법에 따라 아기를 주님께 봉헌하려는 것이었고" "또 주님의 율법대로 산비둘기 한 쌍이나 집비둘기 새끼 두 마리를 정결례의 제물로 바치려는 것이었다." "그런데 예루살렘에는 시므온이라는 사람이 살고 있었다. 이 사람은 의롭고 경건하게 살면서 이스라엘의 구원을 기다리고 있었다. 그에게는 성령이 머물러 계셨는데" "성령은 그에게 주님께서 약속하신 그리스도를 죽기 전에 꼭 보게 되리라고 알려주셨던 것이다." "마침내 시므온이 성령의 인도를 받아 성전에 들어갔더니 마침 예수의 부모가 첫아들에 대한 율법의 규정을 지키려고 어린 아기 예수를 성전에 데리고 왔다." "그래서 시므온은 그 아기를 두 팔에 받아 안고 하느님을 찬양하였다." "주여, 이제는 말씀하신 대로 이 종은 평안히 눈감게 되었습니다." "주님의 구원을 제 눈으로 보았습니다." "만민에게 베푸신 구원을 보았습니다." "그 구원은 이방인들에게는 주의 길을 밝히는 빛이 되고 주의 백성 이스라엘에게는 영광이 됩니다." "아기의 부모는 아기를 두고 하는 이 말을 듣고 감격하였다." "시므온은 그들을 축복하고 나서 아기 어머니 마리아에게 이렇게 말하였다. '이 아기는 수많은 이스라엘 백성을 넘어뜨리기도 하고 일으키기도 할 분이십니다. 이 아기는 많은 사람들의 반대를 받는 표적이 되어'" "당신의 마음은 예리한 칼에 찔리듯 아플 것입니다. 그러나 그는 반대자들의 숨은 생각을 드러나게 할 것입니다.'"

신약성경에서 시므온에 대한 유일한 언급은 다음과 같다.

"예루살렘에 시므온이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이 사람은 의롭고 경건하여 이스라엘의 위로를 기다리며, 성령이 그 위에 있었다. 그는 성령의 계시를 받아 주님의 그리스도를 뵙기 전에 죽음을 보지 않으리라는 것을 알았다. 그는 성령의 인도를 받아 성전으로 들어갔다. 아기 예수의 부모가 율법의 관례대로 아기를 데리고 들어오자, 시므온은 아기를 팔에 안고 하느님을 찬미하며 이렇게 말하였다. '주님, 이제는 말씀하신 대로 이 종을 평화로이 떠나게 해 주십시오. 제 눈이 당신의 구원을 보았습니다. 이는 당신이 모든 민족들 앞에서 마련하신 것이요, 이방인들에게는 계시의 빛이며, 당신 백성 이스라엘에게는 영광입니다.' 예수의 아버지와 어머니는 그분에 관하여 시므온이 한 말에 놀라워하였다. 시므온은 그들을 축복하고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에게 말하였다. '보십시오, 이 아기는 이스라엘의 많은 사람들을 넘어뜨리기도 하고 일으켜 세우기도 하며, 반대받는 표징이 되도록 정해졌습니다. (당신의 마음은 칼에 꿰찔리는 듯할 것입니다.) 그리하여 많은 사람의 마음속 생각이 드러날 것입니다.'" - RSV-2CE영어, 개정 표준 역 가톨릭판

일부 저술가들은 이 시므온을 시몬 벤 힐렐과 동일 인물로 간주하지만, 힐렐은 사제가 아니었다.[2] 제임스 F. 드리콜은 ''가톨릭 백과사전''에서 이를 "믿을 수 없는 전설"이라고 일축했다.[3]

2. 1. 루가의 복음서

루가의 복음서에 따르면, 예루살렘에 살던 시므온은 의롭고 경건하게 살면서 이스라엘의 구원을 기다리고 있었다. 성령이 그에게 머물러 있었으며, 주님께서 약속하신 그리스도를 죽기 전에 꼭 보게 되리라는 계시를 받았다. 성령의 인도를 받아 성전에 들어간 시므온은 예수의 부모가 율법의 규정을 지키려고 어린 아기 예수를 성전에 데리고 온 것을 보았다. 시므온은 아기를 두 팔에 받아 안고 하느님을 찬양하며, "주님의 구원을 제 눈으로 보았습니다."라고 말하며, 이 구원이 이방인들에게는 빛이 되고 이스라엘에게는 영광이 될 것이라고 예언했다.

