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시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영은 오대 십국 시대 후주의 황제이다. 그는 곽위의 양자로, 곽위 사후 황위에 올랐다. 통치 기간 동안 중앙 집권화를 강화하고, 군사력을 재편하며, 폐불령을 통해 국가 재정을 확충하는 등 국내 개혁을 단행했다. 대외적으로는 남당을 정복하고 요나라를 공격하는 등 영토 확장을 시도했으나, 원정 중 병으로 사망했다. 그의 사후 어린 아들이 황위를 계승했으나, 조광윤의 쿠데타로 북송이 건국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주의 황제 - 곽위
    오대십국시대 후주의 초대 황제 곽위는 후한의 군인이었으나 반란을 일으켜 스스로 황제가 되어 후주를 건국하고 재위 기간 동안 내정에 힘썼으며, 923년 이후 북중국을 통치한 최초의 한족 출신 황제이다.
  • 후주의 황제 - 시종훈
    시종훈은 오대십국시대 후주의 마지막 황제로,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섭정을 받았으나 조광윤의 천교의 변으로 선양하고 정왕에 봉해진 후 사망했다.
  • 921년 출생 - 아베노 세이메이
    아베노 세이메이는 헤이안 시대의 음양사로 천문과 점술에 능통하여 조정과 귀족의 신임을 받았고 사후에는 신비로운 전설과 민담의 주인공이 되었으며 현대 대중문화 속 인물로 자리 잡았다.
  • 921년 출생 - 우다야 3세
  • 959년 사망 - 콘스탄티노스 7세
    콘스탄티노스 7세는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로서 학문 연구를 장려하고, 《제국 통치론》, 《의식서》 등의 저술을 남겼으며, 주변국과의 관계 개선과 영토 확장에 노력했다.
  • 959년 사망 - 에드위그
    에드위그는 955년부터 959년까지 잉글랜드를 통치한 앵글로색슨족 왕으로, 재임 기간 동안 가톨릭 교회와의 갈등, 왕국 분할 등의 사건을 겪었으며, 사후 부정적인 평가에도 불구하고 현대 역사가들의 재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시영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채 융 (주 세종)
채 융 (주 세종)
이름시영 (柴榮), 후에 궈 (郭)로 변경
로마자 표기Chai Rong (차이 룽)
생년월일921년 10월 27일
출생지싱저우 (현재의 싱타이, 허베이성, 중국)
사망일959년 7월 27일
사망지카이펑
묘호세종 (世宗)
시호예무효문황제 (睿武孝文皇帝)
능호경릉 (慶陵; 현대의 신정, 허난성에 위치)
능묘 좌표34
채 (柴) (출생 시) 궈 (郭) (양자 입양 후)
왕조후주
재위 정보
즉위954년 2월 26일
폐위959년 7월 27일
전임자곽위
후임자시종훈
연호현덕 (顯德), 태조의 연호 계승
현덕 1년954년 2월 6일 – 955년 1월 26일
현덕 2년955년 1월 27일 – 956년 2월 14일
현덕 3년956년 2월 15일 – 957년 2월 2일
현덕 4년957년 2월 3일 – 958년 1월 22일
현덕 5년958년 1월 23일 – 959년 2월 10일
현덕 6년959년 2월 11일 – 960년 1월 30일
가족 관계
아버지 (친부)채수례 (柴守禮)
아버지 (양부)곽위
배우자유씨 (劉氏) (950년 사망)
대부황후 (956년 사망)
소부황후
자녀시종훈, 기타 (자세한 내용은 가족 섹션 참조)

2. 생애

시영의 조부는 시옹(柴翁)이고, 아버지는 시수례(柴守禮)이며, 후주 태조 곽위(郭威)의 황후 시씨(柴氏)의 남동생으로, 시영은 시황후의 조카가 된다. 황후 시씨는 곽위와 함께 형주(邢州) 출신으로, 곽위가 즉위하기 전 그를 도와 공을 세웠으나, 곽위 즉위 전에 사망하여 황후로 추증되었다.[3] 시영은 성인이 되어서 곽위를 대신해 집안일을 처리하고, 상업 활동을 위해 중원과 강남 지역을 오가기도 했다.

