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쓰레기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쓰레기학은 밥 딜런의 쓰레기 분석에서 시작되어, 폐기물 평가 및 관리 방안 연구에 활용되는 학문 분야이다. 초기에는 매립지의 구성과 생분해 과정을 연구했으며, 현대에는 해양 플라스틱 문제, 폐기물의 에너지 전환, 고고학적 활용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되었다. 쓰레기학은 개인의 프라이버시 침해 및 정보 악용 가능성이라는 윤리적 문제와 함께, 마케팅, 범죄 수사, 정책 연구, 정보 보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특히, 한국 사회의 쓰레기 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 의식 개선과 정책 수립에도 기여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폐기물 관리 - 폐기물 계층
    폐기물 계층은 제품 및 서비스 전 과정에서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폐기물 발생 예방, 재사용, 재활용, 에너지 회수, 폐기 순으로 우선순위를 정하는 체계이며, 유럽 연합에서는 법적 구속력을 가진다.
  • 폐기물 관리 - 침출수
    침출수는 매립지에서 폐기물과 빗물이 만나 생성되는 오염된 액체로, 유해 물질을 포함하여 환경 오염을 유발하며, 현대 매립지에서는 침출수 유출을 방지하고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 사회학 - 거버넌스
    거버넌스는 사회적 통치 시스템을 의미하며, 정부, 시민사회, 시장의 파트너십을 통해 정책을 결정하고 집행하며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나며, 경제 성장, 부패 감소, 정치적 안정 강화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사회학 - 세계화
    세계화는 상품, 서비스, 정보, 자본, 사람들의 국경을 초월한 흐름과 상호연결 증대를 의미하는 복합적인 현상으로, 경제, 문화, 정치적 측면에서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영향에 대한 논쟁을 야기하며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국제적 협력이 요구된다.
쓰레기학
쓰레기학
학문 분야사회학
연구 분야쓰레기
다른 이름가볼로지

2. 역사

2. 1. 애리조나 대학교의 초기 연구

A. J. 웨버먼은 1971년 밥 딜런의 쓰레기를 뒤지면서 "쓰레기학"이라는 단어를 만들었다.[4] 1970년대 윌리엄 라스제 교수는 애리조나 대학교에서 쓰레기 프로젝트를 이끌었다.[5] 이 프로젝트는 매립지에 무엇이 들어 있는지, 그리고 쓰레기가 해당 환경에서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조사하기 위한 것이었다.[5]

라스제 교수의 연구는 매립지에 대한 몇 가지 오해를 밝혀냈다. 많은 미국인들은 매립지가 패스트푸드 용기, 일회용 기저귀, 스티로폼으로 가득 차 있다고 생각했지만, 라스제 교수는 이러한 품목들이 눈에 잘 띄기 때문에 과장된 측면이 있다고 보았다. 실제로는 플라스틱이 폐기물의 20~24%를 차지하고, 종이가 40%를 차지했으며, 이 중 13%는 신문이었다.[6] 그는 신문이 폐기물 및 오염 문제를 보도하는 매체이면서 동시에 매립지를 채우는 주범이라는 아이러니를 지적했다.

또한 라스제 교수는 자연적인 생분해 속도가 예상보다 훨씬 느리다는 것을 발견했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 병은 가벼워지는 새로운 제조 시스템 덕분에 상단에 있는 병이 하단에 있는 병보다 더 쉽게 부풀어 오르는 현상이 발견되었다.[6]

라스제 교수는 매립지 폐쇄율에 대해서도 언급했는데, 6개의 작은 매립지가 폐쇄될 때마다 하나의 큰 매립지가 열린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저서를 출판할 당시, 향후 5년 안에 당시 개방된 매립지의 50%가 폐쇄될 것이라고 예측했다.[6] 미시간과 같은 주는 자국의 쓰레기 매립지가 되지 않도록 조치를 취하고 있으며, 미시간주는 지난 몇 년 동안 쓰레기 처리량이 증가한 것은 대부분 캐나다에서 수입된 쓰레기 때문이라는 것을 발견했다.[6]

2. 2. 현대의 연구 동향

오늘날 쓰레기학은 폐기물을 평가하고 폐기물 관리에 대한 새로운 아이디어를 찾는 데 사용된다.[7] 에드워드 휴메스(Edward Humes)는 평균적인 미국 시민이 평생 동안 102톤의 쓰레기를 배출한다고 추정했다.[8]