아기의 부모는 이 말을 듣고 감격하였고, 시므온은 그들을 축복한 뒤 아기 어머니 마리아에게 "이 아기는 수많은 이스라엘 백성을 넘어뜨리기도 하고 일으키기도 할 분"이며, "많은 사람들의 반대를 받는 표적이 되어 당신의 마음은 예리한 칼에 찔리듯 아플 것"이라고 말했다.

일부에서는 이 시므온을 시몬 벤 힐렐과 동일 인물로 보기도 하지만, 힐렐은 사제가 아니었기 때문에, 제임스 F. 드리콜은 ''가톨릭 백과사전''에서 이를 "믿을 수 없는 전설"이라고 일축했다.[2][3]

2. 2. 시므온의 노래 (Nunc Dimittis)

'''시므온의 노래'''(Nunc Dimittisla)는 노인 시므온이 성모 마리아가 아기 예수를 성전에서 하느님께 봉헌할 때 불렀던 노래이다(루가 2:29-32). 4세기부터 그날의 마지막 성무일도(聖務日禱)에 삽입되었다.

:"주여 말씀하신 대로

:이제는 주의 종을 평안히 떠나가게 하소서.

:만민 앞에 마련하신 주의 구원을

:이미 내 눈으로 보았나이다.

:이교 백성들에게는 계시의 빛이시요

:주의 백성 이스라엘에게는

:영광이 되시는 구원을 보았나이다."

3. 기독교 전통에서의 시므온

3. 1. 칭호

시므온은 동방 정교회에서 '하느님을 영접한 시므온'(시메온 테오도코스/Συμεὼν ὁ Θεοδόχοςel, 시메온 보고프리이메츠/Симеон Богоприимецcu)으로 불린다.[4] 일부 라틴어 문헌과 성인전에서는 '시메온 노인'(Simeon senex)으로 언급된다.[4] 요한 에카르트(1533–1611)의 성촉절 찬송가 "마리아가 성전으로 갔을 때"를 포함한 시와 음악에서는 '늙은 시므온'으로 표현된다. 개신교에서는 어떠한 칭호 없이 '시므온'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5]

3. 2. 나이

성경은 시므온의 나이를 직접적으로 언급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노인으로 추정된다.[6] 정교회 전승에 따르면, 시므온은 히브리어 성경을 칠십인역으로 번역한 70명의 학자 중 한 명이었다.[7][8] 그는 이사야 7:14를 번역할 때 "처녀" 대신 "젊은 여자"가 잉태할 것이라고 번역했는데, 이는 그의 불신 때문이었다고 한다.[7][8] 이 때문에 그는 신적인 존재로부터 이 예언이 성취될 때까지 살 것이라는 말을 들었다고 한다.[7][8]

3. 3. 유물

565년에서 578년 사이, 시므온으로 여겨지는 시신이 유물 이송되어 시리아 또는 예루살렘에서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옮겨졌다.[9] 콘스탄티노폴리스 공방전 (1203년) 무렵, 유물은 압수되어 베네치아로 운송되었으나, 폭풍으로 인해 배는 달마티아 해안의 자다르 항구에 정박하게 되었다. 유물은 처음에는 ''벨리카 고스파'' (성모 교회)에 안치되었고, 이후 성 스테파노 교회로 옮겨져 성 시므온 신봉자의 성소가 되었다. 시므온은 자다르의 4명의 수호성인 중 한 명이며, 축일은 10월 8일에 기념된다. 2010년 10월, 자다르 대주교 젤리미르 풀리치는 시므온의 유물이 담긴 작은 은제 성유물을 요르단의 테오필락투스 대주교에게 전달했으며, 그는 테오필로스 3세와 예루살렘의 성 시므온 신봉자 수도원을 대표했다.[10]