2. 1. 어린 시절 및 후한(後漢)에서의 경력

시영은 어린 시절 숙모의 시집인 곽위의 집에서 자랐으며, 후진(後晉) 말기에 곽위의 양자가 되었다.[3] 948년 곽위가 후한(後漢)의 추밀사 겸 천웅군 절도사가 되면서, 시영 또한 곽위 휘하에서 천웅군의 총지휘관이 되었다.[5]

950년, 후한 은제는 곽위의 가족을 몰살시켰고, 이에 곽위는 반란을 일으켰다.[6] 이때 시영은 본거지인 위주(魏州)의 방어를 맡았다.[5] 곽위는 시영에게 변경을 지키도록 하고 자신은 주력군을 이끌고 남쪽으로 진격하여 변주(汴州)를 향했다.[6]

2. 2. 후주(後周) 건국과 즉위

954년 곽위가 사망하고, 후한의 은제(隱帝) 유승우에게 곽위의 일족이 몰살당하자, 시영이 그 후계자로 지명되어 후주의 2대 황제로 즉위하게 되었다.[1]

3. 즉위와 통치

후주의 시영은 954년 양아버지 곽위의 죽음으로 황제가 되었다. 그는 아버지의 개혁 정치를 이어나갔으며, 유능한 통치자로 평가받았다.[1]

즉위 초 북한이 거란족의 원군을 받아 국경을 침범하자 직접 군사를 이끌고 나가 고평에서 크게 승리하였다. 조광윤 등의 활약으로 타이위안을 포위하기도 하였다.[1]

또한, 남당, 후촉 등 남쪽의 국가들을 공격하여 송나라가 통일할 수 있는 기반을 닦았다. 요나라를 공격하여 연운 16주의 일부를 탈취하기도 하였다.[9]

3. 1. 국내 개혁

시영은 즉위 후 태조 곽위가 죽은 틈을 타 북한이 거란족의 원군을 받아 국경을 침범하자, 직접 군사를 이끌고 맞섰다. 고평에서 벌어진 전투 초반에는 후주군 일부가 북한에 패퇴하여 궁지에 몰렸으나, 시영이 직접 독려하고 조광윤이 분전하여 북한군을 격파했다. 여세를 몰아 북한의 수도 타이위안을 포위했지만, 공격하지 않고 군사를 물렸다.[1]

당시 절도사는 군사력, 행정권, 재정권을 모두 장악하여 군벌화되었고, 독립적인 경향이 강해 오대십국시대 전란의 주요 원인이었다.[1] 후당 명종 때 금군인 시위사가 정비되었으나, 황제들이 지나치게 우대하여 포상이 없으면 싸우지 않는 병사가 많아져 군 재편성이 어려웠다.[1]

이에 시영은 전전군(殿前軍)을 새롭게 편성하여 절도사 휘하의 우수한 병사를 뽑아 편입시키고, 지휘권은 황제만이 갖도록 했다.[1] 이를 통해 절도사의 세력을 약화시키고 금군을 강화하여 황제권을 강화했다.[1]

또한 시영은 폐불령을 내려 불교 세력을 억압했는데, 이는 불교계의 비판을 받았다.[1] 이전의 불교 탄압이 불교와 대립하던 도교의 영향을 받은 것과 달리, 시영의 폐불은 경제와 국가 통제를 위한 것이었다.[1] 세금과 병역 기피를 위한 출가, 사찰로의 재산 유출을 막고 불교 세력의 권익을 획득하려는 목적이었다.[1] 늘어난 세수와 몰수 재산은 후주군의 군사 재편성 비용으로 충당되었다.[1]

시영은 화폐인 동전을 주조하기 위해 구리 사유를 금지하는 법령을 내렸다.[1] 당시 화폐 경제가 발달하고 오대십국의 분열로 구리 생산지와의 연결이 끊겨 구리가 부족했기 때문이다.[1] 폐불령으로 몰수한 구리 불상도 동전 주조에 사용되었다.[1]

더불어 시영은 곽위의 정책을 계승하여 조세를 경감하고 농촌 부흥을 추진했으며, 대주형통이라는 법전을 제정했다.[1]