과학자들은 현재 태평양에 떠다니는 플라스틱 쓰레기 덩어리를 연구하고 있으며, 쓰레기가 해양 생물에 미치는 영향과 증가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연구한다.[9] 폐기물을 에너지로 바꾸는 과정에 대한 연구도 진행 중인데, 매립지의 메탄은 소량의 전기를 생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10]

쓰레기학은 사회 과학 분야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어 왔으며, 인간이 폐기물 관리와 다양한 기타 용도를 어떻게 탐구해 왔는지 연구하는 반면, 과학은 폐기물 관리 기술을 사용한다.[11] 인류학 연구로서의 쓰레기학은 과거를 탐구하고 '쓰레기', 즉 단서가 되는 가정용품, 판독 가능한 신문을 사용하여 고대 유적지를 발견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12]

쓰레기학은 폐기물 관리와 관련하여 더 지속 가능한 방법을 가르쳐 줄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많은 재활용 가능한 품목이 매일 버려지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많은 학교에서는 쓰레기학을 교육 과정에 통합했으며, 감량, 재사용, 재활용의 세 가지 개념에 중점을 두고 있다.[13][14][15] 사비트리 페르사드(Sabbithry Persad)가 저술한 책 시리즈인 ''쓰레기학 키즈''(Garbology Kids)는 다양한 소셜 미디어 채널을 통해 유용한 자료와 활동을 제공함으로써 지속 가능한 폐기물 방법에 대한 교훈을 어린이에게 가르치는 데 주력하고 있다.[16]

환경 단체인 환경 아메리카(Environment America)에 따르면, 2021년 현재 미국은 전 세계 쓰레기의 12%를 차지하는 반면, 총 인구의 4%에 불과하다.[17]

3. 주요 연구 분야 및 방법론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주거지를 감시하고, 본인에게 들키지 않도록 지역의 쓰레기 처리장 등에서 쓰레기를 수집하여 이를 지속적으로 한다. 상대가 기업이나 관공서라면 수집 업체나 소각 업체에 스파이를 보내거나, 업체와 계약하여 쓰레기를 수집하는 경우가 많다.

다양한 쓰레기가 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 고장난 기계라면 수리하고, 파쇄기를 사용하여 파쇄한 문서라면 이어 붙여 복원하여 해독한다. 불에 탄 문서를 재에서 복원하는 방법도 있으며, 수집한 자료는 정보 분석을 거쳐 정보 자료로 만든다. 최근에는 컴퓨터로 정보 분석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도 존재한다.

방첩을 수행하는 측의 대책으로는, 쓰레기를 정해진 장소에 버리지 않기, 스스로 쓰레기를 소각하기, 쓰레기 처리장을 경비하기, 쓰레기 버리는 방법을 고안하는 등의 방법이 있다. 예를 들어, 미국의 국방부에서는 쓰레기 버리는 방법에 대해서도 세세하게 규칙이 정해져 있으며, 정보 기관에서는 가짜 쓰레기를 섞어 거짓 정보를 흘리기도 한다.

3. 1. 폐기물 분석

개인을 대상으로 할 때에는 주거지를 감시하고, 본인에게 들키지 않도록 지역의 쓰레기 처리장 등에서 쓰레기를 수집하여 이를 지속적으로 분석한다. 상대가 기업이나 관공서라면 수집 업체나 소각 업체에 스파이를 보내거나, 업체와 계약하여 쓰레기를 수집하는 경우가 많다.

다양한 쓰레기가 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 고장난 기계는 수리하고, 파쇄기를 사용하여 파쇄한 문서는 이어 붙여 복원하여 해독한다. 불에 탄 문서를 재에서 복원하는 방법도 있으며, 수집한 자료는 정보 분석을 거쳐 정보 자료로 만든다. 최근에는 컴퓨터로 정보 분석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도 존재한다.

방첩을 수행하는 측의 대책으로는 쓰레기를 정해진 장소에 버리지 않기, 스스로 쓰레기를 소각하기, 쓰레기 처리장을 경비하기, 쓰레기 버리는 방법을 고안하는 등의 방법이 있다. 예를 들어 미국의 국방부에서는 쓰레기 버리는 방법에 대해서도 세세하게 규칙이 정해져 있으며, 정보 기관에서는 가짜 쓰레기를 섞어 거짓 정보를 흘리기도 한다.

3. 2. 매립지 연구

매립된 폐기물의 분해 과정, 환경 영향, 매립지 관리 기술 등을 연구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활용한다. 개인을 대상으로 할 때는 주거지를 감시하고, 몰래 지역 쓰레기 처리장 등에서 쓰레기를 수집하여 분석한다. 기업이나 관공서의 경우, 수집 업체나 소각 업체에 스파이를 보내거나 업체와 계약하여 쓰레기를 확보한다.