예루살렘 카타몬의 성 시므온 수도원

4. 축일

''주님의 만남''(15세기 러시아 아이콘)


의로운 시므온의 생애에서 일어난 사건들은 2월 2일과 3일에 기념된다. 첫 번째 날의 기념 행사는 마리아가 정결 의식을 행하고 아들 예수를 성전에 바치는 행사를 기념하며, 이는 축제로 알려진 주님 봉헌 축일이다. 이 날은 예수와 마리아에게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2월 3일의 기념은 동정녀에게서 태어난 그리스도를 보고 죽음을 맞이할 수 있었던 시므온에게 특화되어 있다.

모세의 율법에 따르면, 사내아이를 낳은 어머니는 7일 동안 부정한 것으로 여겨졌으며, 33일 동안 "정결의 피" 속에 머물러야 하므로 총 40일 동안 부정하게 여겨졌다. 따라서 기독교의 주님 봉헌 축일은 유대교 율법에 따라 (참조 ), 마리아가 의례적 정결 의식에 참석했어야 하는 날과 일치한다. ''루카 복음서'' 는 마리아가 종교적 율법에 따라 정결하게 된 후 예루살렘의 성전에서 예수님을 봉헌했다고 전한다. 이것이 축일의 공식 명칭을 설명한다.

성공회의 성무일도 저녁 기도 전례에서 성공회 신자들은 매일 저녁 전통적으로 Nunc dimittis|italic=yesla를 낭독하거나 만과에서 시므온의 노래를 칸티클로 부른다. 로마 가톨릭 교회의 종부성무와 정교회의 저녁기도 시간에도 사용된다. 많은 저명한 작곡가들이 Nunc dimittis|italic=yesla에 곡을 붙였는데, 예를 들어 라흐마니노프의 철야기도가 있다.

2월 2일 축일은 종종 "성촉절"이라고 알려져 있는데, 이는 성모 마리아의 의례적 정결을 기리기 위해, 전례력 한 해 동안 사용될 밀랍 를 교회로 가져와 축복하기 때문이다. 로마 가톨릭 교회에서는 봉헌을 묵주기도의 네 번째 환희의 신비로 기념한다. 잉글랜드 성공회에서 주님 봉헌 축일은 주요 축일이다. 동방 정교회에서는 열두 대축일 중 하나이다.

오늘날의 성 시메온의 궤


이 축일은 여러 다른 이름을 가지고 있다.

  • ''주님, 하느님, 구세주 예수 그리스도의 만남'' (동방 정교회)
  • ''신의 아들의 성전 입장''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 ''성모 정결 축일'' (동방 가톨릭 교회)
  • ''주님 봉헌 축일'' (로마 전례의 통상 양식 로마 가톨릭 교회)
  •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정결 축일'' (1962년 및 이전 형태의 로마 가톨릭 교회 로마 전례)
  • ''주 예수 그리스도의 성전 봉헌'' (미국 성공회)
  • ''주님 봉헌'' (미국 복음주의 루터교회)
  • ''성전 안의 그리스도 봉헌'' (캐나다 성공회)
  •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정결 축일'' (캐나다 성공회)
  • ''성전 안의 그리스도 봉헌'' (잉글랜드 교회 및 호주 성공회).


동방 정교회에서는 시므온을 여 예언자 안나와 함께 2월 3일, 거룩하고 의로운 시므온 하느님 영접자와 여 예언자 안나 축일에 기념한다. 성공회에서는 시므온을 축일로 기념하지 않으며, 2월 3일은 성 블레이즈, 또는 현대 달력에서는 선교사이자 함부르크-브레멘 대주교이며 864년 스웨덴 최초의 주교였던 성 안스카르(801–865)를 기념하는 날이다.