3. 2. 대외 원정

955년 시영은 후촉을 공격하여 진주를 비롯한 4개 주를 빼앗았다.[9] 같은 해 겨울부터는 10국 중 최강국이었던 남당을 공격했다. 남당은 격렬하게 저항했지만, 958년 남당 군주 이경은 항복했다. 화평 조건으로 남당은 장강 이북의 영토를 할양하고, 남당 군주는 황제 칭호를 사용하지 못하고 국왕으로 칭호를 격하시키는 조건으로 화평하였다.[9]

시영은 북한요나라의 연합군을 격파하고, 북한의 수도 타이위안(太原)을 포위하기도 하였다. 959년에는 요나라를 공격하여 연운 16주 가운데 2개의 주를 탈취했다.[9]

4. 사망과 후계

959년, 시영은 요나라 원정 중 병에 걸려 39세(만 38세)의 젊은 나이로 사망했다.[9] 그의 어린 아들 시종훈이 제3대 황제(공제)로 즉위했다. 그러나 오대 십국 시대의 전례를 벗어나지 못하고, 시영에게 가장 신뢰받았던 장군 조광윤이 군부의 추대를 받아 진교의 변을 일으켜 북송을 건국하고 시종훈으로부터 선양을 받았다.

오대 십국 시대에는 전 왕조의 황제가 살해되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시종훈은 후하게 보호받았고, 시씨 가문은 남송이 멸망할 때까지 약 320년 동안 칙명에 의해 우대받았다.

5. 가족 관계

구분관계이름생몰년도
부모아버지차이서우리(柴守禮)
부계 친족고모성목황후 차씨
배우자정혜황후 유씨? ~ 951년
배우자선의황후 부씨931년 ~ 956년
배우자효부황후 부씨933년 ~ 993년
자녀첫째 아들차이종이(柴宗誼)? ~ 950년
자녀둘째 아들차이청(柴誠)? ~ 950년
자녀셋째 아들한왕 차이셴(韓王 柴諴)? ~ 950년
자녀넷째 아들양왕 시종훈(柴宗訓)953년 ~ 973년
자녀다섯째 아들차이시랑(柴熙讓)
자녀여섯째 아들차이시징(柴熙謹)
자녀일곱째 아들차이시후이(柴熙誨)


5. 1. 부모


  • 아버지: 차이서우리(柴守禮) (친부)

5. 2. 부계 친족


  • 고모: 성목황후 차씨

5. 3. 배우자

5. 4. 자녀

순번봉호시호이름생몰년도별칭비고
1월왕(越王)시의가(柴宜哥) (시의(柴誼))? ~ 950년
2오왕(吳王)시성(柴誠)? ~ 950년
3한왕(韓王)시함(柴諴)? ~ 950년
4양왕(梁王)시종훈(柴宗訓)953년 ~ 973년제3대 황제 공제(恭帝).
5조왕(曹王)시종양(柴宗讓) (시희양(柴熙讓))연국공(燕國公)
6기왕(紀王)시희근(柴熙謹)? ~ 964년
7기왕(蘄王)시희회(柴熙誨)


6. 연호

顯德|현덕중국어(954년~960년)은 시영이 사용한 연호이다.

세종원년2년3년4년5년6년
서력
(西曆)
954년955년956년957년958년959년
간지
(干支)
갑인을묘병진정사무오기미
연호
(年號)
현덕
원년
2년3년4년5년6년


7. 평가

시영은 오대십국시대의 혼란을 극복하고 중앙 집권화를 강화하여 후주의 국력을 크게 신장시킨 유능한 군주로 평가받는다. 그의 군사적 업적과 내정 개혁은 훗날 송나라의 통일에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1] 그러나 그의 이른 죽음은 통일의 완성을 막았고, 결국 송나라의 건국으로 이어졌다.[1]

참조

[1] 서적 Wudai Shiji http://zh.wikisource[...]
[2] 서적 Wudai Shi http://zh.wikisource[...]
[3] 서적 Wudai Shi http://zh.wikisource[...]
[4] 서적 Zizhi Tongjian http://zh.wikisource[...]
[5] 서적 Zizhi Tongjian http://zh.wikisource[...]
[6] 서적 Wudai Shiji http://zh.wikisource[...]
[7] 서적 Song Shi http://zh.wikisource[...]
[8] 서적 Wudai Shi http://zh.wikisource[...]
[9] 서적 Zizhi Tongjian http://zh.wikisourc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