고장난 기계는 수리하고, 파쇄기로 파쇄한 문서는 이어 붙여 복원하며, 불에 탄 문서도 재에서 복원하는 기술을 사용한다. 수집된 자료는 정보 분석을 거쳐 정보 자료로 활용되며, 최근에는 컴퓨터를 이용한 정보 분석 소프트웨어도 사용된다.

방첩을 위해서는 쓰레기를 정해진 장소에 버리지 않거나, 자체 소각, 쓰레기 처리장 경비, 쓰레기 배출 방법 개선 등의 대책을 세운다. 미국의 국방부는 쓰레기 배출에 대한 세부 규칙을 정하고 있으며, 정보 기관은 가짜 쓰레기를 섞어 거짓 정보를 흘리기도 한다.

3. 3. 고고학적 응용

과거 유적지에서 발견되는 쓰레기를 통해 당시 사람들의 생활상, 문화 등을 추론하는 고고학적 연구 방법이 쓰레기학에 응용된다. 개인을 대상으로 할 때는 주거지를 감시하고, 몰래 지역 쓰레기 처리장에서 쓰레기를 수집하여 분석한다. 기업이나 관공서의 경우, 쓰레기 수집 및 소각 업체와 협력하거나 스파이를 보내 쓰레기를 확보한다.

고장난 기계, 파쇄기로 파쇄된 문서, 불에 탄 문서 등 다양한 쓰레기가 자료로 활용된다. 파쇄된 문서는 복원하고, 탄 문서는 재에서 복원하는 기술이 사용된다. 수집된 자료는 정보 분석을 거쳐 정보 자료로 만들어지며, 최근에는 컴퓨터를 이용한 정보 분석 소프트웨어도 활용된다.

방첩을 위해서는 쓰레기를 정해진 장소에 버리지 않거나, 자체 소각하고, 쓰레기 처리장을 경비하는 등의 대책을 세운다. 미국의 국방부는 쓰레기 처리 방법에 대한 엄격한 규칙을 적용하며, 정보 기관은 가짜 쓰레기를 섞어 역정보를 흘리기도 한다.

4. 활용 분야

1922년 다롄에서 일본과 소련이 시베리아 철병에 관해 교섭을 벌일 때, 일본 육군은 현지에 우라지오 파견군 사령부 소속의 미야케 카즈오 중좌를 정보 수집 목적으로 파견했다. 미야케는 먼저 소련 교섭단이 다롄 야마토 호텔에 숙박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내자, 헌병을 동원하여 소련 측의 쓰레기를 수집하여 분석했다. 소련 측의 쓰레기에서 소련 측 암호문이 발견되었을 무렵, 폴란드 주재 무관이었던 오카베 나오사부로 중좌로부터 폴란드가 소련 외교 암호를 해독하고 있다는 정보가 전해졌기 때문에, 이것들은 폴란드 공화국으로 보내져 해독되었다. 이 일을 계기로, 일본 육군은 폴란드 공화국 육군에서 교관을 초빙하는 등 암호 해독에 힘을 쏟게 된다.

1979년이란 혁명 당시, 이슬람 혁명 수비대가 미국 대사관에 남아 있던 CIA의 문서를 슈레더로 잘린 상태에서 복원하여, 1980년부터 1985년까지 "스파이의 은신처로부터의 서류"라는 이름으로 공개했다.

1990년영국의 신문 선데이 타임즈가 "명성 높은 쓰레기통"이라는 기사를 게재했다. 저널리스트는 이 기사의 취재를 위해 엘리자베스 테일러, 레이건 부부, 잭 니콜슨, 마돈나 등의 집 쓰레기를 수집했다.

1991년 2월화장품 회사 에이본 프로덕츠를 메리 케이가 고소하여, 본사에서 나오는 쓰레기 수집을 중단시켰다. 에이본 측은 케이로부터 적대적 TOB를 당할 것을 경계하여,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조사하고 있었다고 한다.

4. 1. 마케팅 및 소비자 연구

1922년 다롄에서 일본과 소련의 시베리아 철병 교섭 당시, 일본 육군은 소련 측의 쓰레기를 분석하여 암호문을 발견하고 폴란드 공화국에 해독을 의뢰했다. 이를 계기로 일본 육군은 암호 해독에 힘을 쏟게 되었다.