로마 가톨릭 교회와 정교회는 모두 성촉절의 날짜를 크리스마스 후 40일째 되는 날로 모세 율법에 따라 동일하게 정하고 있지만, 크리스마스를 12월 25일로 기념하는 것에는 차이가 있다.[11] 이는 율리우스력을 대체하는 그레고리력에 대한 신학적 논쟁에서 비롯되었다.[11] 현재 12월 25일은 율리우스력에서 그레고리력보다 13일 늦게 나타난다.[11] 그레고리력 개정은 1582년에 이루어졌으며, 이는 동서 분열 (1054년) 이후의 일이다.[11] 결과적으로 많은 정교회 신자들은 2월 16일에 시므온 성인의 축일을 기념한다.[11] 동방 정교회는 봉헌 축일 다음 날인 2월 3일에 시므온 성인을 기념하는데, 율리우스력을 사용하는 교회에서는 2월 3일이 현대 그레고리력으로 2월 16일에 해당한다.[11]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는 1월 6일에 그리스도의 탄생을 기념하며, 하느님의 아들의 성전 입장이라고 칭하는 봉헌 축일은 2월 14일에 열린다.[11]

4. 1. 예수 봉헌 축일 (2월 2일)

모세의 율법에 따르면, 사내아이를 낳은 어머니는 7일 동안 부정한 것으로 여겨졌으며, 33일 동안 "정결의 피" 속에 머물러야 하므로 총 40일 동안 부정하게 여겨졌다. 따라서 기독교의 주님 봉헌 축일은 유대교 율법에 따라 (참조 ), 마리아가 의례적 정결 의식에 참석했어야 하는 날과 일치한다. ''루카 복음서'' 는 마리아가 종교적 율법에 따라 정결하게 된 후 예루살렘의 성전에서 예수님을 봉헌했다고 전한다. 이것이 축일의 공식 명칭을 설명한다.

성공회의 성무일도 저녁 기도 전례에서 성공회 신자들은 매일 저녁 전통적으로 Nunc dimittis|italic=yesla를 낭독하거나 만과에서 시므온의 노래를 칸티클로 부른다. 로마 가톨릭 교회의 종부성무와 정교회의 저녁기도 시간에도 사용된다. 많은 저명한 작곡가들이 Nunc dimittis|italic=yesla에 곡을 붙였는데, 예를 들어 라흐마니노프의 철야기도가 있다.

2월 2일 축일은 종종 "성촉절"이라고 알려져 있는데, 이는 성모 마리아의 의례적 정결을 기리기 위해, 전례력 한 해 동안 사용될 밀랍 를 교회로 가져와 축복하기 때문이다. 로마 가톨릭 교회에서는 봉헌을 묵주기도의 네 번째 환희의 신비로 기념한다. 잉글랜드 성공회에서 주님 봉헌 축일은 주요 축일이다. 동방 정교회에서는 열두 대축일 중 하나이다.

이 축일은 여러 다른 이름을 가지고 있다.

  • ''주님, 하느님, 구세주 예수 그리스도의 만남'' (동방 정교회)
  • ''신의 아들의 성전 입장''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 ''성모 정결 축일'' (동방 가톨릭 교회)
  • ''주님 봉헌 축일'' (로마 전례의 통상 양식 로마 가톨릭 교회)
  •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정결 축일'' (1962년 및 이전 형태의 로마 가톨릭 교회 로마 전례)
  • ''주 예수 그리스도의 성전 봉헌'' (미국 성공회)
  • ''주님 봉헌'' (미국 복음주의 루터교회)
  • ''성전 안의 그리스도 봉헌'' (캐나다 성공회)
  •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정결 축일'' (캐나다 성공회)
  • ''성전 안의 그리스도 봉헌'' (잉글랜드 교회 및 호주 성공회).

4. 2. 시므온과 안나 축일 (2월 3일)

동방 정교회에서는 시므온을 여 예언자 안나와 함께 2월 3일, 거룩하고 의로운 시므온 하느님 영접자와 여 예언자 안나 축일에 기념한다. 성공회에서는 시므온을 축일로 기념하지 않으며, 2월 3일은 성 블레이즈, 또는 현대 달력에서는 선교사이자 함부르크-브레멘 대주교이며 864년 스웨덴 최초의 주교였던 성 안스카르(801–865)를 기념하는 날이다.