1979년 이란 혁명 당시 이슬람 혁명 수비대는 미국 대사관에 남아 있던 CIA 문서를 복원하여 1980년부터 1985년까지 공개했다. 1990년 영국의 신문 선데이 타임즈는 유명 인사들의 쓰레기를 수집하여 기사를 작성했다. 1991년 2월에는 에이본 프로덕츠가 적대적 TOB 방어 대책을 위해 메리 케이의 쓰레기를 수집하다 고소당했다.

4. 2. 범죄 수사

범죄 현장이나 용의자의 쓰레기에서 증거를 찾아내어 수사에 활용하는 경우가 있다. FBI는 1950년대 초에 다양한 조직에 대해 "쓰레기 수집"을 수행했다.[18] 트리니티 재단은 로버트 틸튼의 조직이 받은 기도 요청을 버렸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이러한 조치를 사용했다.[19]

1922년에 다롄에서 일본과 소련이 시베리아 철병에 관해 교섭을 벌일 때, 일본 육군은 헌병을 동원하여 소련 측의 쓰레기를 수집하여 분석했다. 소련 측의 쓰레기에서 암호문이 발견되었고, 폴란드 공화국으로 보내져 해독되었다.

1979년 이란 혁명 당시, 이슬람 혁명 수비대는 미국 대사관에 남아 있던 CIA의 문서를 슈레더로 잘린 상태에서 복원하여 공개했다.

1991년 2월화장품 회사 에이본 프로덕츠를 메리 케이가 고소하여, 본사에서 나오는 쓰레기 수집을 중단시켰다.

4. 3. 정책 연구 및 환경 문제 해결

쓰레기학은 쓰레기 발생량 감축, 재활용률 증진, 지속 가능한 폐기물 관리 정책 수립 등에 기여한다. 특히, 수도권 매립지 포화, 재활용 쓰레기 대란 등 한국의 쓰레기 문제 해결에 쓰레기학이 활용될 수 있다.

오리건 주 포틀랜드는 혐기성 소화조와 플라즈마 가스화 구현을 고려하여 쓰레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고자 한다.[8] 덴마크 코펜하겐은 쓰레기 처리 효율이 세계 최고인 도시로, 쓰레기 대부분을 소각하여 전기를 생산하고, 이를 통해 덴마크 가정 10곳 중 6곳의 난방을 해결한다.[8]

쓰레기학은 정보 수집에도 활용된다. 1922년 다롄에서 일본과 소련의 시베리아 철병 교섭 당시, 일본 육군은 소련 측의 쓰레기를 분석하여 암호문을 발견하고 폴란드 공화국의 도움으로 해독했다. 1979년 이란 혁명 당시 이슬람 혁명 수비대슈레더로 잘린 CIA 문서를 복원하여 공개했다. 1990년 영국 신문 선데이 타임즈는 유명 인사들의 쓰레기를 수집하여 기사를 작성했다. 1991년 2월 화장품 회사 에이본 프로덕츠는 적대적 TOB 방어 대책 마련을 위해 경쟁사 쓰레기를 조사했다.

4. 4. 정보 보안

기업이나 정부 기관에서는 기밀 정보 유출을 막기 위해 쓰레기 처리 및 관리에 주의해야 한다.[18] 파쇄된 문서를 복원하거나,[19] 컴퓨터 휴지통 파일 분석[18] 등 쓰레기학의 기술이 정보 보안에 악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쓰레기학은 법 집행, 기업 스파이, 또는 기타 유형의 수사에서 수사 도구로 사용될수 있다.[18] 1950년대 초, FBI는 다양한 조직에 대해 "쓰레기 수집"을 수행했다.[18] 트리니티 재단은 텔레반젤리스트 로버트 틸튼의 조직이 돈을 제거한 후 받은 기도 요청을 버렸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쓰레기학을 이용했다.[19]

상대가 기업이나 관공서라면 쓰레기 수집 업체나 소각 업체에 스파이를 보내거나, 업체와 계약하여 쓰레기를 수집하는 경우가 많다. 고장난 기계는 수리하고, 파쇄기로 파쇄한 문서는 이어 붙여 복원하며, 불에 탄 문서를 재에서 복원하는 방법도 있다. 최근에는 컴퓨터로 정보 분석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도 존재한다.

방첩을 수행하는 측에서는 쓰레기를 정해진 장소에 버리지 않거나, 스스로 소각하고, 쓰레기 처리장을 경비하는 등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미국의 국방부는 쓰레기 버리는 방법에 대해 세세하게 규칙을 정하고 있으며, 정보 기관에서는 가짜 쓰레기를 섞어 거짓 정보를 흘리기도 한다.