4. 3. 율리우스력 사용 교회 (2월 16일)

로마 가톨릭 교회와 정교회는 모두 성촉절의 날짜를 크리스마스 후 40일째 되는 날로 모세 율법에 따라 동일하게 정하고 있지만, 크리스마스를 12월 25일로 기념하는 것에는 차이가 있다.[11] 이는 율리우스력을 대체하는 그레고리력에 대한 신학적 논쟁에서 비롯되었다.[11] 현재 12월 25일은 율리우스력에서 그레고리력보다 13일 늦게 나타난다.[11] 그레고리력 개정은 1582년에 이루어졌으며, 이는 동서 분열 (1054년) 이후의 일이다.[11] 결과적으로 많은 정교회 신자들은 2월 16일에 시므온 성인의 축일을 기념한다.[11] 동방 정교회는 봉헌 축일 다음 날인 2월 3일에 시므온 성인을 기념하는데, 율리우스력을 사용하는 교회에서는 2월 3일이 현대 그레고리력으로 2월 16일에 해당한다.[11]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는 1월 6일에 그리스도의 탄생을 기념하며, 하느님의 아들의 성전 입장이라고 칭하는 봉헌 축일은 2월 14일에 열린다.[11]

12월 1일에는 야고보와 즈가리야의 유해 이전을 351년에 기념하며, 5월 25일에는 역시 351년에 발견된 그들의 유해 기념일이 있다.[11]

4. 4.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2월 14일)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는 1월 6일에 예수의 탄생을 기념하며, 하느님의 아들의 성전 입장이라고 칭하는 봉헌 축일은 2월 14일에 열린다.[11]

참조

[1] 웹사이트 3 ФЕВРАЛЯ - Древо http://drevo-info.ru[...] 2023-10-02
[2] 서적 The Rabbinic Traditions about the Pharisees before 70: The Houses – Page 217 1971
[3] 웹사이트 Holy Simeon http://www.newadvent[...] The Catholic Encyclopedia 1912-02-01
[4] 서적 The Book of saints : a dictionary of servants of God canonized by the Catholic Church https://archive.org/[...] London, A. & C. Black, ltd. 1921
[5] 웹사이트 G. Meeting Simeon and Anna in the Temple (Luke 2:21-38) https://www.jesuswal[...] 2024-11-06
[6] 서적 The Gospel of Luke Paternoster Press 1978
[7] 웹사이트 Amshir 8 : Lives of Saints : Synaxarium - CopticChurch.net https://www.copticch[...] 2023-04-27
[8] 웹사이트 Holy, Righteous Simeon the God-Receiver https://www.oca.org/[...] 2023-04-27
[9] 간행물 The Tomb of Saint Simeon the Prophet, in San Simeone Grande, Venice https://www.jstor.or[...] 1976
[10] 뉴스 Part of Relics of St. Simeon the Godbearer handed over by the Archbishop of Zadar to the Greek Orthodox Patriarchate of Jerusalem https://www.byzcath.[...] Byzantine Catholic Church in America 2013-02-19
[11] 웹사이트 СИМЕОН БОГОПРИИМЕЦ - Древо http://drevo-info.ru[...] 2023-10-02
[12] 웹사이트 2003_ΦΕΒΡΟΥΑΡΙΟΣ--ΑΓΙΟΣ ΣΥΜΕΩΝ Ο ΘΕΟΔΟΧΟΣ http://www.parembasi[...]
[13] 웹사이트 Святой праведный Симеон Богоприимец http://days.pravosla[...]
[14] 뉴스 Part of Relics of St. Simeon the Godbearer handed over by the Archbishop of Zadar to the Greek Orthodox Patriarchate of Jerusalem http://www.byzcath.o[...]
[15] 서적 正教会暦 2009年 日本ハリストス正教会教団 2009
[16] 웹사이트 Our Lady of Good Success and the Purification, February 2 http://www.tradition[...]
[17]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Holy Simeon http://www.newadvent[...]
[18] 웹사이트 Ныне отпущаеши(Словари и энциклопедии на Академике) http://dic.academi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