1922년, 일본과 소련이 시베리아 철병에 관해 교섭을 벌일 때, 일본 육군은 소련 측의 쓰레기를 수집하여 암호문을 발견하고, 폴란드의 도움으로 해독에 성공했다. 이를 계기로 일본 육군은 암호 해독에 힘을 쏟게 되었다. 1979년 이란 혁명 당시, 이슬람 혁명 수비대는 미국 대사관에 남아 있던 CIA의 문서를 슈레더로 잘린 상태에서 복원하여 공개했다. 1990년, 영국의 신문 선데이 타임즈는 저널리스트가 유명인들의 집 쓰레기를 수집하여 기사를 작성했다. 1991년 2월, 화장품 회사 에이본 프로덕츠는 메리 케이로부터 적대적 TOB를 당할 것을 경계하여 쓰레기 수집을 중단시켰다.

5. 한국 사회와 쓰레기학

5. 1. 한국의 쓰레기 문제 현황

5. 2. 한국의 폐기물 관리 정책

한국의 폐기물 관리 정책은 쓰레기 종량제, 분리수거 제도, 생산자 책임 재활용 제도(EPR) 등을 통해 자원 순환을 촉진하고 폐기물 발생량을 줄이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친환경 정책과 자원 순환 정책을 통해 쓰레기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5. 3. 시민 의식 개선 및 실천 방안

시민들은 쓰레기 문제 해결의 핵심 주체로서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다. 올바른 분리배출을 실천하고,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며,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시민 단체의 활동과 환경 교육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쓰레기 문제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것도 중요하다.

오리건 주 포틀랜드는 높은 재활용률과 청정 교통 시스템을 갖춘 도시로, 쓰레기 처리를 위해 혐기성 소화조와 플라즈마 가스화 기술 도입을 고려하고 있다.[8] 덴마크 코펜하겐은 쓰레기 처리 효율이 매우 높은 도시로, 쓰레기 소각을 통해 전기 생산과 난방에 활용한다.[8] 홀든 빌리지 공동체는 '가비지학'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지역 사회 구성원들이 함께 쓰레기를 분류하고 처리하는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6. 윤리적 문제

6. 1. 프라이버시 침해

6. 2. 정보 악용 가능성

7. 미래 전망

참조

[1] 뉴스 We Are What We Throw Away https://query.nytime[...] New York Times 1992-07-05
[2] 간행물 garbology
[3] 서적 On garbage Reaktion Books
[4] 뉴스 The Answers My Friend, Are Written in This Book https://www.nytimes.[...] 2017-11-12
[5] 뉴스 Archeology of Garbology
[6] 웹사이트 Press | Ecology Center https://www.ecocente[...]
[7] 뉴스 Garbology is the study of trash. This is why students love it https://www.npr.org/[...] 2023-03-22
[8] 문서 Garbology: Our dirty love affair with trash Avery 2012
[9] 웹사이트 quick-study-where-our-garbage-goes http://www.rd.com/yo[...]
[10] 뉴스 Climate Change: Garbage Gets Fresh Look as Source of Energy https://www.wsj.com/[...] 2009-05-15
[11] 서적 Garbology Lulu.com, 2008
[12] 서적 Rubbish!: The Archaeology of Garbage University of Arizona Press, 2001
[13] 보고서 Ways to Waste: The Garbology of Post Consumer Refuse in the UBC Okanagan Cafeteria http://hdl.handle.ne[...] 2012-03-12
[14] 학술지 Lessons Learned Through Garbology http://m.today.duke.[...] 2012-02-29
[15] 웹사이트 What are Metro High School Students Doing About Garbage? http://www.pastfound[...] Metro High School 2012-03-18
[16] 웹사이트 Garbology Kids http://garbologykids[...] Firewater Media Group 2012-03-17
[17] 웹사이트 Garbology is the study of trash. This is why students love it https://www.npr.org/[...] 2023
[18] 웹사이트 FOI Request FBI files on Richard Feynman Requested by Michael Morisy on March 12, 2012 for the Federal Bureau of Investigation of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fulfilled on March 21, 2012 http://www.documentc[...] 2012-06-08
[19] 웹사이트 The Cult of Ole http://www.dallasobs[...] 2012-01-27
[20] 웹사이트 Trash Goes to School https://cwmi.css.cor[...] 1991
[21] 웹사이트 가볼로지 https://ko.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